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718A -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 Google Patents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718A
KR20130127718A KR1020120051451A KR20120051451A KR20130127718A KR 20130127718 A KR20130127718 A KR 20130127718A KR 1020120051451 A KR1020120051451 A KR 1020120051451A KR 20120051451 A KR20120051451 A KR 20120051451A KR 20130127718 A KR20130127718 A KR 20130127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wheel
stopper
rotating member
vehicle body
wheel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8482B1 (ko
Inventor
황성윤
Original Assignee
황성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윤 filed Critical 황성윤
Priority to KR1020120051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482B1/ko
Publication of KR20130127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1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 B62H1/12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using additional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가 개시된다.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는, 이륜차의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바퀴부, 보조바퀴부를 통해 이륜차의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부, 및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보조바퀴부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고, 완충부가 수용 가능한 충격보다 더 큰 충격이 보조바퀴부에 가해지면, 스토퍼부에 의한 구속이 해제되며 보조바퀴부가 이륜차의 차체에 대해 회전한다.

Description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AUXILIARY WHEEL DEVICE FOR BIKE}
본 발명은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번잡해져 가는 교통체증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오토바이 및 자전거와 같은 이륜차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이륜차는 앞뒤로 배치되는 단 2개의 바퀴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눈이 내리거나 혹은 우천시에 노면에 대한 마찰이 상대적으로 너무 작아서 쉽게 미끄러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균형 감각이 떨어지는 초보 운전자의 경우에는 특히 커브길에서의 좌우 회전시에 쉽게 경사각을 잡기가 어려워서 운전자가 쉽게 넘어져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이륜차의 뒷바퀴의 양측에 보조바퀴를 장착하여 삼륜차와 같은 안정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조바퀴가 스프링과 같은 완충수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의 보조바퀴는 단순히 주행시 발생하는 일정 이하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 일정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오히려 보조바퀴에 의해 이륜차가 전복될 위험이 있다. 즉, 보조바퀴에 예기치 못한 강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비교적 큰 장애물이 충돌될 경우에는, 오히려 보조바퀴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이륜차가 전복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보조바퀴장치에 일정 이상의 강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충격이 차체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는, 이륜차의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바퀴부, 보조바퀴부를 통해 이륜차의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부, 및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보조바퀴부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고, 완충부가 수용 가능한 충격보다 더 큰 충격이 보조바퀴부에 가해지면, 스토퍼부에 의한 구속이 해제되며 보조바퀴부가 이륜차의 차체에 대해 회전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이륜차라 함은 엔진의 유무의 관계없이 바퀴가 앞뒤로 두개가 있는 교통수단을 의미하며, 이륜차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이륜차는 자전거 및 오토바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보조바퀴장치는 오토바이의 뒷바퀴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보조바퀴장치가 오토바이의 앞바퀴 부위에 장착되거나, 앞바퀴 및 뒷바퀴 사이의 차체 부위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여타 다른 부위에 보조바퀴장치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조바퀴부의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보조바퀴부는 이륜차의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 및 회전부재에 연결되며 지면에 접촉되는 보조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스토퍼부는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회전부재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완충부는 보조바퀴부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보조바퀴는 회전부재 상에 상하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완충부는 회전부재에 대한 보조바퀴의 직선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부재에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될 수 있고, 보조바퀴의 회전축은 가이드슬릿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으며, 스프링부재는 회전축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완충부가 수용 가능한 충격이라 함은, 보조바퀴에 충격이 가해질 시 보조바퀴가 회전부재에 대해 탄성적으로 직선 이동함으로써 완충될 수 있는 충격 범위로 이해될 수 있다.
