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409B1 - 오토바이 사이드카 - Google Patents

오토바이 사이드카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409B1
KR100914409B1 KR1020080134243A KR20080134243A KR100914409B1 KR 100914409 B1 KR100914409 B1 KR 100914409B1 KR 1020080134243 A KR1020080134243 A KR 1020080134243A KR 20080134243 A KR20080134243 A KR 20080134243A KR 100914409 B1 KR100914409 B1 KR 100914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cycle
car
wheel
bars
suppor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윤
Original Assignee
윤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희윤 filed Critical 윤희윤
Priority to KR1020080134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4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7/00Sidecars; Forecars; Trailer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cycles
    • B62K27/10Other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B62K27/12Coupling parts for attaching cars or the like to cycle;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7/00Sidecars; Forecars; Trailer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cycles
    • B62K27/06Resilient axle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7/00Sidecars; Forecars; Trailer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cycles
    • B62K27/10Other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B62K27/16Hoods; Weather-guards, e.g. wind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바이의 사이드 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오토바이의 바퀴들과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카 바퀴와, 상기 카 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그 카 바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바퀴 지지 조립체와, 상기 바퀴 지지 조립체와 상기 오토바이 몸체를 연결하며, 상기 오토바이의 기울어짐에 따라 함께 상기 카 바퀴가 기울어지도록 상기 바퀴 지지 조립체를 기울어지게 하는 연동 기구와, 상기 연동 기구에 설치되며, 내부에 승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이 적재되는 카 본체를 포함한다. 이로 인하여, 오토바이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 주행을 할 때 그 오토바이가 기울어짐과 동일하게 사이드 카의 카 바퀴가 기울어지게 되어 오토바이가 굽은 길에서도 속도를 크게 줄이지 않고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오토바이 사이드카{MOTORCYCLE SIDECAR}
본 발명은 오토바이에 장착되는 오토바이 사이드 카에 관한 것이다.
오토바이는 보통, 운전자가 탑승하는 좌석과 그 운전자 좌석의 뒤에 뒤 좌석이 구비된다. 오토바이의 뒤 자석에 사람(특히, 노약자)이 운전자와 함께 탑승하는 것이 위험하고, 또한 그 뒤 자석이 협소하여 화물을 적재하는 것이 접합하지 않다.
따라서, 오토바이를 이용하여 사람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화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그 오토바이에 사이드 카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사이드 카는 오토바이에 장착된 상태에서 오토바이가 우측으로 회전 주행하거나 좌측으로 회전 주행(이하, 회전 주행이라 함)할 때 그 사이드 카의 바퀴가 지면으로부터 직각으로 세워진 상태로 회전해야 하므로 오토바이의 주행 속도를 줄인 다음 곡률 반경을 크게 하여 회전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사이드 카를 오토바이에 장착하고 오토바이를 주행시 회전 주행이 빠르지 못하게 된다. 만일, 오토바이가 사이드 카를 장착하고 고속으로 회전 주행하게 되면 원심력으로 인하여 오토바이와 사이드 카가 함께 전복되어 오토바이 운전자 및 사이드 카 탑승자가 다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토바이에 장착된 상태에서 오토바이가 회전 주행할 때 그 오토바이와 함께 기울어지도록 하여 회전 주행에서도 고속으로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한 오토바이의 사이드 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오토바이의 바퀴들과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카 바퀴와; 상기 카 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그 카 바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바퀴 지지 조립체와; 상기 바퀴 지지 조립체와 상기 오토바이 몸체를 연결하며, 상기 오토바이의 기울어짐에 따라 함께 상기 카 바퀴가 기울어지도록 상기 바퀴 지지 조립체를 기울어지게 하는 연동 기구와; 상기 연동 기구에 설치되며, 내부에 사람이 탑승하거나 화물이 적재되는 카 본체를 포함하는 오토바이 사이드 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오토바이가 우측 또는 좌측 회전 주행을 할 때 그 오토바이의 기울어짐과 동일하게 사이드 카의 카 바퀴가 기울어지게 되므로 오토바이가 굽은 길에서도 속도를 크게 줄이지 않고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즉, 오토바이가 굽은 길에서도 전복되지 않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카 본체의 무게 중심이 아래 쪽으로 위치하게 되어 사이드 카의 안정감을 높여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연동 기구에 스토퍼들이 구비되어 카 바퀴 및 오토바이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오토바이 및 사이드 카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오토바이 사이드 카의 일실시예와 그 오토바이 사이드 카의 일실시예가 장착된 오토바이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오토바이 사이드 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상기 오토바이 사이드 카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바퀴 지지조립체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상기 오토바이 사이드 카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연동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상기 오토바이 사이드 카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길이 조절유닛을 평단면도,
도 7,8은 상기 오토바이 사이드 카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 유닛을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9,10는 상기 오토바이 사이드 카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각각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오토바이의 사이드 카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오토바이 사이드 카의 일실시예와 그 오토바이 사이드 카의 일실시예가 장착된 오토바이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오토바이 사이드 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2, 3들을 참조하여, 상기 오토바이 사이드 카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오토바이는 핸들 바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후에 각각 구비되는 두 개(한 쌍)의 바퀴(20)들과, 상기 본체(10)에 장착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미도시)과, 상기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바퀴(2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미도시)와, 상기 바퀴(20)들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동장치(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오토바이의 엔진에서 구동력이 발생되며 그 엔진에서 발생된 구동력이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바퀴에 전달된다. 상기 바퀴는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상기 바퀴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므로 오토바이가 주행하게 된다.
