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251B1 - 새로운 구조의 접목집게 - Google Patents

새로운 구조의 접목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251B1
KR101167251B1 KR1020110126672A KR20110126672A KR101167251B1 KR 101167251 B1 KR101167251 B1 KR 101167251B1 KR 1020110126672 A KR1020110126672 A KR 1020110126672A KR 20110126672 A KR20110126672 A KR 20110126672A KR 101167251 B1 KR101167251 B1 KR 101167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grafting
pair
forceps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진
Original Assignee
예원프러그 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원프러그 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예원프러그 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10126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2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01G2/38Holding; Lig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05Fruit crops, e.g. strawberries, tomatoes or cucu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집게부(10), 한 쌍의 손잡이부(20) 및 소정의 탄성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목집게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10)는 마주보는 V-형태인 접목집게 및 상기 한 쌍의 집게부(10)는 교호적으로 돌출된 콤(comb)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한 쌍의 집게부(10) 말단이 서로 교차되는 접목집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목과 접수의 직경 차이가 크거나 대목과 접수의 직경이 모두 소정수준 이하로 작은 경우에도 대목과 접수를 잘 고정하여 활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농가의 경쟁력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새로운 구조의 접목집게{Tongs for grafting having a noble structure}
본 발명은 접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접목집게에 관한 것이다.
접목 또는 접붙이기는 번식시키려는 식물체의 눈이나 가지를 잘라내어 뿌리가 다른 식물체에 붙여 일체화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접목은 개화와 결실을 촉진하고 병충해에 저항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분재인 경우에는 단시간에 수세를 왕성하게 하고 나쁜 흙이나 환경에 잘 적응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농업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일반 농가에서는 접목에 의한 재배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수박, 오이, 메론, 참외 등의 박과류 과채와 토마토, 고추, 가지 등의 가지과류 과채는 대목 즉, 뿌리쪽으로 사용되는 묘는 야성이 강한 품종으로 하고, 접수 즉, 줄기쪽으로 사용되는 묘는 열매가 우수한 품종으로 선택하는 접목방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접목은 대략적으로, 대목의 생장점을 제거한 후 떡잎 아래를 사선으로 자르고, 이어 미리 사선으로 잘라둔 접수를 대목의 잘린 부위에 마주보도록 고정시킨 후 이를 활착시키는 방법이다.
이때 접목부위를 고정하기 위해 최초에는 끈으로 밀착되게 감아주었으나 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하며 시간의 소요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근래에 들어서는 접목용으로 개발된 작은 집게로 접목부위를 살짝 누르면서 고정시켰다가 수일 경과 후 활착이 완료되면 이를 제거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에 의해 접목에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단축되었을 뿐 아니라 접목집게를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접목 묘목의 생산이 가능해 졌다.
종래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접목집게는, 도 1a에 그 사시도가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110) 및 손잡이부(130) 세트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탄력을 제공하는 O형스프링(150)이 손잡이부(130)를 관통하여 집게부(110)의 양쪽 외측면에 결합된 구조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과 구조의 접목집게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목집게에서 O형스프링(150)을 집게부(110) 및 손잡이부(130) 세트에 조립하는 작업을 개선하기 위해 O형스프링(150) 삽입용 개방부(160)를 두거나(등록실용신안 20-0242366), O형스프링(150) 대신 상기 손잡이부에 탄성체 삽입홈을 형성하고, 탄성체 삽입홈에 V형 탄성체를 삽입한 구조로 하거나(등록실용 20-0421152, 공개특허 10-2008-0071674), 집게부(310)의 내측면에 요철홈(313)을 형성하여 접수(2)가 대목(1)으로부터 쉽게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공개특허 10-2008-0071674) 구조들이 알려져 있다(도 1b, c 참조).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에 의하면 집게부의 내부(평단면)가 원형 또는 타원형이거나 전체적으로 볼 때 긴 삼각형 형태로 되어 있고, 그 내부 단면의 최대폭이 4~5㎜로 고정되도록 제작되어 있다.