스토퍼부는 차체에 대한 보조바퀴부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토퍼부는 이륜차의 차체 및 보조바퀴부 중 어느 하나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스토퍼돌기, 및 스토퍼돌기가 이륜차의 차체 및 보조바퀴부 중 다른 하나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토퍼스프링, 및 스토퍼돌기가 수용 가능하게 이륜차의 차체 및 보조바퀴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돌기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스토퍼돌기가 돌기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보조바퀴부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돌기가 수용되는 돌기수용부에 의한 구속력이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돌기수용부는, 제1스토퍼홈, 제1스토퍼홈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스토퍼홈, 및 제1스토퍼홈 및 제2스토퍼홈의 사이에는 형성되는 중간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고, 중간걸림턱은 제1 및 제2스토퍼홈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바퀴에 예기치 못한 강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비교적 큰 장애물이 충돌될 경우, 회전부재에 대해 보조바퀴가 탄성적으로 회전함으로써 보조바퀴부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는, 보조바퀴부, 완충부 및 스토퍼부를 포함하되, 보조바퀴부는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 회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샤프트부재, 및 샤프트부재에 연결되며 지면에 접촉되는 보조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완충부는 일단은 회전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샤프트부재에 연결되며 회전부재에 대한 샤프트부재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는, 보조바퀴부, 완충부 및 스토퍼부를 포함하되, 보조바퀴부는 유동슬릿이 형성되며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 및 회전부재에 연결되며 지면에 접촉되는 보조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완충부는 유동슬릿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이드휠, 및 일단은 차체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휠에 연결되며 차체에 대한 회전부재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유동슬릿을 따른 가이드휠의 이동은 스토퍼부에 의해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으며, 가이드휠의 이동이 구속된 상태에서는 차체에 대한 회전부재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유동슬릿을 따른 가이드휠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스토퍼부의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토퍼부는 회전부재 상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유동슬릿의 일부를 차단하는 스토퍼돌기, 및 스토퍼돌기의 직선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토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스토퍼돌기가 유동슬릿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는 유동슬릿을 따른 가이드휠의 이동이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에 의하면,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시 보조바퀴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부를 통해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보조바퀴부에 예기치 못한 강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비교적 큰 장애물이 충돌될 경우에는 보조바퀴부 자체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식으로 차체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충격이 차체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우천시 혹은 눈이 내림시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수평을 쉽게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한 운행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가 장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의 구조 및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의 구조 및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의 구조 및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의 구조 및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가 장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의 구조 및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200)는 보조바퀴부(210), 완충부(220) 및 스토퍼부(23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200)는 통상의 이륜차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륜차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200)가 오토바이(100)의 뒷바퀴(130) 부위에 장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보조바퀴장치가 오토바이의 앞바퀴 부위에 장착되거나, 앞바퀴 및 뒷바퀴 사이의 차체 부위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여타 다른 부위에 보조바퀴장치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조바퀴부(210)는 뒷바퀴(130)와 함께 지면에 3점 지지되도록 뒷바퀴의 양 측면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보조바퀴부가 뒷바퀴와 함께 지면에 4점 이상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보조바퀴부의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조바퀴부(210)는 차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지면에 접촉되거나 차체(110)에 대해 회전하며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바퀴부(210)의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조바퀴부(210)는 회전부재(212) 및 보조바퀴(2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12)의 일단은 차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보조바퀴(214)는 회전부재(212)의 타단에 연결되어 지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차체(110)에 대한 회전부재(212)의 회전은 후술할 스토퍼부(230)에 의해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으며, 회전부재(212)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는 보조바퀴(214)가 지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12)의 구조 및 형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전부재(212)는 대략 직선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회전부재가 대략 "L" 형태 등과 같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부재(212)는 차체(110)에 결합되는 별도의 브라켓(미도시)을 매개로 차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브라켓을 배제하고 