KR20130132867A - 웨이퍼 및 다이를 처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웨이퍼 및 다이를 처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2867A
KR20130132867A KR1020137016060A KR20137016060A KR20130132867A KR 20130132867 A KR20130132867 A KR 20130132867A KR 1020137016060 A KR1020137016060 A KR 1020137016060A KR 20137016060 A KR20137016060 A KR 20137016060A KR 20130132867 A KR20130132867 A KR 20130132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wafer
die
treatment
treatment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1337B1 (ko
Inventor
마데라인 피에카스
베르너 팔머
안드레아스 그로스
안드레아스 뤼블
프란츠 리히터
Original Assignee
씬 머티리얼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씬 머티리얼즈 아게 filed Critical 씬 머티리얼즈 아게
Publication of KR20130132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 H01L21/67051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using mainly spraying means, e.g. nozz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63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 H01L21/67075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for wet etching
    • H01L21/670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for wet etching using mainly spraying means, e.g.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퍼 또는 다이의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a) 웨이퍼 또는 다이를 제공하는 단계,
b) 서포트 상에 웨이퍼 또는 다이를 위치하는 단계,
c) 처리된 표면을 둘러싸는 경계를 형성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d) 처리 대상 표면 주위에 용액 이탈을 방지하는 함입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주변 경계부를 위한 부재를 적용하는 단계, 및
e) 상기 함입부를 처리 용액으로 충진하는 단계.

Description

웨이퍼 및 다이를 처리하는 방법{Method of treating wafers and dies}
본 발명은 웨이퍼 혹은 다이 상에서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 이러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방법을 위해 설계된 특정 링에 관한 것이다.
웨이퍼 가공시, 특히 전자 부품을 이송하는 때에, 세정 단계 혹은 표면이나 표면의 일부를 개질하는 단계가 종종 요구된다. 예를 들어, 웨이퍼가 박막화될 때, 웨이퍼의 표면으로부터 박막화된 물질의 잔유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세정 단계가 요구된다. 종종, 웨이퍼 표면의 소구역 표면들에 대한 개질화가 또한 요구되거나 필요하며, 이는 공정 내 후속 단계들을 위한 표면을 준비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영역 혹은 소영역의 표면을 친수성화 하기 위함이다.
공정을 거치는 동안, 웨이퍼는 종종 반도체 산업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필름 상에 적층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필름 자체는 프레임에서 규칙적으로 장력이 가해지는 반면 비적층된 웨이퍼 혹은 유사한 다이는 세정시 혹은 표면 개질이 이루어질 때 선정된 용액에 의해 침수조 내에서 침수될 수 있고, 적층된 웨이퍼 혹은 유사 다이는 액상 처리 시약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제한된 범위에서만 가능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필름 및/또는 상기 필름을 운반하는 프레임과 처리 시약이 서로 양립하지 못하기 때문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웨이퍼 혹은 다이 표면을 처리하는, 특히 처리액이 반응하는 표면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부로서, 웨이퍼 상의 표면의 평탄한 부분(그리고 다이 상의 평탄면)을 용액으로 선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웨이퍼 가공을 위한 통상적인 공정에 적절히 포함될 수 있고, 처리 속도 증가 및/또는 처리액 절감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은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또는 다이 상의 표면 처리 방법을 통해 달성된다:
a) 웨이퍼 또는 다이를 구비하는 단계,
b) 지지대 상에 웨이퍼 또는 다이를 위치하는 단계,
c) 처리 대상 표면을 둘러싸는 경계부를 형성하기 위한 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d) 처리 대상 표면 주위에 용액 이탈을 방지하는 함입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주변 경계부를 위한 상기 부재를 적용하는 단계, 및
