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0545A - 이동단말에서의 한영 2개의 메시지 입력창을 구비한 문자 메시지 입력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단말에서의 한영 2개의 메시지 입력창을 구비한 문자 메시지 입력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0545A
KR20210110545A KR1020210114387A KR20210114387A KR20210110545A KR 20210110545 A KR20210110545 A KR 20210110545A KR 1020210114387 A KR1020210114387 A KR 1020210114387A KR 20210114387 A KR20210114387 A KR 20210114387A KR 20210110545 A KR20210110545 A KR 20210110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lish
message input
korean
keypad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용철
Original Assignee
양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용철 filed Critical 양용철
Priority to KR1020210114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0545A/ko
Publication of KR20210110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5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서의 문자메시지 입력시스템에 있어서, 한글 메시지 입력창 과 영문 메시지 입력창을 구비하고, 입력하고자 하는 언어의 키패드를 바로 나타내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한글 메시지 입력창과 영어 메시지 입력창을 구비하고, 한글 메시지 입력창을 선택하면, 한글 키패드를 표시하고, 영어 메시지 입력창을 선택하면 영어 키패드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원하는 언어의 입력창을 선택하면, 한글 또는 영어 키패드가 자동으로 표시되므로 인해, 사용자는 한영 키패드 전환 동작없이 또한 한영 입력 오류없이 신속하게 문자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에서의 한영 2개의 메시지 입력창을 구비한 문자 메시지 입력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Two Text Message of Korean and English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단말에서의 문자메시지 입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단말에서의 문자메시지 입력시 한글 메시지 입력창과 영어 메시지 입력창의 2개의 메시지 입력창을 제공하고 한글 메시지 입력창을 선택하면 한글키패드를 표시하고, 영어 메시지 입력창을 선택하면 영어 키패드를 표시하는 키패드의 전환없이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언어의 키패드를 바로 표시하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단말에서 문자 메시지 또는 채팅을 위하여 문자를 입력하고 있다. 사용자가 최초 문자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문자버튼을 선택하면 문자입력 초기화면이 나타나며, 이때 키패드는 디폴트로 한글 키패드가 표시된다. 만약 사용자가 영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한글 키패드 하단의 한/영 전환키(도 13의 70-b)를 선택한 후 영어 키패드로 전환한 후 영어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반드시 한글 키패드를 경유하여 영어 키패드로 갈 수 있다.
그러나 한/영 전환키는 키패드 하단에 위치하고 키의 크기가 작아 전환시 불편함을 겪고 있다. 더구나 왼쪽의 숫자키(도 13의 70-a)를 잘못 누르는 경우가 많아 숫자키패드가 나타나게 된다. 그러면 다시 한/영 전환키를 눌러야 하고 그러면 다시 한글키패드가 나타나고 한 번 더 한/영 전환키를 누르면 영어 키패드가 표시된다.
한편 문자를 받은 경우에 답신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문자리스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문자내용과 하단에 메시지 답장 입력창이 나타난다. 이 경우 메시지입력창을 터치하면, 디폴트로 한글메시지 입력창이 나타난다. 영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하단의 한/영 전환키를 선택하여 전환할 수 있다. 위에서 최초 문자메시지 입력의 경우와 동일하게 한/영 전환키의 작은 크기, 옆의 숫자키패드를 잘못 선택한 경우의 한/영 전환키 재선택 후 한글 키패드 표시 및 한번 더 선택에 따른 영어 키패드의 표시 과정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상기 과정에서도 또 다시 숫자키패드를 잘못 누르는 오류위험은 지속된다.
따라서 영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한글 키패드를 경유한 후 영어 키패드가 표시되고 있고, 한/영 전환키의 작은 크기, 옆의 숫자 키패드 선택시 영어 키패드 표시까지 여러번의 키의 선택을 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한글 메시지, 영어 메시지 입력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키패드를 바로 표시하여 원하는 언어를 바로 입력할 수 있는 새로운 문자 메시지 입력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재의 문자 메시지 입력에 있어서, 사용자가 영어 입력을 원하는 경우, 반드시 한글 키패드를 경유하고 키패드 수동전환 동작이 필수이다.
또한, 한/영 전환키의 크기가 작고 위치가 왼쪽 하단 구석에 위치하여 손가락의 이동거리가 멀고 전환키의 선택이 어렵다. 특히 이동단말의 화면이 작은 기종에 있어서 불편은 더욱 가중된다.