회전부재가 직접 차체에 장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완충부(220)는 보조바퀴부(210)를 통해 차체(11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완충부(220)는 보조바퀴부(210)를 통해 차체(11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조바퀴(214)는 회전부재(212) 상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완충부(220)는 회전부재(212)에 대한 보조바퀴(214)의 상하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부재(212)에는 가이드슬릿(212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보조바퀴(214)의 회전축(214a)은 가이드슬릿(212a)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부재는 회전축(214a)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직선 형태의 가이드슬릿(212a)이 지면에 수직한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슬릿이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가이드슬릿이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부(230)는 차체(110)에 대한 회전부재(212)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하도록 제공되며, 전술한 완충부(220)가 수용 가능한 충격보다 더 큰 충격이 보조바퀴(214)에 가해지면 스토퍼부(23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되며 회전부재(212)의 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220)가 수용 가능한 충격이라 함은, 보조바퀴(214)에 충격이 가해질 시 보조바퀴(214)가 회전부재(212)에 대해 탄성적으로 직선 이동함으로써 완충될 수 있는 충격 범위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230)는 차체(110)에 대한 회전부재(212)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토퍼부(230)는 스토퍼돌기(232), 스토퍼스프링(234) 및 돌기수용부(2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토퍼부(230)가 회전부재(212)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토퍼부(230)의 개수 및 이격 간격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돌기(232)는 차체(110) 및 보조바퀴부(210) 중 어느 하나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토퍼돌기(232)는 차체(110)를 마주하는 회전부재(212)의 일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스프링(234)은 스토퍼돌기(232)가 차체(110) 및 보조바퀴부(210) 중 다른 하나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토퍼스프링(234)은 스토퍼돌기(232)의 후방에 제공되어 스토퍼돌기(232)가 차체(110)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스프링(234)으로서는 통상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스토퍼스프링(234)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토퍼스프링(234)은 전술한 완충부(220)의 스프링부재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스토퍼스프링(234)의 탄성력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돌기수용부(236)는 스토퍼돌기(232)가 수용 가능하게 차체(110) 및 보조바퀴부(21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차체(110)에는 돌기수용부(23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토퍼돌기(232)가 돌기수용부(236)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차체(110)에 대한 회전부재(212)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상기 돌기수용부(236)는 스토퍼돌기(232)가 수용 가능한 홈 또는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수용부(236)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 3과 같이, 정상적인 주행 중 보조바퀴(214)에 일정 범위 내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회전부재(212)에 대해 보조바퀴(214)가 탄성적으로 직선 이동함으로써 보조바퀴부(210)를 통해 차체(110)로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
반면, 도 4와 같이, 보조바퀴(214)에 예기치 못한 강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비교적 큰 장애물이 충돌될 경우에는, 보조바퀴부(210) 자체가 차체(110)에 대해 회전하며 지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충격이 차체(110)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완충부(220)가 수용 가능한 충격보다 큰 충격이 보조바퀴(214)에 가해질 경우에는, 상기 스토퍼돌기(232)가 돌기수용부(236)로부터 빠져나옴에 따라 스토퍼부(23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회전부재(212)가 차체(1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의 구조 및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회전부재에 대해 보조바퀴(1216)가 탄성적으로 직선 이동함으로써, 보조바퀴부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회전부재에 대해 보조바퀴가 탄성적으로 회전함으로써 보조바퀴부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는, 보조바퀴부(1210), 완충부(1220) 및 스토퍼부(1230)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바퀴부(1210)는 차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1212), 상기 회전부재(12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샤프트부재(1214), 및 상기 샤프트부재(1214)에 연결되며 지면에 접촉되는 보조바퀴(12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완충부(1220)는 일단은 회전부재(121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샤프트부재(1214)에 연결되며 회전부재(1212)에 대한 샤프트부재(1214)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부재(1214)는 회전부재(1212)에 대한 샤프트부재(1214)의 회전시 보조바퀴(1216)를 지면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곡선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샤프트부재(1214)는 대략 "L"자 형태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일단은 회전부재(12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타단에는 보조바퀴(1216)가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토퍼부(1230)는 차체(110)에 대한 상기 회전부재(1212)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부(1230)는 스토퍼돌기(1232), 스토퍼스프링(1234) 및 돌기수용부(12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정상적인 주행 중 보조바퀴(1216)에 일정 범위 내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회전부재(1212)에 대해 샤프트부재(1214)가 탄성적으로 회전함으로써, 보조바퀴부(1210)를 통해 차체(110)로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
