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2588A - 입력 장치, 입력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입력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2588A
KR20130132588A KR1020137022375A KR20137022375A KR20130132588A KR 20130132588 A KR20130132588 A KR 20130132588A KR 1020137022375 A KR1020137022375 A KR 1020137022375A KR 20137022375 A KR20137022375 A KR 20137022375A KR 20130132588 A KR20130132588 A KR 20130132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nput
keyboard
display
symbo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0466B1 (ko
Inventor
다케시 마츠자와
다카시 아마다
료타 우치노
야스히로 야마나카
Original Assignee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32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 제어부(80)는 휴대 단말기(10)에 있어서, 유저로부터 접수한 문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입력 가능한 복수의 문자 또는 기호의 세트를 화면에 표시하고 유저로부터 문자 또는 기호의 선택을 접수하기 위한 키보드 화면을 표시하는 키보드 표시부(82)와, 복수의 문자 또는 기호 중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문자 또는 기호를 접수하는 입력 접수부(81)와, 휴대 단말기(10)의 배면에 설치된 배면 터치 패널(70)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면, 키보드 화면의 표시 우선도를 변경하는 화면 제어부(88)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입력 장치,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은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 스크린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나 워드 프로세서 등의 장치에 있어서는, 문자나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하여, 키보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 게임기나 휴대 전화 등의 휴대 단말기나, 프린터나 냉장고 등의 가전 장치에 있어서는, 한정된 버튼이나 스위치 등을 사용하여 문자나 기호 등을 입력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고안이 필요해진다.
그러한 고안의 일례로서, 액정 패널 등의 표시 장치가 설치된 장치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에 키보드의 화면을 표시하고, 표시된 키보드의 각 키를 포인팅 디바이스 등으로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소위 온 스크린 키보드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터치 패널이 설치된 장치에 있어서는, 표시된 키보드의 각 키를 터치함으로써 문자 또는 기호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키보드를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 스크린 키보드는, 유저의 편리성의 향상에 공헌하고 있지만, 메일의 송수신 등, 휴대 단말기 등을 사용하여 문자나 기호 등을 입력하는 기회가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재, 보다 편리성이 높은 입력 방법을 실현하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편리성이 높은 입력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어느 형태는,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입력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유저로부터 접수한 문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입력 가능한 복수의 문자 또는 기호의 세트를 화면에 표시하고 유저로부터 문자 또는 기호의 선택을 접수하기 위한 키보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복수의 문자 또는 기호 중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문자 또는 기호를 접수하는 입력 접수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된 터치 패널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면, 상기 키보드 화면의 표시 우선도를 변경하는 화면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상의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 본 발명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등의 사이에서 변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형태로서 유효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리성이 높은 입력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온 스크린 키보드가 표시된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온 스크린 키보드가 표시된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변환 후보 문자열을 스크롤 표시시키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변환 후보 문자열을 스크롤 표시시키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변환 후보 문자열을 스크롤 표시시키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변환 후보 문자열을 스크롤 표시시키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변환 후보 문자열을 스크롤 표시시키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변환 후보 문자열을 스크롤 표시시키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변환 후보 문자열을 스크롤 표시시키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키보드의 전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키보드의 전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키보드의 전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키보드의 전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키보드의 전환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쌍으로 되는 기호 등의 입력 제어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쌍으로 되는 기호 등의 입력 제어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쌍으로 되는 기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쌍으로 되는 기호 등의 입력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온 스크린 키보드 화면과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표시 제어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온 스크린 키보드 화면과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표시 제어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온 스크린 키보드 화면과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표시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의 표면측(front face), 즉, 유저가 휴대 단말기(10)를 파지(把持)하여 조작할 때 유저와 대면하는 측에는, 지시 입력 버튼(21), 방향 키(22), R 버튼(23), L 버튼(24) 등의 버튼(20)과, 표시 장치(68)가 구비되어 있다. 표시 장치(68)에는, 유저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에 의한 접촉을 검지하기 위한 터치 패널(69)이 병설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의 이면측(rear face)에는, 배면 터치 패널(70)이 구비되어 있다. 휴대 단말기(10)의 이면측에도, 표면측과 마찬가지로 표시 장치를 설치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단말기(10)의 이면측에는 표시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배면 터치 패널(70)만을 설치한다.
유저는, 휴대 단말기(10)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지시 입력 버튼(21)을 조작하고,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방향 키(22)를 조작하며, 오른손 집게손가락 또는 가운뎃손가락으로 R 버튼(23)을 조작하고, 왼손 집게손가락 또는 가운뎃손가락으로 L 버튼(24)을 조작하며, 양손 엄지손가락으로 터치 패널(69)을 조작하고, 양손 약손가락 또는 새끼손가락으로 배면 터치 패널(70)을 조작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를 왼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스타일러스 펜 또는 집게손가락에 의해 터치 패널(69) 및 지시 입력 버튼(21)을 조작하고,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방향 키(22)를 조작하며, 왼손 집게손가락 또는 가운뎃손가락으로 L 버튼(24)을 조작하고, 왼손 약손가락 또는 새끼손가락으로 배면 터치 패널(70)을 조작할 수 있다.
도 3은 휴대 단말기(10)의 구성을 도시한다. 휴대 단말기(10)는 버튼(20), 터치 패널(69), 배면 터치 패널(70), 제어부(40), 키보드 유지부(60), 사전 데이터 유지부(62) 및 표시 장치(68)를 구비한다. 이들의 구성은, 하드웨어 컴포넌트로 말하면, 임의의 컴퓨터의 CPU, 메모리, 메모리에 로드된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실현되지만, 여기서는 그들의 연계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 블록을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기능 블록이 하드웨어만으로, 소프트웨어만으로,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이해되는 바이다.
