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948B1 -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 Google Patents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948B1
KR101470948B1 KR1020120153069A KR20120153069A KR101470948B1 KR 101470948 B1 KR101470948 B1 KR 101470948B1 KR 1020120153069 A KR1020120153069 A KR 1020120153069A KR 20120153069 A KR20120153069 A KR 20120153069A KR 101470948 B1 KR101470948 B1 KR 101470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wheel
rotation
gear portion
whee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3381A (ko
Inventor
황성윤
Original Assignee
황성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윤 filed Critical 황성윤
Priority to KR1020120153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948B1/ko
Priority to PCT/KR2013/010327 priority patent/WO2014104572A1/ko
Publication of KR20140083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7/00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ssisting bal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cycling, i.e. arrangements on or for real b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1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 B62H1/12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using additional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가 개시된다. 이륜차의 측부에 보조바퀴를 제공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는, 이륜차의 차체와 보조바퀴를 연결하며 이륜차에 대해 탄성적으로 작동하면서 보조바퀴를 지면에 탄성적으로 접촉시키는 바퀴연결부, 및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AUXILIARY WHEEL DEVICE FOR BIKE}
본 발명은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번잡해져 가는 교통체증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오토바이 및 자전거와 같은 이륜차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이륜차는 앞뒤로 배치되는 단 2개의 바퀴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눈이 내리거나 혹은 우천시에 노면에 대한 마찰이 상대적으로 너무 작아서 쉽게 미끄러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균형 감각이 떨어지는 초보 사용자의 경우에는 특히 커브길에서의 좌우 회전시에 쉽게 경사각을 잡기가 어려워서 사용자가 쉽게 넘어져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이륜차의 뒷바퀴의 양측에 보조바퀴를 장착하여 삼륜차와 같은 안정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조바퀴가 스프링과 같은 완충수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에는 단순히 주행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 주행 조건에 따라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완충수단의 작동여부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완충수단이 작동할 경우에는 충격이 흡수될 수는 있으나, 차체의 기울어짐이 더욱 커지기 때문에, 우천시와 같이 노면이 미끄러운 상태에서는 차체의 넘어짐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노면이 미끄러운 상태에서는 완충수단의 작동이 정지될 필요가 있으나, 기존에는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완충수단의 작동여부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없어, 보조바퀴가 차체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보조바퀴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주행 조건에 따라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보조바퀴의 완충 기능이 일시적으로 정지될 수 있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륜차의 측부에 보조바퀴를 제공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는, 이륜차의 차체와 보조바퀴를 연결하며 이륜차에 대해 탄성적으로 작동하면서 보조바퀴를 지면에 탄성적으로 접촉시키는 바퀴연결부, 및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이륜차라 함은 엔진의 유무의 관계없이 바퀴가 앞뒤로 두개가 있는 교통수단을 의미하며, 이륜차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이륜차는 자전거 및 오토바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보조바퀴장치는 오토바이의 앞바퀴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보조바퀴장치가 오토바이의 뒷바퀴 부위에 장착되거나, 앞바퀴 및 뒷바퀴 사이의 차체 부위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여타 다른 부위에 보조바퀴장치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퀴연결부는 이륜차의 차체와 보조바퀴를 연결하도록 제공되며, 바퀴연결부는 이륜차에 대해 탄성적으로 작동하면서 보조바퀴를 지면에 탄성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조바퀴는 바퀴연결부에 의해 차체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바퀴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
바퀴연결부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이륜차의 차체에 대해 탄성적으로 작동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바퀴연결부가 이륜차의 차체에 대해 탄성적으로 작동된다 함은, 이륜차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의 탄성적인 회전 운동 및 탄성적인 직선 운동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바퀴연결부는 이륜차의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 및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며 보조바퀴가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바퀴연결부는 이륜차의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 및 회전부재의 회전에 대응하여 이륜차의 차체에 대해 상하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며 보조바퀴가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 및 연결부재 간의 연동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부재에는 랙기어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부재에는 랙기어부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연결부재가 직선 이동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여타 다른 캠부재 또는 기어에 의해 연결부재의 직선 이동이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으로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바퀴연결부는 차체에 대해 탄성적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바퀴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부재는 스프링부재에 의해 차체에 대해 탄성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될 수 있으며, 회전부재와 연결 또는 연동되는 보조바퀴는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지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구속부는 주행 조건에 따라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을 구속하기 위해 제공된다. 즉, 바퀴연결부가 이륜차 차체에 대해 탄성적으로 작동할 경우(예를 들어, 회전부재가 이륜차 차체에 대해 회전하는 경우)에는 충격이 흡수될 수는 있으나, 차체의 기울어짐이 더욱 커지기 때문에, 우천시와 같이 노면이 미끄러운 상태에서는 차체의 넘어짐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노면이 미끄러운 상태에서는 이륜차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이륜차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이 일시적으로 정지된 상태에서는 차체에 대한 보조바퀴의 상대적 이동 역시 일시적으로 제한될 수 있으며, 바퀴연결부에 의한 완충 기능이 일시적으로 정지될 수 있다.
