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8765A -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8765A
KR20130128765A KR1020120052766A KR20120052766A KR20130128765A KR 20130128765 A KR20130128765 A KR 20130128765A KR 1020120052766 A KR1020120052766 A KR 1020120052766A KR 20120052766 A KR20120052766 A KR 20120052766A KR 20130128765 A KR20130128765 A KR 20130128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bile phone
vehicle management
management serv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문
Original Assignee
태림포장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림포장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림포장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2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8765A/ko
Publication of KR20130128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7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휴대전화, 차량에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폰의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과의 실시간 통신이 가능한 차량 관리 장비를 장착하여 원격지에서도 차량 상태나 차량의 주행상태, 차량의 원격 제어 및 차량의 위치나 움직임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을 원격 감시하고 제어하는 휴대폰(2)과, 차량을 원격 감시하고 제어하는 차량 관리 서버(1) 및 휴대폰(2)이나 차량 관리 서버(1)에 차량상태나 차량 주행정보, 차량의 주변상황을 포함하는 영상 등을 제공하고, 휴대폰(2)이나 차량 관리 서버(1)의 원격 제어로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에 장착된 차량 관리 장비(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Mobile phone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vehicl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전화, 차량에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폰의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과의 실시간 통신이 가능한 차량 관리장비를 장착하여 원격지에서도 차량 상태나 차량의 주행상태, 차량의 원격 제어 및 차량의 위치나 움직임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문헌1] 특허등록 10-532141 호(2005. 11. 23)
[문헌2] 특허공개번호 10-2008-68786 호(2008. 6. 26)
최근 차량은 그 성능과 외관에 있어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며, 점차 다양한 연료를 사용하는 차세대 차량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의 진화에 더불어 차량에 적용되는 각종 기계 장치들과 전자 장치들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과, 이러한 차량 관리 시스템에 연동되어 차량 내부의 결함을 감지하는 시스템 역시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각종 시스템들과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들은 하나의 제품으로 출시되거나 무선 통신기능을 부가하여 원격관리가 가능한 텔레매틱스 시스템에 적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차량 내 시스템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으나, 아직 대다수의 차량은 경고램프를 통해 차량의 이상 중 일부 내용을 파악하는 수준이고, 전문적 지식이 있어야 차량의 소리나 주행 상황 등을 통해 차량의 이상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심각한 이상이 발생한 이후에야 차량을 정비하게 되므로 차량의 문제점을 적시에 파악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비록 이상의 발생을 인지하였다 하더라도 이를 무시하고 운행할 경우 차량의 이상을 심화시킬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정확히 어떠한 부분에서 어떠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는지는 정비소를 방문해야만 확인이 가능하여 차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비소의 판단을 신뢰하지 못하여 다툼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차량에는 OBD 시스템이 장착되고 있어 전용 차량 진단기를 이용할 경우 표준화된 자동차 부품명과 결함코드번호체계를 이용하여 정확한 결함 부품과 결합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OBD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산소 센서,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 연료탱크 압력센서, 캠 샤프트 포지션 센서를 비롯하여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도어 개폐센서, 급정차 감지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센서가 적용된 차량이라 할지라도 실제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는 단순히 상기 센서들에 의해 파악된 측정치의 이상에 따른 경고램프 점등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실제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정비소에서 차량을 실제 운전하면서 전용 차량 진단기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하는 복잡한 과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더라도 실제 운전 중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주가 원격지에서도 휴대전화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차량 상태나 차량의 주행상태, 차량의 원격 제어 및 차량의 위치나 움직임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은, 차량을 원격 감시하고 제어하는 휴대폰; 차량을 원격 감시하고 제어하는 차량 관리 서버; 및 상기 휴대폰이나 상기 차량 관리 서버에 차량상태나 차량 주행정보, 차량의 주변상황을 포함하는 영상 등을 제공하고, 상기 휴대폰이나 상기 차량 관리 서버의 원격 제어로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에 장착된 차량 관리 장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관리 장비는 차량 상태 감지부가 구비되어, 차량 램프의 점등상태, 도어, 유리창, 연료 주입구, 선루프, 엔진 후드의 개폐상태, 차량의 엔진상태, 히터나 에어컨의 온/오프 상태, 차량의 