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257B1 - 터치스크린 단말기 프로그램상 터치코드 버튼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단말기 프로그램상 터치코드 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257B1
KR100563257B1 KR1020040049702A KR20040049702A KR100563257B1 KR 100563257 B1 KR100563257 B1 KR 100563257B1 KR 1020040049702 A KR1020040049702 A KR 1020040049702A KR 20040049702 A KR20040049702 A KR 20040049702A KR 100563257 B1 KR100563257 B1 KR 100563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erminal
screen
cod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0739A (ko
Inventor
박양균
Original Assignee
(주) 만도맵앤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만도맵앤소프트 filed Critical (주) 만도맵앤소프트
Priority to KR1020040049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257B1/ko
Publication of KR20060000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단말기 프로그램상 터치코드 버튼에 관한 것으로, 터치 스크린 방식의 단말기 화면에 제공되는 입력부를 분할하고, 분할된 화면을 모스부호 형식으로 선택 클릭함으로써 그 조합에 따라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지원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화면에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 또는 스타일러스 펜등을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터치코드 정보와 특정 프로그램 창의 매칭관계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전달된 터치코드를 분석하여 상기 터치코드와 매칭되는 특정 프로그램 창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찾아 해당 프로그램을 표시부에 제공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터치 스크린, 단말기, PDA, 입력장치

Description

터치스크린 단말기 프로그램상 터치코드 버튼{BUTTON TOUCH CODE OF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단말기 프로그램상 터치코드 버튼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력부 20 : 제어부(활성프로세서)
30 : 메모리부(단말기내장 또는 외장 파일) 40 : 표시부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방식을 지원하는 단말기 PDA, 스마트폰, CNS 등의 화면을 4분할하여, 화면의 서로 다른 2곳의 위치를 연속하여 클릭함으로써 화면클릭의 조합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단말기는 사용자가 스타일러스(stylus)나 펜 등으로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터치 스크린이 긁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플립형이나 슬라이드형 덮개(filp or slide cover shields)도 가지고 있다. 사용자가 E-mail이나 팩스 등을 보내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덮개를 열고, 스타일러스나 펜으로 스크린을 터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터치 스크린 방식의 단말기 프로그램 조작시, 특정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작은 크기의 버튼을 정확히 눌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PDA, 스마트 폰 등의 소형 단말기는 손가락으로 버튼을 누르기 때문에 버튼 선택이 매우 어려우며 버튼 누름시 근접해 있는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가 많아 스타일러스 펜 등 별도의 도구를 이용해야만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상에서 특정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단계별로 클릭해야 하는 버튼의 수가 많아 메뉴의 단계가 길어져 사용에 불편함이 있고,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차량 운행중에 조작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버튼을 정확히 클릭하기가 매우 어렵고 사고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스크린 방식의 단말기 사용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특정 기능을 터치코드 버튼으로 설정함으로써 별도의 도구없이 손가락의 터치만으로 간편하게 원하는 기능을 구동시킬 수 있는 터치코드 버튼의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터치코드 버튼의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화면에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 또는 스타일러스 펜등을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터치코드 정보와 특정 프로그램 창의 매칭관계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전달된 터치코드를 분석하여 상기 터치코드와 매칭되는 특정 프로그램 창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찾아 해당 프로그램을 표시부에 제공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코드 버튼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방식의 단말기는 크게 입력부, 표시부, 메모리부,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10)는 표시부(40)에 제공되는 4분할된 상태의 화면이 사용자의 클릭 또는 손가락의 터치에 의해 메뉴가 선택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입력부(10)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단말기의 해당 메뉴를 작동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30)는 활성 프로세서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또는 미디어 플레이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며, 메모리부(20)에 저장된 내용에 의거하여 대응되는 메뉴를 표시부(40)에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부(2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모스부호 형식으로 4분할된 단말기 화면을 선택하는 조합에 따라 단축 터치코드 버튼으로 설정되어 저장되며, 설정된 터치코드 버튼 선택시 제어부(30)에 의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이나 미디어 플레이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 입력된 메뉴를 상기 메모리부(20)에서 검색하여 상기 선택된 버튼에 해당되는 메뉴를 상기 단말기 표시부(40)에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모리부(20)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모스부호 형식에 따른 메뉴선택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단말기 프로그램상 터치코드 버튼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단말기 화면은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의해 4분할된 사각형의 영역표시와 숫자가 제공된다.
그리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 화면에서 제공하는 사각형 영역 중 두 개이상의 영역을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선택 클릭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단말기 내부에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사각형 영역을 클릭 또는 누름으 로써 선택하고 있어야 된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연속 선택된 1번, 4번 영역은 0.3초~0.5초간 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의 입력 상황을 나타낸 후,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입력 선택된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메모리부에(20) 저장된 모스부호 형식의 정보와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매칭시켜 특정 코드의 프로그램 창을 화면에 띄우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화면에 표시되는 사각형 영역 1번과 2번의 왼쪽 위, 오른쪽 위를 차례로 태핑(Tapping)하면 명칭 검색화면을 띄우게 된다.
그런 다음, 다시 2번과 3번의 오른쪽 위, 왼쪽 아래를 차례로 태핑하면 안전운행 위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단말기 화면의 숫자 및 위치정보의 입력에 따라 해당메뉴를 제공하는 제어부(30)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메모리부(20)를 통해 매칭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터치 스크린 방식의 단말기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특정 프로그램을 모스부호 형식으로 설정하여 메모리(20)에 기 저장하였다가 화면에 제공되는 입력부(10)의 선택에 따라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입력 선택된 터치코드와 매칭시켜 화면에 제공함으로써 버튼 Depth을 줄일 수 있어 실행속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을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 방식의 단말기 프로그램 이용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터치코드 버튼(Touch Code UI)으로 설정하여, 별도의 도구(스타일러스 펜)등 없이 손가락 터치만으로 간편하게 기능을 구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치코드 버튼이 단축키 역할을 하여 원클릭으로 기능을 간편하게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네이게이션 프로그램의 경우, 자주 사용하는 명칭검색, 경로탐색, 현위치 등록 등의 기능을 터치코드 버튼으로 설정함으로써 운행 중에도 편리하고 안전하게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터치 스크린을 지원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화면에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 또는 스타일러스 펜등을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터치코드 정보와 특정 프로그램 창의 매칭관계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전달된 터치코드를 분석하여 상기 터치코드와 매칭되는 특정 프로그램 창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찾아 해당 프로그램을 표시부에 제공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코드 버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의 터치코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모스부호 형식의 버튼체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코드 버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코드 버튼 영역 및 숫자를 사용자의 입력시에만 단말기 화면에 일시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코드 버튼.
KR1020040049702A 2004-06-29 2004-06-29 터치스크린 단말기 프로그램상 터치코드 버튼 KR100563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702A KR100563257B1 (ko) 2004-06-29 2004-06-29 터치스크린 단말기 프로그램상 터치코드 버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702A KR100563257B1 (ko) 2004-06-29 2004-06-29 터치스크린 단말기 프로그램상 터치코드 버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739A KR20060000739A (ko) 2006-01-06
KR100563257B1 true KR100563257B1 (ko) 2006-03-27

