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988U - 문자메시지 작성에 있어 대화의 상황과 수신자에 따라 다르게 단어추천을 하는 예측 가상 키보드 - Google Patents

문자메시지 작성에 있어 대화의 상황과 수신자에 따라 다르게 단어추천을 하는 예측 가상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988U
KR20140000988U KR2020140000517U KR20140000517U KR20140000988U KR 20140000988 U KR20140000988 U KR 20140000988U KR 2020140000517 U KR2020140000517 U KR 2020140000517U KR 20140000517 U KR20140000517 U KR 20140000517U KR 20140000988 U KR20140000988 U KR 201400009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ord
conversation
recommended
ar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우
Original Assignee
박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근우 filed Critical 박근우
Priority to KR2020140000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988U/ko
Publication of KR20140000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98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자메시지(SMS,LMS,MMS)를 보내야 할 때, 받는 대상에게 맞지않는 단어로(대화의 상황, 대상 등이 고려되지 않은 단어) 무분별하게 추천단어가 나오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문자메시지 작성에 있어 대화의 상황과 수신자에 따라 다르게 단어추천을 하는 예측 가상 키보드 {Prediction virtual keyboard which has improved auto-correct word suggestion}
키보드 타이핑 시 단어예측에 관련된 기술
예측 가상 키보드(출원번호:10-2013-0058488)와 같은 자동단어예측시스템을 갖춘 키보드기술이다.
종래기술에서 불편했던 점은 한글 키보드의 경우 높임말을 써야 할 곳에 낮춤말이 추천되어 자동으로 입력되어 버려 지워야 하는 경우가 있었던 것이다. 또 영어의 경우에서도 친근한 사이에서 사용하는 문자메시지의 단어와, 공식적인 문자메시지에서 사용하는 단어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도 종래기술은 불편한 점이 있을 수 있다. 이 고안은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가상 키보드는, 기존 가상키보드와 단어 예측시스템 단어의 무분별한 추천을 해결하기 위한 표현 선택버튼(105)과 사용자가 지정한 대화의 상황에 따라 어떤 범주의 단어가 추천되는지 알 수 있게 하기 위한 가이드 화살표(104)와 화살표 근처 글자표시(109)로 이루어져 있다.또, 해당 추천단어가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 원래 입력하려 했던 단어를 입력하고, 마음에 들 경우 그 단어를 입력시키기 위해 기존 스페이스 바를 나누어 기존 스페이스바와 기능이 같은 스페이스바(106)와 추천단어 선택 키(107)로 나누어 지게 하는 고안이다.
이렇게 위와 같은 방법으로 단어의 무분별한 추천을 해결하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이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이었던 무분별한 추천단어표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관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컴퓨팅 디바이스(100)에서 터치 디스플레이(101)를 이용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102) 하에 실행되는 가상키보드의 단어추천에 관한 고안이다. 이 고안이 작동되는 방법은 메시지(Message)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문자메시지(SMS,LMS,MMS)를 작성시 현재 실행되는 추천단어화면(103)에 "길게 터치하여 대화의 상황과 수신자를 지정하십시오"라는 말이 출력되게 되고(출력되는 말은 좀 더 쉽게 변경할 수 있음), 사용자는 화면 아무 곳을 1.5초 이상 터치하여 표현 선택버튼(105)이 화면에 표시되게 한다. 그렇게 하면 사용자가 지정한 방향에 대해 가이드 화살표(104)와 화살표 근처 글자표시(109)가 표시되게 된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대화의 상황과 수신자를 설정하기 위해 해당 대화의 상황 쪽으로 손가락을 스와이프(Swipe)하면 대화의 상황과 수신자가 지정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단어들 중 해당 대화의 상황 범주에 있는 단어들만 추천단어화면(103)에 출력되게 한다. 이때, 후보단어들 중 최상위 후보 단어의 경우 노란색 테두리(108)로 표시가 된다. 추천단어가 표시될 때는 스페이스바가 둘로 나뉘는데, 스페이스바(106)가 원래 공간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고, 추천 단어 키(107)가 나머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사용자는 추천단어화면(103)에 있는 단어 중 하나를 입력하고 싶다면 그 단어를 터치하여 입력하면 단어가 입력 되고 한 칸이 자동으로 띄워진다.(설정에서 변경가능)그런데 만약 노란색 테두리(108)로 표시된 최상위 추천단어를 입력하고 싶으면 추천 단어 키(107,입력 키들과 가까이 있어 빠르게 터치할 수 있음)를 터치하면 단어가 입력된다.(마찬가지로 단어 입력 후, 한 칸 띄우기는 설정에서 변경 가능)그리고 문장부호를 적어야 할 곳에서는 적절한 문장부호도 같이 추천된다. 또한 스페이스바(106)는 기존 스페이스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부가적으로 이 가상키보드는 메시지를 받는 사람에 따라 사용자가 지정한 대화의 상황을 저장장치가 기억하였다가 다음 메시지 작성시 사용자가 대화의 상황을 지정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해당 대화의 상황 단어가 추천된다.(사용자가 바꾸고 싶다면 메시지 입력시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다시 대화의 상황을 지정할 수 있음)본 고안은 위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하게 된다.
본 내용에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들은 도면에서 제시된다.
.