키보드 유지부(60)는 유저가 입력 가능한 복수의 문자, 숫자, 기호 등의 키를 배열시킨 온 스크린 키보드의 화면의 데이터를 유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키보드 유지부(60)는 복수의 언어의 문자열을 입력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의 종류의 문자 또는 기호의 세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온 스크린 키보드의 화면의 데이터를 유지한다. 사전 데이터 유지부(62)는 일본어 발음이 입력되었을 때, 그 문자열을 한자로 변환하거나, 영어 단어의 일부가 입력되었을 때, 입력될 것으로 예측되는 단어를 추출하여 표시하거나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사전 데이터를 유지한다.
제어부(40)는 버튼(20), 터치 패널(69) 및 배면 터치 패널(70)로부터 입력되는 유저에 의한 조작 지시를 접수하고, 접수한 유저로부터의 조작 지시에 기초하여, 게임 프로그램 등의 어플리케이션(42), 어플리케이션(42) 등에 문자나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기능, 그 밖의 여러 기능 등을 실행한다. 제어부(40)는 어플리케이션(42) 및 입력 제어부(80)를 포함한다. 입력 제어부(80)는 입력 접수부(81), 키보드 표시부(82), 출력부(83), 입력 문자열 취득부(84), 변환 후보 취득부(85), 변환 후보 표시부(86), 전환 제어부(87) 및 화면 제어부(88)를 포함한다.
키보드 표시부(82)는 온 스크린 키보드의 화면을 키보드 유지부(60)로부터 판독하여 표시 장치(68)에 표시한다. 입력 접수부(81)는 버튼(20), 터치 패널(69), 또는 배면 터치 패널(70)로부터 입력된 유저의 조작 지시에 기초하여, 온 스크린 키보드 상의 어느 키가 입력된 것인지를 판정하고, 유저에 의한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선택을 접수한다.
입력 문자열 취득부(84)는 입력 접수부(81)가 접수한, 유저에 의해 선택된 문자를 취득하여, 입력 문자열에 추가한다. 변환 후보 취득부(85)는 입력 문자열을 포함하는 문자열을 변환한 하나 이상의 변환 후보 문자열을 취득한다. 변환 후보 취득부(85)는 유저로부터, 입력 문자열을 변환한 변환 후보 문자열의 표시를 요구하기 위한 지시 입력을 접수했을 때 변환 후보 문자열을 취득해도 되고, 입력 문자열이 추가되었을 때 입력 문자열을 변환한 변환 후보 문자열을 취득해도 된다. 또한, 입력 문자열을 전방에 포함하는 문자열을 변환한 변환 후보 문자열 중에서 후속의 입력 문자열을 예측하여 추출된 예측 변환 후보 문자열을 취득해도 된다. 변환 후보 취득부(85)는 사전 데이터 유지부(62)를 참조하여 변환 후보 문자열을 생성해도 되고, 다른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입력 문자열을 통지하여, 다른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변환된 변환 후보 문자열을 취득해도 된다. 변환 기능 또는 예측 변환 기능으로서, 기지의 임의의 기술을 이용해도 된다. 변환 후보 취득부(85)는 복수의 변환 후보 문자열을 취득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표시 순서도 취득한다.
변환 후보 표시부(86)는 변환 후보 취득부(85)가 취득한 변환 후보 문자열을, 표시 순서에 따라 표시 장치(68)에 표시한다. 입력 접수부(81)는 변환 후보 표시부(86)가 표시한 변환 후보 문자열 중에서 유저가 어느 하나의 변환 후보 문자열을 터치하거나, 선택 중인 변환 후보 문자열로 확정하기 위한 확정 키 등을 선택하거나 누르거나 하여, 변환 후보 문자열이 확정되면, 출력부(83)는 확정된 변환 후보 문자열을 어플리케이션(42) 등에 출력한다. 영숫자(alphanumeric)나 기호 등, 변환을 필요로 하지 않는 문자열은, 변환하지 않고 직접 출력부(83)가 출력해도 된다. 예를 들어, 일본어 입력용 온 스크린 키보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영숫자나 기호 등이 입력되어도 변환 기능을 거쳐 출력하고, 영어 입력용 온 스크린 키보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변환 기능을 거치지 않고 출력해도 된다. 영어 입력용 온 스크린 키보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도, 전술한 영어 단어의 예측 변환 기능을 이용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은, 온 스크린 키보드에 관한 기본적인 기술에 대해서는, 기지의 임의의 기술을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전환 제어부(87)는 키보드 유지부(60)에 유지되어 있는 복수 종류의 온 스크린 키보드 중에서 유저가 이용하는 온 스크린 키보드를 전환한다. 화면 제어부(88)는 어플리케이션(42)이 표시하는 화면과, 온 스크린 키보드 화면의 표시 상태를 제어한다. 이들 기능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4는 온 스크린 키보드가 표시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검색용 어플리케이션(42)이 화면에 표시한 검색 키워드 입력용 텍스트 박스(102)가 활성화되면, 어플리케이션(42)은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캐릿(caret)(104)을 텍스트 박스(102) 내에 표시하면서, 입력 문자열을 접수하기 위하여 입력 제어부(80)를 기동한다. 키보드 표시부(82)는 소정의 종류의 온 스크린 키보드의 화면을 키보드 유지부(60)로부터 판독하여 표시한다. 도 4에서는, 일본어 입력용 온 스크린 키보드(106)가 표시되어 있다.
