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930B1 - 접목용 집게 - Google Patents

접목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930B1
KR101256930B1 KR1020110121528A KR20110121528A KR101256930B1 KR 101256930 B1 KR101256930 B1 KR 101256930B1 KR 1020110121528 A KR1020110121528 A KR 1020110121528A KR 20110121528 A KR20110121528 A KR 20110121528A KR 101256930 B1 KR101256930 B1 KR 101256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grafting
pressing plate
tongs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준
Original Assignee
오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창준 filed Critical 오창준
Priority to KR1020110121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A01G17/085Espalier machines; Ty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목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매가 열리는 과채류의 접목 작업에 사용되는 과채류 접목용 플라스틱 집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목용 집게는 쌍을 이루는 손잡이(20)와,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어 접목묘를 잡는 쌍을 이루는 누름판(30)과, 탄성력에 의한 누르는 힘을 상기 누름판에 전달하는 스프링(40)를 포함하되, 상기 누름판(30)은 몸체부(32)와 선단부(34)로 이루어지며, 양쪽의 누름판 몸체부(32) 사이에는 접목묘가 위치할 소정의 공간(36)이 형성되고, 양쪽 누름판의 선단부(34)는 서로 엇갈려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목용 집게{Clip for clipping grafted point of fruit vegetable}
본 발명은 접목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매가 열리는 과채류의 접목 작업에 사용되는 과채류 접목용 플라스틱 집게에 관한 것이다.
열매가 열리는 채소를 과채류(fruit vegetable)라고 하는데 수박, 참외, 오이, 토마토, 가지, 고추 등이 이에 해당한다. 품종회사에서는 매년 고품질의 새 품종을 개발하여 출시하지만 이는 생육환경이 예민해서 일반적 영농조건에선 재배가 쉽지않다. 이를 해결하는 영농기술이 바로 접목(Grafting) 작업이다. 묘를 만들어가는 중간 단계에서 병충해에 강한 품종을 뿌리(대목, Root stock)로 하고, 고품질의 품종을 줄기(접수, Scion)로 하여 접목묘를 만들어 냄으로서 병충해에도 강하고 열매도 우수한 최선의 결과를 얻어내는 기술이 바로 과채류 접목인 것이다.
이때, 대목과 접수의 절단 된 부위를 합치시켜 약 일주일 정도의 활착 기간 동안 고정시켜주는 기능을 해주는 것이 바로 접목 집게이다.
즉, 접목용 집게는 줄기로 사용되는 접수와 뿌리로 사용되는 대목을 서로 체결시켜 도구로서, 접목직후 체결하였다가 일주일 후 활착(수관이 뿌리에서 줄기로 연결되는 과정)이 이루어지면 제거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접목 집게의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접목용 집게(1)는 기본적으로 손잡이(2), 누름판(3),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손잡이(2) 양쪽을 누르게 되면 누름판(3)이 벌려지고, 손잡이(2)에서 손을 때면 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누름판(3)을 누르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접목용 집게는 원형의 스프링을 사용하고 누름판의 선단이 서로 맞닿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접목 대상의 식물체는 생물이나 보니 줄기의 굵기가 2mm 내외로 줄기마다 굵기가 상이하다. 종래의 접목용 집게는 구조상 이와 같은 줄기의 굵기 변화에 대응할 수 없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즉, 줄기의 굵기가 보다 굵은 경우에는 스프링의 과도한 힘에 의해 접목 부분에 상처를 가할 수 있으며, 줄기의 굵기가 보다 얇은 경우에는 누름판이 누르는 힘이 약하여 접목이 완전히 되지 않을 위험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접목용 집게는 작업자 대목과 접수의 접목 부분이 제대로 접목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접목용 집게는 원형의 스프링을 사용함으로, 힘의 좌우 불균형으로 인하여 뒤틀림 현상이 발생될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목 부분을 부드럽게 감싸는 허깅(hugging) 구조를 채택하여 줄기의 굵기에 자유로이 대응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접목 부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스프링 힘의 불균형에 의한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과채류 접목용 플라스틱 집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목용 집게는 쌍을 이루는 손잡이(20)와,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어 접목묘를 잡는 쌍을 이루는 누름판(30)과, 탄성력에 의한 누르는 힘을 상기 누름판에 전달하는 스프링(40)를 포함하되, 상기 누름판(30)은 몸체부(32)와 선단부(34)로 이루어지며, 양쪽의 누름판 몸체부(32) 사이에는 접목묘가 위치할 소정의 공간(36)이 형성되고, 양쪽 누름판의 선단부(34)는 서로 엇갈려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40)은 양단이 양쪽의 누름판을 각각 누르되, 삼각형 형상을 지니며,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40)은 중심은 오목홈(42)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목묘의 접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상기 양쪽 누름판 몸체부(32) 사이에 소정의 이격 틈새(38)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목용 집게는 누름판의 선단부가 서로 엇갈려 교차하는 허깅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접목묘의 