구속부는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을 일시적으로 구속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구속부의 구조 및 특성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구속부는 바퀴연결부와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속부는 마찰 또는 걸림을 이용한 물리적 접촉에 의해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퀴연결부가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구조의 경우, 구속부는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회전부재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회전부재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구속되면,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일 예로, 구속부는 회전부재에 형성되는 기어부, 및 기어부에 구속되는 제1위치 및 기어부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스토퍼부재가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회전부재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구속부는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피제동부재, 및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피제동부재에 마찰되며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구속부는 회전부재에 형성되는 래칫기어부(ratchet gear portion), 및 회전부재의 일 방향 회전은 허용하고 회전부재의 다른 일 방향 회전은 제한하도록 래칫기어부에 인접하게 제공되되,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래칫기어부를 구속 가능하게 제공되는 래칫폴(ratchet pawl)을 포함할 수 있으며, 래칫폴에 의해 래칫기어부가 구속되면 회전부재의 일 방향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또한, 래칫기어부로부터 래칫폴을 이격시키기 위한 리턴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리턴부재에 의해 래칫기어부로부터 래칫폴이 이격되면, 회전부재가 다른 일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구속부에는 와이어부재가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와이어부재가 당겨지면 구속부가 작동되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와이어부재 대신 버튼 조작 등에 의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구속부가 작동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는 사용자의 별도 외부 조작없이(또는 사용자의 별도 조작과 무관하게 자동으로) 작동되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비상 구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급제동시 또는 빠른 속도로 급격히 넘어지는 상황과 같이 전술한 구속부를 작동시키기 어려운 상황에서, 비상 구속부는 사용자의 별도 외부 조작없이 자동으로 작동되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비상 구속부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비상 구속부는 주행 조건에 따른 관성력(inertial force)에 의해 작동되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비상 구속부가 별도의 센서에 의한 신호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상 구속부는 주행 조건에 따른 관성력에 의해 작동되며 회전부재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비상 구속부는 회전부재에 형성되는 기어부, 기어부에 구속되는 제1위치 및 기어부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비상 스토퍼부재, 및 비상 스토퍼부재에 제공되는 중량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중량체에 관성력이 작용하면 비상 스토퍼부재가 회전하며 비상 스토퍼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비상 스토퍼부재가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회전부재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에 의하면, 주행 조건에 따라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댐핑부의 작동 여부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게 함으로써, 주행 조건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주행을 도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주행 조건(예를 들어, 정상적인 노면 상태)에서는 보조바퀴의 완충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며 보조바퀴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고, 가혹한 주행 조건(예를 들어 미끄러운 노면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외부 조작을 통해 구속부에 의해 보조바퀴의 완충 기능이 일시적으로 중지되며 차체에 대한 보조바퀴의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주행조건에 따라 보조바퀴의 완충 기능이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주행조건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주행 조건에서는 보조바퀴의 완충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게 하여 보조바퀴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고, 우천시 혹은 눈이 내림시와 같이 가혹한 주행 조건에서는 보조바퀴의 완충 기능이 일시적으로 중지될 수 있게 하여 보조바퀴가 차체를 지지하는 본연의 역할(미끄러짐 방지 및 수평 유지)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한 운행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가 장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의 구조 및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가 장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의 구조 및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200)는 보조바퀴(400), 바퀴연결부(300) 및 구속부(50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200)는 통상의 이륜차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륜차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200)가 오토바이(100)의 앞바퀴(110) 부위에 장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보조바퀴장치가 오토바이의 뒷바퀴 부위에 장착되거나,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의 차체 부위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여타 다른 부위에 보조바퀴장치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조바퀴(400)는 오토바이(100)의 앞바퀴(110) 및 뒷바퀴(120)와 함께 지면에 접촉되도록 차체에 연결된다. 