일본어 입력용 온 스크린 키보드(106)는 일본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기본 화면 외에, 기호 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서브 화면을 포함한다. 온 스크린 키보드(106)에 있어서, 서브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버튼(108)이 입력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 표시부(82)는 일본어 입력용 온 스크린 키보드의 서브 화면(112)을 키보드 유지부(60)로부터 판독하여 표시 장치(68)에 표시한다. 서브 화면(112)에 있어서, 기본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버튼(114)이 입력되면, 키보드 표시부(82)는 다시 도 4에 도시한 기본 화면을 표시한다.
(변환 후보 문자열의 스크롤)
도 6 내지 도 11은 변환 후보 문자열을 스크롤 표시시키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환 후보 표시부(86)는 변환 후보 취득부(85)가 취득한 변환 후보 문자열을, 변환 후보 표시행(120)에 표시 순서대로 배열하여 표시한다. 변환 후보 표시부(86)는 변환 후보 표시행(120)의 좌측 단부에 표시 순서가 최상위인 변환 후보 문자열을 표시하고, 이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표시 순서대로 변환 후보 문자열을 표시한다. 도 6에서는, 「아오야마 잇초메(あおやまいっちょうめ)」의 변환 후보 문자열로서, 「靑山一丁目」, 「靑山一朝目」 등의 문자열이, 변환 후보 표시행(120)에 배열되어 표시되어 있다. 변환 후보 문자열이 많아 변환 후보 표시행(120)에 전부 표시할 수 없는 경우, 변환 후보 표시부(86)는 표시 가능한 만큼 변환 후보 표시행(120)에 표시하고, 변환 후보 문자열을 일람 표시하기 위한 일람 표시 버튼(122)을 아울러 표시한다. 변환 후보 표시부(86)는 일람 표시 버튼(122)의 입력을 접수하면, 변환 후보 문자열의 표시 영역을 확장하여, 변환 후보 문자열을 일람 표시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환 후보 표시부(86)는 변환 후보 문자열을 변환 후보 표시행(120)에 전부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 변환 후보 표시행(120)에 있어서의 플릭 조작을 접수하면, 변환 후보 표시행(120)에 있어서 변환 후보 문자열을 스크롤시킨다. 도 7에서는, 유저가 손가락을 좌측으로 미끄러뜨림으로써, 변환 후보 문자열을 좌측 방향으로 스크롤시킨다. 이것에 의해, 변환 후보 표시행(120)에 표시되어 있지 않았던, 표시 순서가 후순위인 변환 후보 문자열을, 순차 스크롤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변환 후보 표시부(86)는 최후의 표시 순서의 변환 후보 문자열 다음에 최초의 표시 순서의 변환 후보 문자열을 표시하여, 변환 후보 문자열을 순환하여 스크롤 가능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변환 후보 문자열을 표시 순서대로 스크롤시킨 후, 상위의 표시 순서의 변환 후보 문자열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경우에, 역방향으로 스크롤시켜 되돌아가는 대신, 그대로 순방향으로 스크롤시켜 최초의 표시 순서의 변환 후보 문자열로 용이하게 되돌아갈 수 있으므로,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에서는, 유저가 손가락을 우측으로 미끄러뜨림으로써, 변환 후보 문자열을 우측 방향으로 스크롤시킨다. 여기서, 변환 후보 표시부(86)는 최초의 표시 순서의 변환 후보 문자열이 표시되어 있을 때, 표시 순서와는 역방향으로 변환 후보 문자열을 스크롤시키는 플릭 조작을 접수하면, 최후의 표시 순서의 변환 후보 문자열로부터 역순으로 변환 후보 문자열을 스크롤시킨다. 즉, 변환 후보 문자열을 우측 방향으로 스크롤시키는 경우, 최초의 표시 순서의 변환 후보 문자열 다음에 최후의 표시 순서의 변환 후보 문자열을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도 6에 나타낸 최초의 표시 화면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플릭 조작을 행함으로써, 최후의 표시 순서의 변환 후보 문자열로부터 순서대로 하위의 표시 순서의 변환 후보 문자열을 용이하게 표시시킬 수 있으므로,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변환 후보 표시부(86)는 변환 후보 문자열을 역방향으로 스크롤하고 있을 때, 최초의 표시 순서의 변환 후보 문자열 다음에 최후의 표시 순서의 변환 후보 문자열을 표시하기 전에, 일단 스크롤을 정지시키거나, 일단 스크롤을 정지시킨 후에 소정량만큼 스크롤을 순방향으로 되돌리고 나서, 다시 역방향으로 스크롤시킨다. 마찬가지로, 변환 후보 표시부(86)는 변환 후보 문자열을 순방향으로 스크롤하고 있을 때, 최후의 표시 순서의 변환 후보 문자열 다음에 최초의 표시 순서의 변환 후보 문자열을 표시하기 전에, 일단 스크롤을 정지시키거나, 일단 스크롤을 정지시킨 후에 소정량만큼 스크롤을 순방향으로 되돌리고 나서, 다시 역방향으로 스크롤시켜도 된다. 이것에 의해, 최초의 표시 순서의 변환 후보 문자열과 최후의 표시 순서의 변환 후보 문자열 사이를 연결하여 순환하도록 스크롤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그들 사이의 경계를 유저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변환 후보 문자열은, 한자를 포함하는 문자열의 그룹, 일본어 문자만을 포함하는 문자열의 그룹, 로마자를 포함하는 문자열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우선, 그룹 사이에서 표시 순서가 정해진다. 