한편, 박과류나 가지과류를 접목할 때 접목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대목 및 접수의 직경이 대략 3±0.3㎜의 것을 선별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균일하게 접목을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자동접목기계를 이용하여 접목하는 경우, ① 대목과 접수의 직경이 대략 0.5㎜이상 차이가 나거나, ② 대목과 접수의 직경이 모두 대략 2.5㎜ 이하인 상황 등이 종종(대략 10% 이상) 발생한다. 또한 박과류 접목방법의 하나로 큰 직경(대략 3㎜)인 대목에 작은 직경(대략 2.5㎜)인 접수를 접목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대목이나 접수 중 직경이 큰 것에 의해 집게부가 벌어진 상태에서 직경이 작은 것이 잘 고정되지 않고 집게부의 일측(넓은 공간측)으로 밀려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위 ①의 경우), 대목과 접수 모두가 집게부 내에서 느슨하게 붙들려 있기 때문에 쉽게 움직여지는(위 ②의 경우) 현상이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대목과 접수 사이의 형성층이 잘 접촉되지 않거나, 접촉되었더라도 사소한 충격(바람 또는 작업상의 흔들림 등)에도 접촉되었던 형성층이 끊어져 활착이 불가능하게 된다. 더욱 큰 문제는, 활착을 위한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작업당시에는 알 수 없고, 최소 1~2주 후에야 접목의 생존여부를 확인하는 사후적 방법으로만 알 수 있다는 점이다.
등록실용신안 20-0242366 등록실용 20-0421152 공개특허 10-2008-0071674
본 발명은 대목과 접수의 직경 차이가 크거나 대목과 접수의 직경이 모두 소정수준 이하로 작은 경우에도 대목과 접수를 잘 고정하여 활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접목집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제1발명은 한 쌍의 집게부, 한 쌍의 손잡이부 및 소정의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목집게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는 마주보는 V-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제2발명은 한 쌍의 집게부, 한 쌍의 손잡이부 및 소정의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목집게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말단은 교호적으로 돌출된 콤(comb)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한 쌍의 집게부 말단이 서로 교차되는 접목집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접목과정에서 접목부분의 고정불량으로 인한 활착실패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게 되므로 경제적이면서 우수한 접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작업에 의한 접목시 접목부분의 고정여부를 종래처럼 예민하게 확인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접목장치의 큰 단점중의 하나인 접목부분의 고정불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자동접목장치의 실제적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1a~도 1c는 종래기술에 의한 접목집게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접목집게에 있어서, 대목과 접수의 줄기 직경이 과도하게 차이나는 경우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적 단면도.
도 3a는 본원 제1발명에 의한 접목집게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상기 접목집게의 집게부 부분의 내부의 줄기과 함께 도시한 개념적 단면도, 도 3c 및 3d는 상기 접목집게의 집게부 내부로 돌출된 지지편이 형성되어 있는 접목집게의 사시도.
도 4는 본원 제2발명에 의한 접목집게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위는 집게부가 닫혀진 상태, 아래는 집게부가 열려진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 쌍의 집게부, 한 쌍의 손잡이부 및 소정의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목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두 가지 다른 개념의 접목집게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서 관심갖는 부분 이외의 구성요소는 종래기술에 의한 것들을 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접목집게는 O형스프링 또는 V형 탄성체를 가질 수도 있고, 등록특허 10-071377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자체 탄성을 가지는 일체형 접목집게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관심갖는 부분 이외의 구성요소는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도 명백하다.
(1) 제1발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발명은 한 쌍의 집게부(10), 한 쌍의 손잡이부(20) 및 소정의 탄성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목집게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10)는 마주보는 V-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V-형태가 동일한 규격이면 상기 집게부(10) 내부의 평단면이 마름모형태가 된다. 여기서 집게부(10) "내부의 평단면"이란 대목과 접수가 위치하게 되는 공간 내부의 평단면을 의미하며, 따라서 대목과 접수가 위치하게 되는 공간이 마름모형이고, 그 이외의 부분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10)에 의해 만들어지는 마름모형의 짧은 대각선의 길이는 2.5~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작으면 접목부위를 충분히 고정시키기(잡아주기) 어렵고, 이보다 크면 대목과 접수의 직경차이가 날 때 작은 직경의 것이 잘 고정되지 않는다.