상기 오토바이 사이드 카의 일실시예는 카 바퀴(100), 바퀴 지지 조립체(200), 연동 기구(300) 그리고 카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카 바퀴(100)는 바퀴 프레임(110)과, 상기 바퀴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타이어(120)와, 상기 바퀴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바퀴 축(130)을 포함한다.
상기 바퀴 지지 조립체(200)는 상기 카 바퀴(1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그 카 바퀴(100)에 가해지는 외력(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바퀴 지지 조립체(200)의 일예로,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210)과, 일측이 상기 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장공이 형성된 두 개의 링크(레버)(220)들과, 상기 하우징(210)에 장착되는 두 개의 서스펜션(230)들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0)의 일예로, 소정의 면적을 갖는 상벽(211)과, 상기 상벽에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전,후벽(212)(213)과 상기 상벽(211)에 각각 연장 형성되는 양측벽(2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양측벽(214)에 각각 반원 형태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의 전벽(212)은 오토바이를 기준으로 하여 앞 바퀴가 있는 쪽이며, 하우징(210)의 후벽(213)은 오토바이의 뒤 바퀴가 있는 쪽이다.
상기 두 개의 링크(220)들 중 하나의 링크(220)는 하우징(210)의 한쪽 측벽의 내면 또는 외면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링크(220)는 하우징(210)의 다른 측벽의 내면 또는 외면에 결합된다.
상기 카 바퀴(100)의 바퀴 축(130) 일측 단부가 하나의 링크(220)의 장공에 삽입되고 그 카 바퀴(100)의 바퀴 축(130) 타측 단부가 다른 하나의 링크(220)의 장공에 삽입된다.
상기 두 개의 서스펜션(230)들 중 하나의 서스펜션(230)의 일측은 상기 하우징(210)에 결합되고 그 서스펜션(230)의 타측은 상기 카 바퀴(100)의 바퀴 축(130) 일측 단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서스펜션(230)의 일측은 상기 하우징(210)에 결합되고 그 서스펜션(230)의 타측은 카 바퀴(100)의 바퀴 축(130) 타측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서스펜션(230)의 타측은 바퀴 축(130)에 결합되지 않고 상기 링크(2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230)은 탄성력으로 바퀴 축(130) 또는 링크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두 개의 서스펜션(230)들은 상기 카 바퀴(100)에 외력이 작용할 때 그 카 바퀴(100)에 작용하는 외력을 흡수하게 된다.
상기 연동 기구(300)는 상기 바퀴 지지 조립체(200)와 상기 오토바이 본체(10)를 연결한다. 상기 연동 기구(300)는 상기 오토바이가 기울어지게 되면 그 오토바이의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바퀴 지지 조립체(200)를 기울어지게 하여 그 바퀴 지지 조립체(200)에 결합된 카 바퀴(100)를 기울어지게 한다. 상기 오토바이는 오토바이의 바퀴(20)들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 또는 좌측으로 기울어진다.
상기 연동 기구(300)의 일예로, 도 4,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상부 막대(310)(320)들, 제1 연결 부재(330), 제1,2 하부 막대(340)(350)들, 그리고 제2 연결 부재(3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2 상부 막대(310)(320)들은 각각 일정 길이를 가진다.
상기 제1,2 상부 막대(310)(320)들의 각 일측 단부는 바퀴 지지 조립체(200)의 하우징(210)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상부 막대(310)의 일측 단부가 하우징(210)의 전벽(212) 상부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제1 상부 막대(310)의 타측이 오토바이 본체(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상부 막대(320)의 일측 단부가 하우징(210)의 후벽(213) 상부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제2 상부 막대(320)의 타측 단부가 상기 오토바이 본체(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2 상부 막대(310)(320)들은 서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상기 제1 연결 부재(330)의 일예로 일정 두께는 갖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 부재(330)의 일측이 상기 제1 상부 막대(310)에 결합되고 그 제1 연결 부재(330)의 타측이 상기 제2 상부 막대(320)에 결합된다. 상기 제1,2 상부 막대(310)(320)들은 상기 제1 연결 부재(330)에 의해 간격이 유지된다.