예를 들어, 한자를 포함하는 문자열의 그룹, 일본어 문자만을 포함하는 문자열의 그룹, 로마자를 포함하는 문자열의 그룹의 순서로 해도 된다. 각각의 그룹 내에서, 변환 후보 문자열의 표시 순서가 더 정해진다. 유저는, 예를 들어 한자를 포함하는 변환 후보 문자열 등, 상위의 표시 순서의 그룹에 속하는 변환 후보 문자열을 찾고자 하는 경우에는, 변환 후보 표시행에 있어서 변환 후보 문자열을 좌측 방향으로 스크롤시켜, 최초의 표시 순서의 변환 후보 문자열로부터 하위로 순서대로 변환 후보 문자열을 표시시키면 되며, 로마자 또는 일본어 문자만을 포함하는 변환 후보 문자열 등, 하위의 표시 순서의 그룹에 속하는 변환 후보 문자열을 찾고자 하는 경우에는, 변환 후보 표시행에 있어서 변환 후보 문자열을 우측 방향으로 스크롤시켜, 최후의 표시 순서의 변환 후보 문자열로부터 상위로 순서대로 변환 후보 문자열을 표시시키면 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서는, 일본어 문자열이 입력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어 문자열이 입력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문자열 취득부(84)가 알파벳 입력 문자열을 취득하면, 변환 후보 취득부(85)는 입력 문자열 또는 입력 문자열과 유사한 문자열을 포함하는 예측 변환 후보 문자열을 취득하고, 변환 후보 표시부(86)는 변환 후보 표시행(120)에, 취득한 복수의 예측 변환 후보 문자열을 표시한다. 도 10의 예에서는, 「japan」이라는 입력 문자열의 예측 변환 후보 문자열로서, 「japan」, 「japanese.uk」, 「japanese」 등의 문자열이 변환 후보 표시행(120)에 표시되어 있다. 유저가, 변환 후보 표시행(120)에 있어서, 우측 또는 좌측으로 플릭 조작을 행하면, 변환 후보 표시부(86)는 변환 후보 문자열을 우측 또는 좌측으로 스크롤시켜, 표시되어 있지 않았던 변환 후보 문자열을 순차 표시시킨다.
도 6 내지 도 10에서는, 좌우로 긴 키보드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입력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 단말기의 키패드와 유사한 키보드(139)가 사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환 후보 표시부(86)는 변환 후보 표시열(124)에, 복수의 예측 변환 후보 문자열을 상하로 배열하여 표시해도 된다. 변환 후보 표시부(86)는 변환 후보 표시 열(124)에 있어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의 플릭 조작을 접수하면, 변환 후보 문자열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스크롤시켜, 표시되어 있지 않았던 변환 후보 문자열을 순차 표시시킨다.
도 12는 변환 후보 문자열을 스크롤 표시시키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변환 후보 취득부(85)가 변환 후보 문자열을 취득하면, 변환 후보 표시부(86)는 변환 후보 문자열을 변환 후보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S100). 변환 후보 문자열이 전부 변환 후보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경우에는(S102의 「아니오」), 변환 후보 표시부(86)는 이후의 단계를 건너뛴다. 변환 후보 문자열을 변환 후보 표시 영역에 전부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S102의 「예」), 변환 후보 표시 영역에서의 플릭 조작을 접수하면(S104의 「예」), 변환 후보 표시부(86)는 변환 후보 문자열을 스크롤시킨다(S106). 이때, 표시 순서가 최초의 변환 후보 문자열과 최후의 변환 후보 문자열의 경계를 통과하는 경우에는(S108의 「예」), 스크롤을 소정의 기간만큼 일시 정지시키고(S110), S104로 되돌아간다. S104에 있어서, 변환 후보 표시 영역에서의 플릭 조작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S104의 「아니오」), S108에 있어서, 표시 순서가 최초의 변환 후보 문자열과 최후의 변환 후보 문자열의 경계선을 통과하지 않는 경우(S108의 「아니오」)에는 S104로 되돌아간다.
(키보드의 전환 제어)
도 13 내지 도 16은 키보드의 전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화면에 있어서, 키보드 전환 버튼(110)의 입력을 접수하면, 전환 제어부(87)는 온 스크린 키보드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모드로 이행시키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중인 온 스크린 키보드(106)를 축소한 키보드 화상(130)을 키보드 유지부(60)로부터 판독하여 표시한다. 키보드 화상(130)은 온 스크린 키보드(106)보다 작기 때문에, 화면에 있어서 수평 방향 중앙에 표시하면, 좌우에 빈 영역이 생긴다. 전환 제어부(87)는 키보드 유지부(60)로부터, 전환 가능한 다른 온 스크린 키보드를 축소한 키보드 화상을 판독하고, 그들의 표시 순서에 따라, 예를 들어 다음의 표시 순서의 키보드 화상(132)을 우측에, 앞의 표시 순서의 키보드 화상(134)을 좌측에, 각각 배열하여 표시한다.