e) 상기 함입부를 처리 용액으로 충진하는 단계.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표면은, 전체 표면 또는 표면의 일부를 의미한다. 세정 대상 물품이 웨이퍼인 경우, 원칙적으로 세 개의 표면을 가진다, 즉 a) 후면 b) 전면(전자 부품이 구비될 수 있는 곳) 및 c) 고리 형태로 둥글게 연장되는 가장자리 표면, 이는 웨이퍼가 원형일 때 웨이퍼의 원주를 따라 연장된다. 물론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러한 정의를 다이 및 비-원형 웨이퍼에 준용 내지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세정 처리하고자 하는 물품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대해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이해되는 방법은, 주어진 공정 조건 하에서, 제어되지 않은 방법으로 처리액이 함입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이는 점착 결합, 기계적 고정, 진공이나 하중에 의한 주변 물질의 적용, 또는 이러한 주변물질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러한 관련성에 비추어 주어진 요건에 맞게 물질을 적용하는 다른 가능한 방법들을 채용하는 데에 별다른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이러한 경우에서의 처리는 세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른 경우에 있어서, 처리로는, 예를 들어 친수화 또는 소수화 목적의, 표면 개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는 또한 하나(혹은 그 이상)의 층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복수의 다른 처리(예, 세정 및 친수화)를 병행하거나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웨이퍼 및 다이를 가공하는 통상적인 방법에도 놀라울 정도로 잘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처리액에 대한 접촉 표면은 함입부에 의해서 정밀하게 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함입부 외면에 위치한 영역들, 예를 들어, 가공되는 웨이퍼/다이를 운반하는 필름에 장력을 가하는 프레임은 처리액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처리액이 반응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데에 유리하고, 처리액이 제어되지 않은 방법으로 처리가 의도된 영역으로부터 이탈된다는 사실로부터 기인하는 새로운 처리액의 측정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주변 경계부를 형성하는 것은, 해당 부재가 처리 대상인 웨이퍼/다이와 접촉하지 않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처리 대상이 되는 웨이퍼/다이의 중앙(가장자리와 접촉하는 일 없이)에 함입부가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함입부의 전체 바닥이 처리 대상이 되는 웨이퍼/다이에 온전히 형성되는 방법으로 주변 경계부를 적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며, 많은 경우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만약 다른 장치 또는 장치의 일부가 해당 함입부로 의도적으로 도입되지 않는 한, 처리액은 단지 웨이퍼/다이 및 주변 경계부를 위한 부재와 접촉한다. 처리 대상이 되는 웨이퍼/다이에 함입부의 바닥을 형성하는 경우, 주변 경계부를 위한 부재는 웨이퍼/다이의 둘레를 따라 단지 0.2-2 mm, 바람직하게는 0.5-1 mm를 덮도록(cover)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웨이퍼/다이의 표면의 주요 부분이 처리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 경계부를 위한 부재는 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만들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링은 용이하게 놓여질 수 있고, 만약 적절한 형태 그리고 특히 희망하는 형태(아래 참조)라면, 적절한 밀봉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하다.
아래 문구에서 용어 “웨이퍼(들)”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고 명확하게 기재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용어 “다이(들)”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세정 대상이 되는, 웨이퍼는 필름 상에 적층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현재 반도체 생산 공정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표준 다이싱 테이프 또는 백그라인딩 테이프가 바람직하다. 실제 예는 다음과 같다: 린텍사(Lintec company): Adwill D-175, Adwill D-650, Adwill D-678 또는 Adwill E-8320; 울트론사(Ultron company): Dicing Tape 1044R; 니토덴코사(Nitto Denko company)에서 제조된 유사한 테이프들.
이러한 필름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 b)에서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한다. 필름 그 자체는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상에서 장력을 받고, (프레임 상에서 장력이 가해지는 동안) 바람직하게는 마운팅 장치 상에 맞추어진다. 웨이퍼/필름에 대응되는 마운팅 장치의 지지면 중 적어도 일부분은 다공성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필름(그리고 이런 이유로 그 위에 적층된 웨이퍼 역시)은 상기 지지면에 대해 흡입되고 진공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필름에 장력을 가하는 프레임은 추가로, 기계적 고정에 의해서 장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 경계부를 위한 부재는, 경계부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세정을 위한 표면으로 하향 경사진 사면이 존재하는 방법으로, 단계 d)를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면의 경사는 30-60˚, 바람직하게는 40-50˚,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부로서, 주변 경계부를 위한 부재를 우선 적용함으로써(바람직하게는 링의 형태로), 함입부를 형성하고, 여기에 처리액을 도입하고 거기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절한 체류시간 이후에, 가급적 그런 다음, 바람직한 변형예로서, 원심 분리에 의해 처리 시약을 함입부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가장자리(그리고 바닥)를 포함하는 전체 함입부는 회전되고, 따라서 처리액은 원심력에 의해 상기 함입부로부터 튀어나오게 된다. 이는 상기 방법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하향 경사진 사면에 의해 보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로서, 처리액의 처리 효과는 진동 및/또는 처리액 가열에 의해 향상된다.