가령, 보조바퀴(400)는 뒷바퀴와 함께 지면에 3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보조바퀴가 뒷바퀴와 함께 지면에 4점 이상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보조바퀴의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퀴연결부(300)는 이륜차의 차체와 보조바퀴(400)를 연결하도록 제공되며, 바퀴연결부(300)는 이륜차에 대해 탄성적으로 작동하면서 보조바퀴(400)를 지면에 탄성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조바퀴(400)는 바퀴연결부(300)에 의해 차체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바퀴(400)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
상기 바퀴연결부(30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이륜차의 차체에 대해 탄성적으로 작동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바퀴연결부(300)가 이륜차의 차체에 대해 탄성적으로 작동된다 함은, 이륜차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300)의 탄성적인 회전 운동 및 탄성적인 직선 운동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바퀴연결부(300)는 이륜차의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310), 및 상기 회전부재(310)와 함께 회전하며 보조바퀴가 연결되는 연결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10)는 이륜차의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보조바퀴(400)는 후술할 연결부재(320)를 통해 회전부재(310)에 연결되어 회전부재(310)의 회전에 대응하여 이륜차의 차체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10)는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회전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310)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결부재(320)는 회전부재(310)와 보조바퀴를 연결하도록 제공되며, 연결부재(320)의 구조 및 형상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퀴연결부(300)는 차체에 대해 탄성적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바퀴(400)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부재(310)는 스프링부재(700)에 의해 차체에 대해 탄성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바퀴(400)는 스프링부재(700)의 탄성력에 의해 지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부재(700)는 이륜차 차체에 대한 회전부재(310)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프링부재(700)로서는 일단은 이륜차 차체에 연결되고 타단은 회전부재(310)에 연결되는 토션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스프링부재로서 여타 다른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스프링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는 이륜차 차체에 대해 바퀴연결부가 탄성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스프링부재의 일단은 이륜차 차체에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부재 또는 여타 다른 부위에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프링부재(700)에 의한 탄성력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스프링부재(700)는 운전자가 거의 느끼지 못할 정도로 작은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차체의 작은 기울어짐 또는 충격에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거나 차체가 일정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에만 스프링부재가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속부(500)는 주행 조건에 따라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300)의 상대적 이동을 구속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바퀴연결부(300)가 이륜차 차체에 대해 탄성적으로 작동할 경우(예를 들어, 회전부재(310)가 이륜차 차체에 대해 회전하는 경우)에는 충격이 흡수될 수는 있으나, 차체의 기울어짐이 더욱 커지기 때문에, 우천시와 같이 노면이 미끄러운 상태에서는 차체의 넘어짐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노면이 미끄러운 상태에서는 이륜차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300)의 상대적 이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이륜차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300)의 상대적 이동이 일시적으로 정지된 상태에서는 차체에 대한 보조바퀴의 상대적 이동 역시 일시적으로 제한될 수 있으며, 바퀴연결부(300)에 의한 완충 기능이 일시적으로 정지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50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300)의 상대적 이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구속부는 바퀴연결부(300)와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300)의 상대적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구속부(500)는 마찰 또는 걸림을 이용한 물리적 접촉에 