전환 제어부(87)는 키보드 화상을 표시한 영역에서의 플릭 조작을 접수하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키보드 화상을 좌우로 스크롤시킨다. 도 14에서는, 유저가 손가락을 좌측으로 미끄러뜨림으로써, 키보드 화상을 좌측 방향으로 스크롤시킨다. 전환 제어부(87)는 도 15에 도시한 것 같이, 어느 하나의 키보드 화상이 화면의 수평 방향 중앙에 표시된 상태에서 스크롤을 정지시킨다. 도 15에서는, 영어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한 온 스크린 키보드의 키보드 화상(132)이 중앙에 표시되어 있다. 이때, 유저가, 중앙에 표시되고, 후보로서 선택되어 있는 키보드를 확정하기 위한 버튼(136)을 입력하면, 전환 제어부(87)는 전환 모드를 종료시키고,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보로서 선택되어 있던 키보드 화상(132)에 대응하는 온 스크린 키보드(138)를 키보드 유지부(60)로부터 판독하여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온 스크린 키보드가 복수 준비되어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그들을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환 제어부(87)는 어느 하나의 키보드 화상을 탭하는 조작을 접수했을 때, 그 키보드 화상에 대응하는 온 스크린 키보드로 전환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우측에 표시되어 있는 키보드 화상(132)을 탭하는 조작 입력을 접수하면, 전환 제어부(87)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 화상(132)에 대응하는 영어 입력용 온 스크린 키보드(138)로 전환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키보드 화상을 스크롤시킬 필요도 없이, 다른 온 스크린 키보드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온 스크린 키보드는, 각각,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기본 화면과, 기호 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서브 화면을 갖고 있지만, 서브 화면은, 온 스크린 키보드의 종류에 의하지 않고 거의 동일한 화면으로 되므로, 유저가 키보드 화상을 보아도, 어느 종류의 온 스크린 키보드인지를 판별하기 어렵다. 따라서, 전환 제어부(87)는 서브 화면이 표시되어 있을 때는, 키보드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지시 입력을 접수하지 않고, 기본 화면이 표시되어 있을 때만, 전환 모드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한다.
전환 제어부(87)가 전환 모드로 이행시켰을 때, 온 스크린 키보드의 화면을, 온 스크린 키보드를 축소한 키보드 화상으로 전환하고, 좌우에 다른 키보드 화상의 일부를 표시하므로, 키보드 화상을 스크롤함으로써 온 스크린 키보드를 전환 가능함을 유저에게 직감적으로 이해시킬 수 있다. 또한, 전환 제어부(87)는 전환 모드로 이행시킬 때, 온 스크린 키보드가 일단 가라앉는 듯한 시각적 표현을 채용해도 된다. 이 경우, 전환 모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시 입력은, 온 스크린 키보드를 누르는 조작, 예를 들어 온 스크린 키보드 상의 소정 위치를 길게 누르는 조작이어도 된다. 반대로, 전환 제어부(87)는 전환 모드로 이행시킬 때, 온 스크린 키보드가 일단 떠오르는 듯한 시각적 표현을 채용해도 된다. 이 경우, 전환 모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시 입력은, 온 스크린 키보드를 띄우는 조작, 예를 들어 배면 터치 패널(70)의 소정 위치를 탭 또는 길게 누르는 조작이어도 된다.
도 17은 키보드의 전환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키보드 표시부(82)가 온 스크린 키보드를 표시하고, 유저로부터 입력을 접수하고 있을 때, 온 스크린 키보드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 입력을 유저로부터 접수하면(S200의 「예」), 기본 화면의 표시 중이면(S202의 「예」), 전환 제어부(87)는 복수의 축소된 키보드 화상을 배열하여 표시한다(S204). 키보드 화상을 표시한 영역에서의 플릭 조작을 접수하면(S206의 「예」), 전환 제어부(87)는 복수의 키보드 화상을 좌우로 스크롤시켜, 선택 후보를 전환한다(S208). 선택 후보를 확정하기 위한 조작 입력을 유저로부터 접수하면(S210의 「예」), 전환 제어부(87)는 확정된 온 스크린 키보드로 전환한다(S212). 온 스크린 키보드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지 않은 경우(S200의 「아니오」) 및 기본 화면을 표시 중이 아닌 경우(S202의 「아니오」)에는 이후의 단계를 건너뛴다. S206에 있어서 플릭 조작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S206의 「아니오」), S210에 있어서 선택 후보를 확정하기 위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S210의 「아니오」)에는 S204로 되돌아간다.
(쌍으로 사용되는 기호 등의 입력 제어)
도 18 및 도 19는 쌍으로 사용되는 기호 등의 입력 제어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입력 문자열 취득부(84)는 괄호 기호, 인용부, 의문부, 감탄부 등, 쌍으로서 입력해야 하는 개시 기호 및 종료 기호를 미리 기억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호 입력용 서브 화면(112)이 표시되어 있을 때, 미리 기억되어 있는 기호 또는 문자열 중, 개시 기호가 입력되면, 입력 문자열 취득부(84)는 개시 기호뿐만 아니라, 그 개시 기호와 쌍으로 되는 종료 기호도 입력 문자열로서 취득한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캐릿(104)을, 개시 기호 「(」와 종료 기호 「)」 사이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종료 기호를 입력하는 수고를 덜 수 있으면서, 개시 기호의 입력에 이어, 개시 기호와 종료 기호 사이에 입력해야 하는 문자열을, 개시 기호와 종료 기호 사이에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으므로,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0은 쌍으로 사용되는 기호 등의 예를 나타낸다. 입력 문자열 취득부(84)는 쌍으로서 입력해야 하는 개시 기호와 종료 기호의 조합으로서, 예를 들어 도 20에 나타낸 기호의 조합을 유지한다. 또한, 단일 기호뿐만 아니라, 「!--」와 「--」, 「/*」와 「*/」 등의 블록 코멘트 기호나, 마크 업 언어의 개시 태그와 종료 태그나, 편지문의 머릿말과 맺음말 등, 개시 기호 또는 종료 기호가 2자 이상의 기호, 숫자, 문자의 조합인 것을 유지해도 된다.