변속 레버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상기 휴대폰이나 상기 차량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관리 장비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가 구비되어, 차량의 엔진상태, 변속기의 위치, 브레이크나 주차 브레이크의 조작상태, 속도계, 연료계, 냉각수 수온계, 엔진 회전계의 변동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상기 휴대폰이나 상기 차량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관리 장비는 차량 원격 제어부가 구비되어, 상기 휴대폰이나 상기 차량 관리 서버의 원격 제어로 차량 엔진의 시동 온/오프, 각 도어의 개폐, 에어컨이나 히터의 온/오프, 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관리 장비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차량 모니터링부가 구비되어, 상기 휴대폰이나 상기 차량 관리 서버의 원격 제어로 카메라의 방향을 변화시켜 가면서 촬영한 특정 방향의 주변상황을 담은 영상을 저장하고, 이를 상기 휴대폰이나 상기 차량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모니터링부는 차량의 각기 다른 방향에 위치한 충격감지센서가 구비되어, 특정 방향의 충격감지센서가 충격 감지시 카메라를 해당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변상황을 취득하고, 이를 상기 휴대폰이나 상기 차량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모니터링부는 차량의 이동경로를 저장하고, 상기 휴대폰 이용자나 상기 차량 관리 서버 관리자로부터 요청이 있을 시 차량의 기간별 이동경로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모니터링부는 차량의 현재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휴대폰 이용자나 상기 차량 관리 서버 관리자로부터 요청이 있을 시 차량의 현재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는 상기 휴대폰의 현재위치와 함께 지도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와 상기 휴대폰의 현재위치는 휴대폰의 현재위치에서 차량의 현재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는 최적의 이동경로와 함께 지도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휴대전화, 차량에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폰의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과의 실시간 통신이 가능한 차량 관리장비를 장착함으로써 차주는 휴대전화나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도 차량 상태나 차량의 주행상태, 차량의 원격 제어 및 차량의 위치나 움직임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차주는 원격지에서도 차량의 상태나 주행상태, 위치 및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을뿐더러 차량을 원격제어할 수 있으므로 차량에서 이상 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을뿐더러 이상에 따라서는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대처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3은 이용자가 차량을 원격 제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휴대폰(2)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4는 차량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하나의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5는 차량의 현재위치를 제공하는 하나의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6은 차량 주변을 모니터링하는 하나의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1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은 차주의 휴대전화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폰과, 차량 관리 서버와, 차량에 장착된 차량 관리 장비와 인공위성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 관리 장비는 차량의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과, 이를 기록하는 기능과, 차량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과, 원격지와의 통신기능을 가진다.
상기 휴대폰과 차량 관리 장비는 통신을 위한 고유의 번호를 가지고, 상기 차량 관리 서버는 고유의 IP 어드레스를 가진다. 상기 휴대폰에는 차량의 고유번호(차량번호 등)가 등록되어 있고, 상기 차량 관리 장비에는 해당 차량의 차주가 보유한 휴대폰의 전화번호와 차량 관리 서버의 IP 어드레스(운전자의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다.
상기 차량 관리 장비에 등록되는 휴대폰은 개인의 경우 차주의 전화번호를 등록함으로써 휴대폰을 통해 차량 관리 장비를 원격 제어하거나 차량 관리 장비로부터 각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법인의 경우 운전자들의 전화번호를 차량 관리 장비에 등록함으로써 차량 관리 서버는 차량 관리 장비를 원격 제어하거나 차량 관리 장비로부터 각종 정보를 일괄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을 다른 운전자가 운전하는 경우 차량 관리 장비는 해당 차량을 다른 운전자가 운전하는 동안 얻어지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해당 차량의 차주가 보유한 휴대폰과의 연결이 가능한 시점에 지금까지 수집된 각종 정보를 일괄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2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은 법인 등과 같은 단체가 보유한 차량 관리 서버(1)와, 차주 개인이 보유한 휴대폰(2)과, 차량에 장착되고 MCU(31), 차량 상태 감지부(32),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33), 차량 원격 제어부(34), 차량 모니터링부(35)를 포함하는 차량 관리 장비(3)와, 위치좌표를 제공하는 인공위성(4)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휴대폰(2)과 차량 관리 장비(3)는 차량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탑재되고 인공위성(4)으로부터 위치좌표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탑재되며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주변지리를 표시할 수 있는 지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서버와 접속 가능한 것으로서 각각 통신을 위한 전화번호 등과 같은 고유의 번호를 가지고, 상기 차량 관리 서버(1)는 고유의 IP 어드레스를 가진다. 더 나아가서, 휴대폰(2)과 차량 관리 장비(3)는 차량에 장착된 차량 관리 장비(3)와의 실시간 통신으로 차량 상태나 차량 주행상태, 주변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을뿐더러 차량을 원격 제어할 수도 있다.