의해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300)의 상대적 이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구속부(500)는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회전부재(310)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회전부재(310)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구속되면,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300)의 상대적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500)는 회전부재(310)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구속부(500)는 회전부재(310)의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기어부(510), 및 상기 기어부(510)에 구속되는 제1위치 및 기어부(510)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스토퍼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스토퍼부재(520)가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회전부재(310)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상기 기어부(510)는 회전부재(310)의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부재(310)가 회전함에 따라 기어부(51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어부가 회전부재와 별도로 제작되어 회전부재에 결합 또는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토퍼부재(520)의 일단에는 기어부(510)에 구속 가능한 스토퍼돌기가 형성되며, 회전핀(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선택적으로 기어부(510)에 구속되는 제1위치 및 기어부(510)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스토퍼부재(520)가 기어부(510)에 구속되는 제1위치에 배치되면, 스토퍼부재(520)의 스토퍼돌기가 기어부(510)의 사이에 구속됨으로써 회전부재(310)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고, 스토퍼부재(520)가 기어부(510)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면, 스토퍼부재(520)의 스토퍼돌기가 기어부(51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회전부재(310)의 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부(500)는 스토퍼부재(520)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와이어부재(600)가 당겨지면 스토퍼부재(520)가 제1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외부 조작이 해제되면, 상기 스토퍼부재(520)가 제2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3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30)로서는 통상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530)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 3 및 도 4와 같이, 일반적인 주행 조건에서는 스토퍼부재(520)가 기어부(510)로부터 이격되도록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부재(310)의 회전이 보장될 수 있다.
반면, 도 5와 같이, 가혹한 주행 조건에서는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와이어부재(600)가 당겨지면, 스토퍼부재(520)의 스토퍼돌기가 기어부(510)의 사이에 구속되도록 제1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부재(31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200)는, 보조바퀴(400), 바퀴연결부(300) 및 구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속부는 회전부재(310)와 함께 회전하는 피제동부재(1510), 및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피제동부재(1510)에 마찰되며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부재(1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제동부재(1510)는 회전부재(310)와 함께 회전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피제동부재(1510)로서는 통상의 디스크 브레이크의 디스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피제동부재(1510)는 회전부재(310)와 동축적으로 결합되어 회전부재(310)와 함께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동부재(1520)는 상기 피제동부재(1510)의 표면에 접촉되며 마찰에 의한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동부재(1520)로서는 통상의 브레이크 패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동부재(1520)가 피제동부재(1510)의 표면에 접촉됨에 따른 마착력에 의해 피제동부재(1510) 및 회전부재(310)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피제동부재로서 디스크 브레이크의 디스크가 사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피제동부재로서 통상의 드럼 브레이크의 드럼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여타 다른 방식으로 마찰에 의한 제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부는 제동부재(152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부재(16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와이어부재(1600)가 당겨지면 제동부재(1520)가 피제동부재(1510)에 마찰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와이어부재(1600)가 제동부재(1520)에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함은, 와이어부재(1600)가 제동부재(1520)에 직접 연결되거나, 별도의 유압수단(미도시) 등을 매개로 제동부재(1520)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와이어부재(1600)의 조작에 의해 제동부재(1520)가 작동(피제동부재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부재(1600)는 통상의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브레이크 와이어와 같은 방식으로 핸들 주변에 조작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여타 다른 위치에서 조작 가능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도 6과 같이, 일반적인 주행 조건(예를 들어, 정상적인 노면 상태)에서는 이륜차 차체에 대한 회전부재(310)의 회전이 보장될 수 있고, 회전부재(310)의 회전에 대응하여 보조바퀴(400)가 이륜차의 차체에 대해 상하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보조바퀴(400)의 완충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며 보조바퀴(400)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