입력 문자열 취득부(84)가 취득한 개시 기호와 종료 기호를 포함하는 입력 문자열은, 그대로 직접 출력부(83)로부터 출력되어도 되고, 변환 후보 취득부(85)에 미확정 문자열로서 넘겨져도 된다. 전자의 예에 있어서, 캐릿의 위치를 출력처의 어플리케이션이나 OS 등이 제어하고 있는 경우에는, 입력 문자열 취득부(84)는 캐릿의 위치를 개시 기호와 종료 기호 사이로 이동시키도록 출력처에 지시해도 된다.
또한, 이 기능은, 온 스크린 키보드뿐만 아니라, 기호 등을 입력하는 임의의 입력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도 21은 쌍으로 되는 기호 등의 입력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키보드 표시부(82)가 온 스크린 키보드를 표시하고, 유저로부터 입력을 접수하고 있을 때, 개시 기호가 입력되면(S300의 「예」), 입력 문자열 취득부(84)는 개시 기호와 종료 기호를 입력 문자열로서 취득하고(S302),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캐릿을 개시 기호와 종료 기호 사이로 이동시킨다(S304). 개시 기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S300의 「아니오」), 이후의 단계를 건너뛴다.
(온 스크린 키보드 화면과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표시 제어)
도 22 및 도 23은 온 스크린 키보드 화면과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표시 제어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42)의 동작 중에, 문자, 기호, 숫자 등의 입력이 필요하게 되면, 키보드 표시부(82)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140) 위에 중첩시켜 온 스크린 키보드(106)를 표시한다. 온 스크린 키보드(106)의 표시 중에, 배면 터치 패널(70)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면, 화면 제어부(88)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140) 위에 표시되어 있던 온 스크린 키보드(106)의 표시 우선도를, 어플리케이션의 화면(140)보다도 낮춘다.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화면(140) 아래에 온 스크린 키보드(106)를 표시해도 되고, 온 스크린 키보드(106)의 투과도를 높여, 아래에 표시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140)이 비쳐 보이도록 해도 된다. 화면 제어부(88)는 배면 터치 패널(70)에 유저의 손가락 등이 접촉했을 때의 계속 시간이나 압력 등에 따라 온 스크린 키보드(106)의 투과도를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배면 터치 패널(70)에 오래 또는 강하게 터치할수록, 온 스크린 키보드(106)의 투과도가 높아지도록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온 스크린 키보드(106)를 사용하여 문자 등을 입력하고 있을 때, 온 스크린 키보드(106)에서 감추어진 영역의 화면도 볼 수 있으므로, 한정된 화면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으면서,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면 터치 패널(70)에 터치하면, 온 스크린 키보드(106) 하에 표시되어 있던 어플리케이션의 화면(140)이 떠올라 보이는 듯한 시각적 표현을 채용함으로써, 직감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배면 터치 패널(70)에 닿아 있던 유저의 손가락을 떼면, 어플리케이션의 화면(140) 위에 표시되어 있던 온 스크린 키보드(106)가 어플리케이션의 화면(140) 아래쪽으로 가라앉듯이 보이는 시각적 표현을 채용함으로써, 직감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해도 된다. 또는, 배면 터치 패널(70)을 빠르게 2회 탭함으로써, 온 스크린 키보드의 표시, 비표시를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어플리케이션(42)은 배면 터치 패널(70)에서의 플릭 조작을 접수하면, 어플리케이션의 화면(140)을 스크롤시켜도 된다. 화면 제어부(88)는 배면 터치 패널(70)에 대한 조작 입력을 소정 시간 이상 접수하지 않았을 때, 어플리케이션의 화면(140) 아래에 표시되어 있던 온 스크린 키보드(106)를 다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140) 위에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가 보고자 하는 동안만 어플리케이션의 화면(140)이 보이도록 화면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4는 온 스크린 키보드 화면과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표시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S400), 온 스크린 키보드에 의한 입력이 필요하게 되면(S402의 「예」), 키보드 표시부(82)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위에 중첩시켜 온 스크린 키보드를 표시한다(S404). 배면 터치 패널(70)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면(S406의 「예」), 화면 제어부(88)는 온 스크린 키보드 상에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다(S408). 소정 시간 이상 배면 터치 패널(70)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지 않았을 경우(S410의 「예」), S404로 되돌아가,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아래에 표시되어 있던 온 스크린 키보드를, 다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위에 표시한다. 온 스크린 키보드에 의한 입력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는(S402의 「아니오」), 이후의 단계를 건너뛴다. S406에 있어서, 배면 터치 패널(70)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에는(S406의 「아니오」), S404로 되돌아간다. S410에 있어서, 배면 터치 패널(70)에 대한 조작 입력이 없어지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S410의 「아니오」), S408로 되돌아간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온 스크린 키보드 화면과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표시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 제어하는 대상은 온 스크린 키보드 화면과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본어 입력용 온 스크린 키보드 화면과 영어 입력용 온 스크린 키보드와 같이, 상이한 종류의 문자나 기호의 세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온 스크린 키보드를 제어하는 대상으로 해도 된다. 