한/영 전환키의 작은 크기로 인하여 왼쪽의 숫자키패드를 선택시, 영어 키패드로 가기 위한 수정 과정이 매우 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서의 문자 메시지 입력시, 사용자가 한글을 원하면 한글 키패드를 표시하고, 영어 입력을 원하는 경우 영어 키패드를 바로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서의 한글 메시지 입력창과 영어 메시지 입력창을 각각 표시하고, 사용자가 한글 메시지 입력창을 선택하면, 한글 키패드를 표시하고, 영어 메시지 입력창을 선택하면 영어 키패드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하고자 하는 언어를 바로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한글 메시지 입력창 또는 영어 메시지 입력창을 선택하는 것으로 한글 키패드 또는 영어 키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글 메시지 입력창과 영어 메시지 입력창은 서로 상하 또는 좌우로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한번의 터치가 필요하고 추가적인 동작이나 먼 거리를 이동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문자 메시지 입력시, 반드시 한글 키패드를 경유하여 영어 키패드로 들어가는 과정이 없어진다. 영어 입력시 바로 영어 키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 한/영 전환키가 작아 옆의 숫자키를 잘못 선택하여 숫자 키패드가 표시되고 영어 키패드로 들어가는 긴 과정이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메시지 입력창과 영어 메시지 입력창을 구비한 이동 단말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또는 영어 키패드의 선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메시지 입력창과 영어 메시지 입력창을 구비한 문자 메시지 입력의 화면 예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기존의 문자 메시지 입력의 기존 화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서의 문자메시지 입력시스템에 있어서, 한글 메시지 입력창과 영문 메시지 입력창을 구비하고, 입력하고자 하는 언어의 키패드를 바로 나타내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한글 메시지 입력창과 영어 메시지 입력창을 구비하고, 한글 메시지 입력창을 선택하면, 한글 키패드를 표시하고, 영어 메시지 입력창을 선택하면 영어 키패드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원하는 언어의 입력창을 선택하면, 한글 또는 영어 키패드가 자동으로 표시되므로 인해, 사용자는 자판전환 동작, 입력 오류없이 신속하게 문자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이 구현된 이동단말의 구성 요소 및 그 동작을 살펴보기 위해 도 1을 참조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제어부(11), 메모리(12), 표시부(13), 입력부(14), 통신부(15)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단말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예로는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 이외에도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음원 재생 장치,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사용자 메시지 전송이 필요한 기기이면 모두 가능함은 물론이다.
먼저, 메모리(12)는 단말에서 생성 및 활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 및 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는, 이동 단말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동 단말의 이용에 따른 여러 설정정보 및 한글 메시지 입력과 영어 메시지 입력 장치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3)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ustal Display: LCD)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문자 메시지 입력에 있어서, 메시지 입력 관련 화면을 표시한다.
입력부(14)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입력받기 위한 2개 또는 다수의 메시지 입력창으로 구성된 하드웨어 키보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표시부(13) 및 입력부(14)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입력부(14)는 터치스크린상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보드 등을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며, 감지 결과를 제어부(11)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입력부(14)는 터치스크린상에 이동 단말의 문자 메시지 입력과 관련된 문자 메시지 화면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키값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를 발생하여 제어부(11)로 전달한다. 이러한 미리 정해진 키값은 한글 메시지 입력창(40)에서는 한글 키패드,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에서는 영어 키패드가 포함된다.
한편 입력부(14)는 한글 메시지 입력창(40)과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을 포함한다. 여기서 한글 메시지 입력창(40)은 한글 메시지 작성을 위한 한글 키패드 선택도구이다. 상기 선택도구는 한글 입력을 안내하는 메시지 입력창, 한글 키패드 선택키, 한글메시지키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한글 선택도구를 선택하면,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입력 모드로 전환된다.
그리고 상기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은 영어 메시지 작성을 위한 영어 키패드 선택도구이다. 상기 선택도구는 영어 메시지 입력을 안내하는 입력창, 영어 키패드 선택키, 영어메시지키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영어 선택도구를 선택하면, 영어를 입력할 수 있는 영어입력모드로 전환된다.
상기 한글 메시지 입력창(40)과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은 상하로 배치되거나 좌우로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한글 메시지 입력창(40)과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은 신규 문자 메시지 작성 또는 답장버튼 선택시 나타난다.