상기 제1,2 상부 막대(310)(320)들의 각 일측 단부에 제1 연결부(311)(321)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전벽(212) 상부에 상기 제1 상부 막대(310)의 제1 연결부(311)와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부(240)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후벽(213) 상부에 상기 제2 상부 막대(320)의 제1 연결부와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부(250)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전벽(212) 상부에 구비된 제2 연결부(240)와 상기 후벽(213) 상부에 구비된 제2 연결부(250)는 상기 카 바퀴(100)의 중심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 바퀴(100)의 중심선은 그 카 바퀴(100)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제2 연결부(240)(250)의 일예로, 그 제2 연결부(2400(250)는 구 형상의 돌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연결부(311)(321)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구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2 하부 막대들(340)(350)은 각각 일정 길이를 가진다.
상기 제1,2 하부 막대들(340)(350)의 각 일측 단부는 바퀴 지지 조립체(200)의 하우징(210)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하부 막대(340)의 일측 단부가 하우징(210)의 전벽(212) 하부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제1 하부 막대(340)의 타측이 오토바이 본체(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하부 막대(350)의 일측 단부가 하우징(210)의 후벽(213) 하부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제2 하부 막대(350)의 타측 단부가 상기 오토바이 본체(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2 하부 막대들(340)(350)은 서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상기 제1,2 하부 막대들(340)(350)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1,2 상부 막대들(310)(320) 사이의 간격보다 크다.
상기 제2 연결 부재(360)의 일예로 일정 두께는 갖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연결 부재(360)의 일측이 상기 제1 하부 막대(340)에 결합되고 그 제2 연결 부재(360)의 타측이 상기 제2 하부 막대(350)에 결합된다. 상기 제1,2 하부 막대들(340)(350)은 상기 제2 연결 부재(360)에 의해 간격이 유지된다.
상기 제2 연결 부재(360)의 면적이 제1 연결 부재(330)의 면적보다 크다.
상기 제1,2 하부 막대들(340)(350)의 각 일측 단부에 제1 연결부(341)(351)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전벽(212) 하부에 상기 제1 하부 막대(340)의 제1 연결부(341)와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부(260)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후벽(213) 하부에 상기 제2 하부 막대(350)의 제1 연결부(351)가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부(260)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전벽(212) 하부에 구비된 제2 연결부(260)와 상기 후벽(213) 하부에 구비된 제2 연결부(270)는 상기 카 바퀴(100)의 중심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 바퀴(100)의 중심선은 그 카 바퀴(100)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제2 연결부(260)(270)의 일예로, 그 제2 연결부(260)(270)는 구 형상의 돌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연결부(341)(351)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구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2 상부 막대(310)(320)들과 상기 제1,2 하부 막대(340)(350)들은 각각 착탈 유닛(400)에 의해 상기 오토바이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2 상부 막대(310)(320)들과 상기 제1,2 하부 막대(340)(350)들이 각각 착탈 유닛(400)을 기준 축(axis)으로 상하 방향으로 각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착탈 유닛(400)의 일예로, 그 착탈 유닛(400)은 내부에 복수 개의 관통공과 하나의 나사공이 구비된 브라켓(410)과, 상기 오토바이 본체(10)를 구성하는 관(pipe)과 상기 브라켓(410)을 연결시키는 유자형 볼트(420) 및 너트(430)들과, 상기 막대(상,하부 막대들임)의 단부에 결합되는 베어링(440)과, 상기 베어링(440)에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410)의 나사공에 체결되는 고정 볼트(450)를 포함한다. 상기 유자형 볼트(420)와 너트(430)들은 브라켓(410)의 두 군데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어링(440)은 볼 베어링 또는 부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2 상부 막대(310)(320)들은 각각 다단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상부 막대(310)는 일정 길이의 제1 수평부(312)와, 그 제1 수평부(312)에 절곡 연장되어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경사부(313)와, 상기 제1 경사부(313)에 절곡 연장되어 일정 길이를 갖는 제2 수평부(314)와, 상기 제2 수평부(314)에 절곡 연장되어 일정 길이를 갖는 제2 경사부(315)와, 상기 제2 경사부(315)에 절곡 연장되어 일정 길이를 갖는 제3 수평부(3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상부 막대(310)의 제1 수평부(312)의 단부가 하우징(210)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3수평부(316)의 단부가 오토바이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2,3 수평부(312)(314)(316)들은 수평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1,2 경사부(313)(315)들은 경사지게 위치한다. 상기 제1,3 수평부(312)(316)들은 서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고 제2 수평부(314)는 제1,3 수평부(312)(316)들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상기 제2 상부 막대(320)도 상기 제1 상부 막대(310)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제1 수평부(322), 제1 경사부(323), 제2 수평부(324), 제2 경사부(325) 그리고 제3수평부(32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2 하부 막대(340)(350)들은 각각 직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상부 막대(310)의 제2 수평부(314)와 상기 제2 상부 막대(320)의 제2 수평부(324)는 상기 제1,2 하부 막대(340)(350)들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연결 부재(330)의 일측이 상기 제1 상부 막대(310)의 제2 수평부(314)에 결합되고 그 제1 연결 부재(330)의 타측이 제2 상부 막대(320)의 제2 수평부(324)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2 하부 막대(340)(350)들에 결합되는 제2 연결 부재(360)가 상기 제1 연결 부재(330)의 상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2 연결 부재(360)와 상기 제1 연결 부재(330)는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룬다.
