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607A - 아스테루빈의 신규 용도 - Google Patents

아스테루빈의 신규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607A
KR20130127607A KR1020120051254A KR20120051254A KR20130127607A KR 20130127607 A KR20130127607 A KR 20130127607A KR 1020120051254 A KR1020120051254 A KR 1020120051254A KR 20120051254 A KR20120051254 A KR 20120051254A KR 20130127607 A KR20130127607 A KR 20130127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bolic syndrome
preventing
asterubin
acid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7044B1 (ko
Inventor
장현욱
나민균
정용태
김철호
황승락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1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044B1/ko
Priority to PCT/KR2012/011304 priority patent/WO2013172528A1/ko
Publication of KR20130127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45Amines having sulfur, e.g. thiurams (>N—C(S)—S—C(S)—N< and >N—C(S)—S—S—C(S)—N<), Sulfinylamines (—N=SO), Sulfonylamines (—N=SO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55Amidines (), e.g. guanidine (H2N—C(=NH)—NH2), isourea (N=C(OH)—NH2), isothiourea (—N=C(SH)—NH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besit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테루빈(asterubi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스테루빈은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 및 ACC(Acetyl-CoA Carboxylase)의 인산화를 증가시키고, 근육세포의 포도당 흡수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이는 바, 상기 효과를 바탕으로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아스테루빈의 신규 용도{Novel Use of Asterubine}
본 발명은 아스테루빈(Asterubine)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스테루빈의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인슐린 저항성; MetS)은 높은 수치의 혈액 지방, 고혈압, 인슐린 내성 및 중심부 비만(복부 부위에서의 과도한 지방 조직)을 특징으로 하며, 모든 성인병 즉,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고혈당의 기반이 되고 원인이 된다. 대사증후군은 동맥경화, 고혈압,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등 위험한 성인병이 한사람에게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며 대사증후군 환자들은 당뇨나 고혈압 같은 만성질환뿐 아니라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돌연사의 위험까지 안고 살게 된다.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증가에 따른 만성 대사성 질환은 비만, 당뇨, 대사증후군 등 만성 대사성 질환의 근본적 원인이다.
대사증후군은 인구의 고령화와 환경변화에 의해 발병률과 유병률이 급증하고 있고 이에 따른 사망률도 매우 높을 뿐 아니라 합병증 발병률 또한 매우 높아 경제적 사회적으로 막대한 손실을 야기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약물은 대부분 효능도 낮을뿐더러 장기 복용 시 부작용 발생률이 높아 삶의 질 향상 측면에서도 치료 약물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비만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되는 현 상황에서 치료제의 수요가 감소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는 기존 약물에 대한 부작용과 효능에 대한 불만임을 감안할 때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전의 비만치료제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AMP-activated protein kinase(이하, 'AMPK')는 탄수화물과 지질대사에 관여하며 포도당 이송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최근 밝혀졌으며 제 2형 당뇨병 치료의 새로운 타겟으로 주목받고 있다(Therapie, 62, 293-310, 2007). AMPK는 세포의 영양상태나 운동, 스트레스 등에 의해 변화하는 세포의 에너지 상태 (AMP/ATP비율)에 반응하여 그 활성이 조절되는 인산화 효소이다(Trends Mol Med., 14, 539-549, 2008; Cell Metab., 1, 15-25, 2005). AMPK는 세포의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여러 가지 효소들의 인산화를 조절함으로써, 포도당 수송, 지방산 및 콜레스테롤 합성 등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92, 1308-1317, 2007). 특히 최근 연구에 따르면 근육조직 및 심장근육에서 AMPK는 근육수축을 촉진시켜 포도당의 흡수를 촉진시키는데, 이는 인슐린의 작용과 상관없이 Glucose transporter 4(이하, 'GLUT4')를 혈장막으로 이동시켜 포도당의 세포 안으로의 전달을 증가시킨다(J. Appl. Physiol., 91, 1073-1083, 2001). 이는 AMPK를 활성화시키는 물질은 운동을 하지 않고도 운동을 한 것과 같이 근육세포에서 포도당의 흡수와 소비를 촉진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당뇨병 치료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Metformin의 경우, AMPK의 신호전달체계에 영향을 줌으로써, AMPK의 활성화와 이에 따른 ACC2의 인산화/활성저해 및 fatty acid oxidation의 활성증가를 유도하여 혈당을 강하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J Clin Invest.,108,1167-1174, 2001).