반면, 도 8과 같이, 완충부(1220)가 수용 가능한 충격보다 큰 충격이 보조바퀴(1216)에 가해질 경우에는, 상기 스토퍼돌기(1232)가 돌기수용부(1236)로부터 빠져나옴에 따라 스토퍼부(123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회전부재(1212)가 차체(110)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충격이 차체(110)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의 구조 및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는, 보조바퀴부(2210), 완충부(2220) 및 스토퍼부(2230)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바퀴부(2210)는 유동슬릿(2212a)이 형성되며 차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2212), 및 상기 회전부재(2212)에 연결되며 지면에 접촉되는 보조바퀴(22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완충부(2220)는 유동슬릿(2212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이드휠(2222), 및 일단은 차체(110)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휠(2222)에 연결되며 차체(110)에 대한 회전부재(2212)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유동슬릿(2212a)을 따른 가이드휠(2222)의 이동은 스토퍼부(2230)에 의해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휠(2222)의 이동이 구속된 상태에서는 차체(110)에 대한 회전부재(2212)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212)는 대략 "L"자 형태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일단은 차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타단에는 보조바퀴(2214)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동슬릿(2212a)을 따른 가이드휠(2222)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스토퍼부(2230)의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토퍼부(2230)는 회전부재(2212) 상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유동슬릿의 일부를 차단하는 스토퍼돌기(2232), 및 상기 스토퍼돌기(2232)의 직선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토퍼스프링(22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돌기(2232)가 유동슬릿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는 유동슬릿을 따른 가이드휠(2222)의 이동이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정상적인 주행 중 보조바퀴(2214)에 일정 범위 내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차체(110)에 대해 회전부재(2212)가 일정 구간 범위에서 탄성적으로 회전함으로써, 보조바퀴부(2210)를 통해 차체(110)로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
반면, 도 11과 같이, 완충부(2220)가 수용 가능한 충격보다 큰 충격이 보조바퀴(2214)에 가해질 경우에는, 상기 스토퍼돌기(2232)가 스토퍼스프링(2234)을 압축하며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토퍼돌기(2232)에 의한 구속이 해제됨과 동시에 가이드휠(2222)이 유동슬릿의 다른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휠(2222)이 유동슬릿의 다른 일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회전부재(2212)가 완충구간(도 10 참조) 이후 구간까지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충격이 차체(110)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의 구조 및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토퍼돌기가 수용되는 돌기수용부가 단순히 하나의 홈(또는 홀) 형태로 형성되어 스토퍼돌기에 대해 일률적인 구속력이 작용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돌기수용부에 의한 구속력이 가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스토퍼돌기(3232)가 수용되기 위한 돌기수용부(3236)는, 제1스토퍼홈(3236a), 상기 제1스토퍼홈(3236a)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스토퍼홈(3236b), 및 상기 제1스토퍼홈(3236a) 및 제2스토퍼홈(3236b)의 사이에는 형성되는 중간걸림턱(3236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중간걸림턱(3236c)은 제1 및 제2스토퍼홈(3236b)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돌기수용부(3236)는 회전부재(3212)를 마주하는 차체(1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홈(3236b)의 상면이라 함은, 회전부재(3212)를 마주하는 차체(110)의 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중간걸림턱(3236c)의 높이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간걸림턱(3236c)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스토퍼돌기(3232)가 제1스토퍼홈(3236a)에서 제2스토퍼홈(3236b) 측으로 이동될 시 스토퍼돌기(3232)에 작용하는 구속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스토퍼돌기(3232)가 제1스토퍼홈(3236a)에 구속된 상태에서, 보조바퀴(도 2의 214 참조)에 비교적 가벼운 충격이 1차적으로 가해질 시에는 스토퍼돌기(3232)가 중간걸림턱(3236c)을 넘은 후 제2스토퍼홈(3236b)에 구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스토퍼돌기(3232)가 제2스토퍼홈(3236b)에 구속된 상태에서도 완충부(도 2의 220 참조)는 차체(11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그 후, 2차적으로 더 큰 충격이 보조바퀴에 가해질 시에는 스토퍼돌기(3232)가 제2스토퍼홈(3236b)으로부터 빠져나옴으로써 차체(110)에 대한 회전부재(3212)의 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보조바퀴에 매우 강한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제1스토퍼홈에 구속되어 있던 스토퍼돌기가 돌기수용부 외부로 곧바로 빠져나오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 보조바퀴장치 210 : 보조바퀴부
220 : 완충부 230 : 스토퍼부

Claims (9)

  1.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바퀴부;
    상기 보조바퀴부를 통해 상기 이륜차의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부; 및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상기 보조바퀴부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가 수용 가능한 충격보다 더 큰 충격이 상기 보조바퀴부에 가해지면, 상기 스토퍼부에 의한 구속이 해제되며 상기 보조바퀴부가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이륜차의 차체 및 상기 보조바퀴부 중 어느 하나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스토퍼돌기; 및
    상기 스토퍼돌기가 상기 이륜차의 차체 및 상기 보조바퀴부 중 다른 하나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토퍼스프링; 및
    상기 스토퍼돌기가 수용 가능하게 상기 이륜차의 차체 및 보조바퀴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돌기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돌기가 상기 돌기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상기 보조바퀴부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수용부는,
    제1스토퍼홈;
    상기 제1스토퍼홈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스토퍼홈; 및
    상기 제1스토퍼홈 및 상기 제2스토퍼홈의 사이에는 형성되는 중간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걸림턱은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홈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퀴부는,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며 지면에 접촉되는 보조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하며,
