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202B1 - 농작물 고정용 집게 - Google Patents

농작물 고정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202B1
KR100772202B1 KR1020060073923A KR20060073923A KR100772202B1 KR 100772202 B1 KR100772202 B1 KR 100772202B1 KR 1020060073923 A KR1020060073923 A KR 1020060073923A KR 20060073923 A KR20060073923 A KR 20060073923A KR 100772202 B1 KR100772202 B1 KR 100772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rop
groove
tong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하
Original Assignee
김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하 filed Critical 김태하
Priority to KR1020060073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2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A01G17/085Espalier machines; Ty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Abstract

본 발명 농작물 고정용 집게는, 일단이 상호 접촉되고 타단은 서로 이격되게 탄성 지지되는 한 쌍의 집게부재로 이루어지되, 상호 접촉되는 일단의 접촉면에는 대목(臺木)에 접수(接穗)를 고정하거나 작물을 와이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는 그 중단에 힌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홈과 힌지부 사이에는 작물 유인홈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와 작물 유인홈 사이에는 유인줄 고정수단이 마련된다.
따라서 농작물 고정용 집게에 의하여 작물의 줄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물의 원할한 성장을 보장할 수 있으며, 수직으로 설치된 유인줄과 그를 따라 성장하는 줄기를 한꺼번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어, 작업이 간단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농작물 고정용 집게, 집게부, 가압부, 고정홈, 작물 유인홈