손상을 방지하고 접목묘의 굵기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목 집게는 누름판 몸체부 사이에 이격 틈새를 형성하도록 구성하여 집게를 열어보지 않고도 체결된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삼각형 스프링 및 그 중심에 오목홈을 형성함으로써 스프링의 좌우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고 중심 위치로 제공하며, 안정감 있는 가압력(압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원형 스프링을 갖는 접목용 집게의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목용 집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목용 집게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목용 집게의 평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접목용 집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목용 집게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목용 집게(10) 또한 기본적으로 손잡이(20), 누름판(30), 스프링(40)을 가지나, 종래의 접목용 집게와는 다른 구조를 지니고 있다.
손잡이(20)는 쌍을 이루며 양쪽으로 형성된다. 손잡이(20)는 사람의 악력에 의해 양쪽의 누름판(30)을 벌려 주는 부분이다.
손잡이(20)와 연결된 누름판(30)은 접목묘을 잡는 부분으로써 손잡이와 동일하게 쌍을 이룬다.
누름판(30)은 몸체부(32)와 선단부(34)로 이루어지는데, 몸체부(32)는 접목묘를 감싸서 고정시키는 부분으로써 양쪽의 누름판 몸체부(32) 사이에는 접목묘가 위치할 소정의 공간부(36, 도 5 참조)가 형성된다.
선단부(34)는 몸체부(32)과 일자로 연결된 선단으로서, 양쪽의 선단부(34)는 서로 엇갈려 교차되는 구조를 가진다. 선단부(34)가 위와 같이 서로 엇갈려 교차되는 구조를 갖는 이유는 좌우측의 누름판이 접목묘를 감싸고 끌어안아 주는 허깅(hugging) 구조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종래의 도 1에서와 같이 누름판의 선단이 서로 맞닿는 구조의 경우에는 스프링에 의한 압착력에 의해서 접목묘를 누르게 되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선단부가 서로 엇갈려 교차되는 구조는 접목묘를 감싸고 끌어안아 주는 듯한 허깅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본 발명에서의 구조는 양쪽 손가락을 깍지를 끼워 손가락 끝단이 아니라 손가락 안쪽 부분을 이용하여 연필 등의 물건을 잡을 때 마치 끌어안아 주는 듯한 효과를 지님으로 이를 응용한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누름판의 구조는 접목묘에 스프링의 압착력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전달된다 할 것임으로 접목묘에 가해지는 손상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끌어 안아주는 허깅 구조임으로 줄기의 굵기가 다소 변화가 있더라도(1.6~2.5mm), 별다른 조절 장치 없이 견고히 체결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목용 집게의 정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접목묘의 접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양쪽 누름판 몸체부(32) 사이에 소정의 이격 틈새(38)가 형성된다. 즉, 누름판의 선단부 방향에서 양쪽 누름판 안쪽면을 볼 수 있도록 양쪽 누름판 몸체 사이에 소정의 이격 틈새(38)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접목 결과를 샘플링 검사하고자 할 때 집게를 열어보지 않고도 접목 집게가 체결된 상태에서 확인가능하다. 이는 활착이 진행되는 약 1주일동안 활착진행 상황을 확인하는데 매우 요긴하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접목용 집게의 스프링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목용 집게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프링(40)은 탄성력에 의한 누르는 힘을 상기 누름판(30)에 전달하는 부분이다. 본원 발명에서는 스프링의 구조는 원형이 아니라 삼각형의 형상을 지닌다. 삼각형 구조의 스프링은 원형 구조의 스프링에 비하여, 밑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중심을 잡아 줌으로 좌우 뒤뜰림이 없으며, 누름판에 대해 수직으로 누르는 힘을 가하는 것이 아니라, 약간 옆으로 누르는 힘을 가함으로 누름판 양단에 보다 안정적으로 누르는 힘을 전달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의 밑변에 해당하는 스프링의 중심 부분에 오목홈(42)이 형성된다. 이는 스프링의 좌우 뒤틀림을 보다 확실히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스프링의 중심 위치를 정확히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접목용 집게에 있어, 삼각형 스프링은 좌우 뒤틀림이 없는 푸싱 중심 기능의 스프링으로서, 종래의 원형 스프링에서 삼각형 구조로 변경하여 푸싱 중심 위치를 정확히 제공하며, 제작 과정에서 플라스틱 사출 집게에 스프링을 자동기계에 끼울 때 중심 위치로서 활용이 가능하며, 접목 로봇과 연계한 자동 클리핑으로 작동시 푸셔 작동의 중심 위치를 제공하여 좌우 불균형에 의한 뒤틀림을 배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삼각형 스프링의 양 단부는 소정의 각도 휘어져 있으며, 스프링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안치되도록 양쪽 누름판의 몸체부 외측면에는 'ㄷ'자 형상의 걸림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 삼각형 스프링의 양 단부가 소정의 각도 휘어진 이유는 스프링의 양쪽 끝단이 아니라, 양쪽 끝단의 아래 부분에서 누름판을 지끗히 눌러주는 효과, 안정적으로 누름판을 눌러주는 효과를 주기 위한 것이다. 또한, 양단부가 휘어진 스프링(40)의 양단을 안정적으로 고정 안치시키기 위해서 양쪽 누름판의 몸체부 외측면에 'ㄷ'자 형상의 걸림돌기(33)를 형성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제작될 수 있으며, 스프링은 철재 또는 스테인리스제 등 금속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집게 2: 손잡이
3: 누름판 4: 스프링
10: 집게 20: 손잡이
30: 누름판 32: 몸체부
33: 걸림돌기 34: 선단부
36: 공간부 38: 이격 틈새
40: 스프링 42: 오목홈
100: 접목묘
102: 접수 104: 대목