상기 오토바이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기울어진다는 것은, 지면에 접촉된 오토바이 바퀴(20)의 접촉 부분을 기준으로 오토바이가 각회전하는 것이다. 따라서 오토바이는 오토바이 바퀴(20)의 접촉 부분에서 수직 방향으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움직이는 거리(폭)이 커지게 된다.
상기 오토바이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기울어질 때 오토바이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된 제1,2 상부 막대(310)(320)들이 움직인 거리(폭)이 오토바이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된 제1,2 하부 막대(340)(350)들이 움직인 거리(폭)보다 크게 된다.
상기 제2 연결 부재(360)에 상기 제1,2 상부 막대(310)(320)들이 움직이는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A)들이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A)는 상기 제2 연결 부재(360)의 일측 단부에 반원 형태로 형성된 홈(G)과 그 홈(G)의 내측 끝에 위치하도록 제2 연결 부재(360)의 하면에 결합되는 블록(B)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A)는 제2 연결 부재(360)의 양측 변에 각각 두 개씩 구비된다. 상기 제2 연결 부재(360)의 한쪽 변에 위치하는 두 개의 스토퍼들은 상기 제1,2 상부 막대(310)(320)들의 각 제1 경사부(313)(323)와 인접하게 위치한다. 상기 제1,2 상부 막대(310)(320)들의 각 제1 경사부(313)(323)와 인접한 스토퍼들을 제1,2 스토퍼(A1)(A2)라 한다. 그리고 제2 연결 부재(360)의 다른 한쪽 변에 위치하는 두 개의 스토퍼들은 상기 제1,2 상부 막대(310)(320)들의 각 제2 경사부(315)(325)와 인접하게 위치한다. 상기 제1,2 상부 막대(310)(320)의 각 제2 경사부(315)(325)와 인접한 스토퍼들을 제3,4 스토퍼(A3)(A4)라 한다.
상기 제1,2 상부 막대(310)(320)들이 바퀴 지지 조립체(200) 쪽으로 움직일 때 제1,2상부 막대(310)(320)들의 각 제2 경사부(315)(325)가 제3,4 스토퍼(A3)(A4)에 각각 걸려 그 제1,2 상부 막대(310)(320)들이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제1,2 상부 막대(310)(320)들이 오토바이 쪽으로 움직일 때 제1,2 상부 막대들(310)(320)의 각 제1 경사부(313)(323)가 제1,2 스토퍼(A1)(A2)에 걸려 그 제1,2 상부 막대(310)(320)들이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게된다.
오토바이는 회전 주행할 때 보통 수직 선상에서 25도 이상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만일, 그 이상의 각도로 기울어지면 오토바이가 넘어질 수 있다. 상기 스토퍼들은 오토바이가 기울어질 때 그 오토바이가 설정된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2 상부 막대(310)(320)들과 상기 제1,2 하부 막대(340)(350)들에 각각 그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유닛(50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 상부 막대(310)(320)들에 각각 구비된 길이 조절유닛(500)을 이용하여 상기 제1,2 상부 막대들(310)(320)의 각 길이를 상기 제1,2 하부 막대(340)(350)들의 각 길이보다 길게 하거나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 하부 막대(340)(350)들에 각각 구비된 길이 조절유닛(500)을 이용하여 상기 제1,2 하부 막대(340)(350)들의 각 길이를 상기 제1,2 상부 막대(310)(320)들의 각 길이보다 길게 하거나 짧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2 상부 막대(310)(320)들의 각 길이가 상기 제1,2 하부 막대(340)(350)들의 각 길이보다 짧게 될 경우 카 바퀴(100)의 상부가 오토바이 쪽으로 기울어진다.