그때는 상술한 (키보드의 전환 제어) 부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키보드 화상을 축소하여 표시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화면의 전방면에 표시되는 키보드 화상을 축소하여 표시하고, 표시 화면의 후방에 표시되는 키보드 화상을 전방면의 키보드 화상보다도 크게 표시하면 된다. 키보드 표시부(82)는 배면 터치 패널(70)에 대한 조작 입력에 따라, 복수의 종류의 온 스크린 키보드 화면의 표시 우선도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배면 터치 패널(70)에 대한 터치 입력을 접수할 때마다, 각각의 온 스크린 키보드 화면의 표시 우선도를 하나씩 높이면서, 가장 표시 우선도가 높던 온 스크린 키보드 화면의 표시 우선도를 가장 낮게 변경해도 된다. 이때, 입력 접수부(81)는 표시 우선도가 가장 높은 온 스크린 키보드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문자 또는 기호 중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문자 또는 기호를 접수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온 스크린 키보드 화면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어하는 대상을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으로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개시되어 있는 발명에서는, 표시 후보 화면이 갖는 표시 우선도를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된 터치 패널에 대한 소정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시 우선도의 변경으로서는, 실시예에서 표시 화면 상의 배면/전방면을 변경하거나, 투과도를 변경하거나, 표시/비표시를 변경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저에 의한 시인 레벨을 변경하는 것이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 형태를 기초로 설명하였다. 이 실시 형태는 예시이며, 그들의 각 구성 요소나 각 처리 프로세스의 조합으로 여러 변형예가 가능한 것, 그리고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음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10: 휴대 단말기
20: 버튼
40: 제어부
42: 어플리케이션
60: 키보드 유지부
62: 사전 데이터 유지부
68: 표시 장치
69: 터치 패널
70: 배면 터치 패널
80: 입력 제어부
81: 입력 접수부
82: 키보드 표시부
83: 출력부
84: 입력 문자열 취득부
85: 변환 후보 취득부
86: 변환 후보 표시부
87: 전환 제어부
88: 화면 제어부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7)

  1. 입력 장치로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유저로부터 접수한 문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입력 가능한 복수의 문자 또는 기호의 세트를 화면에 표시하고 유저로부터 문자 또는 기호의 선택을 접수하기 위한 키보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복수의 문자 또는 기호 중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문자 또는 기호를 접수하는 입력 접수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된 터치 패널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면, 상기 키보드 화면의 표시 우선도를 변경하는 화면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되어 있을 때 상기 키보드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 위에 중첩시켜 상기 키보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면, 상기 키보드 화면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아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3.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조작 입력을 소정 시간 이상 접수하지 않았을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아래에 표시되어 있던 상기 키보드 화면을, 다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이한 복수 종별의 문자 또는 기호의 세트 중에서 문자 또는 기호의 선택을 접수하기 위한 복수의 키보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면, 상기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키보드 화면의 표시 우선도를 변경하며,
    상기 입력부는, 표시 우선도가 가장 높은 키보드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문자 또는 기호 중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문자 또는 기호를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5.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유저로부터 접수한 문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표시부가, 입력 가능한 복수의 문자 또는 기호의 세트를 화면에 표시하고 유저로부터 문자 또는 기호의 선택을 접수하기 위한 키보드 화면을 표시하는 기능과,
    입력 접수부가, 상기 복수의 문자 또는 기호 중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문자 또는 기호를 접수하는 기능과,
    화면 제어부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된 터치 패널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면, 상기 키보드 화면의 표시 우선도를 변경하는 기능
    을 컴퓨터에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6. 입력 방법으로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유저로부터 접수한 문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표시부가, 입력 가능한 복수의 문자 또는 기호의 세트를 화면에 표시하고 유저로부터 문자 또는 기호의 선택을 접수하기 위한 키보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표시부가, 상기 복수의 문자 또는 기호 중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문자 또는 기호를 접수하는 단계와,
    화면 제어부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된 터치 패널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면, 상기 키보드 화면의 표시 우선도를 변경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방법.