반면, 도 7과 같이, 가혹한 주행 조건(예를 들어 미끄러운 노면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와이어부재(1600)가 당겨지면, 제동부재(1520)가 피제동부재(1510)에 접촉되며 마찰력에 의해 피제동부재(1510) 및 피제동부재(1510)에 연결된 회전부재(310)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으며, 회전부재(310)의 회전이 구속됨에 따라 보조바퀴(400)의 완충 기능이 일시적으로 중지되며 차체에 대한 보조바퀴(400)의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200)는, 보조바퀴(400), 바퀴연결부(300) 및 구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속부는 회전부재(310)의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래칫기어부(ratchet gear portion)(2510), 및 회전부재(310)의 일 방향 회전은 허용하고 회전부재(310)의 다른 일 방향 회전은 제한하도록 래칫기어부(2510)에 인접하게 제공되되,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래칫기어부(2510)를 구속 가능하게 제공되는 래칫폴(ratchet pawl)(25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래칫폴(2520)에 의해 래칫기어부(2510)가 구속되면 회전부재(310)의 일 방향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상기 래칫기어부(2510)는 회전부재(310)의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부재(310)가 회전함에 따라 래칫기어부(251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래칫폴(2520)의 일단에는 래칫기어부(2510)에 구속 가능한 구속돌기(미도시)가 형성되며, 래칫폴(2520)은 회전핀(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회전부재(310)의 일 방향 회전만을 허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재(310)가 일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시에는, 래칫폴(2520)이 회전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래칫기어부(2510)를 타고 넘어갈 수 있기 때문에, 회전부재(310)의 일 방향 회전(반시계 방향 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회전부재(310)가 다른 일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시에는, 래칫폴(2520)의 구속돌기가 래칫기어부(2510)의 사이에 걸리게 됨으로써 회전부재(310)의 다른 일 방향 회전(시계 방향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래칫폴은 자중에 의해 래칫기어부에 접근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스프링을 이용하여 래칫폴이 래칫기어부에 접근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회전부재(310)는 스프링부재(700)에 의해 이륜차 차체에 대해 탄성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칫폴(2520)은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래칫기어부(2510)를 구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래칫기어부(2510)가 래칫폴(2520)에 의해 구속된다 함은, 래칫폴(2520)이 래칫기어부(2510)에 접근된 상태에서 회전핀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구속부는 래칫폴(2520)의 일단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9과 같이,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와이어부재(600)가 당겨지면 래칫기어부(2510)에 대한 래칫폴(2520)의 유동(회전핀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유동)이 구속되며, 회전부재(310)의 일 방향 회전(반시계 방향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310)는 래칫기어부(2510) 및 래칫폴(2520)에 의해 일 방향 회전만이 허용되기 때문에, 회전부재(310)가 일 방향으로 일정 이상 회전된 이후에 회전부재(31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부재(2700)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리턴부재(2700)는 전술한 와이어부재(600)와 유사한 방식으로 래칫폴(2520)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사용자 조작 등에 의해 리턴부재(2700)가 당겨지면, 리턴부재(2700)에 의해 래칫폴(2520)이 래칫기어부(2510)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래칫폴(2520)에 의한 간섭이 해제됨에 따라, 회전부재(310)는 스프링부재(700)의 탄성력에 의해 다른 일 방향(시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회전부재(310)의 회전에 대응하여 보조바퀴가 회전하며 이륜차 차체에 대해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다르게는 회전부재(310)의 회전에 대응하여 보조바퀴가 직선 이동하며 이륜차 차체에 대해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는, 보조바퀴(400'), 바퀴연결부(300') 및 구속부를 포함하되, 바퀴연결부(300')는 이륜차의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310'), 및 상기 회전부재(310')의 회전에 대응하여 이륜차의 차체에 대해 상하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며 보조바퀴(400')가 연결되는 연결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연결부재(320')는 통상의 가이드 수단(미도시)에 의해 이륜차 차체의 상하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320')의 지지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회전부재(310') 및 연결부재(320') 간의 