상기 길이 조절유닛(500)의 일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길이 조절유닛은 턴버클(turnbuckle)임이 바람직하다. 즉, 막대를 두 부분으로 분리하고 그 분리된 두 개의 막대들 중 하나의 막대 단부에 오른 나사를 형성하고 그 다른 하나의 막대 단부에 왼 나사를 형성한다. 그리고 오른 나사산과 왼 나사산이 구비된 메인 너트(510)가 상기 분리된 두 개의 막대들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 메인 너트(51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두 개의 막대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상기 오른 나사와 왼 나사에 각각 메인 너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너트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동 기구(30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연동 기구를 고정시키거나 그 고정을 푸는 고정 유닛(600)이 상기 연동 기구(300)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유닛(600)은 오토바이 본체(10)와 인접한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동 기구(300)의 제1 연결 부재(330) 또는 제2 연결 부재(360)에 설치된다. 상기 제2 연결 부재(360)가 상기 제1 연결 부재(330)보다 위쪽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2 연결 부재(360)에 상기 고정 유닛(600)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유닛(600)이 상기 연동 기구(300)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면 상기 오토바이 본체(10)와 카 바퀴(100)가 수직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고정 유닛(600)의 일예로, 도 7,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제2 연결 부재(360)에 고정 결합되는 제1 고정 레버(610)와, 상기 제1 고정 레버(610)와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 고정 레버(620)와, 상기 제 2 고정 레버(620)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싱 레버(630)와, 상기 푸싱 레버(630)에 결합되어 상기 푸싱 레버(630)를 누르거나 당김에 의해 제1 연결 부재(330)와 제2 연결 부재(360)를 고정하거나 그 고정을 해제하는 제1 축(640)과, 상기 제1 축(640)을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제1 스프링(650)과, 상기 제2 고정 레버(6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푸싱 레버(630)를 다수 설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핸들 레버(660)와, 상기 핸들 레버(660)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제2 스프링(67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 레버(610)는 상기 제2 연결 부재(36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1 고정 레버(610)는 수직으로 위치한다.
상기 푸싱 레버(630)의 일측이 상기 제1 고정 레버(610)의 위쪽 끝부분에 핀(pin)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축(640)의 한쪽 끝에 원추 형태를 이루는 원추부(64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축(640)의 다른 한쪽 끝 부분에 고정 링(642)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링(642)은 제1 축(64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링(642)은 원추부(641)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상기 푸싱 레버(630)의 타측이 제1 축(640)에 핀(pin)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푸싱 레버(630)는 고정 링(642)에 인접한 제1 축(640)의 한쪽 끝부분에 결합된다. 상기 제1 축(640)의 길이 방향이 대략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다.
상기 제1 스프링(650)은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스프링(650)은 상기 제1 축(640)에 삽입된다. 상기 제1 스프링(650)의 한쪽 끝은 고정 링(642)에 지지되고 그 제1 스프링(650)의 다른 한쪽 끝은 제2 연결 부재(360)의 상면에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연결 부재(330)와 제2 연결 부재(360)에 각각 구멍(331)(362)이 구비되며, 그 두 개의 구멍들(331)(362)은 오토바이가 수직 상태로 위치할 때 제1 축(6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제1 축(640)과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그 제1,2 연결 부재(330)(360)에 각각 구비된 구멍(331)(362)의 내경은 제1 축(640)의 외경보다 크다.
상기 핸들 레버(660)의 한쪽 끝이 핀 또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제2 고정 레버(6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하에서 볼트와 너트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핸들 레버(660)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일측에 구멍이 구비된 레버부(661)와, 그 레버부(661)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1,2 걸림 돌기부들(662)(663)와, 상기 레버부(661)의 연장 형성된 핸들부(664)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부(661)의 구멍에 상기 볼트가 삽입된다. 상기 제1 걸림 돌기부(662)는 제2 걸림 돌기부(663)와 레버부(661)의 구멍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 걸림 돌기부(663)의 길이가 제1 걸림 돌기부(662)의 길이보다 길다. 상기 제1 걸림 돌기부(662)는 삼각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그 하면은 수평면이고 상면은 경사면이다.