Description

농작물 고정용 집게{Fixing nipper for farm produc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고정용 집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고정용 집게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고정용 집게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고정용 집게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집게부재 20 : 힌지부
30 : 집게부 40 : 가압부
50 : 고정홈 60 : 작물 유인홈
70 : 고정수단
본 발명은 농작물 고정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인줄에 의지하는 작물의 줄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인줄에 작물 줄기를 더욱 간편하고 신속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농작물 고정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 고정용 집게는 어린 작물(농작물, 이하 작물이라 함)이나 어린 묘목을 곧게 자라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재배하는 작물의 일측에 유인줄을 설치하고 유인줄에 농작물 고정용 집게를 마련하여 작물이 유인줄을 따라 성장하게 함으로써 작물이 곧게 자라도록 한다.
특히, 오이나 호박 등과 같은 넝쿨 식물의 경우에는 작물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그 넝쿨이 주변의 지형지물에 감기기 때문에 유인줄과 농작물 고정용 집게를 이용하여 작물의 성장을 돕는 작업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농작물 고정용 집게는 유인줄과 작물 연결하는 데에는 큰 어려움이 없으나, 유인줄에 농작물 고정용 집게를 걸어둔 상태로 작물을 고정하기 때문에 작물의 성장에 의해 농작물 고정용 집게가 유인줄을 따라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농작물 고정용 집게가 이동하게 되면, 인접한 다른 농작물 고정용 집게와 간섭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작물이 곧게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하지 못함으로서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그리하여 일부 농가에서는 농작물 고정용 집게를 대신해 나일론 끈이나 테이프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끈이나 테이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집게를 이용하는 것보다 작업량이 많아서 인건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넝쿨 식물의 경우에는 작물이 충분히 성장하면, 넝쿨손이 자랄 방향을 인위적으로 바꾸어주 어야 넝쿨 식물에 열리는 열매의 관리 및 수확이 용이하게 되는데, 끈이나 테이프 등을 이용해 작물의 줄기를 지지부재에 고정한 경우에는 이를 일일이 풀거나 절단한 후 다시 고정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량이 가중되고, 작업 시간도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농작물 고정용 집게에 의하여 작물의 줄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직으로 설치된 유인줄과 그를 따라 성장하는 줄기를 한꺼번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고정용 집게는, 일단이 상호 접촉되고 타단은 서로 이격되게 탄성 지지되는 한 쌍의 집게부재로 이루어지되, 상호 접촉되는 일단의 접촉면에는 대목(臺木)에 접수(接穗)를 고정하거나 작물을 와이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는 그 중단에 힌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홈과 힌지부 사이에는 작물 유인홈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와 작물 유인홈 사이에는 유인줄 고정수단이 마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고정용 집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고정용 집게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고정용 집게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고정용 집게는 좌우 대칭형으로 분할 형성된 한 쌍의 집게부재(10)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10)는 그 중단에 형성된 힌지부(20)에 의해 서로 맞물려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10)는 그 일단이 상호 접촉되고 타단은 서로 이격되게 탄성 지지된다. 여기서 편의상 상호 접촉되는 일단을 집게부(30), 서로 이격되는 타단을 가압부(40)라 명명(命名)한다.
상기 집게부재(10) 일단의 접촉면, 즉 집게부(30)의 접촉면(32)에는 대목(臺木)에 접수(接穗)를 고정하거나 작물을 유인줄(도 4의 w)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50)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50)은 한 쌍의 집게부(10)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접촉면(32)이 상호 접촉됨에 따라 타원을 형성하게 되고, 타원을 형성한 상기 고정홈(50)은 집게부(30)의 상하를 관통한다. 이때, 상기 고정홈(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타원으로 형성되는 바, 작물이나 묘목의 줄기가 고정홈(50)의 내측면 에 직접 접촉되어도 손상되지 아니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홈(50)의 내측면에 복수의 요철(미도시)이 형성하게 되면, 상기 요철에 의해 작물이나 묘목의 줄기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이 인가되어도 상기 농작물 고정용 집게가 쉽게 이동되지 아니하므로 인접한 다른 농작물 고정용 집게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요철이 형성된 상기 고정홈(50)은 대목에 접붙여진 접수가 쉽게 분리되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집게부재(10)의 중단에 마련된 힌지부(20)와 상기 고정홈(50) 사이에는 작물이 곧게 성장할 수 있도록 작물을 보호하고 성장방향을 유도하는 반원형의 작물 유인홈(60)이 형성된다. 상기 작물 유인홈(60)은 상기 고정홈(50)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집게부(30)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접촉면(32)이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원을 이루며 집게부(30)의 상하를 관통한다. 이때, 상기 작물 유인홈(60)은 기 출원된 농작물 고정용 집게에는 모두 적용되어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집게부재(10)의 중단에 마련된 힌지부(20)와 상기 작물 유인홈 사이에는 고정홈(50) 사이에는 농작물 고정용 집게를 유인줄(w)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70)이 마련된다. 상기 고정수단(7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72)와, 상기 결합돌기(72)의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홈(7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72)와 결합홈(74)은 상기 집게부(30)마다 한 쌍씩 형성되어, 집게부(30)의 접촉면(32)이 상호 접촉될 경우 결합돌기(72)의 일부가 결합 홈(74)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고정수단(70)을 이용하여 유인줄(w)에 상기 농작물 고정용 집게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한 쌍의 집게부(30)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가압부(40)를 가압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각 집게부재(10)마다 형성된 상기 결합돌기(72) 및 결합홈(74) 사이에 유인줄(w)이 위치되도록 한다. 그 후, 가압하던 가압부(40)를 놓으면 상기 집게부(30)가 서로 접근하며 결합돌기(72)의 일부가 결합홈(74)에 삽입되고, 상기 유인줄(w)은 결합돌기(72)와 함께 결합홈(7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유인줄(w)은 상기 결합돌기(72) 및 결합홈(74)에 의해 물려 고정된다.
한편, 상기 힌지부(20)는 힌지돌기(22)와, 상기 힌지돌기(22)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홈(2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한 쌍의 가압부(40) 사이에는 상기 집게부(30) 및 가압부(40)가 상호 접촉 및 서로 이격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수단(미도시)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돌기(22)와 힌지홈(24)을 포함하는 힌지부(20) 및 탄성수단(미도시)은 일반적인 것인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고정용 집게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두 가닥의 유인줄(w)은 집게부재(10)에 형성된 고정홈(50)과 고정수단(70)에 각각 물려서 고정되고, 상기 유인줄(w)을 따라 자라는 작물의 줄기는 집게부재(10)의 중앙에 형성된 작물 유인 홈(60)을 관통하게 된다. 따라서 작물의 줄기는 외부로부터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아니한 상태, 즉 본 발명 농작물 고정용 집게에 의해 보호된 상태로 성장하는 바, 기상 악화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이유로 작물의 성장 과정에서 줄기가 한쪽으로 넘어지더라도 농작물 고정용 집게가 이를 잡아줌으로써 작물의 안정적인 성장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농작물 고정용 집게에 형성된 고정홈(50)은 그 횡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바, 작물이나 묘목의 줄기가 상기 고정홈(50)의 내측에 직접 닿더라도 원형 곡률에 의해 작물이나 줄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50)에 요철을 형성할 경우, 대목에 접붙여진 접수가 쉽게 분리되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합돌기(도 3의 72)의 돌출 길이 및 결합홈(도 3의 74)의 삽입 깊이를 각각 길고 깊게 형성할 경우, 유인줄(w)에 고정되는 농작물 고정용 집게가 더욱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고정용 집게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고정용 집게는, 농작물 고정용 집게에 의하여 작물의 줄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물의 원활한 성장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수평으로 설치된 유인줄과 수직으로 자라는 줄기를 한꺼번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어, 작업이 간단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일단이 상호 접촉되고 타단은 서로 이격되게 탄성 지지되는 한 쌍의 집게부재로 이루어진 농작물 고정용 집게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가 상호 접촉되는 일단의 접촉면에는 대목(臺木)에 접수(接穗)를 고정하거나 작물을 유인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의 중단에는 힌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홈과 힌지부 사이에는 작물 유인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와 작물 유인홈 사이에는 유인줄 고정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유인줄 고정수단은,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의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농작물 고정용 집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각 집게부재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농작물 고정용 집게.
KR1020060073923A 2006-08-04 2006-08-04 농작물 고정용 집게 KR100772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923A KR100772202B1 (ko) 2006-08-04 2006-08-04 농작물 고정용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923A KR100772202B1 (ko) 2006-08-04 2006-08-04 농작물 고정용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2202B1 true KR100772202B1 (ko) 2007-11-01

