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549A - 다양한 직경의 접목이 가능한 접목집게 - Google Patents

다양한 직경의 접목이 가능한 접목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549A
KR20130129549A KR1020120053515A KR20120053515A KR20130129549A KR 20130129549 A KR20130129549 A KR 20130129549A KR 1020120053515 A KR1020120053515 A KR 1020120053515A KR 20120053515 A KR20120053515 A KR 20120053515A KR 20130129549 A KR20130129549 A KR 20130129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grafting
pair
graf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진
Original Assignee
예원프러그 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원프러그 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예원프러그 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20053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9549A/ko
Publication of KR20130129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5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01G2/38Holding; Lig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집게부(10), 한 쌍의 손잡이부(20) 및 소정의 탄성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목집게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10)는 손잡이쪽의 것이 좁고 말단측의 것이 넓은 복수개의 파지공간(11)을 가지는 새로운 형태의 접목집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직경의 대목과 삽수를 하나의 접목집게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목과 삽수의 직경에 다소간의 차이가 있더라도 대목과 접수를 잘 고정하여 활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농가의 경쟁력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직경의 접목이 가능한 접목집게{Tongs for grafting having a noble structure}
본 발명은 대목과 접수의 직경이 다양한 경우라도 모두 적용이 가능하여 접목효율을 증대시키는 새로운 구조의 접목집게에 관한 것이다.
접목 또는 접붙이기는 번식시키려는 식물체의 눈이나 가지를 잘라내어 뿌리가 다른 식물체에 붙여 일체화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접목은 개화와 결실을 촉진하고 병충해에 저항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분재인 경우에는 단시간에 수세를 왕성하게 하고 나쁜 흙이나 환경에 잘 적응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농업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일반 농가에서는 접목에 의한 재배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수박, 오이, 메론, 참외 등의 박과류 과채와 토마토, 고추, 가지 등의 가지과류 과채는 대목 즉, 뿌리쪽으로 사용되는 묘는 야성이 강한 품종으로 하고, 접수 즉, 줄기쪽으로 사용되는 묘는 열매가 우수한 품종으로 선택하는 접목방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접목은 대략적으로, 대목의 생장점을 제거한 후 떡잎 아래를 사선으로 자르고, 이어 미리 사선으로 잘라둔 접수를 대목의 잘린 부위에 마주보도록 고정시킨 후 이를 활착시키는 방법이다.
이때 접목부위를 고정하기 위해 최초에는 끈으로 밀착되게 감아주었으나 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하며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근래에 들어서는 접목용으로 개발된 작은 집게로 접목부위를 살짝 누르면서 고정시켰다가 수일 경과 후 활착이 완료되면 이를 제거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에 의해 접목에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단축되었을 뿐 아니라 접목집게를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접목 묘목의 생산이 가능해 졌다.
종래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접목집게는, 도 1a에 그 사시도가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110) 및 손잡이부(130) 세트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탄력을 제공하는 O형스프링(150)이 손잡이부(130)를 관통하여 집게부(110)의 양쪽 외측면에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과 구조의 접목집게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목집게에서 O형스프링(150)을 집게부(110) 및 손잡이부(130) 세트에 조립하는 작업을 개선하기 위해 O형스프링(150) 삽입용 개방부를 두거나(등록실용신안 20-0242366), O형스프링(150) 대신 상기 손잡이부에 탄성체 삽입홈을 형성하고, 탄성체 삽입홈에 V형 탄성체를 삽입한 구조로 하거나(등록실용 20-0421152, 공개특허 10-2008-0071674), 집게부(310)의 내측면에 요철홈(313)을 형성하여 접수가 대목으로부터 쉽게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공개특허 10-2008-0071674) 구조들이 알려져 있다(도 1b, c 참조).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에 의하면 집게부의 내부(대목과 접수를 잡아주는 공간, 이하 '파지공간'이라 표현함)가 원형 또는 타원형이거나 전체적으로 볼 때 긴 삼각형 형태로 되어 있고, 그 내부 단면의 최대폭이 4~5㎜로 고정되도록 제작되어 있다.