물론, 이용자는 휴대폰(2)에 해당 이용자의 차량번호를 등록해야 하고, 차량 관리 장비(1)의 경우에는 해당 차량의 이용자가 보유한 휴대폰(2)의 전화번호나 해당 차량 관리 장비(1)가 장착된 차량을 일괄 관리하기 위한 차량 관리 서버(3)의 IP 어드레스를 등록해야 한다.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 관리 장비(3)는 MCU(31), 차량 상태 감지부(32),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33), 차량 원격 제어부(34), 차량 모니터링부(35) 등이 구비되어, 차량의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과, 이를 기록하는 기능과, 차량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과, 휴대폰(2) 및 차량 관리 서버(1)와의 실시간 통신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MCU(31)는 휴대폰(2)이나 차량 관리 서버(1)와의 통신으로 차량 상태 감지부(32),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33), 차량 원격 제어부(34), 차량 모니터링부(35) 등을 구동시켜 차량상태, 차량 주행상태, 주변상황 등에 대한 정보를 휴대폰(2)이나 차량 관리 서버(1)에 제공하거나 차량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차량 상태 감지부(32)는 실시간 차량의 상태값을 취득하여 차량 관리 장비(3) 내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휴대폰(2)과 차량 관리 서버(1)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차량 상태 감지부(32)는 차량의 상태값을 취득하기 위한 각종 센서나 스위치 등을 구비한다.
상기 차량 상태 감지부(32)에 의해 취득되는 차량의 상태값은, 차량의 경고등이나 표시등 등과 같은 램프의 상태, 차량의 도어, 유리창, 연료주입구, 선루프, 엔진 후드 등의 개폐상태, 차량의 시동 온/오프 상태, 차량의 히터나 에어컨의 온/오프 상태, 차량의 변속 레버의 위치, 기타 차량의 변동값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33)는 실시간 차량의 운행정보를 취득하여 차량 관리 장비(3) 내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휴대폰(2)과 차량 관리 서버(1)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33)는 차량의 주행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각종 센서나 스위치 등을 구비한다.
상기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33)에 의해 취득되는 차량의 주행정보는, 엔진 시동상태와, 변속기의 변동상태와, 브레이크 페달이나 주차 브레이크의 조작상태와, 속도계, 연료계, 냉각수 수온계, 엔진 회전계 등의 계기판 상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원격 제어부(34)는 3G, 4G 등과 같은 통신망을 매개로 휴대폰(2)이나 차량 관리 서버(1)로부터 원격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차량을 제어한다. 물론, 차량 원격 제어부(34)는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차량의 각 구성요소, 즉 차량의 각 구성요소를 구동시킬 수 있는 각종 액츄에이터와 연결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차량 원격 제어부(34)가 제어할 수 있는 대상(구성요소)으로는 엔진이나 도어, 에어컨, 히터, 카메라 등이 될 수 있다. 엔진의 경우, 시동 걸기나 차량 도난시 원격 시동 끄기가 제어방법의 하나이다. 물론, 엔진의 경우는 안전을 위해 운행중에는 위와 같은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만 위와 같이 제어가 이루어진다. 도어의 경우는 도어의 개폐상태에 따라 도어를 감그는 것이 제어방법의 하나이다. 에어컨이나 히터의 경우는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위와 같이 원격으로 차량의 시동을 걸고 난 후 차량의 내부온도를 확인하여 계절에 따라 에어컨 또는 히터를 작동시켜 차량의 내부온도를 임의로 설정한 온도로 유지시켜 주는 것이 하나의 제어방법이다.