Family

ID=39060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923A KR100772202B1 (ko) 2006-08-04 2006-08-04 농작물 고정용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220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5335A (zh) * 2014-08-24 2015-01-07 苗建军 一种吊放蔓用钳
KR20170002064U (ko) 2015-12-03 2017-06-13 신창순 유인 집게
KR101841421B1 (ko) * 2015-11-12 2018-03-23 김재헌 농작물 고정을 위한 줄 고정집게
KR102291724B1 (ko) 2021-05-14 2021-08-20 권정순 농작물 결속용 집게
KR20230002312U (ko) 2022-05-30 2023-12-07 윤상국 작물 고정용 집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592A (ko) * 2000-03-08 2000-06-05 조영현 농작물 가지집게
KR200373413Y1 (ko) 2004-10-27 2005-01-15 박동기 줄기작물 성장용 로프 고정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592A (ko) * 2000-03-08 2000-06-05 조영현 농작물 가지집게
KR200373413Y1 (ko) 2004-10-27 2005-01-15 박동기 줄기작물 성장용 로프 고정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5335A (zh) * 2014-08-24 2015-01-07 苗建军 一种吊放蔓用钳
KR101841421B1 (ko) * 2015-11-12 2018-03-23 김재헌 농작물 고정을 위한 줄 고정집게
KR20170002064U (ko) 2015-12-03 2017-06-13 신창순 유인 집게
KR102291724B1 (ko) 2021-05-14 2021-08-20 권정순 농작물 결속용 집게
KR20230002312U (ko) 2022-05-30 2023-12-07 윤상국 작물 고정용 집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8175B1 (en) Resilient fastening clip for plants
KR100772202B1 (ko) 농작물 고정용 집게
KR20070075231A (ko) 나무의 접붙이기 방법
KR20140091792A (ko) 농작물용 집게
KR100816652B1 (ko) 식물 고정용 집게
KR101811679B1 (ko)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
KR20160010973A (ko) 작물 줄기 고정구
KR20080071674A (ko) 접목집게
KR20200002316U (ko) 접목용 집게
KR101192281B1 (ko) 밀식재배를 위한 과수묘목 및 그 제조방법
US20070113470A1 (en) Plant support apparatus
CN217608460U (zh) 一种林园嫁接用固定夹
KR200486943Y1 (ko) 체리 나무 재배 시설
KR101819962B1 (ko) 과실나무 가지 유인장치
JP3801578B2 (ja) 接ぎ木保持具
KR20120000654A (ko) 원예용 접목클립
JP2001299107A (ja) 野菜栽培及び園芸用クリップ
KR20130129549A (ko) 다양한 직경의 접목이 가능한 접목집게
KR20140122911A (ko) 대목 다단 접목법
KR102168129B1 (ko) 넝쿨작물용 줄기 유인용 집게
KR102231168B1 (ko) 접목용 집게
JP3011406B1 (ja) 野菜栽培及び園芸用クリップ
KR200395966Y1 (ko) 수목가지 유인구
JP3142821U (ja) 園芸用ピンチ
KR102177915B1 (ko) 3자 형상을 갖는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