한편, 박과류나 가지과류를 수작업으로 또는 자동접목기계를 이용하여 접목할 때 과채류의 종류나 품종 또는 재배환경이나 재배시기에 따라 대목과 접수의 직경이 2.5, 3, 3.5, 4, 4.5㎜ 전후(대략 ±10%)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종래 접목집게에서는 집게부의 파지공간의 최대폭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보다 작은 직경의 대목과 접수를 접목하는 경우에는 대목과 접수가 잘 고정되지 않고 집게부의 일측(넓은 공간측)으로 밀려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대목과 접수 모두가 집게부의 파지공간 내에서 느슨하게 붙들려 있기 때문에 쉽게 움직여지는 현상이 있게 된다. 반대로 집게부의 파지공간보다 큰 직경의 대목과 접수를 접목하는 경우에는 집게부가 과도하게 벌어지면서 집게의 고정력이 대목과 접수의 일측면에만 작용하여 외부이 작은 충격(바람 또는 작업중의 흔들림 등)으로도 대목이나 접수가 튕겨져 나가는 (즉, 접목집게에서 대목이나 접수가 분리되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이렇게 집게부의 파지공간의 크기와 대목이나 접수의 직경이 차이 나게 되면 대목과 접수 사이의 형성층이 잘 접촉되지 않거나, 접촉되었더라도 사소한 충격에도 접촉되었던 형성층이 끊어져 활착이 불가능하게 된다. 더욱 큰 문제는, 활착을 위한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작업당시에는 알 수 없고, 최소 1~2주 후에야 접목의 생존여부를 확인하는 사후적 방법으로만 알 수 있다는 점이다.
등록실용신안 20-0242366 등록실용신안 20-0421152 공개특허 10-2008-0071674
본 발명은 다양한 직경의 대목과 접수를 접목하는데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즉 한 종류의 접목집게로 다양한 직경의 대목과 접수를 잘 고정하여 활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상의 접목집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집게부, 한 쌍의 손잡이부 및 소정의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목집게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는 손잡이쪽의 것이 좁고 말단측의 것이 넓은 복수개의 파지공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접목집게로 다양한 직경의 대목과 접수를 접목할 수 있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접목비용이 경감되기 때문에 경제적인 접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a~도 1c는 종래기술에 의한 접목집게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접목집게 중 파지공간이 두 개이고, 한 쌍의 집게부 말단에 교호적으로 개구홈이 형성된 일예의 사진.
도 2b는 탄성체가 제거되고 파지공간이 '열려진' 상태의 접목집게의 평면사진(좌측)과 사시사진(우측).
도 2c는 탄성체의 도시가 생략된 본 발명에 의한 접목집게의 개념적 사시도(좌측은 닫혀진 상태, 우측은 열려진 상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집게부, 한 쌍의 손잡이부 및 소정의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목집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관심 갖는 부분(파지공간) 이외의 구성요소는 종래기술에 의한 것들을 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접목집게는 O형스프링 또는 V형 탄성체를 가질 수도 있고, 등록특허 10-071377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자체 탄성을 가지는 일체형 접목집게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관심 갖는 부분 이외의 구성요소는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도 명백하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집게부(10), 한 쌍의 손잡이부(20) 및 소정의 탄성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목집게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10)는 손잡이쪽의 것이 좁고 말단측의 것이 넓은 복수개의 파지공간(11)을 가지는 접목집게를 제시한다. 여기서 "파지공간(11)"이란 대목과 접수가 위치하게 상기 한 쌍의 집게부(10) 사이의 공간 내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접목집게로 다양한 직경의 대상물(대목과 접수)을 접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크기가 다른 복수개의 파지공간(11)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파지공간(11)(단면적)의 크기는 손잡이쪽이 좁고 말단측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접목집게에서 파지공간(11)은 대목과 접수를 수용할 수 있으면 되므로 그 평단면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또는 마름모형 등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그러나 집게의 파지효과를 위해서는 파지공간(11)의 평단면이 대략 마름모형인 것이 바람직하다(여기서 '대략'이란 마름모의 모서리가 예리하게 각이 형성될 필요는 없음을 의미함). 