Claims (6)

  1.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101)에서, 표현선택버튼(105)으로서, 상기 추천단어화면(103)표시 전에 화면 어떤 곳이든 1.5초 이상 터치시 표현선택버튼(105)이 터치한 위치에 표시되게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가이드 화살표(104)와 화살표 근처 글자표시(109)로서, 표현선택 버튼(105) 표시 후 사용자가 지정한 방향으로 가이드 화살표(104)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등록한 방향을 사용자가 기억할 수 있게 하고, 화살표 근처에 글자를 표시해(109) 어느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해야 어떤 대화의 상황이나 수신자로 추천이 될지 기억할 수 있게 하는 방법.
  3. 제 2항의 실행에 있어서, 사용자가 지정한 방향으로 손가락을 터치하여 스와이프하는 행동(Swipe Gesture)를 취할 경우 전체 추천단어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대화의 상황 표현이 추천되게 하는 방법.
  4. 제 3항의 실행에 있어서, 단어추천시 적절한 문장부호까지 함께 추천하여 입력할 수 있게 하는 것.
  5. 사용자가 글을 입력시 추천 후보 단어를 추천단어화면(103)에 표시하면서 최상위후보는 가장 왼쪽에 노란색 테두리(108)로 표시가 될 때, 스페이스바가 둘로 나뉘어 기존 스페이스바 크기의 대부분은 스페이스바(106), 나머지는 추천 단어 키(107)로 표시되게 하는 방법.
  6. 사용자가 특정 번호로 문자메시지(SMS,LMS,MMS)를 보낼 때 선택했던 번호를 저장장치가 기억하여 다음번에 그 사용자에게 문자를 보낼 때에는 대화의 상황과 수신자를 설정하지 않아도 되게 하는 방법.


KR2020140000517U 2014-01-23 2014-01-23 문자메시지 작성에 있어 대화의 상황과 수신자에 따라 다르게 단어추천을 하는 예측 가상 키보드 KR201400009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517U KR20140000988U (ko) 2014-01-23 2014-01-23 문자메시지 작성에 있어 대화의 상황과 수신자에 따라 다르게 단어추천을 하는 예측 가상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517U KR20140000988U (ko) 2014-01-23 2014-01-23 문자메시지 작성에 있어 대화의 상황과 수신자에 따라 다르게 단어추천을 하는 예측 가상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988U true KR20140000988U (ko) 2014-02-12

Family

ID=5244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517U KR20140000988U (ko) 2014-01-23 2014-01-23 문자메시지 작성에 있어 대화의 상황과 수신자에 따라 다르게 단어추천을 하는 예측 가상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98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506A (ko) 2017-04-19 2018-10-29 (주)휴먼웍스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메시지 서비스의 개인 맞춤형 문장마디 제시 방법과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506A (ko) 2017-04-19 2018-10-29 (주)휴먼웍스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메시지 서비스의 개인 맞춤형 문장마디 제시 방법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87889B (zh) 显示器便捷式文本输入和编辑
US9176668B2 (en) User interface for text input and virtual keyboard manipulation
US20240143165A1 (en) Content control system
US20140078065A1 (en) Predictive Keyboard With Suppressed Keys
US20130275923A1 (en) Method and Device Having Touchscreen Keyboard with Visual Cues
Alnfiai et al. SingleTapBraille: Developing a text entry method based on braille patterns using a single tap
US20130305178A1 (en) 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inputting characters, numbers, or symbols by using an on-screen keyboard
US20130307784A1 (en) 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inputting characters, numbers, or symbols by using an on-screen keyboard
GB2511431A (en) Character string replacement
EP2653955A1 (en) Method and device having touchscreen keyboard with visual cues
US9507516B2 (en) Method for presenting different keypad configurations for data input and a portable device utilizing same
KR102311268B1 (ko) 입력 필드의 이동 방법 및 장치
US8949731B1 (en) Input from a soft keyboard on a touchscreen display
JP6057441B2 (ja) 携帯装置およびその入力方法
US10095403B2 (en) Text input on devices with touch screen displays
CN104238929A (zh) 一种适用于触屏设备的汉字输入方法
US10747335B2 (en) Character and function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ual function of input and output in character output area
KR20140000988U (ko) 문자메시지 작성에 있어 대화의 상황과 수신자에 따라 다르게 단어추천을 하는 예측 가상 키보드
JP3197051U (ja) キー入力装置
JP5650345B2 (ja) 子音英字キーからの母音英字及び仮名によるフリック操作方法。
KR101612625B1 (ko)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영어/숫자 입력 방법
US10387031B2 (en) Generating a touch-screen output of a selected character with a selected diacritic
KR20170075904A (ko) 부가 서비스 기능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용 소프트웨어 키보드
JP6605921B2 (ja) ソフトウエアキーボードプログラム、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JP2014089503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