연동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결부재(320')에는 랙기어부(32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310')에는 랙기어부(322')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부(31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연결부재(320')가 상하 이동함에 따라 연결부재(320')의 랙기어부(322')에 치합된 피니언기어부(312')에 의해 회전부재(310')가 연동되며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랙기어부(322') 및 피니언기어부(312')에 의해 연결부재(320')의 직선 이동이 회전부재(31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여타 다른 캠부재 또는 다른 기어에 의해 연결부재의 직선 이동이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으로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부재(310')는 스프링부재(700')에 의해 이륜차 차체에 대해 탄성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바퀴(400')는 스프링부재(700')의 탄성력에 의해 지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륜차 차체에 대한 회전부재(310')의 회전이 스프링부재(70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연결부재(320')가 탄성적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스프링부재가 직접 연결부재의 직선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속부는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회전부재(310')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할 수 있으며, 회전부재(310')의 회전이 구속됨에 따라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연결부재(320')의 직선 이동이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로서는 전술한 기어부 및 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구속부, 피제동부재 및 제동부재를 포함하는 구속부, 래칫기어부 및 래칫폴을 이용한 구속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기어부(510) 및 스토퍼부재(520)를 포함하는 구속부가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구속부 외에도 회전부재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는 여타 다른 구속부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200)는, 보조바퀴(400), 바퀴연결부(300), 구속부, 및 비상 구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 구속부는 사용자의 별도 외부 조작없이(또는 사용자의 별도 조작과 무관하게 자동으로) 작동되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가령, 급제동시 또는 빠른 속도로 급격히 넘어지는 상황과 같이 전술한 구속부를 작동시키기 어려운 상황에서, 상기 비상 구속부는 사용자의 별도 외부 조작없이 자동으로 작동되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비상 구속부는 주행 조건에 따른 관성력(inertial force)에 의해 작동되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바퀴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비상 구속부가 별도의 센서에 의한 신호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비상 구속부는 주행 조건에 따른 관성력에 의해 작동되며 회전부재(310)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비상 구속부는 회전부재(310)에 형성되는 기어부(510), 상기 기어부(510)에 구속되는 제1위치 및 기어부(510)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비상 스토퍼부재(800), 및 상기 비상 스토퍼부재(800)에 제공되는 중량체(8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량체(820)에 관성력이 작용하면 비상 스토퍼부재(800)가 회전하며 비상 스토퍼부재(800)가 제1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비상 스토퍼부재(800)가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회전부재(310)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상기 기어부(510)는 회전부재(310)의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부재(310)가 회전함에 따라 기어부(51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기어부(510)는 전술한 구속부를 구성하는 기어부로서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구속부의 기어부와 비상 구속부의 기어부가 각각 별도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비상 스토퍼부재(800)의 상단에는 기어부(510)에 구속 가능한 비상 스토퍼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비상 스토퍼부재(800)는 회전핀(810)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선택적으로 기어부(510)에 구속되는 제1위치 및 기어부(510)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비상 스토퍼부재(800)가 기어부(510)에 구속되는 제1위치에 배치되면, 비상 스토퍼부재(800)의 비상 스토퍼돌기가 기어부(510)의 사이에 구속됨으로써 회전부재(310)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고, 비상 스토퍼부재(800)가 기어부(510)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면, 비상 스토퍼부재(800)의 비상 스토퍼돌기가 기어부(51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회전부재(310)의 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상기 중량체(820)는 상기 비상 스토퍼부재(800)의 하단에 일체로 제공되며, 상기 비상 스토퍼부재(800)의 무게 중심은 중량체(820)에 의해 하단에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중량체(820)의 중량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도 13과 같이, 일반적인 주행 조건에서는 비상 스토퍼부재(800)의 비상 스토퍼돌기가 기어부(51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부재(310)의 회전이 보장될 수 있다.