도 3a에 본 발명에 의한 접목집게의 일예를 도시하였다. 도면에는 탄성체(30)로서 O형스프링을 적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는 탄성체(30)가 집게부(10)에 잘 결합되면서 집게부(10)이 탄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손잡이부(20)와 집게부(10) 사이에 연결부(부호생략)를 두었으나, 이는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① 대목과 접수의 직경이 대략 0.5㎜이상 차이가 나거나, ② 대목과 접수의 직경이 모두 대략 2.5㎜ 이하가 되더라도 대목과 접수가 동심원상에서 고정되므로 "대목과 접수 사이의 형성체 접촉"이 잘 유지되어 활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대목과 접수의 직경이 많이 차이가 나는 경우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접목집게를 사용하더라도 작은 직경의 것이 잘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본 발명에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10)에 의해 만들어지는 마름모형은 집게부(10)의 중앙부분이 납작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집게부(10)의 V 각도가 90°초과인 것이 좋다. 도 3b에 내부 평단면이 납작한 마름모형태인 집게부(10) 부분을 내부의 묘목줄기 단면도와 함께 개념적으로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형태가 납작한 경우 큰 직경의 줄기가 살짝 눌려지면서 작은 직경의 줄기를 잘 고정시키게 된다. [실제 접목에서는 접촉하는 줄기들이 어느 정도 짖눌려지는 것이 활착에 도움을 준다.] 나아가 작은 직경의 줄기 단면이 큰 직경의 줄기 단면에 모두 접촉되기 때문에 활착효과도 높아지게 된다.
또한, 대목과 접수의 직경이 많이 차이가 나는 경우를 대비하여, 본 발명에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10)의 크기를 달리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c). 이에 의하여 직경이 큰 대목이 주로 위치하는 부위는 큰 집게부(10)에 의해, 직경이 작은 삽수가 주로 위치하는 부위는 작은 집게부(10)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접목되는 줄기들의 직경차이가 나더라도 잘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집게부(10) 말단의 반대쪽 내부에는 접목부위를 눌러주는 지지편(11)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판 형태의 지지편(11)은 도 3c에 나타나 있으며, 도 3d에 손잡이부(20)쪽에서 집게부(10) 내부로 돌출된 봉형상의 지지편(11)이 형성되어 있는 접목집게의 사시도를 도시하였다(탄성체의 도시는 생략됨). 이러한 구조의 접목집게를 사용하는 경우, 일측에서 지지편이 접목부위를 압착해 주기 때문에 직경차이가 나는 줄기들도 잘 고정된다.
(2) 제2발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발명은 한 쌍의 집게부(10), 한 쌍의 손잡이부(20) 및 소정의 탄성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목집게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10)는 교호적으로 개구홈(12)이 형성되어 있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한 쌍의 집게부(10) 말단이 서로 교차되는 접목집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교호적인 개구홈(12)' 사이사이는 돌출된 콤(comb) 형태가 된다. 이러한 개구홈(12)은 집게부(10)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집게부(10)의 말단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에 집게부(10)의 말단에만 개구홈(12)이 형성된 접목집게(탄성체 생략)의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본 제2발명에 의한 집게부(10)의 경우 집게부(10)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개구홈(12) 부분이 교차되기 때문에 한 쌍의 집게부(10)에 의해 만들어지는 내부 평단면의 가장 짧은 폭(마름모형태인 경우 짧은 대각선의 길이)은 2.5~3.0㎜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집게부(10)의 말단이 교호적으로 교차되는 경우, 집게부(10) 내부의 평단면(접목되는 줄기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 면적이 탄력적으로 변할 수 있게 된다. 즉, 접목되는 줄기의 직경이 모두 큰 경우 집게부(10) 말단이 교차되지 않은 상태로 고정되며, 직경이 모두 작은 경우 집게부(10) 말단이 교차되면서 줄기의 직경에 맞추어 고정된다. 또한 대목과 삽수의 직경이 차이가 나더라도 집게부(10) 말단이 탄력적으로 굵은 줄기와 가는 줄기를 거의 동일한 압력으로 잡아주게 된다(도 4b 참조).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의한 접목집게는 대목과 삽수의 직경에 변이가 있더라도 이를 고려하지 않고 작업할 수 있어 작업자 또는 자동접목장치에 의한 접목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집게부(10)가 콤 형태인 경우, 집게부(10)의 내부 평단면에 제한이 없어도 되므로, 집게부(10) 내부의 평단면이 원형, 타원형, 삼각형 또는 마름모형 등 어떠한 것도 적용이 가능하다.
