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285B1 - 원예용 접목클립 - Google Patents

원예용 접목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285B1
KR101191285B1 KR1020100061010A KR20100061010A KR101191285B1 KR 101191285 B1 KR101191285 B1 KR 101191285B1 KR 1020100061010 A KR1020100061010 A KR 1020100061010A KR 20100061010 A KR20100061010 A KR 20100061010A KR 101191285 B1 KR101191285 B1 KR 101191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fting
clip
torsion spring
handle
hand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654A (ko
Inventor
홍정호
Original Assignee
홍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호 filed Critical 홍정호
Priority to KR1020100061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285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게부 및 손잡이부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접목클립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는 비틀림스프링이 삽입?결합되며, 상기 집게부의 선단 내측과 손잡이부의 하단 외측에는 다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 대칭의 집게부와 손잡이부가 맞닿는 내측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접목클립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오이, 수박, 멜론, 토마토, 고추 등의 접수와 접목용 대목을 접목시킬 때 접목클립의 비틀림스프링을 손잡이부 내측에 형성하여 상기 비틀림스프링의 탄성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집게부에 의한 접목 부위의 밀착력을 높여 접목성공률 및 접목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된 몸체에 상기 비틀림스프링의 조립이 용이하여 접목클립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할 뿐더러 이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 생산 후 접목클립이 오랜 기간 동안 포장되어 있을지라도 서로 끼거나 엉키지 않으며, 비틀림스프링의 탄성강도 조절을 통해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원예용 접목클립{Clip available for grafting work}
본 발명은 원예용 접목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이, 수박, 멜론, 토마토, 고추 등의 접수와 접목용 대목을 접목시킬 때 접목클립의 비틀림스프링을 손잡이부 내측에 형성하여 상기 비틀림스프링의 탄성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집게부에 의한 접목 부위의 밀착력을 높여 접목성공률 및 접목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된 몸체에 상기 비틀림스프링의 조립이 용이하여 접목클립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할 뿐더러 이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원예용 접목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목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식물을 인위적으로 만든 절단면을 따라 이어서 하나의 개체로 만드는 재배 기술을 말하며, 이 경우 한 식물은 뿌리를 남겨 영양분을 공급해 주는 바탕 나무가 되는데, 이런 나무를 대목이라고 하며 실제로 과실 등을 얻기 위한 목적이 되는 나무를 접수라고 한다.
이러한 접목의 성공을 위해 묘가 어릴 때 접목하게 되는데, 대목 즉, 뿌리 쪽으로 사용되는 묘는 야성이 강한 품종으로 하고, 접수 즉, 줄기 쪽으로 사용되는 묘는 열매가 우수한 품종으로 하여 대목에다 접수를 붙여 재배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접목의 성공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10) 및 손잡이부(30)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탄력을 제공하는 원형스프링(50)이 손잡이부(30)를 관통하여 집게부(10)의 양쪽 외측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접목클립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접목클립은 집게형태의 몸체에 접목시 필요한 탄성을 얻기 위해 원형스프링을 조립한 것으로, 상기 원형스프링의 양단부는 집게부를 누르고 손잡이부에 형성된 개방구를 통해 원형스프링을 결합한다고는 하나 원형스프링의 단부를 넓힌 상태에서 개방구를 관통하여 삽입?조립해야 하므로 조립성이 떨어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원형스프링은 제조시 필요한 탄성을 얻기 위해 양쪽의 절단면이 서로 지나쳐 절단되는데, 이때 상기 원형스프링의 탄성이 양쪽 절단면에 정확하게 작용하지 못하고 일부 탄성은 좌우로 작용하게 되므로 일정기간 사용 후에는 집게부가 좌우로 파손되고, 또 접목 부위의 고정 후에도 접목클립이 좌우로 벌어지는 문제로 상기 접목 부위에 짖물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원형스프링은 접목클립의 몸체에 하나의 스프링을 작업자가 일일이 벌려 조립해야 하므로 필요 이상으로 스프링의 지름이 커질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접목클립의 몸체 또한 커질 수밖에 없어 어린 묘 상태에서의 접수와 대목은 접목 후 접목클립의 중량에 의해 아래로 쳐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이, 고추, 수박, 토마토, 메론 등의 접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접목클립의 탄성강도는 다양하다 할 것인데, 종래의 접목클립은 탄성강도의 조절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접목클립은 원형스프링을 접목클립의 몸체에 조립하기 위해 반드시 손잡이부에 개방구가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손잡이부의 중간에 공간이 없는 형태에 비해 그 강도가 약해지게 되므로 접목클립의 집게부를 벌리기 위해 손가락으로 손잡이부를 누르면 그 힘으로 인해 상기 