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145B1 - 접목용 집게 - Google Patents

접목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145B1
KR101336145B1 KR1020110077394A KR20110077394A KR101336145B1 KR 101336145 B1 KR101336145 B1 KR 101336145B1 KR 1020110077394 A KR1020110077394 A KR 1020110077394A KR 20110077394 A KR20110077394 A KR 20110077394A KR 101336145 B1 KR101336145 B1 KR 101336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fting
tongs
fixing
fixed
force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416A (ko
Inventor
신현철
박남창
이광수
이성춘
최수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10077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145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01G2/38Holding; Lig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05Cultivation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목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접목 집게로 접목 부위를 집어 나무 접목시 대목과 접수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방수 보온재로 접목 부위를 감싸 접목 부위에 수분이 스며들지 않고 청결을 유지하도록 하며 접목에 필요한 습도 및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접목집게의 가동 손잡이부를 짧게 처리하므로 인접한 나무의 간섭을 최소화하므로 접목 활착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접목용 집게{GRAFTING TONGS}
본 발명은 접목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접목의 대목과 접수의 접목 부위를 단단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접목 부위에 수분이 스며들지 않고 청결을 유지하도록 하며 접목에 필요한 습도 및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접목 활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접목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
현재 조경수로 많이 재배되고 있는 반송을 비롯하여 변이종인 황금소나무 등의 증식은 파종을 하였을 때는 모수의 유전형질을 그대로 이어받지 못하고 퇴화되어 영양 번식인 삽목 방식이나 접목 방식으로 묘목을 생산하게 된다.
그러나, 소나무류의 경우 삽목 방식은 발근율이 매우 낮아 효율성이 없으므로 우수한 형질의 묘목을 번식하기 위하여 주로 접목 방식으로 묘목을 생산하고 있다.
한편, 종래 접목 방식은 접수와 대목을 명주실이나 비닐끈으로 묶어 사용하였으나, 현재에는 시중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빨래 집게를 활용하여 접목을 수행하고 있다.
이처럼, 종래 빨래 집게를 활용하여 손쉽게 접목을 시행하게 됨에 따라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으나 접목 활착률이 낮을 뿐만 아니라 접목 부위의 결속 강도가 떨어져 잘못 취급하게 되면 접목 부위가 분리될 수 있고 나무가 자랐을 때 강한 바람에 접목부위가 절단되어 접목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기존 빨래집게는 가동 손잡이부 부분이 너무 길어 접목할 때 인접하고 있는 나무와 서로 맞닿아 간섭하게 되므로 대목과 접수를 빨래집게로 맛 물려 놓았을 때 결속부위가 흐트러질 수 있으며, 대목과 접수의 접목 부위에 수분 등이 스며들어 접목 부위가 오염되거나, 접목에 필요한 습도 및 온도를 유지시킬 수 없어 접목 활착률이 낮아지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접목 집게로 접목 부위를 집어 나무 접목 시 대목과 접수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방수 보온재로 접목 부위를 감싸 접목 부위에 수분이 스며들지 않고 청결을 유지하도록 하며 접목에 필요한 습도 및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접목 집게의 가동 손잡이부를 짧게 처리하여 인접하고 있는 나무의 간섭을 줄이므로 접목 활착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접목용 집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접목용 집게는, 대목과 접수의 접목 부위를 집어 고정하도록 고정부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접목 집게; 및 상기 접목 집게의 고정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 내에 집혀 고정된 상기 접목 부위를 감싸도록 하는 방수 보온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접목 집게의 고정부에 형성된 안착홈은 폭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며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목 집게는 가동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상기 고정부와 가동 손잡이부를 이루는 한 쌍의 집게대; 및 상기 각 집게대에 형성되는 탄성 수배 체결홈에 양단부가 끼워져 체결되며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접목 부위를 집어 고정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집게대의 고정부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 단부에서 상기 방수보온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돌기가 서로 마주하게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수 보온재는 상기 접목 집게의 가동 중심부에 인접하게 상기 집게대 사이에 개재되며 접힘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힘 연결부; 상기 접힘 연결부 양측에서 상기 집게대의 고정부 안착홈에 내측에 끼워져 상기 접목 부위를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는 접목 덮개부; 및 상기 각 접목 덮개부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각 집게대의 연장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가 끼워져 서로 맞닿도록 형성되는 고정 닫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집게대의 고정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방수 