상기 푸싱 레버(630)가 제1 걸림 돌기부(662)의 하면에 걸린 상태에서는 푸싱 레버(630)가 제1 축(640)을 아래로 누른 상태이며 그 푸싱 레버(630)가 제2 걸림 돌기부(663)의 하면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푸싱 레버(630)가 제1 축(640)을 아래로 누르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 제2 스프링(670)은 토션 스프링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스프링(670)은 상기 핸들 레버(660)와 제2 고정 레버(620)를 연결하는 볼트에 결합된다. 상기 제2 스프링(670)의 일측은 제2 연결 부재(360)의 상면에 지지되고 제2 스프링(670)의 타측은 핸들 레버(660)의 레버부(661)에 지지된다. 상기 제2 스프링(670)이 핸들 레버(660)의 레버부(661)를 탄성력으로 지지함에 의해 핸들 레버(660)는 푸싱 레버(630)에 밀착됨과 아울러 핸들 레버(660)는 수직으로 위치한다.
상기 고정 유닛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상기 푸싱 레버(630)가 핸들 레버(660)의 제2 걸림 돌기부(663)의 하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연동 기구(300)는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 유닛(600)으로 연동 기구(300)를 움직이지 못하게 할 경우, 상기 푸싱 레버(630)를 아래로 누르게 된다. 상기 푸싱 레버(630)가 아래로 움직이면서 제1 걸림 돌기부(662)의 상면, 즉 경사면을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푸싱 레버(630)가 볼트를 축으로 하여 회전(a 방향)하게 되면서 그 푸싱 레버(630)는 제1 걸림 돌기부(662)의 상면에서 벗어나 제1 걸림 돌기부(662)의 하면에 지지된다. 상기 푸싱 레버(630)가 제1 걸림 돌기부(662)의 상면을 벗어나면서 핸들 레버(660)는 제2 스프링(670)의 탄성력에 의해 역회전(b 방향)하면서 핸들 레버(660)는 푸싱 레버(630)에 밀착된다.
상기 푸싱 레버(630)가 밀려 제1 걸림 돌기부(662)의 하면에 지지됨에 따라 제1 축(640)이 푸싱 레버(630)에 의해 밀려 제2 연결 부재(360)의 구멍(362)과 제1 연결 부재(330)의 구멍(331)에 관통 삽입된다. 이때 제1 스프링(650)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상기 제1 축(640)이 제1,2 연결 부재(330)(360)의 구멍(331)(362)들에 각각 관통 삽입됨에 제2 연결 부재(360)와 제1 연결 부재(330)는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상기 연동 기구(300)를 다시 움직이게 될 경우, 상기 핸들 레버(660)를 회전(a 방향)시킨다. 상기 핸들 레버(66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푸싱 레버(630)가 제1 걸림 돌기부(662)의 하면에서 벗어나게 된다. 상기 푸싱 레버(630)가 제1 걸림 돌기부(662)의 하면에서 벗어남에 따라 제1 스프링(65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축(640)과 푸싱 레버(630)가 상측으로 움직이면서 푸싱 레버(630)는 핸들 레버(660)의 제2 걸림 돌기부(663)의 하면에 지지되고 제1 축(640)은 제1 연결 부재(330)의 구멍(331)에서 빠져 나오게 된다. 상기 회전된 핸들 레버(660)는 제2 스프링(670)의 탄성력에 의해 역회전하면서 푸싱 레버(630)의 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1 축(640)이 제1 연결 부재(330)의 구멍(331))에서 빠져 나오게 되므로 제1 연결 부재(330)의 구속이 해제되어 제1,2 연결 부재(330)(360)들이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카 본체(700)는 내부에 승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이 적재된다. 상기 카 본체(700)는 상기 연동 기구(300)의 제2 연결 부재(360)에 설치된다.
상기 카 본체(700)는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710)와 상기 본체(710)의 일측부에 구비되는 도어(720)와, 상기 본체(710)에 설치되는 시트(7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710)는 전면부와 양측면부와 후면부 그리고 바닥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710)의 전면부에 바람을 막아주는 투시창(74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710)에 커버 유닛(750)이 구비된다. 상기 커버 유닛(750)은 햇빛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비가 본체(710)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커버 유닛(750)의 일예로, 그 커버 유닛(750)은 호로막(751)과 그 호로막(751)을 지지하는 호로 프레임(752)을 포함한다. 상기 호로 프레임을 움직임에 의해 그 호로막이 본체의 상측을 복개하거나 열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오토바이 사이드 카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오토바이 사이드 카는 착탈 유닛(400)을 이용하여 오토바이 본체(10)에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본 발명의 오토바이 사이드 카는 오토바이 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오토바이가 주행함에 따라 그 오토바이와 함께 주행하게 된다.