한글 키패드(70)는 사용자가 한글 메시지 입력창(40)을 선택하면 표시된다. 예를들면 천지인 한글 키패드가 표시된다. 영어 키패드(71)는 사용자가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을 선택하면 표시된다. 예를들면 QWERTY 영어 키패드가 표시된다.
문자 메시지 작성시, 최초로 사용자가 어떤 입력창(40 또는 41)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한글 키패드(70) 또는 영어 키패드(71)가 표시되고 이후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게 된다.
통신부(15)는 제어부(11)의 제어하에 문자 메시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11)는 이동 단말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각 구성부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자 메시지 메뉴를 선택하면, 한글 메시지 입력창(40)과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을 상하 또는 좌우로 나란히 나타낸다. 이후 사용자가 어떤 언어를 입력하기를 원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한글 메시지 입력창(40) 또는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중 어떤 입력창을 선택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사용자가 한글 메시지 입력창(40)을 선택하면, 한글입력을 원하므로 한글 키패드(70)를 표시하고 커서를 메시지 입력창(50)에 포커싱한다. 이후 사용자가 한글 키패드(70)를 터치하면 터치된 지점의 문자를 메시지 입력창(50)에 표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문자 전송버튼(80)을 선택하면 입력된 문자를 전송하도록 한다.
판단결과, 사용자가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을 선택하면, 영어 입력을 원하므로 영어 키패드(71)를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영어 키패드(71)를 터치하면 터치된 지점의 영문자를 메시지 입력창(50)에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1)는 사용자가 기존의 한/영 전환키(도 13의 70-b)를 선택하는 경우, 자판을 전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기존의 방식대로 메시지 입력창(50)내에서 한글, 영어, 한글+영어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외국에서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한글 메시지 입력창(40)은 모국어,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은 제1외국어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중국에서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제1입력창(40)은 중국어, 제2입력창(41)은 영어로 할 수 있다. 나머지 국가에 있어서는 위와 같은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1)에서의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1)의 제어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본 발명의 동작을 처리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문자 메시지 입력에 있어서 한글 메시지 입력창(40),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의 선택을 통해 키패드의 전환, 다른 키의 선택 위험없이 자신이 원하는 한글 또는 영어를 바로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은 20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문자 메시지 메뉴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문자 메시지 메뉴가 선택된 경우, 문자 메시지 리스트를 표시한다. 이후 205단계에서 사용자가 상기 문자 메시지 리스트 중 특정 메시지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특정 문자 메시지를 선택하면 선택된 메시지의 내용과 한글 메시지 입력창(40)과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을 각각 표시한다.
이후, 210단계에서 사용자가 한글 메시지 입력창(40)을 선택하는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한글 메시지 입력창(50)을 선택하면, 215단계에서 한글 키패드(50)를 표시한다. 그리고 220단계에서 사용자가 키를 터치하면, 225단계에서 터치된 키에 해당하는 한글을 메시지 입력창(50)에 입력/표시한다.
사용자가 상기 과정을 통해 메시지 입력을 완료하고, 230단계에서 문자전송 버튼(80)을 선택하면, 제어부(11)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사용자가 영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240단계에서 사용자가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을 선택한다. 그러면 제어부(11)는 245단계에서 영어 키패드(71)를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250단계에서 영어 메시지를 입력하면, 영어를 메시지 입력창(50)에 입력/표시한다.
한편, 사용자가 키패드를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210단계, 240 단계를 선택하면 된다. 즉, 사용자가 한글 메시지 입력창(40) 또는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을 선택하면 키패드가 전환되어 한글 또는 영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한글 메시지 입력창(40)과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을 구비한 문자 메시지 전송 과정은 종료되게 된다. 한편, 전술한 210단계 내지 250 단계에서의 동작 순서는 사용자의 입력창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한글 입력, 영문 입력의 동작 순서는 도 2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 순서가 달라지거나 생략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 내지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에서의 한글 메시지 입력창(40)과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을 구비한 문자 메시지 입력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 단말(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 메뉴를 선택하면, 받았거나 보낸 문자 메시지 목록 리스트를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문자 메시지를 보고자 특정 메시지를 선택한다.