손잡이부가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틀림스프링을 손잡이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결합시켜 스프링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고 스프링 조립을 위한 별도의 공간도 필요 없게 되어 접목클립의 몸체에 스프링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접목클립의 소형화 및 경량화와 함께 생산성이 향상되며, 또 손잡이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스프링의 탄성을 극대화한 지렛대 원리로 집게부에 의한 접목 부위의 밀착력을 높여 접목성공률 및 접목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또 비틀림모멘트를 가지는 비틀림스프링 장착으로 비틀림의 횟수를 변경하여 접목클립의 탄성 조절이 용이하며, 또 비틀림스프링의 사용으로 접목클립의 손잡이부에 스프링 조립을 위한 공간이 전혀 필요치 않아 접목클립의 집게부를 벌리기 위해 손가락으로 손잡이부의 양쪽을 누르게 되더라도 접목클립의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원예용 접목클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예용 접목클립은, 집게부 및 손잡이부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접목클립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는 비틀림스프링이 삽입?결합되며, 상기 집게부의 선단 내측과 손잡이부의 하단 외측에는 다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 대칭의 집게부와 손잡이부가 맞닿는 내측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구부러진 파지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틀림스프링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홈의 하단부에는 각각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소정길이의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오이, 수박, 멜론, 토마토, 고추 등의 접수와 접목용 대목을 접목시킬 때 접목클립의 비틀림스프링을 손잡이부 내측에 형성하여 상기 비틀림스프링의 탄성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집게부에 의한 접목 부위의 밀착력을 높여 접목성공률 및 접목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된 몸체에 상기 비틀림스프링의 조립이 용이하여 접목클립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할 뿐더러 이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 생산 후 접목클립이 오랜 기간 동안 포장되어 있을지라도 서로 끼거나 엉키지 않으며, 비틀림스프링의 탄성강도 조절을 통해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종래의 접목클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원예용 접목클립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 - 도 2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 도 3의 단면도.
도 5 -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원예용 접목클립(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좌우 대칭의 집게부(110) 및 손잡이부(120)와 비틀림스프링(1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120)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121)에는 비틀림스프링(130)이 삽입?결합된다. 물론 상기 비틀림스프링(130)의 비틀림 횟수는 오이, 고추, 수박, 토마토, 메론 등의 접수 종류에 따라 변경가능하도록 하여 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비틀림스프링(130)의 견고한 고정과 결합을 위해, 상기 비틀림스프링(130)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홈(121)의 하단부에는 각각 걸림턱(121a)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21a)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소정길이의 걸림돌기(121b)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비틀림스프링(130)의 양단부, 즉 상하부에 위치한 스프링의 끝단이 이탈되거나 고정홈(121) 내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의 끝단에 대응하도록 걸림턱(121a) 및 걸림돌기(121b)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집게부(110)의 선단 내측과 손잡이부(120)의 하단 외측에는 다수의 지지돌기(111,122)를 형성하여 접목 부위의 파지 및 밀착과 작업자의 손가락으로 인한 손잡이부(120)의 파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120)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구부러진 파지면(123)이 형성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파지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작업자가 접목을 위해 상기 손잡이부(120)를 집고서 힘을 가하는 경우 일직선으로 경사져 형성된 손잡이부(120)로 인해 종종 접목클립(100)을 놓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부(120)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구부러지되 양측에 위치한 파지면(123)이 거의 평행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대칭의 집게부(110)와 손잡이부(120)가 맞닿는 내측은 생산성 향상을 위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집게부(110) 및 손잡이부(120)를 분리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때 상기 분리된 집게부(110) 및 손잡이부(120)는 별도의 조립을 위한 축핀이 필요하므로 조립이 번거로워 좌우 대칭의 집게부(110) 및 손잡이부(120)를 일체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 원예용 접목클립
110: 집게부 111,122: 지지돌기
121: 고정홈 121a: 걸림턱
121b: 걸림돌기 122: 파지면
130: 비틀림스프링