따라서 하나의 파지공간(11)을 이루는 마주보는 한 쌍의 집게부(10)에는 대칭적으로 마주보는 대략 V-형태의 홈이 형성된다. 즉, 상기 V-형태가 동일한 규격이면 상기 집게부(10)가 이루는 파지공간(11)의 평단면이 마름모형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대목과 접수의 직경이 많이 차이가 나는 경우 작은 직경의 것이 잘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본 발명에서 상기 마름모형은 중간이 납작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집게부(10)의 V 각도가 90°초과인 것이 좋다. 마름모형태가 납작한 경우 큰 직경의 줄기가 살짝 눌려지면서 작은 직경의 줄기를 잘 고정시키게 된다. [실제 접목에서는 접촉하는 줄기들이 어느 정도 짓눌려지는 것이 활착에 도움을 준다.] 나아가 작은 직경의 줄기 단면이 큰 직경의 줄기 단면에 모두 접촉되기 때문에 활착효과도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접목집게에서 파지공간(11)의 수가 많아지면 더욱 다양한 직경의 대상물을 접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상대적으로 파지력은 약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파지공간(11)은 2~3개, 더욱 좋게는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공간(11)이 두 개인 경우에는 마주보는 한 쌍의 집게부(10)에는 대칭적으로 마주보는 대략 W-형태의 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접목집게에는, 상기 한 쌍의 집게부(10)에 교호적으로 개구홈(12)이 형성되어 있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한 쌍의 집게부(10) 말단이 서로 교차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교호적인 개구홈(12)' 사이사이는 돌출된 콤(comb) 형태가 된다. 이러한 개구홈(12)은 집게부(10)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집게부(10)의 말단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집게부(10)의 말단이 교호적으로 교차되는 경우, 파지공간(11)의 평단면(접목되는 줄기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 면적이 탄력적으로 변할 수 있게 된다. 즉, 접목되는 줄기의 직경이 모두 큰 경우 집게부(10) 말단이 교차되지 않은 상태로 고정되며, 직경이 모두 작은 경우 집게부(10) 말단이 교차되면서 줄기의 직경에 맞추어 고정된다. 또한 대목과 삽수의 직경이 차이가 나더라도 집게부(10) 말단이 탄력적으로 굵은 줄기와 가는 줄기를 거의 동일한 압력으로 잡아주게 된다.
도 2a에 본 발명에 의한 접목집게 중 파지공간(11)이 두 개이고, 한 쌍의 집게부(10) 말단에 교호적으로 개구홈(12)이 형성된 일예로서 탄성체(30)가 장착된 완전한 상태로 파지공간(11)이 '닫혀진' 상태의 접목집게의 사진을 도시하였다. 도면에는 탄성체(30)로서 O형스프링이 적용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b에 이해의 편의를 위해 탄성체(30)가 제거되고 파지공간(11)이 '열려진' 상태의 접목집게의 평면사진(좌측)과 사시사진(우측)을, 도 2c에 탄성체(30)의 도시가 생략된 본 발명에 의한 접목집게의 개념적 사시도(좌측은 닫혀진 상태, 우측은 열려진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접목집게에는 닫혀진 상태에서 마름모형태의 제1파지공간(11a)과 제2파지공간(11b)으로 구성된다. 본 제조예에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10)에 의해 만들어지는 마름모형의 (집게부(10) 사이의) 대각선의 길이는 대략 제1파지공간(11a)은 2.0㎜, 제2파지공간(11b)은 2.5㎜로 하였다. 예를 들면, 어떤 과채류의 대목과 접수는 대략 직경이 2.0㎜ 이하이면 너무 약해서 접목효율이 떨어지고, 6.0㎜ 이상이면 접목의 시기를 놓친 것이 되는 경우 (보통 대부분의 '접목'을 하는 과채류가 이에 해당됨) 접목에 사용되는 대목과 접수의 직경은 대략 2.2~5.5㎜이 된다. 따라서 대상물의 직경이 2.2~3.0㎜ 정도인 경우에는 제1파지공간(11a)으로 대상물을 파지하고, 3.0~5.5㎜ 정도인 경우에는 제2파지공간(11b)으로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의한 접목집게는 다양한 직경의 대목과 삽수를 하나의 접목집게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목과 삽수의 직경에 다소간의 차이가 있더라도 이를 고려하지 않고 작업할 수 있어 작업자 또는 자동접목장치에 의한 접목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10. 집게부 11. 파지공간 11a. 제1파지공간