Family

ID=37104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702A KR100563257B1 (ko) 2004-06-29 2004-06-29 터치스크린 단말기 프로그램상 터치코드 버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2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639B1 (ko) 2013-05-28 2019-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0456A (ja) * 1995-01-06 1996-07-23 Fuji Facom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における入力方法
KR970031883A (ko) * 1995-11-28 1997-06-26 배순훈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tv 화면제어방법
KR19980067785A (ko) * 1997-02-12 1998-10-15 구자홍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방식을 이용한 보조 입력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0456A (ja) * 1995-01-06 1996-07-23 Fuji Facom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における入力方法
KR970031883A (ko) * 1995-11-28 1997-06-26 배순훈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tv 화면제어방법
KR19980067785A (ko) * 1997-02-12 1998-10-15 구자홍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방식을 이용한 보조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739A (ko) 200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4305B2 (ja) 携帯用端末機におけるパターン認識を用いた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及び方法
US9013422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9176663B2 (en) Electronic device, gesture processing method and gesture processing program
RU2666236C2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блока отображения и терминал, его обеспечивающий
US7385592B2 (en) Graphic user interface for data processing device
US87759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KR101972924B1 (ko) 휴대용 기기에서 부분 영역의 터치를 이용한 전체 영역 지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703771B1 (ko) 문자 입력판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93304B1 (ko) 정보표시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US20110265039A1 (en) Category-based list navigation on touch sensitive screen
EP283572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floating window and terminal
US20080163112A1 (en) Designation of menu actions for applications o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04520798A (zh) 便携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和程序
KR102280474B1 (ko)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 및 장치
CN103970443A (zh) 一种终端及终端显示控制方法
KR20140089224A (ko)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을 실행하는 디바이스 및 동작 실행 방법
KR20160004590A (ko)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140019895A1 (en) Electronic device
KR20180016957A (ko)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조작 장치
KR20080073389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 및 그 입력처리 방법
JP5758277B2 (ja) 携帯型電子機器
WO2011056320A1 (en) Methods for displaying status components at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563257B1 (ko) 터치스크린 단말기 프로그램상 터치코드 버튼
KR2007006656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 스트로크 인식 인터페이스 입력방법
JP6649465B2 (ja) ウェアラブル情報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