상기 처리는 세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 세정 효과는 단계 e) 이후에 처리액에 담기는 초음파 이미터에 의해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초음파 이미터는 처리액에 진동을 유발하고, 이를 통해 처리액의 반응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액을 가열하는 것을 적용하는 경우, 처리 대상이 되는 표면과 접촉하기도 전에 상기 처리액을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또한 상기 처리액은 직접 또는 간접 가열, 예를 들어 IR 방사에 의해서 함입부 내에서 가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간접 가열은 또한, 예를 들어 처리 대상이 되는 표면의 온도를 직접 상승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처리는 세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해서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실리콘을 함유하는 잔유물, 그리고 특히 실리콘 오일을 함유하는 잔유물에 대한 세정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예를 들어 10-50 ㎛의 범위에 이르는, 매우 심하게 박막화된 웨이퍼에 대해서도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방법은 또한, 50㎛ 이상의 두께, 예를 들어 50-200 ㎛ 두께로 박막화된 웨이퍼에 대해 특히 만족스럽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원심분리에 부가하거나 원심분리 대신에, 장치의 적절한 부분에 의해서, 흡인(suction)에 의한 처리액의 추출이 일어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대체 혹은 부가하여, 처리액 제거의 적어도 일부는 배수(draining)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체 장비의 일부로서 배수 장치를 구비할 것이며, 이는 함입부의 가장자리, 혹은 만약 함입부가 세정의 영향을 받도록 의도된 표면에 한정되지 않은 형태라면, 합입부의 바닥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로는 흡인에 의한 추출을 위한 적절한 진공이 적용될 수 있는 밸브, 또는 콕(cock)이 바람직하다. 만약 배수 장치가 배수를 위해 진공이 적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면, 흡인에 의한 추출을 위한 장치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또한 상기 처리액은, 작용 이후에, 재사용을 위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세정하고자 하는 표면을 압축된 공기, 불활성 가스 또는 다른 적절한 가스에 의한 노즐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표면 처리를 위한 본 발명의 일부를 이루는 추가적인 단계로서, 한번 또는 그 이상의 실제 처리 이후에, 플러싱 액을 함입부로 도입하여 처리액의 잔여물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바람직한 플러싱 액은 이소프로판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심지어 가솔린 분획과 같은 유기 용매 그리고 세제와 같은 첨가제가 혼합된 물도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처리액의 예로는, NMP, 에틸 아세테이트, DMSO, 아세톤, 가솔린 분획 또는 알코올과 같은, 웨이퍼 상에 존재하는 팽창성 혹은 용해성 폴리머에 대한 유기 용매, 수용성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용액, 또는 테트라메틸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의 수용성 혹은 알코올성 용액과 같은 염기성 용액, 질산과 같은 금속성 또는 반-금속성 표면을 산화시키는 용액, 불산, 부탄온 내의 테트라부틸 암모늄 플루오라이드 또는 디메틸 카보네이트 내의 포타슘 플루오라이드와 같은 플루오라이드-함유 용액,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또는 가솔린 분획과 같은 유기 용매 및/또는 포스포로니트릴릭 염화물과 그 유도체, 및/또는 귀금속 촉매와 같은 촉매를 첨가제로 포함하는 폴리디메틸 실록산 기반 제조물이 있다.
본 발명의 일부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장치를 제공하며, 특히 그에 대한 바람직한 변형예들을 포함한다. 이는 이러한 장치가, 특히, 처리액이 처리액에 대한 함입부를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방법으로, 주변 경계부를 위한 부재의 적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위한 특정 형태의 링을 포함하며, 상기 링은,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비스듬히 하향 경사지고, 루프 형태로 둥글게 연장되는 표면, 및, 루프 형태로 둥글게 연장되고 비스듬히 하향 경사진 상기 표면의 바닥 가장자리 영역에 있는 밀봉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밀봉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의 내부 둘레에서 밑면으로부터 돌출된, 루프 형태로 둥글게 연장되는 단부(edge)이다. 루프 형태로 둥글게 연장되는 이러한 단부의 너비는 바람직하게는 0.5-5 mm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2 mm이다.
대체 혹은 부가하여, 상기 링은 또한, O-링 밀봉재(seal)가 그 밑면 영역에 도입되고 그 내부면 인근에 루프 형태로 둥글게 연장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밀봉재는 이 경우에 O-링 형태로 제조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밀봉 물질로는 사용된 세정 시약과 화학적으로 양립 가능한 모든 탄성 물질이 가능하다.