보온재의 접목 덮개부에는 상기 삽입공에 끼워져 체결 되도록 상기 삽입공에 대응되게 삽입 고정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수 보온재는 일측 상기 고정 닫힘부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접목 부위를 감싸 고정시한 쌍의 상기 고정 닫힘부가 서로 맞닿는 닫힌 부분을 덮도록 닫힘 덮개부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 보온재는 연질의 고무 및 피브이시(PVC)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접목용 집게에 따르면, 접목 집게로 접목 부위를 집어 나무 접목시 대목과 접수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방수 보온재로 접목 부위를 감싸 접목 부위에 수분이 스며들지 않고 청결을 유지하도록 하며 접목에 필요한 습도 및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접목 집게의 가동 손잡이부를 짧게 하므로 인접한 나무와의 간섭을 줄이므로 접목 활착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목용 집게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목용 집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접목용 집게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을 따라 잘라서 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방수 보온재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방수 보온재의 배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목용 집게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접목용 집게는 본 실시예의 접목용 집게(1)는 대목(101)과 접수(105)의 접목 부위를 집어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접목 집게(10)와, 상기 접목 집게(10)의 고정부(13, 14)에 끼워져 접목 나무(100)의 접목 부위를 감싸 수분이 스며들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접목 부위의 습도 및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수 보온재(20)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도 1의 접목용 집게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접목용 집게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을 따라 잘라서 본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접목 집게(10)는 서로 결합되는 가동 중심부(15)를 중심으로 양측에 고정부(13, 14)와 가동 손잡이부(18, 19)를 이루도록 하는 2개의 집게대(11, 12)와, 상기 고정부(13, 14)가 접목 부분을 잡아 고정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집게대(11, 12)는 가동 중심부(15)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중심부가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고, 가동 중심부(15)를 중심으로 일측에 접목 부위를 집어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3, 14)와 상기 고정부(13, 14)로 접목 부위를 집어 고정할 수 있게 조작하기 위한 가동 손잡이부(18, 19)로 이루어진다.
고정부(13, 14)는 나무의 접목 부분을 감싸도록 집어 고정할 수 있게 단면상 반원형의 안착홈(13a, 14a)을 이루며 절곡 형성되고, 안착홈(13a, 14a)의 연장 단부(16, 17)에는 상기한 방수 보온재(20)를 단부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고정 돌기(16a, 17a)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고정부(13, 14)에 형성되는 안착홈(13a, 14a)은 접목하고자 하는 나무 가지의 굵기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곡률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으며, 이후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방수 보온재(20)를 사용하여 접목 부위를 감싸 수분이 스며들지 않고 수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나무 가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굵기 변화에 대응되게 폭 방향으로 테이퍼져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13, 14)에는 각각 후술하는 방수 보온재(20)의 체결돌기(27)가 끼워져 체결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13b, 14b)이 관통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목 집게(10)의 각 집게대(11, 12) 고정부(13, 14)에는 폭 방향으로 기설정 간격을 두고 2개의 체결공(13b, 14b)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목 집게(10)의 각 집게대(11, 12) 고정부(13, 14)에 후술하는 방수 보온재(20)를 끼워 빠지지 않고 유격 없이 고정시킬 수 있는 한 하나 이상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각 집게대(11, 12)에는 가동 중심부(15)를 중심으로 상기한 탄성 부재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탄성 부재 체결홈(11a, 12a)이 형성된다.
탄성 부재(30)는 양측 단부가 절곡 형성되는 "C"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한 집게대의 탄성 부재 체결홈(11a, 12a)에 끼워진 후 양단이 각 집게대(11, 12)에 걸려 고정되어 연장 단부(16, 17)의 고정 돌기(16a, 17a)가 서로 맞닿게 압축하며 탄성 지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접목 집게(10)를 이용해 접목 나무의 접목 부분을 집어 고정하는 경우 각 집게대(11, 12)의 가동 손잡이부(18, 19)를 엄지와 검지로 눌러 고정부(13, 14) 사이를 벌린 후, 안착홈(13a, 14a)에 접목 부분에 집어 탄성 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각 집게대(11, 12)의 가동 손잡이부(13, 14)의 단부 외측에는 손가락으로 눌러 고정부 사이를 벌릴 수 있게 조작하기 위하여 복수의 미끄럼 방지 돌기(18a, 19a) 각각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 집게대(12)의 가동 손잡이부(19)에는 절곡 가이드부(19b)가 절곡 형성되고, 접목 집게의 가동 손잡이부(18, 19) 조작시 이들 사이로 다른 나뭇가지들이 끼어 집기 동작이 방해받지 않도록 한다.