Claims (4)

  1. 쌍을 이루는 손잡이(20)와,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어 접목묘를 잡는 쌍을 이루는 누름판(30)과,
    탄성력에 의한 누르는 힘을 상기 누름판에 전달하는 스프링(40)를 포함하되,
    상기 누름판(30)은 몸체부(32)와 선단부(34)로 이루어지며,
    양쪽의 누름판 몸체부(32) 사이에는 접목묘가 위치할 소정의 공간(36)이 형성되고,
    양쪽 누름판의 선단부(34)는 서로 엇갈려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용 집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40)은 삼각형 형상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용 집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40)은 중심은 오목홈(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용 집게.
  4. 제 1항에 있어서,
    접목묘의 접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양쪽 누름판 몸체부(32) 사이에 소정의 이격 틈새(3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용 집게.

KR1020110121528A 2011-11-21 2011-11-21 접목용 집게 KR101256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528A KR101256930B1 (ko) 2011-11-21 2011-11-21 접목용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528A KR101256930B1 (ko) 2011-11-21 2011-11-21 접목용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6930B1 true KR101256930B1 (ko) 2013-04-19

Family

ID=48443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528A KR101256930B1 (ko) 2011-11-21 2011-11-21 접목용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9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8580A (zh) * 2013-10-18 2014-02-05 大连市金州区七顶山金鼎大樱桃协会 一种高成活率的西瓜嫁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1629Y1 (ko) * 1978-04-21 1979-09-25 김완규 식물 접용 집게
JPH08242690A (ja) * 1995-03-15 1996-09-24 Iseki & Co Ltd クリップ
KR200242366Y1 (ko) 2001-05-04 2001-10-12 이경호 접목용 집게
KR100554092B1 (ko) 2004-06-28 2006-02-22 이경호 접목용 집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1629Y1 (ko) * 1978-04-21 1979-09-25 김완규 식물 접용 집게
JPH08242690A (ja) * 1995-03-15 1996-09-24 Iseki & Co Ltd クリップ
KR200242366Y1 (ko) 2001-05-04 2001-10-12 이경호 접목용 집게
KR100554092B1 (ko) 2004-06-28 2006-02-22 이경호 접목용 집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8580A (zh) * 2013-10-18 2014-02-05 大连市金州区七顶山金鼎大樱桃协会 一种高成活率的西瓜嫁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100636A4 (en) Grafting Jig
US10327391B2 (en) Pruning shears having both tree branch hanger and shock-absorbing functions
KR101256930B1 (ko) 접목용 집게
US20180343808A1 (en) Pruning shears having both functions of hanging on tree branch and absorbing shock
KR20080071674A (ko) 접목집게
KR100772202B1 (ko) 농작물 고정용 집게
KR101191285B1 (ko) 원예용 접목클립
JP5079123B1 (ja) 接ぎ木用把持具
KR20130129549A (ko) 다양한 직경의 접목이 가능한 접목집게
KR20120132720A (ko) 적심유도 수단
KR20200002316U (ko) 접목용 집게
KR20130124712A (ko) 귤 수확용 가위
JP4631017B2 (ja) 花穂整形器
CN210671396U (zh) 一种用于植物压条繁殖的环割钳
KR20100049313A (ko) 가지 비틀기
JP3801578B2 (ja) 接ぎ木保持具
CN203467271U (zh) 一种带剪枝功能的果树环剥器
JP3142821U (ja) 園芸用ピンチ
KR200470341Y1 (ko) 과채류 접목용 접목 클립
KR101167251B1 (ko) 새로운 구조의 접목집게
KR102542789B1 (ko) 화수관리기
CN209594331U (zh) 一种园艺苗木嫁接装置
JP3191756U (ja) 茎野菜収穫鋏
KR102231168B1 (ko) 접목용 집게
CN211703037U (zh) 嫁接切口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