카메라(36)의 경우는 특정 방향의 주변상황을 촬영 녹화하고, 이를 휴대폰(2)이나 차량 관리 서버(1)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하나의 제어방법이다. 물론, 차량의 유리가 파손되거나 차량 표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카메라(36)가 해당 상황이 일어난 방향의 모습을 촬영 녹화하고, 이를 휴대폰(2)이나 차량 관리 서버(1)에 전송하도록 자동 제어하는 것도 하나의 제어방법이다.
상기 차량 모니터링부(35)는 휴대폰(2)이나 차량 관리 서버(1)의 원격 제어로 카메라(36)를 작동시켜 주변상황을 촬영하여 녹화하고, 이를 휴대폰(2)이나 차량 관리 서버(1)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차량 모니터링부(35)는 인공위성(4)으로부터 위치좌표를 수신하여, 차량의 이동경로와 차량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 후 자체 저장하고, 이를 휴대폰(2)이나 차량 관리 서버(1)에 전송하는 역할도 한다.
이때 휴대폰(2)이나 차량 관리 서버(1)는 차량 관리 장비(3)의 차량 모니터링부(35)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위치정보와 자체적으로 확인한 휴대폰(2) 또는 차량 관리 서버(1)의 위치정보를 도시되지 않은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지도 위에 표시하여 차량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차량의 현재 위치와 함께 휴대폰(2)이나 차량 관리 서버(3)의 위치에서 차량의 현재 위치까지의 이동경로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지도정보는 차량 모니터링부(35)에서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처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차량 모니터링부(35)는 일별, 월별로 차량의 이동경로를 확인하여 기록하고, 휴대폰(2)이나 차량 관리 서버(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현재위치는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지도정보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36)에 의해 촬영되는 주변상황정보는 특정 방향뿐만 아니라 카메라(36)를 360도 회전시켜 가면서 각기 다른 방향의 주변상황의 영상이 될 수도 있다.
특히, 차량 모니터링부(35)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휴대폰(2)이나 차량 관리 서버(1)의 원격 제어에 의해 카메라(36)를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변상황을 원격지에서도 모니터링할 수 있을뿐더러 서로 다른 방향의 차량 주변에 설치된 다수의 충격감지센서 중 하나가 작동하는 경우, 카메라(36)가 작동된 충격감지센서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해당 방향을 주변상황을 촬영하여 휴대폰(2)이나 차량 관리 서버(1)에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차량의 이용자(차주)나 차량 관리 서버(1) 관리자는 이용자나 관리자는 필요에 따라 혹은 차량에서 무슨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차량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각종 상황을 원격지에서도 카메라(36)에 의해 취득되는 영상 등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3은 이용자가 차량을 원격 제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휴대폰(2)의 화면 예시도이다.
이용자가 차량의 차량 관리 장비(3)에 휴대폰(2)을 접속한 상태에서 차량 원격 제어를 선택하면, 휴대폰(2)은 원격 제어하고자 하는 차량번호와 함께 차량의 원격제어대상의 현재상태를 화면으로 보여준다.
따라서 이용자는 휴대폰(2)의 화면을 차량의 현재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뿐더러 필요에 따라 엔진이나 차량 도어, 에어컨, 카메라(36), 히터 등의 동작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도4는 차량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하나의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용자가 차량의 차량 관리 장비(3)에 휴대폰(2)을 접속한 상태에서 해당 차량의 이동경로를 요청하면, 차량 관리장비(3)는 저장되어 있는 차량의 이동경로에 대한 정보를 휴대폰(2)에 제공한다.
따라서 이용자는 휴대폰(2)의 화면을 통해 이용자가 요구한 차량의 이동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이동경로는 지도정보와 함께 일별, 월별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는데, 지도정보는 차량 관리 장비(3) 또는 휴대폰(2)에서 별도의 지도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제공될 수 있다.