방수 보온재(20)는 접목 집게(10)의 고정부(13, 14)에 집혀 고정되는 접목 나무(100)의 접목 부위를 감싸 수분이 스며들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감싸진 접목 부위 내부의 습도 및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3의 방수 보온재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방수 보온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와 함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방수 보온재(20)는 접목 나무(100)의 접목 부위를 감싸 방수 및 보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질의 고무 또는 피브이시(PVC)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수 보온재(20)가 반드시 연질의 고무 또는 피브이시 재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목 부위를 부드럽게 감싸며 방수 및 보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다양한 재질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한 방수 보온재(20)는 접힘 연결부(21), 접목 덮개부(22, 23) 및 고정 닫힘부(24, 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힘 연결부(21)는 중심부에서 접히며 양측에 대칭되게 연장 형성되는 접목 덮개부(22, 23) 및 고정 닫힘부(24, 25)가 서로 포개어지며 연결되어, 접목 집게(10)의 가동 중심부(15)에 인접하게 집게대들(11, 12) 사이에 끼워진다.
접목 덮개부(24, 25)는 접목 집게(10)의 각 집게대(11, 12)의 고정부(13, 14) 안착홈(13a, 14a)에 대응되게 절곡 형성되어, 접목 부위를 감싸 상기한 방수, 방습 및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접목 덮개부(22, 23)의 외측에는 상기한 각 집게대의 고정부(13, 14)에 안착홈(13a, 14a) 내측에 안착되며 끼워져 고정되도록 삽입 고정 돌기(27)가 상기 삽입공(13b, 14b)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 고정 돌기(27)는 방수 보온재(20)를 접목 집게(10)에 체결시 삽입공(13b, 14b)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작업이 용이하도록 삽입공(13b, 14b)의 깊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삽입 작업 이후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공(13b, 14b)의 깊이와 동일한 길이로 잘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접목 덮개부(22, 23)의 일측에는 각 집게대(11, 12)의 연장 단부(16, 17)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기(16a, 17a)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일측에 홈부(28, 29)를 형성하는 고정 닫힘부(24, 25)가 연장 형성된다.
고정 닫힘부(24, 25)는 접목 집게(10)로 접목 부위를 집어 고정시 고정 돌기(16a, 17a)들 사이에서 서로 맞닿으며 집게 고정부의 개방측을 닫아 폐쇄되도록 한다.
특히, 일측 고정 닫힘부(24)의 단부에는 닫힘 덮개부(26)가 연장 형성되어, 양측 고정 닫힘부(26)가 서로 맞닿아 폐쇄된 부분을 덮어 밀폐시키도록 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접목용 집게(1)는 접목 집게(10) 고정부(13, 14) 내측에서 안착홈(13a, 14a)에 대응되게 절곡된 연질의 피브이시 재질의 방수 보온재(20)를 개재시켜, 방수 보온재(20)가 접목 집게(10)로 집어 고정된 접목 부위 감싸 빗물 등의 수분이 스며들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접목에 필요한 접목 부위의 습도 및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접목용 집게 10: 접목 집게
11, 12: 집게대 11a, 12a: 탄성 부재 체결홈
13, 14: 고정부 13a, 14a: 안착홈
13b, 14b: 체결공 15: 가동 중심부
16, 17; 연장 단부 16a, 17a; 고정 돌기
18, 19: 가동 손잡이부 18a, 19a: 미끄럼 방지 돌기
20: 방수 보온재 21: 접힘 연결부
22, 23: 접목 덮개부 24, 25: 고정 닫힘부
26: 닫힘 덮개부 27: 삽입 고정 돌기
30: 탄성 부재 100: 접목 나무
101: 대목 105: 접수

Claims (8)

  1. 대목과 접수의 접목 부위를 집어 고정하도록 고정부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접목 집게; 및
    상기 접목 집게의 고정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 내에 집혀 고정된 상기 접목 부위를 감싸도록 하는 방수 보온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목 집게의 고정부에 형성된 안착홈은 폭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며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상기 접목 집게는,
    가동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상기 고정부와 가동 손잡이부를 이루는 한 쌍의 집게대; 및
    상기 각 집게대에 형성되는 탄성 부재 체결홈에 양단부가 끼워져 체결되며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접목 부위를 집어 고정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접목용 집게.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각 집게대의 고정부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 단부에서 상기 방수보온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돌기가 서로 마주하게 돌출 형성되는 접목용 집게.