O-링 밀봉재에 대체 혹은 부가하여, 실링 립(sealing lips) 또는 다른 단면 형태의 밀봉재들을 고려할 수 있으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러한 경우에 합리적으로 선택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링의 바람직한 예로서, 실링 립 및 O-링 밀봉재가 위치하는 홈은 도면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링 상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밀봉 공정의 진행을 확실히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링을 위한 적절한 물질을 선정함으로써 밀봉 효과는 증가시킬 수 있다. 많은 경우에서, 밀봉은 또한 세정(각각의 관련된 웨이퍼)하고자 하는 표면을 탄성 필름 상에 적층함으로써 보조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필름은 링에 힘이 가해지면 조금씩 움직이게 되고 이를 통해 밀봉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링의 특정 형태들을 도 2 및 3에 관한 설명 부분에 기술한다.
본 발명은 참고로서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 e) 이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링의 적절한 치수를 나타낸 것으로, 200 mm 웨이퍼의 표면 세정을 위한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링이 적용되는 물품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즉 적층된 웨이퍼를 운반하는 필름에 장력을 가하는 고리 모양의 프레임의 단면이다. 상기 웨이퍼 프레임의 내측 직경은 243-250 mm이다.
도 3은, 링 각각의 절반씩 나타낸 단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링의 두 가지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왼편은 1 mm 밀봉 표면 (루프 형태로 둥글게 연장됨)을 가진 링을 나타내고, 오른편은 바닥 영역에 진공이 가해질 수 있는 홈부(23)를 가진 링을 나타낸다.
도 1에서, 박막화 공정을 거친 웨이퍼(17)를 프레임(9)에 의해 팽팽해진 필름(11) 위에 적층한다. 이러한 필름은 다공성 기재 표면(15) 상에 얹혀져서 진공(13)이 가해지며, 따라서 상기 필름은 기재 표면 상에 고정되어 유지된다.
링(5)이 웨이퍼(17) 주위에 함입부(3)를 형성하도록 적용되고, 상기 함입부에 세정제를 붓는다. 이 경우에 실링 립(19, sealing lip)을 적용하여, 세정제의 누수로부터 함입부를 밀봉한다.
초음파 이미터(1)를 상기 함입부(3) 내의 세정제에 집어넣는다. 초음파 이미터의 작동은 상기 세정제를 진동시키고, 이를 통해 보다 강력한 세정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세정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링(5)은 박막화된 웨이퍼를 향해 하향 경사진 사면을 갖는다. 이러한 사면은 세정제가 체류 시간 이후에 원심분리에 의해 상기 함입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링과 다공성 지지 표면(그리고 상기 지지 표면의 가능한 다른 영역들)을 포함하는 전체 함입부는 회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세정제는 원심력에 의해 함입부(3)로부터 이탈된다.
도 2는, 200 mm 웨이퍼가 처리될 때, 함입부에 대한 링의 또 다른 구체예의 모식도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링은 함입부가 웨이퍼 상에서 필름으로부터 밀봉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웨이퍼의 외부 직경보다 작은 평균 직경을 갖는 홈을 링에 형성한다. 밀봉 실을 상기 홈에 삽입하고, 그런 다음 링과 웨이퍼 사이에 밀봉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함으로써, 세정액은 전체적으로 필름과의 접촉부로 침투하지 못하며, 이는 필름 물질의 선정을 보다 유연하게 한다.
크기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면에서 수치(mm 단위)로 표시한다. 도 2에 나타낸 밀봉을 위한 상기 밀봉 링(5)은, 세정하고자 하는 표면 쪽으로 하향 경사진 사면의 바닥 영역에서, 홈 내의 O-링(20)을 포함하는 형태이다. 상기 O-링(5)을 위한 홈은, 이 경우에 링(5)의 내측에 위치하는 경계가 링 밑면의 가장 낮은 지점보다 높도록 설계된다. 밑면의 가장 낮은 지점은 지지된 표면(21)에 의해 형성된다. 도 2의 경우에 있어서, 지지된 표면(21)은 루프 형태로 둥글게 연장되는 너비 1 mm 표면이다.