반면, 도 14와 같이, 급제동시와 같이 중량체(820)에 관성력에 작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별도 외부 조작없이 관성력에 의해 비상 스토퍼부재(8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비상 스토퍼부재(800)의 비상 스토퍼돌기가 기어부(510)의 사이에 구속되도록 제1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부재(31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중량체(820)에 작용하는 관성력이 해제되면 중량체(820)의 자중에 의해 비상 스토퍼부재(800)가 초기 위치(제1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중량체(820)에 작용하는 관성력이 해제되면 비상 스토퍼부재(800)를 초기 위치(제1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별도의 스프링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단, 비상 스토퍼부재(80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부재에 의한 탄성력은, 중량체(820)에 관성력이 작용할 시 스토퍼부재의 회전 운동을 구속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중량체에 관성력이 작용하면 비상 스토퍼부재가 회전 운동하며 기어부에 구속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중량체에 작용하는 관성력에 의해 비상 스토퍼부재가 직선 이동하며 기어부에 구속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 보조바퀴장치 300 : 바퀴연결부
310 : 회전부재 320 : 연결부재
400 : 보조바퀴 500 : 구속부

Claims (15)

  1. 이륜차의 측부에 보조바퀴를 제공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륜차의 차체와 상기 보조바퀴를 연결하며, 상기 이륜차에 대해 탄성적으로 작동하면서 상기 보조바퀴를 지면에 탄성적으로 접촉시키는 바퀴연결부; 및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상기 바퀴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퀴연결부는,
    이륜차의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보조바퀴가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하며,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구속되면,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상기 바퀴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2. 이륜차의 측부에 보조바퀴를 제공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륜차의 차체와 상기 보조바퀴를 연결하며, 상기 이륜차에 대해 탄성적으로 작동하면서 상기 보조바퀴를 지면에 탄성적으로 접촉시키는 바퀴연결부; 및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상기 바퀴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퀴연결부는,
    이륜차의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해 상하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며, 상기 보조바퀴가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하며,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구속되면,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상기 바퀴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바퀴연결부와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상기 바퀴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접촉은 마찰 또는 걸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피니언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피니언기어부가 치합되는 랙기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가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연결부는 상기 스프링부재에 의해 탄성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와이어부재가 당겨지면 상기 구속부가 작동되며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상기 바퀴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형성되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에 구속되는 제1위치 및 상기 기어부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피제동부재; 및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피제동부재에 마찰되며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형성되는 래칫기어부(ratchet gear portion);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 방향 회전은 허용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다른 일 방향 회전은 제한하도록 상기 래칫기어부에 인접하게 제공되되,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래칫기어부를 구속 가능하게 제공되는 래칫폴(ratchet pawl);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따라 상기 래칫폴에 의해 상기 래칫기어부가 구속되면 상기 회전부재의 상기 일 방향 회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기어부로부터 상기 래칫폴을 이격시키기 위한 리턴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턴부재에 의해 상기 래칫기어부로부터 상기 래칫폴이 이격되면,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다른 일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행 조건에 따라 사용자의 별도 조작없이 작동되며 상기 이륜차의 차체에 대한 상기 바퀴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을 구속하는 비상 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구속부는 주행 조건에 따른 관성력(inertial force)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구속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형성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에 구속되는 제1위치 및 상기 기어부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비상 스토퍼부재; 및