상기 오토바이가 직선으로 주행하게 될 경우 그 오토바이가 수직 상태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오토바이가 수직 상태로 주행할 때 바퀴 지지 조립체(200)와 카 바퀴(100)가 수직 상태로 카 바퀴(10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오토바이가 좌측으로 회전 주행할 경우 오토바이를 정면에서 볼 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토바이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주행하게 된다. 상기 오토바이가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그 오토바이의 기울어짐에 따라 연동 기구(300)가 바퀴 지지 조립체(200)를 기울어지게 하여 그 바퀴 지지 조립체(200)에 지지되는 카 바퀴(100)를 기울어지게 한다.
즉, 상기 오토바이가 우측으로 기울어질 때 오토바이가 오토바이 바퀴의 접촉 부분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움직이는 거리가 커지게 되므로 상기 오토바이 본체(10)의 상부에 연결된 제1,2 상부 막대들(310)(320)이 제1,2 하부 막대들(340)(350)보다 움직이는 거리(폭)이 크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1,2 상부 막대(310)(320)들과 연결된 바퀴 지지 조립체(200)의 상부가 오른쪽(오토바이 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 바퀴 지지 조립체(200)가 오른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므로 카 바퀴(100)가 지면에 접촉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오른쪽(오토바이 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바퀴 지지 조립체(200)가 기울어지는 각도는 오토바이가 기울어지는 각도와 동일하게 된다.
상기 오토바이가 우측으로 회전 주행할 경우 오토바이를 정면에서 볼 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토바이는 좌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주행하게 된다. 상기 오토바이가 좌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그 오토바이의 기울어짐에 따라 연동 기구(300)가 바퀴 지지 조립체(200)를 오토바이의 기울어진 각도와 동일하게 기울어지게 한다. 상기 바퀴 지지 조립체(200)가 기울어짐에 따라 바퀴 지지 조립체(200)에 지지되는 카 바퀴(100)가 오토바이의 기울어진 각도와 동일하게 좌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연동 기구(30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오토바이가 우측 또는 좌측 회전 주행을 할 때 그 오토바이의 기울어짐과 동일하게 사이드 카의 카 바퀴(100)가 기울어지게 되므로 오토바이가 굽은 길에서도 속도를 크게 줄이지 않고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즉, 오토바이가 굽은 길에서도 전복되지 않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동 기구(300)의 제1,2 하부 막대들(340)(350)을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360)가 제1,2 상부 막대들(310)(320)을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330)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카 본체(700)가 상기 제2 연결 부재(360)에 설치되므로 카 본체(700)의 무게 중심이 아래 쪽으로 위치하게 되어 사이드 카의 안정감을 높여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연동 기구(300)에 스토퍼(A)들이 구비되어 카 바퀴(100) 및 오토바이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오토바이 및 사이드 카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속으로 직선 주행할 때 고정 유닛(600)을 이용하여 연동 기구(300)의 제1 연결 부재(330)와 제2 연결 부재(360)가 움직이지 못하게 함으로써 오토바이가 좌우로 기울어짐 없이 수직 상태로 주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 유닛(750)이 구비되어 카 본체(700)에 탑승한 승객을 햇볕으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비가 올 경우 비를 피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오토바이 사이드 카는 오토바이뿐만 아니라 그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차, 예를 들면 자전거에 장착할 수 있다.

Claims (10)

  1. 오토바이 본체(10)와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카 바퀴(100);
    상기 카 바퀴(1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그 카 바퀴(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바퀴 지지 조립체(200);
    상기 바퀴 지지 조립체(200)와 상기 오토바이 몸체(10)를 연결하며, 상기 오토바이가 기울어짐에 따라 함께 상기 카 바퀴(100)가 기울어지도록 상기 바퀴 지지 조립체(200)를 기울어지게 하는 연동 기구(300); 및
    상기 연동 기구(300)에 설치되며, 내부에 사람이 탑승하거나 화물이 적재되는 카 본체(700)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 기구(300)는 일측이 상기 바퀴 지지 조립체(200)의 상부에 움직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오토바이 본체의 상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 상부 막대(310)(320)들과, 상기 제1,2 상부 막대(310)(320)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330)와, 일측이 상기 바퀴 지지 조립체(200)의 하부에 움직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오토바이 본체(10)의 하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 하부 막대(340)(350)들과, 상기 제1,2 하부 막대(340)(350)들을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사이드 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구의 일측이 상기 바퀴 지지 조립체에 결합되는 위치는, 상기 카 바퀴의 정면을 기준으로 그 카 바퀴의 중심선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사이드 카.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상부 막대들의 각 한쪽 단부 및 제1,2 하부 막대의 각 한쪽 단부에 각각 제1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바퀴 지지 조립체에 상기 제1 연결부들이 각각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네 개의 제2 연결부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사이드 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상부 막대들의 각 다른 한쪽 단부 및 제1,2 하부 막대의 각 다른 한쪽 단부는 각각 착탈 유닛에 의해 상기 오토바이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사이드 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상부 막대들은 각각 일부분이 상기 제1,2 하부 막대들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수평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상기 제1,2 상부 막대의 수평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상기 제2 연결 부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며, 상기 카 본체는 상기 제2 연결 부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사이드 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상부 막대들과 상기 제1,2 하부 막대들은 각각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절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사이드 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제1,2 상부 막대들이 움직임시 그 움직임 거리를 한정하는 스토퍼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사이드 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오토바이 본체가 수직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카 바퀴가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연동 기구를 고정시키거나 그 고정을 해제시키는 고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사이드 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본체는 본체의 상부를 복개하거나 그 복개를 걷어내는 커버 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사이드 카.