10. 집게부 11. 지지편 12. 개구홈
20. 손잡이부
30. 탄성체

Claims (6)

  1. 한 쌍의 집게부(10), 한 쌍의 손잡이부(20) 및 소정의 탄성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목집게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10)는 마주보는 V-형태이며,
    상기 집게부(10) 말단의 반대쪽 내부에는 접목부위를 눌러주는 지지편(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집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10)에 의해 만들어지는 마름모형은 집게부(10)의 중간이 납작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집게.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10)의 말단에는 교호적으로 개구홈(12)이 형성되어 있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한 쌍의 집게부(10) 말단이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집게.
  5. 삭제
  6. 삭제
KR1020110126672A 2011-11-30 2011-11-30 새로운 구조의 접목집게 KR101167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672A KR101167251B1 (ko) 2011-11-30 2011-11-30 새로운 구조의 접목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672A KR101167251B1 (ko) 2011-11-30 2011-11-30 새로운 구조의 접목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251B1 true KR101167251B1 (ko) 2012-07-23

Family

ID=46717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672A KR101167251B1 (ko) 2011-11-30 2011-11-30 새로운 구조의 접목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2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775B1 (ko) 2006-04-29 2007-05-02 채승병 접목용 집게
JP2007166992A (ja) * 2005-12-22 2007-07-05 Noji Kumiai Hojin Mikuni Bio Nojo 接木用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6992A (ja) * 2005-12-22 2007-07-05 Noji Kumiai Hojin Mikuni Bio Nojo 接木用クリップ
KR100713775B1 (ko) 2006-04-29 2007-05-02 채승병 접목용 집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ssell et al. Grafting methods for watermelon production
KR200421152Y1 (ko) 접목용 집게
CN102726218A (zh) 香榧的嫁接技术
CN101524033A (zh) 连理树盆景的栽培方法
KR20130129549A (ko) 다양한 직경의 접목이 가능한 접목집게
KR101167251B1 (ko) 새로운 구조의 접목집게
KR20200002316U (ko) 접목용 집게
KR101191285B1 (ko) 원예용 접목클립
KR20080071674A (ko) 접목집게
KR20160010973A (ko) 작물 줄기 고정구
CN103109681A (zh) 黄瓜嫁接的方法
KR100713775B1 (ko) 접목용 집게
JP3801578B2 (ja) 接ぎ木保持具
JP2012249542A (ja) 接ぎ木用把持具
JP5079122B1 (ja) 接ぎ木用ホルダー
CN211745488U (zh) 一种用于苗木种植的扦插盆
KR20160005389A (ko) 접목 집게
KR101256930B1 (ko) 접목용 집게
CN105432422A (zh) 果树移栽支撑灌溉架
KR200470341Y1 (ko) 과채류 접목용 접목 클립
KR20200114377A (ko) 연리목 식재방법
KR100791101B1 (ko) 분갈이용 조립식 용기
JP3142821U (ja) 園芸用ピンチ
CN109121782B (zh) 一种木本植物特异干形的培养方法
KR102231168B1 (ko) 접목용 집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