    상기 보조바퀴는 상기 회전부재 상에 상하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대한 상기 보조바퀴의 직선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바퀴의 회전축은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직선 이동하며,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릿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퀴부는,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샤프트부재; 및 상기 샤프트부재에 연결되며 지면에 접촉되는 보조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일단은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샤프트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재에 대한 상기 샤프트부재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퀴부는, 유동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며 지면에 접촉되는 보조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유동슬릿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이드휠; 및 일단은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휠에 연결되며,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슬릿을 따른 상기 가이드휠의 이동은 상기 스토퍼부에 의해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휠의 이동이 구속된 상태에서는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회전부재 상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유동슬릿의 일부를 차단하는 스토퍼돌기; 및
    상기 스토퍼돌기의 직선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토퍼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돌기가 상기 유동슬릿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유동슬릿을 따른 상기 가이드휠의 이동이 일시적으로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KR1020120051451A 2012-05-15 2012-05-15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KR101378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451A KR101378482B1 (ko) 2012-05-15 2012-05-15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451A KR101378482B1 (ko) 2012-05-15 2012-05-15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718A true KR20130127718A (ko) 2013-11-25
KR101378482B1 KR101378482B1 (ko) 2014-03-31

Family

ID=49855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451A KR101378482B1 (ko) 2012-05-15 2012-05-15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4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9623B2 (en) 2015-05-19 2019-09-03 Tae Soon Yeo Bike having energy recovery device
EP4026760A1 (en) * 2021-01-08 2022-07-13 Ahmet Akkök Safety wheel and control system thereof
CN115416741A (zh) * 2022-10-12 2022-12-02 Abb瑞士股份有限公司 用于推车式电气设备的防倾倒装置和推车式电气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09380B (zh) * 2015-03-13 2017-04-19 河北小海豚童车有限公司 免工具拆装的童车平衡轮
KR102496527B1 (ko) * 2020-09-23 2023-02-07 주식회사 그린모빌리티 스마트 사이드 스탠드가 구비된 전기 이륜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703Y1 (ko) * 1995-06-10 1997-05-19 안기철 오토바이의 후륜 보조지지장치
JP4145540B2 (ja) 2002-03-20 2008-09-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補助輪付き自動二輪車
US7287774B2 (en) 2003-04-02 2007-10-30 Raymond Mullins Stabilizing device for a motorcycle
JP4474220B2 (ja) 2004-07-20 2010-06-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補助輪付き自動二輪車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9623B2 (en) 2015-05-19 2019-09-03 Tae Soon Yeo Bike having energy recovery device
US10583881B2 (en) 2015-05-19 2020-03-10 Tae Soon Yeo Bike having expanded knife ski device
US10913503B2 (en) 2015-05-19 2021-02-09 Tae Soon Yeo Bike having automatic landing wheel apparatus
EP4026760A1 (en) * 2021-01-08 2022-07-13 Ahmet Akkök Safety wheel and control system thereof
CN115416741A (zh) * 2022-10-12 2022-12-02 Abb瑞士股份有限公司 用于推车式电气设备的防倾倒装置和推车式电气设备
CN115416741B (zh) * 2022-10-12 2024-05-10 Abb瑞士股份有限公司 用于推车式电气设备的防倾倒装置和推车式电气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8482B1 (ko) 201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482B1 (ko)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KR20180077258A (ko) 서스펜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셀프-밸런싱 보드
US20080100018A1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US7556276B1 (en) Bicycle rear wheel suspension chassis
US20090008890A1 (en) Suspension system for an all-terrain vehicle
KR101470948B1 (ko)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US10029756B2 (en) Impact absorbing support for a wheel
KR20140030005A (ko)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JP2010532291A (ja) オートバイサイドカー
JP2013022993A (ja) 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US4057213A (en) Seat for work machine or vehicle
KR101541118B1 (ko) 레일 바이크
US20080203699A1 (en) Handlebar mount shock absorber structure
KR101306910B1 (ko)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JP4587335B2 (ja) 自転車の横転防止装置
CN203186401U (zh) 一种转向管柱安装结构及汽车
KR200439510Y1 (ko) 모노레일 바이크의 완충구조
KR101282683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틸트장치
KR102003363B1 (ko) 승차감이 개선된 다중 완충 장치를 구비한 레일 바이크
KR200175479Y1 (ko) 서행용 이륜차의 충격흡수장치
KR100914409B1 (ko) 오토바이 사이드카
KR101339460B1 (ko) 완충수단이 구비된 직립형 3륜 이동장치
CN219382646U (zh) 一种用于爬坡的履带结构
CN111891265B (zh) 一种具备防侧翻能力的车辆
KR200380850Y1 (ko) 트라이씨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