  7. 제5항에 기재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7022375A 2011-01-25 2011-11-30 입력 장치, 입력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560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13354 2011-01-25
JP2011013354 2011-01-25
PCT/JP2011/006719 WO2012101710A1 (ja) 2011-01-25 2011-11-30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588A true KR20130132588A (ko) 2013-12-04
KR101560466B1 KR101560466B1 (ko) 2015-10-14

Family

ID=46580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375A KR101560466B1 (ko) 2011-01-25 2011-11-30 입력 장치, 입력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11425B2 (ko)
EP (1) EP2669778A4 (ko)
JP (1) JP5805674B2 (ko)
KR (1) KR101560466B1 (ko)
CN (1) CN103329086B (ko)
WO (1) WO201210171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750A (ko) * 2018-10-14 2020-04-22 김봉근 문자 입력 방법
US11132497B2 (en) 2018-10-14 2021-09-28 Bonggeun Kim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5576B1 (en) * 2005-07-14 2020-08-04 Binj Laborato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controlling transmission devices
US9880736B2 (en) * 2012-12-03 2018-01-30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symbol input by a user from two sets of symbols on a multi-layer keyboard
CN103870186A (zh) * 2012-12-17 2014-06-18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触摸屏电子设备的输入方法和装置
JP2015041845A (ja) * 2013-08-21 2015-03-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289302B1 (en) * 2013-09-09 2019-05-14 Apple Inc. Virtual keyboard animation
US9313219B1 (en) * 2014-09-03 2016-04-12 Trend Micro Incorporated Detection of repackaged mobile applications
US9762385B1 (en) 2015-07-20 2017-09-12 Trend Micro Incorporated Protection of program code of apps of mobile computing devices
US10379737B2 (en) 2015-10-19 2019-08-13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keyboard interface functionalities
US9916448B1 (en) 2016-01-21 2018-03-13 Trend Micro Incorporated Detection of malicious mobile apps
JP6162299B1 (ja) * 2016-07-28 2017-07-12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処理装置、入力切替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75576B1 (en) 2016-09-09 2019-08-06 Trend Micro Incorporated Detection of malware apps that hijack app user interfaces
US10885273B2 (en) 2018-08-06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simplifying the input of symbols used as a pair within a user interface
CN110109557B (zh) * 2019-05-06 2023-04-18 原点显示(深圳)科技有限公司 切换键盘模式与移动端适配的方法
CN111142679A (zh) * 2019-12-25 2020-05-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处理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1243A (en) * 1990-06-04 1996-12-03 Microslat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imulated keyboards on touch-sensitive displays
JPH07295720A (ja) * 1994-04-22 1995-11-10 N T T Data Tsushin Kk 入力装置
JP2000278391A (ja) * 1999-03-26 2000-10-06 Nec Saitama Ltd 背面手書き入力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
US7012595B2 (en) * 2001-03-30 2006-03-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pad
JP3630153B2 (ja) * 2002-07-19 2005-03-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表示入力装置及び情報表示入力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
JP2005228054A (ja) * 2004-02-13 2005-08-25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端末
JP2005284752A (ja) * 2004-03-30 2005-10-13 Seiko Epson Corp 画面切替表示制御装置、画面切替表示方法および画面切替表示プログラム
KR100881952B1 (ko) * 2007-01-20 2009-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JP5219407B2 (ja) * 2007-05-31 2013-06-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184018B2 (ja) * 2007-09-14 2013-04-1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09187290A (ja) * 2008-02-06 2009-08-20 Yamaha Corp タッチパネル付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288873A (ja) * 2008-05-27 2009-12-10 Ntt Docomo Inc 携帯端末及び文字入力方法
KR101504201B1 (ko) * 2008-07-02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방법
US20100064212A1 (en) * 2008-09-11 2010-03-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Device Having a User Input Interface Opposite a Display
JP5066055B2 (ja) * 2008-10-28 2012-11-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63523B1 (ko) * 2009-01-30 2015-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JP2012088750A (ja) * 2009-02-09 2012-05-10 Toshiba Corp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文字入力プログラム
JP5252378B2 (ja) * 2009-03-26 2013-07-31 ヤマハ株式会社 ミキサ装置のウィンドウ制御方法、ミキサ装置、およびミキサ装置のウィンドウ制御プログラム
US8019390B2 (en) * 2009-06-17 2011-09-13 Pradeep Sindhu Statically oriented on-screen transluscent keyboard
US9436381B2 (en) * 2011-01-24 2016-09-0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nd annotating an electronic docu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750A (ko) * 2018-10-14 2020-04-22 김봉근 문자 입력 방법
US11132497B2 (en) 2018-10-14 2021-09-28 Bonggeun Kim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07784A1 (en) 2013-11-21
EP2669778A1 (en) 2013-12-04
CN103329086B (zh) 2017-12-12
US9411425B2 (en) 2016-08-09
WO2012101710A1 (ja) 2012-08-02
JP5805674B2 (ja) 2015-11-04
EP2669778A4 (en) 2016-10-19
KR101560466B1 (ko) 2015-10-14
JPWO2012101710A1 (ja) 2014-06-30
CN103329086A (zh)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466B1 (ko) 입력 장치, 입력 방법 및 기록 매체
JP5361913B2 (ja)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174190B (zh) 电子设备屏幕上实现复合按键的软件键盘输入的方法
JP5915282B2 (ja) 文字入力用のプログラムおよび文字入力装置
JP2014150323A (ja) 文字入力装置
WO2007043222A1 (ja) 入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
US9348424B2 (en) 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inputting characters, numbers, or symbols by using an on-screen keyboard
JP2009169451A (ja) 携帯端末および文字入力方法
CN103608751A (zh) 使用扩展键输入信息的系统和输入信息的方法
KR101261227B1 (ko) 가상 키보드 입력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입력 방법
JP2012155484A (ja)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739083B2 (ja) 2方向の入力に応じて文字入力ボタンを切り替えて表示する、データ入力装置、データ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178755A (ja) 文字入力方法および文字入力装置
US10387031B2 (en) Generating a touch-screen output of a selected character with a selected diacritic
JP6380085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00988U (ko) 문자메시지 작성에 있어 대화의 상황과 수신자에 따라 다르게 단어추천을 하는 예측 가상 키보드
JP2014089503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2013198068A (ja) 情報端末及び入力方法
KR101123117B1 (ko) 화상키보드 제공방법
JP2017004481A (ja) 入力装置
KR20140122408A (ko) 스마트 텔레비젼 리모컨용 명령 및 문자 입력방법
KR20150025807A (ko) 가상 키보드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150098139A (ko) 이동단말에서의 한영 2개의 메시지 입력창을 구비한 문자 메시지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
KR20140122826A (ko) 스마트 텔레비젼 리모컨용 명령 및 문자 입력방법
KR20150052905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스크린 키패드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