  5. 제4항에서,
    상기 방수 보온재는,
    상기 접목 집게의 가동 중심부에 인접하게 상기 집게대 사이에 개재되며 접힘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힘 연결부;
    상기 접힘 연결부 양측에서 상기 집게대의 고정부 안착홈에 내측에 끼워져 상기 접목 부위를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는 접목 덮개부; 및
    상기 각 접목 덮개부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각 집게대의 연장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가 끼워져 서로 맞닿도록 형성되는 고정 닫힘부;를 포함하는 접목용 집게.
  6. 제5항에서,
    상기 각 집게대의 고정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방수 보온재의 접목 덮개부에는 상기 삽입공에 끼워져 체결 되도록 상기 삽입공에 대응되게 삽입 고정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접목용 집게.
  7. 제6항에서,
    상기 방수 보온재는,
    일측 상기 고정 닫힘부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접목 부위를 감싸 고정시한 쌍의 상기 고정 닫힘부가 서로 맞닿는 닫힌 부분을 덮도록 닫힘 덮개부가 연장 형성되는 접목용 집게.
  8. 제7항에서,
    상기 방수 보온재는,
    연질의 고무 및 피브이시(PVC) 재질로 이루어지는 접목용 집게.
KR1020110077394A 2011-08-03 2011-08-03 접목용 집게 KR101336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394A KR101336145B1 (ko) 2011-08-03 2011-08-03 접목용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394A KR101336145B1 (ko) 2011-08-03 2011-08-03 접목용 집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416A KR20130015416A (ko) 2013-02-14
KR101336145B1 true KR101336145B1 (ko) 2013-12-06

Family

ID=47895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394A KR101336145B1 (ko) 2011-08-03 2011-08-03 접목용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1314A (zh) * 2019-01-23 2019-04-30 甘肃正翰菁泰环保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花卉种植用枝条嫁接专用固定夹
KR102231168B1 (ko) * 2019-03-04 2021-03-23 신영식 접목용 집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0627A (ja) 2002-12-05 2004-07-0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接ぎ木用クリップ
KR20050034521A (ko) * 2003-12-09 2005-04-14 박청일 과일 매다는 집게
JP2006075091A (ja) * 2004-09-10 2006-03-23 ▲吉▼川 正雄 移動式園芸用紐張りクリップ
KR20100003161U (ko) * 2008-09-11 2010-03-19 김선형 못 받기 보조 펜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0627A (ja) 2002-12-05 2004-07-0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接ぎ木用クリップ
KR20050034521A (ko) * 2003-12-09 2005-04-14 박청일 과일 매다는 집게
JP2006075091A (ja) * 2004-09-10 2006-03-23 ▲吉▼川 正雄 移動式園芸用紐張りクリップ
KR20100003161U (ko) * 2008-09-11 2010-03-19 김선형 못 받기 보조 펜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416A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145B1 (ko) 접목용 집게
KR20140091792A (ko) 농작물용 집게
JP2001299107A (ja) 野菜栽培及び園芸用クリップ
JP5079123B1 (ja) 接ぎ木用把持具
KR20160010973A (ko) 작물 줄기 고정구
KR20130129549A (ko) 다양한 직경의 접목이 가능한 접목집게
JP7233695B2 (ja) 植物茎誘引用クリップ
KR101819962B1 (ko) 과실나무 가지 유인장치
KR200204164Y1 (ko) 비가림 장치의 비닐 고정집게
KR101451029B1 (ko) 농작물 지지끈 고정집게
KR101701593B1 (ko)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용 집게
JP2004329175A (ja) 接ぎ木保持具
KR102231168B1 (ko) 접목용 집게
KR101696178B1 (ko) 가지 유인용 클립
KR200437720Y1 (ko) 식물줄기용 집게
KR102177915B1 (ko) 3자 형상을 갖는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
JP3142821U (ja) 園芸用ピンチ
KR100604954B1 (ko) 오이 집게
KR20160005389A (ko) 접목 집게
KR20110037700A (ko) 밴드 케이블 절단가위
JP2006075091A (ja) 移動式園芸用紐張りクリップ
JP2000188964A (ja) 野菜栽培及び園芸用クリップ
KR200227675Y1 (ko) 고추나무 지지용끈 묶음장치
KR200470341Y1 (ko) 과채류 접목용 접목 클립
KR20160094642A (ko) 접목 집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