도5는 차량의 현재위치를 제공하는 하나의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용자가 차량의 차량 관리 장비(3)에 휴대폰(2)을 접속한 상태에서 주차된 차량을 찾기 위해 해당 차량의 현재위치를 요청하면, 차량 관리장비(3)는 인공위성(4)으로부터 해당 차량의 위치좌표를 수신하여 차량의 현재위치에 대한 정보를 휴대폰(2)에 제공한다.
따라서 이용자는 휴대폰(2)의 화면을 통해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차량의 현재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현재위치는 지도정보와 함께 제공되는데, 지도정보는 차량 관리 장비(3) 또는 휴대폰(2)에서 별도의 지도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제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의 현재위치를 표시한 지도에는 휴대폰(2)을 보유한 이용자의 위치와 함께 이용자의 위치에서 차량이 있는 위치까지 가는 경로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6은 차량 주변을 모니터링하는 하나의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용자가 차량의 차량 관리 장비(3)에 휴대폰(2)을 접속한 상태에서 차량 주변 모니터링을 요청하면, 차량 관리장비(3)는 카메라(36)에 의해 촬영된 차량 주변의 영상 등을 휴대폰(2)에 제공한다.
따라서 이용자는 휴대폰(2)의 화면을 통해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차량의 주변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차량 관리 서버(1) 관리자도 마찬가지다.
이때 이용자나 관리자는 필요에 따라 카메라(36)가 촬영하는 방향을 원격 제어하여 차량 주변의 각 방향의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1 : 차량 관리 서버 2 : 휴대폰
3 : 차량 관리 장비 4 : 인공위성
31 : MCU 32 : 차량상태 감지부
33 :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 34 : 차량 원격 제어부
35 : 차량 모니터링부 36 : 카메라

Claims (10)

  1. 차량을 원격 감시하고 제어하는 휴대폰(2);
    차량을 원격 감시하고 제어하는 차량 관리 서버(1); 및
    상기 휴대폰(2)이나 상기 차량 관리 서버(1)에 차량상태나 차량 주행정보, 차량의 주변상황을 포함하는 영상 등을 제공하고, 상기 휴대폰(2)이나 상기 차량 관리 서버(1)의 원격 제어로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에 장착된 차량 관리 장비(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관리 장비(3)는 차량 상태 감지부(32)가 구비되어, 차량 램프의 점등상태, 도어, 유리창, 연료 주입구, 선루프, 엔진 후드의 개폐상태, 차량의 엔진상태, 히터나 에어컨의 온/오프 상태, 차량의 변속 레버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상기 휴대폰(2)이나 상기 차량 관리 서버(1)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관리 장비(3)는 차량 주행상태 감지부(33)가 구비되어, 차량의 엔진상태, 변속기의 위치, 브레이크나 주차 브레이크의 조작상태, 속도계, 연료계, 냉각수 수온계, 엔진 회전계의 변동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상기 휴대폰(2)이나 상기 차량 관리 서버(1)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관리 장비(3)는 차량 원격 제어부(34)가 구비되어, 상기 휴대폰(2)이나 상기 차량 관리 서버(1)의 원격 제어로 차량 엔진의 시동 온/오프, 각 도어의 개폐, 에어컨이나 히터의 온/오프, 카메라(36)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관리 장비(3)는 카메라(36)를 포함하는 차량 모니터링부(35)가 구비되어, 상기 휴대폰(2)이나 상기 차량 관리 서버(1)의 원격 제어로 카메라(36)의 방향을 변화시켜 가면서 촬영한 특정 방향의 주변상황을 담은 영상을 저장하고, 이를 상기 휴대폰(2)이나 상기 차량 관리 서버(1)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모니터링부(35)는 차량의 각기 다른 방향에 위치한 충격감지센서가 구비되어, 특정 방향의 충격감지센서가 충격 감지시 카메라(36)를 해당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변상황을 취득하고, 이를 상기 휴대폰(2)이나 상기 차량 관리 서버(1)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모니터링부(35)는 차량의 이동경로를 저장하고, 상기 휴대폰(2) 이용자나 상기 차량 관리 서버(1) 관리자로부터 요청이 있을 시 차량의 기간별 이동경로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모니터링부(35)는 차량의 현재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휴대폰(2) 이용자나 상기 차량 관리 서버(1) 관리자로부터 요청이 있을 시 차량의 현재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는 상기 휴대폰(2)의 현재위치와 함께 지도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와 상기 휴대폰(2)의 현재위치는 휴대폰(2)의 현재위치에서 차량의 현재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는 최적의 이동경로와 함께 지도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






KR1020120052766A 2012-05-18 2012-05-18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 KR20130128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766A KR20130128765A (ko) 2012-05-18 2012-05-18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766A KR20130128765A (ko) 2012-05-18 2012-05-18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765A true KR20130128765A (ko) 2013-11-27

Family

ID=49855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766A KR20130128765A (ko) 2012-05-18 2012-05-18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8765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732B1 (ko) * 2013-12-10 2015-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 브레이크 원격 제어 시스템