이 경우에, 도 2에 나타낸 링은, 밀봉이 존재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된 표면(21)이 웨이퍼가 적층되는 필름 상에 놓여지는 동안, 상기 O-링(20)이 웨이퍼 상에서 지탱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된 표면(21) 뿐만 아니라 O-링 역시 웨이퍼 상에 놓여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와 관련하여, 상기 지지된 표면(21)은 링(5) 밑면의 가장 낮은 지점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왼편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링(5)의 상대적으로 단순한 형태를 나타낸다. 이는 너비 1 mm인 둥근 루프 형태의 지지된 표면(21)을 갖는다. 또한, 상기 경우에서, 링(5)은 프레임에 대한 홈부(25)를 구비한다. 도 3의 왼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홈부(25)의 내측 끝단에서 지지된 표면(21)로 이어지는 사면이 구비된다. 이러한 사면은 링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사면에 의하지 않더라도, 이러한 이행 형태(transition)는 또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단계에 의해 전반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의 오른편에서, 본 발명에 따른 링(5)에는 진공을 위한 홈부(23)가 구비된다. 이러한 홈부(23)는 루프 형태로 둥글게 연장되는 구멍을 형성하여, 흡입에 의한 추출을 위한 통로(27)을 통해 진공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링(5)은 또한 프레임에 대한 홈부(25)를 포함한다.
진공이 가해질 때, 기판에 대해 링을 흡인하는 상응하는 힘이 진공을 위한 홈부(23)에서 발생한다. 이는 밀봉을 확실하게 한다. 흡인 추출을 위한 통로(27)를 대신하여, 링(5)이 놓여지는 지지부가 다공성이라면 여기에 진공이 가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링은 지지부에 대해여 아래로 흡착되므로, 역시 밀봉을 확실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어, 웨이퍼가 적층되는 필름이 천공된 경우에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밀봉을 위해서 홈부(23)가 구비될 필요는 없다.
도 1-3에서, 참고부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1. 초음파 이미터
3. 세정 시약을 함유하는 함입부
5. 링
7. 링(및 필요한 경우에는 프레임)을 고정하는 기계적 수단
9. 프레임
11. 필름
13. 진공을 가하는 지점
15. 다공성 지지 표면
17. 세정 대상이 되는 (박막화된) 웨이퍼
19. 실링 립(sealing lip)
20. O-링(루프 형태로 둥글게 연장됨)
21. 지지된 표면
23. 진공을 위한 홈부
25. 프레임을 위한 홈부
27. 흡인에 의한 추출 경로

Claims (11)

  1.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웨이퍼 또는 다이의 표면처리 방법:
    a) 웨이퍼 또는 다이를 구비하는 단계,
    b) 지지대 상에 웨이퍼 또는 다이를 위치하는 단계,
    c) 처리 대상 표면을 둘러싸는 경계부를 형성하기 위한 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d) 처리 대상 표면 주위에 용액 이탈을 방지하는 함입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주변 경계부를 위한 상기 부재를 적용하는 단계, 및
    e) 상기 함입부를 처리액으로 충진하는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경계부를 위한 부재는 링을 형성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경계부를 위한 부재는 상기 경계부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세정 대상이 되는 표면 쪽으로 하향 경사진 사면이 존재하는 방법으로 단계 d)에 따라 적용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액의 처리 효과는 상기 처리 용액에 대한 진동 및/또는 가열함으로써 향상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는 세정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4 항 및 제 5 항에 있어서, 단계 e) 이후에 처리액 내로 초음파 이미터를 삽입하여 세정 효과를 높이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부는 함입부의 바닥 전체에 웨이퍼 또는 다이가 온전히 형성되도록 설계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인 및/또는 배수에 의한 원심분리 및/또는 추출을 통해 처리액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장치.
  10.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위한 링으로서, 상기 링은,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비스듬히 하향 경사지고 루프 형태로 둥글게 연장하는 표면, 및 루프 형태로 둥글게 연장되고 비스듬히 하향 경사진 표면의 바닥 가장자리 영역에 있는 밀봉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구조는 압력을 적용하기 위한 표면, O-링, 실링 립(sealing lip) 또는 진공을 위한 홈부를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링.
  11.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위한 링으로서, 배수 장치 또는 흡인에 의한 추출 장치를 포함하는 링.