그러면 도 4와 같이 받은 문자의 내용을 표시하고 하단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글 메시지 입력창(40)과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을 상하로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는 답장 내용을 생각하고 영어를 입력하고자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을 선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한글 메시지 입력창(40)과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의 또 다른 실시예의 화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한글 메시지 입력창(40)은 한글 메시지를 의미하는 버튼이며 버튼내에 메시지 아이콘과 한글이라는 문구가 표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한글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버튼이라는 것을 알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도 5의 한글 메시지 입력창(40)을 선택하면, 한글입력모드로 전환되고 한글 키패드(70)가 표시된다.
그리고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은 영어 메시지를 의미하는 버튼이며, 버튼내에 버튼내에 메시지 아이콘과 영어이라는 문구가 표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영어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버튼이라는 것을 알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을 선택하면, 영어입력모드로 전환되고 영어 키패드(71)가 표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한글 메시지 입력창(40)과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의 또 다른 실시예의 화면이다. 도 6은 답장화면이 아니라 최초 메시지 작성화면이다. 기능은 도 5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한편 도 4내지 도 6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을 선택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4 내지 도 6에서 상기 영어 메시지 입력창(41)의 선택에 따라 영어 키패드(71)로 전환된 후의 영어 입력모드 초기 화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메시지 입력창(50)에 메시지를 입력하세요 안내문구가 나타나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7의 상태에서 영어 메시지를 입력하는 실시예의 화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영어 메시지를 입력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한글 메시지 입력창(40)을 선택하고 한글 답장을 하고자 하는 경우의 실시예의 화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 9에서 한글 메시지 입력창(40)을 선택한 후의 한글 키패드(70)를 표시하고 이후 사용자가 한글 메시지를 입력하는 실시예의 화면이다.
도 11내지 도 13은 기존의 메시지 화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신규 메시지 버튼을 선택하는 화면이며, 메시지 아이콘(45)을 선택하면 디폴트로 한글 키패드(70)가 표시된다. 도 12는 기존의 답장 메시지 초기화면이며, 메시지 아이콘(45)을 선택하면 디폴트로 한글 키패드(70)가 표시된다. 따라서 영어 키패드(71)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여러번의 추가적인 키 터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도 13은 기존의 한/영 전환키의 화면이다. 기존에는 디폴트로 한글 키패드(70)가 표시되므로 영어 키패드(71)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한/영 전환키(70-b)를 선택해야 하는데, 화면에 보이는 바와 같이 왼쪽 하단에 위치하고 크기가 작아 찾기 어렵고 메시지 입력창(50)과의 거리가 멀어 시각적으로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하고, 손 동작도 또한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한다. 한편 한/영 전환키(70-b)의 크기가 작아 가끔 왼쪽의 숫자키(70-a)를 터치하면, 숫자키패드가 표시되고, 영어 키패드(71)로 가기 위해서는 다시 한/영 전환키(70-b)를 터치해야 하고 터치하면 다시 한글 키패드(70)가 표시되므로 다시 한번 한/영 전환키(70-b)를 터치해야 영어 키패드(71)가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도 또 다시 왼쪽의 숫자키(70-a)를 터치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11 : 제어부 12 : 메모리
13 : 표시부 14 : 입력부
15 : 통신부 40 : 한글 메시지 입력창
41 : 영어 메시지 입력창 45 : 기존의 메시지 아이콘/입력창
50 : 메시지 입력창 70 : 한글 키패드
71 : 영어 키패드 70-a : 기존의 숫자키패드 선택키
70-b : 기존의 한/영 전환키 80 : 메시지 전송 버튼

Claims (11)

  1. 이동 단말에서의 한영 2개의 메시지 입력 선택 도구를 각각 구비한 문자 메시지 입력 방법에 있어서,
    문자 메시지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과,
    한글 메시지 입력 선택 도구를 표시하는 과정과,
    영어 메시지 입력 선택 도구를 표시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한글 또는 영어 메시지 입력 선택 도구 중 어떤 메시지 입력 선택 도구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한글 메시지 입력 선택 도구를 선택하는 경우, 한글 키패드를 표시하는 과정과,
    영어 메시지 입력 선택 도구를 선택하는 경우, 영어 키패드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키패드를 터치하면 터치된 해당 문자를 입력하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한영 2개의 입력 선택 도구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입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도구는 각각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한영 2개의 입력 선택 도구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입력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도구는 메시지 입력창, 키, 아이콘 중의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한영 2개의 입력 선택 도구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입력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도구는 메시지 아이콘과 해당 언어명의 통합 표시, 언어를 입력하는 안내 단어, 문구, 문장중의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한영 2개의 입력 선택 도구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입력방법.