Claims (3)

  1. 집게부(110) 및 손잡이부(120)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120)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홈(12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121)에는 비틀림스프링(130)이 삽입?결합되고, 상기 집게부(110)의 선단 내측과 손잡이부(120)의 하단 외측에는 다수의 지지돌기(111,122)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원예용 접목클립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110)의 선단 내측에 형성된 지지돌기(111)는 첨예한 형상으로 구성되고(구성요소 1);
    상기 좌우 대칭의 집게부(110)와 손잡이부(120)가 맞닿는 내측은 서로 연결된 일체로 구성되며(구성요소 2);
    상기 손잡이부(120)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구부러진 파지면(123)이 형성되고, 그 파지면(123)에 다수의 지지돌기(122)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구성요소 3)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접목클립.
  2. 삭제
  3. 삭제
KR1020100061010A 2010-06-28 2010-06-28 원예용 접목클립 KR101191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010A KR101191285B1 (ko) 2010-06-28 2010-06-28 원예용 접목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010A KR101191285B1 (ko) 2010-06-28 2010-06-28 원예용 접목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654A KR20120000654A (ko) 2012-01-04
KR101191285B1 true KR101191285B1 (ko) 2012-10-16

Family

ID=45608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010A KR101191285B1 (ko) 2010-06-28 2010-06-28 원예용 접목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2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133B1 (ko) * 2012-09-03 2014-05-0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병리검사용 집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3941A1 (ko) * 2012-06-07 2013-12-12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집게
WO2018168259A1 (ja) 2017-03-17 2018-09-20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WO2018173575A1 (ja) 2017-03-21 2018-09-27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成形システム及び成形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781Y1 (ko) 1999-08-25 2000-03-15 윤영도 농작물 순 고정용 집게
JP2003339251A (ja) * 2002-05-29 2003-12-02 Yuko Furuya 農業園芸用クリップ
KR200421152Y1 (ko) 2006-04-29 2006-07-07 채승병 접목용 집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781Y1 (ko) 1999-08-25 2000-03-15 윤영도 농작물 순 고정용 집게
JP2003339251A (ja) * 2002-05-29 2003-12-02 Yuko Furuya 農業園芸用クリップ
KR200421152Y1 (ko) 2006-04-29 2006-07-07 채승병 접목용 집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133B1 (ko) * 2012-09-03 2014-05-0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병리검사용 집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654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285B1 (ko) 원예용 접목클립
KR20150097091A (ko)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
KR200421152Y1 (ko) 접목용 집게
KR20080071674A (ko) 접목집게
EP3214918B1 (en) Plant support collar
KR20200002316U (ko) 접목용 집게
KR101192281B1 (ko) 밀식재배를 위한 과수묘목 및 그 제조방법
KR200475315Y1 (ko) 과일 수확용 기구
JP2011160774A (ja) クリップ
KR20130129549A (ko) 다양한 직경의 접목이 가능한 접목집게
JP5079122B1 (ja) 接ぎ木用ホルダー
JP2012249542A (ja) 接ぎ木用把持具
JP2001299107A (ja) 野菜栽培及び園芸用クリップ
KR200170781Y1 (ko) 농작물 순 고정용 집게
KR100634701B1 (ko) 고구마 순 심는 장치
KR102231168B1 (ko) 접목용 집게
KR200395966Y1 (ko) 수목가지 유인구
KR101935727B1 (ko) 농작물용 가지집게
KR20160005389A (ko) 접목 집게
KR200480618Y1 (ko) 고추 꽃 제거기
KR102177915B1 (ko) 3자 형상을 갖는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
JP3159782U (ja) 苗接木具
KR200343109Y1 (ko) 고구마 순 심는 장치
KR20170051969A (ko) 접목 집게 및 접목 집게를 성형하는 방법
CN214758147U (zh) 一种嵌入型花卉及观叶植物收束导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