KR1020137016060A 2010-11-30 2011-11-30 웨이퍼 및 다이를 처리하는 방법 KR101801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62166A DE102010062166A1 (de) 2010-11-30 2010-11-30 Verfahren zum Behandeln von Wafern und Mikroplättchen
DE102010062166.8 2010-11-30
PCT/EP2011/071434 WO2012072706A1 (de) 2010-11-30 2011-11-30 Verfahren zum behandeln von wafern und mikroplättch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867A true KR20130132867A (ko) 2013-12-05
KR101801337B1 KR101801337B1 (ko) 2017-11-24

Family

ID=45047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060A KR101801337B1 (ko) 2010-11-30 2011-11-30 웨이퍼 및 다이를 처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647043B1 (ko)
JP (1) JP5959529B2 (ko)
KR (1) KR101801337B1 (ko)
CN (1) CN103238211B (ko)
DE (1) DE102010062166A1 (ko)
PT (1) PT2647043T (ko)
WO (1) WO20120727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3638B2 (ja) * 2013-04-26 2017-03-08 株式会社ディスコ 洗浄装置
CN105219963B (zh) * 2014-06-10 2017-06-30 沈阳芯源微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废液废固分离回收系统
JP6611565B2 (ja) * 2015-11-02 2019-11-27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洗浄装置、剥離システム、洗浄方法、剥離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6573531B2 (ja) * 2015-11-02 2019-09-11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洗浄装置、剥離システム、洗浄方法、剥離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CN108857862B (zh) * 2018-06-12 2020-05-12 山东科芯电子有限公司 一种半导体硅晶圆研磨处理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6870A (en) * 1977-06-30 1978-05-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ovel resist spinning head
JPS63152123A (ja) * 1986-12-17 1988-06-24 Tokyo Electron Ltd 浸漬式の液処理装置
JP2724870B2 (ja) * 1988-04-08 1998-03-09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処理装置
JP2719618B2 (ja) * 1989-03-25 1998-02-2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の洗浄装置
JP2833519B2 (ja) * 1994-09-27 1998-12-09 日本電気株式会社 絶縁膜上の半導体膜の薄膜化方法および薄膜化装置
JPH10172938A (ja) * 1996-12-06 1998-06-26 Sony Corp ウェーハスクラブ処理装置
JP3910830B2 (ja) * 2001-11-14 2007-04-25 信越半導体株式会社 シリコンウェーハの酸化膜の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JP4621038B2 (ja) * 2005-02-18 2011-01-26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半導体ウエハの洗浄方法及び半導体ウエハの洗浄装置
JP2008021929A (ja) * 2006-07-14 2008-01-31 Tokyo Ohka Kogyo Co Ltd サポートプレート、搬送装置、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
JP4971078B2 (ja) * 2007-08-30 2012-07-11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表面処理装置
US20090173358A1 (en) * 2008-01-09 2009-07-09 Micron Technology, Inc. Megasonic cleaning with controlled boundary layer thicknes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JP5300464B2 (ja) * 2008-12-26 2013-09-25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0062166A1 (de) 2012-05-31
JP2014501043A (ja) 2014-01-16
CN103238211A (zh) 2013-08-07
EP2647043A1 (de) 2013-10-09
JP5959529B2 (ja) 2016-08-02
WO2012072706A1 (de) 2012-06-07
PT2647043T (pt) 2021-05-12
CN103238211B (zh) 2016-01-20
EP2647043B1 (de) 2021-04-14
KR101801337B1 (ko) 201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0398B2 (ja) 基板処理装置
KR101512560B1 (ko) 기판처리장치
KR20130132867A (ko) 웨이퍼 및 다이를 처리하는 방법
JP5978071B2 (ja) 基板処理装置
KR20110128180A (ko) 웨이퍼를 캐리어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973299B2 (ja) 基板処理装置
JP5973300B2 (ja) 基板処理装置
US2015027971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aching chip
WO2015098655A1 (ja) 基板処理装置
KR102134946B1 (ko) 기판 처리 장치
JP4971078B2 (ja) 表面処理装置
JP2014157901A (ja)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KR20070074398A (ko) 오염 물질 제거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
JP3521819B2 (ja) 半導体ウエハの表面処理装置
WO2008065809A1 (fr) Appareil de traitement et jig de traitement de surface
KR101552663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8140692A (zh) 发光二极管工艺用金属剥离装置及方法
TW201725640A (zh) 基板清洗裝置及清洗方法
KR101466756B1 (ko) 웨이퍼 세정장치 및 방법
JP5861598B2 (ja) 半導体ウエハの表面処理装置および表面処理方法
KR20130132732A (ko) 웨이퍼를 핸들링하기 위한 핸들링장치
JP5936505B2 (ja) 基板処理装置
JP2010153522A (ja) 回路基板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046226A (ja) 基板処理方法、基板処理装置
JPS63221627A (ja) ウエ−ハ裏面のウエツトエツチ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