11b. 제2파지공간 12. 개구홈
20. 손잡이부
30. 탄성체

Claims (5)

  1. 한 쌍의 집게부(10), 한 쌍의 손잡이부(20) 및 소정의 탄성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목집게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10)는 손잡이쪽의 것이 좁고 말단측의 것이 넓은 복수개의 파지공간(1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집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공간(11)은 마름모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집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름모형은 납작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집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공간(11)은 두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집게.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10)에는 교호적으로 개구홈(12)이 형성되어 있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한 쌍의 집게부(10) 말단이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집게.
KR1020120053515A 2012-05-21 2012-05-21 다양한 직경의 접목이 가능한 접목집게 KR201301295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515A KR20130129549A (ko) 2012-05-21 2012-05-21 다양한 직경의 접목이 가능한 접목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515A KR20130129549A (ko) 2012-05-21 2012-05-21 다양한 직경의 접목이 가능한 접목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549A true KR20130129549A (ko) 2013-11-29

Family

ID=49856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515A KR20130129549A (ko) 2012-05-21 2012-05-21 다양한 직경의 접목이 가능한 접목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954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280A (ko) * 2019-03-04 2020-09-14 신영식 접목용 집게
KR102291724B1 (ko) * 2021-05-14 2021-08-20 권정순 농작물 결속용 집게
KR102450867B1 (ko) * 2021-12-07 2022-10-06 우승기 과수 가지 유인용 꽃눈 집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280A (ko) * 2019-03-04 2020-09-14 신영식 접목용 집게
KR102291724B1 (ko) * 2021-05-14 2021-08-20 권정순 농작물 결속용 집게
KR102450867B1 (ko) * 2021-12-07 2022-10-06 우승기 과수 가지 유인용 꽃눈 집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9549A (ko) 다양한 직경의 접목이 가능한 접목집게
KR101191285B1 (ko) 원예용 접목클립
KR100772202B1 (ko) 농작물 고정용 집게
KR20200002316U (ko) 접목용 집게
KR101192281B1 (ko) 밀식재배를 위한 과수묘목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10973A (ko) 작물 줄기 고정구
KR20080071674A (ko) 접목집게
KR101167251B1 (ko) 새로운 구조의 접목집게
KR20120132720A (ko) 적심유도 수단
JP3801578B2 (ja) 接ぎ木保持具
EP1862273A1 (en) Pliers for making cuts in vegetable stems
KR101256930B1 (ko) 접목용 집게
KR20150114836A (ko) 잡초 제거가 가능한 다용도 낫
KR200470341Y1 (ko) 과채류 접목용 접목 클립
KR100634701B1 (ko) 고구마 순 심는 장치
KR101336145B1 (ko) 접목용 집게
JP3159782U (ja) 苗接木具
JP5079122B1 (ja) 接ぎ木用ホルダー
KR20160005389A (ko) 접목 집게
WO2009030479A3 (de) Vorrichtung zum ausdünnen von obstbäumen
CN209594331U (zh) 一种园艺苗木嫁接装置
KR102231168B1 (ko) 접목용 집게
JP3142821U (ja) 園芸用ピンチ
KR200362936Y1 (ko) 농작물용 비닐지 및 식물의 줄기 고정구
JP3153985U (ja) 苗接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