KR20160080934A (ko) * 2014-12-30 2016-07-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US20170076290A1 (en) * 2014-05-16 2017-03-16 Sten Corfits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payments from a vehicle
WO2017074112A1 (en) * 2015-10-29 2017-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terminal and instruc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WO2017115916A1 (ko) * 2015-12-30 201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80062677A (ko) *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티노스 주차 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733815B2 (en) 2015-12-11 2020-08-04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 recall of motor vehicles
CN112752221A (zh) * 2020-12-16 2021-05-04 浙江绿色慧联有限公司 一种车辆监控系统及方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732B1 (ko) * 2013-12-10 2015-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 브레이크 원격 제어 시스템
US9352729B2 (en) 2013-12-10 2016-05-31 Hyundai Motor Company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brake of vehicle
US20170076290A1 (en) * 2014-05-16 2017-03-16 Sten Corfits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payments from a vehicle
KR20160080934A (ko) * 2014-12-30 2016-07-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WO2017074112A1 (en) * 2015-10-29 2017-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terminal and instruc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US10237899B2 (en) 2015-10-29 2019-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terminal and instruc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US10733815B2 (en) 2015-12-11 2020-08-04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 recall of motor vehicles
WO2017115916A1 (ko) * 2015-12-30 201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0434987B2 (en) 2015-12-30 2019-10-08 Lg Electronics Inc. Vehicle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comprising same
KR20180062677A (ko) *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티노스 주차 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752221A (zh) * 2020-12-16 2021-05-04 浙江绿色慧联有限公司 一种车辆监控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8765A (ko) 휴대폰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관리시스템
KR101769102B1 (ko) Obd와 스마트폰을 사용한 보험사 서버와 연동된 자동차 운행기록 분석 시스템 및 방법
US8892293B2 (en) Transport facility for autonomous navigation and method for determining damage to a motor vehicle
US20230063326A1 (en) Vehicle Health Record
CA3101107C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test drive scripts for vehicles
EP2887334B1 (en) Vehicle behavior analysis
US10255782B1 (en) Vehicle flood detection
BRPI1103445A2 (pt) Método para fornecer informação de manutenção de veículo e serviço
US20080082221A1 (en) System for monitoring, controlling, and reporting vehicle operation through onboard diagnostic port
JP7070683B2 (ja) 劣化診断装置、劣化診断システム、劣化診断方法、プログラム
KR20130030583A (ko) 차량용 운행정보 확인장치 및 영상 저장장치의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GB2514151A (en) Event detection and recording methods and systems
US200802910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diagnosis and repair of a plant malfunction with software agents
CN104299288A (zh) 用于监测机动车辆的停车许可的方法和设备
CN108569278B (zh) 排气分析
KR20150069623A (ko)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및 방법
JP5360141B2 (ja) 車載電子制御装置
CN103983301A (zh) 车辆检验方法、系统和装置
JP2020080113A (ja) 環境状態推定装置、環境状態推定方法、環境状態推定プログラム
JP2005043138A (ja) 車両情報端末装置
KR101445370B1 (ko) Mdr 모듈이 장착된 멀티 블랙박스
JP729438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20130026213A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정보 접수 방법
JP5544886B2 (ja) 車載情報蓄積装置
JP2020085564A (ja) 判定装置、車両制御装置、判定方法、判定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