  5. 이동 단말에서의 2개의 언어 메시지 입력 선택 도구를 각각 구비한 문자 메시지 입력 입력시스템에 있어서,
    제1언어 메시지 입력 선택 도구의 표시,
    제2언어 메시지 입력 선택 도구의 표시,
    사용자가 상기 제1언어 메시지 입력 선택 도구를 선택하는 경우 제1언어 키패드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2언어 메시지 입력 선택 도구를 선택하는 경우 제2언어 키패드를 표시하고, 상기 키패드를 통한 문자 메시지를 입력받아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문자 메시지 입력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언어 메시지 입력 선택 도구, 제2언어 메시지 입력 선택 도구는
    상하로 배치되는 방식 또는 좌우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문자 메시지 입력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언어는 한글, 제2 언어는 영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문자 메시지 입력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언어는 모국어, 제2언어는 외국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문자 메시지 입력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도구는 메시지 입력창, 키, 아이콘 중의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문자 메시지 입력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도구는
    메시지 아이콘과 해당 언어명의 통합 표시, 언어를 입력하는 안내 단어, 문구, 문장중의 하나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문자 메시지 입력시스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 또는 채팅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문자 메시지 입력시스템.






KR1020210114387A 2014-02-19 2021-08-30 이동단말에서의 한영 2개의 메시지 입력창을 구비한 문자 메시지 입력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105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387A KR20210110545A (ko) 2014-02-19 2021-08-30 이동단말에서의 한영 2개의 메시지 입력창을 구비한 문자 메시지 입력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301A KR102297629B1 (ko) 2014-02-19 2014-02-19 이동단말에서의 한영 2개의 메시지 입력창을 구비한 문자 메시지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
KR1020210114387A KR20210110545A (ko) 2014-02-19 2021-08-30 이동단말에서의 한영 2개의 메시지 입력창을 구비한 문자 메시지 입력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301A Division KR102297629B1 (ko) 2014-02-19 2014-02-19 이동단말에서의 한영 2개의 메시지 입력창을 구비한 문자 메시지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545A true KR20210110545A (ko) 2021-09-08

Family

ID=540596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301A KR102297629B1 (ko) 2014-02-19 2014-02-19 이동단말에서의 한영 2개의 메시지 입력창을 구비한 문자 메시지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
KR1020210114387A KR20210110545A (ko) 2014-02-19 2021-08-30 이동단말에서의 한영 2개의 메시지 입력창을 구비한 문자 메시지 입력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301A KR102297629B1 (ko) 2014-02-19 2014-02-19 이동단말에서의 한영 2개의 메시지 입력창을 구비한 문자 메시지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9762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803B1 (ko) * 2001-04-26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139A (ko) 2015-08-27
KR102297629B1 (ko)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068B1 (ko) 텍스트 선택 및 엔터
RU2666236C2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блока отображения и терминал, его обеспечивающий
JP2019220237A (ja) 文字入力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及び装置
EP1980937B1 (en) Object search method and terminal having object search function
JP5805674B2 (ja)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361913B2 (ja)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5824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alculations in character input mode of electronic device
KR20140092873A (ko) 적응식 입력 언어 전환
US20130263013A1 (en) Touch-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Information
KR20080068491A (ko)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16539435A (ja) オンスクリーンキーボード用クイックタスク
KR20120036897A (ko)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선택
KR102311268B1 (ko) 입력 필드의 이동 방법 및 장치
KR101218820B1 (ko)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90049153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US8949731B1 (en) Input from a soft keyboard on a touchscreen display
JP5395819B2 (ja)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401271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50185988A1 (en)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guiding text editing position
KR20210110545A (ko) 이동단말에서의 한영 2개의 메시지 입력창을 구비한 문자 메시지 입력 방법 및 시스템
CN105159874A (zh) 文字的修改方法及装置
KR20150103615A (ko) 이동단말에서의 한영 2개의 선택창을 이용한 메시지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
KR20150095525A (ko) 이동단말에서의 한영 2개의 문자 메시지 입력창을 구비한 문자 메시지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
WO2011158064A1 (en) Mixed ambiguity text entry
KR100563257B1 (ko) 터치스크린 단말기 프로그램상 터치코드 버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