    상기 비상 스토퍼부재에 제공되는 중량체;를 포함하며,
    상기 중량체에 관성력이 작용하면 상기 비상 스토퍼부재가 회전하며 상기 비상 스토퍼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비상 스토퍼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KR1020120153069A 2012-12-26 2012-12-26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KR101470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069A KR101470948B1 (ko) 2012-12-26 2012-12-26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PCT/KR2013/010327 WO2014104572A1 (ko) 2012-12-26 2013-11-14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069A KR101470948B1 (ko) 2012-12-26 2012-12-26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381A KR20140083381A (ko) 2014-07-04
KR101470948B1 true KR101470948B1 (ko) 2014-12-12

Family

ID=51021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069A KR101470948B1 (ko) 2012-12-26 2012-12-26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70948B1 (ko)
WO (1) WO201410457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210B1 (ko) * 2016-12-22 2017-11-1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모차 및 노인 보행 보조기구 프레임의 완충장치
KR101994985B1 (ko) * 2018-02-02 2019-07-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킥보드
KR102139173B1 (ko) * 2019-03-04 2020-07-30 황태영 양 방향 잠금 및 해제를 이용한 이륜차 안전 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932B1 (ko) * 2014-07-15 2015-07-03 김용욱 회전 주행의 안정성이 향상된 이륜차
CN108163101A (zh) * 2017-12-25 2018-06-15 重庆长松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稳定性好的摩托车减震支架
KR102263752B1 (ko) * 2020-04-16 2021-06-11 황태영 이륜차 안전 보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034Y1 (ko) * 1996-12-05 1999-04-15 권혁수 자전거용 페달장치
JP2010047242A (ja) * 2008-08-19 2010-03-04 Yasuhiko Tokunaga 自転車用補助輪
KR200456510Y1 (ko) * 2009-06-17 2011-11-04 김범진 자전거용 보조바퀴 승강장치
KR101106760B1 (ko) * 2009-08-12 2012-01-20 연채원 자전거의 보조바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034Y1 (ko) * 1996-12-05 1999-04-15 권혁수 자전거용 페달장치
JP2010047242A (ja) * 2008-08-19 2010-03-04 Yasuhiko Tokunaga 自転車用補助輪
KR200456510Y1 (ko) * 2009-06-17 2011-11-04 김범진 자전거용 보조바퀴 승강장치
KR101106760B1 (ko) * 2009-08-12 2012-01-20 연채원 자전거의 보조바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210B1 (ko) * 2016-12-22 2017-11-1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모차 및 노인 보행 보조기구 프레임의 완충장치
KR101994985B1 (ko) * 2018-02-02 2019-07-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킥보드
KR102139173B1 (ko) * 2019-03-04 2020-07-30 황태영 양 방향 잠금 및 해제를 이용한 이륜차 안전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381A (ko) 2014-07-04
WO2014104572A1 (ko)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948B1 (ko)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JP5129565B2 (ja) 傾斜制限型原動機付車両
JP4374367B2 (ja) 自転車
US20170259875A1 (en) Frame of a vehicle with front wheels
JPS5849562A (ja) 2輪車用安定システム
KR101378482B1 (ko)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US11208173B2 (en) Towing element assembly, a locking mechanism assembly and a flexible towing device for single-track vehicles comprising such a towing element assembly and such a locking mechanism assembly
KR20140030005A (ko)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TWI645996B (zh) 具防止前傾翻覆功能的煞車系統
JP2010530290A (ja) ステップボード
EP4082883A1 (en) Leaning-type vehicle
KR101306910B1 (ko)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KR101445667B1 (ko) 자전거용 안티 다이브 서스펜션 포크
JP6943795B2 (ja) 取付装置および検出システム
US7637341B2 (en) Apparatus for promoting traction of a motorcycle rear wheel
JP3110867U (ja) 自転車転倒防止装置
US20150344090A1 (en) Upright three-wheeled vehicle having shock absorbing means
KR101603435B1 (ko) 킥보드
CN111891265B (zh) 一种具备防侧翻能力的车辆
JPS602072Y2 (ja) 二輪車の後車輪懸架装置
KR102139173B1 (ko) 양 방향 잠금 및 해제를 이용한 이륜차 안전 보조장치
CN108100141B (zh) 车辆的轮轴行程锁定装置
CN107364529B (zh) 一种折叠脚踏
JP4577704B2 (ja) 自動二輪車の後車輪懸架装置
JP2791895B2 (ja) 電動三輪車の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