KR1020080134243A 2008-12-26 2008-12-26 오토바이 사이드카 KR100914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243A KR100914409B1 (ko) 2008-12-26 2008-12-26 오토바이 사이드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243A KR100914409B1 (ko) 2008-12-26 2008-12-26 오토바이 사이드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409B1 true KR100914409B1 (ko) 2009-08-31

Family

ID=4121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243A KR100914409B1 (ko) 2008-12-26 2008-12-26 오토바이 사이드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4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3942B2 (en) 2018-06-25 2021-03-02 Hyundai Motor Company Mobility device having turning assisting device
KR102390614B1 (ko) 2021-02-09 2022-04-25 윤희윤 코너링시 후륜이 전륜과 함께 기울어지는 삼륜바이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4965A (en) * 1979-04-30 1981-03-10 Kobel George B Motorcycle sidecar apparatus
US4385770A (en) * 1981-02-06 1983-05-31 Mitchell Wallace F Motorcycle sidecar
US5308096A (en) * 1990-11-26 1994-05-03 Kid Around Kinetica Inc. Bicycle trailer
JPH07144675A (ja) * 1993-11-24 1995-06-06 Masao Watanabe 可倒式サイドカーフレー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4965A (en) * 1979-04-30 1981-03-10 Kobel George B Motorcycle sidecar apparatus
US4385770A (en) * 1981-02-06 1983-05-31 Mitchell Wallace F Motorcycle sidecar
US5308096A (en) * 1990-11-26 1994-05-03 Kid Around Kinetica Inc. Bicycle trailer
JPH07144675A (ja) * 1993-11-24 1995-06-06 Masao Watanabe 可倒式サイドカーフレー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3942B2 (en) 2018-06-25 2021-03-02 Hyundai Motor Company Mobility device having turning assisting device
KR102390614B1 (ko) 2021-02-09 2022-04-25 윤희윤 코너링시 후륜이 전륜과 함께 기울어지는 삼륜바이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9881B2 (ja) オートバイサイドカー
US8104781B2 (en) Wheeled tilting apparatus
EP3041699B1 (fr) Véhicule inclinable à trois roues
EP2782814B1 (fr) Vehicule urbain a faible encombrement
KR100914409B1 (ko) 오토바이 사이드카
CN104175829A (zh) 可倾斜车架智能支撑系统及实施方法
EP1227967B1 (fr) Vehicule, notamment de tourisme, a structure d'encaissement de choc anti-chevauchement
DE102012107154B4 (de) Fahrzeug
EP3771625B1 (en) Saddle type vehicle
WO2014190757A1 (zh) 用脚控制、车身可倾斜三轮摩托车
FR2887189A1 (fr) Dispositif de siege automobile pendulaire destine a annuler les effets de la force centrifuge sur le conducteur pendant les virages
WO2022151557A1 (zh) 一种摇摆式三轮车
CN210822589U (zh) 电动车车架及电动车
WO2020075404A1 (ja) 不整地走行車両
JP5314176B1 (ja) 三輪自転車
KR101189799B1 (ko) 접이식 자전거
CN106394763B (zh) 双前轮电动三轮车
CN108657318B (zh) 辅助支撑装置和两轮车及侧倾助力方法
CN211223724U (zh) 一种电动车及其车架
CN218986841U (zh) 卡丁车及其车架
CN218986839U (zh) 一种卡丁车及其车架
JPH02246893A (ja) 二輪自動車と側車との連結用カップリング
FR2831866A1 (fr) Vehicule a trois ou quatres roues pouvant s'incliner comme une moto mais avec la possibilite de se relever de lui meme
JP2022183693A (ja) スイング機構を備えた車両
KR101223269B1 (ko) 자전거 안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