따라서, AMPK를 활성화시키는 약물을 발굴하는 것은 운동을 통한 제2형 당뇨 질환을 비롯한 대사증후군의 개선 효과를 모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치료제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안전성과 효능을 동시에 갖고 있는 약물을 개발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물로부터 제2형 당뇨병 치료 전략에 부합하는 성분을 찾아 약물로써 이용하려는 시도는 합성제제로부터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에 비해 더욱 효율적인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우수한 AMPK 활성화 효과를 갖는 천연물질을 탐색하는 연구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 아무르 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의 열수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아스테루빈(asterubine)이 탁월한 AMPK 활성화 효과를 나타내어, 대사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스테루빈의 대사증후군 예방 및 치료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아스테루빈(asterubi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아스테루빈(asterubi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아스테루빈은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 및 ACC(Acetyl-CoA Carboxylase)의 인산화를 증가시키고, 근육세포의 포도당 흡수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이는 바, 상기 효과를 바탕으로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아스테루빈 및 아스테루빈 rich fraction을 표시한 아무르불가사리 열수 추출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2는 아무르불가사리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아스테루빈의 분획 과정 및 MPLC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3은 분획된 아스테루빈의 1H NMR 분석 결과이다.
도 4는 분획된 아스테루빈의 13C-NMR 분석 결과이다.
도 5는 분획된 아스테루빈의 MS data 분석 결과이다.
도 6은 근육세포에 대한 아스테루빈의 AMPK, ACC 효소 인산화효과 검토(A) 및 포도당 흡수능 증진효과 검토(B) 실험 결과이다.
도 7은 아스테루빈이 경구투여된 마우스의 몸무게 변화(A) 및 식이섭취 변화(B)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도 8은 아스테루빈이 경구투여된 마우스의 혈당 변화(A) 및 혈중 인슐린 변화(B)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아스테루빈(asterubi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아스테루빈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아황산,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말레산, 퓨마르산, 글루코산, 메탄설폰산, 아세트산, 글리콘산, 석신산, 타타르산, 4-톨루엔설폰산, 갈락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시트르산, 아스파르탄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기산으로는 염산, 유기산으로는 메탄설폰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아스테루빈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아스테루빈은 아무르 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의 열수추출물 또는 메탄올 추출물에서 분획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스테루빈은 아무르 불가사리의 열수추출물을 HPLC(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고, 메탄올과 물을 이동상으로 하여 농도구배를 주는 방법을 통해 분획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아스테루빈은 상기 아무르 불가사리 추출물 유래가 아닌, 일반적인 화학적 합성 방법에 의해서도 얻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아스테루빈은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 및 ACC(Acetyl-CoA Carboxylase)의 인산화를 증가시키고, 근육세포의 포도당 흡수능을 증가시키는 기작을 통해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스테루빈(asterubi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대사증후군 치료제의 제조를 위한 아스테루빈의 용도, 그리고 치료상 유효량의 아스테루빈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혀용가능한 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사증후군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대사증후군은 비만, 고혈압, 동맥경화, 고지혈증, 간질환, 과인슐린혈증, 과혈당증, 1형 및 2형 당뇨병, 인슐린 내성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지혈증, 발기부전, 심혈관계질환 또는 허혈성질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아스테루빈(asterubi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스테루빈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0.01 내지 90 중량부, 0.1 내지 90 중량부, 1 내지 90 중량부, 또는 10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아스테루빈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재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아스테루빈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과립제, 산제, 피복정, 정제, 환제, 캡슐제, 좌제, 겔,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대상체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아스테루빈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종류 및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일 투여량이 0.01 내지 1,000 mg/kg,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000 mg/kg,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00 mg/kg 일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아스테루빈(asterubi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식품 조성물은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있어 특히 항비만, 항당뇨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및 일반 식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대사증후군은 비만, 고혈압, 동맥경화, 고지혈증, 간질환, 과인슐린혈증, 과혈당증, 1형 및 2형 당뇨병, 인슐린 내성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지혈증, 발기부전, 심혈관계질환 또는 허혈성질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아스테루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스테루빈을 0.01 내지 90 중량부, 0.1 내지 90 중량부, 1 내지 90 중량부, 또는 10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기산, 인산염, 항산화제, 유당 카제인, 덱스트린, 포도당, 설탕 및 솔비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또는 사과산일 수 있으며, 인산염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염 또는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일 수 있으며, 항산화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페놀, 카테킨, 알파-토코페롤, 로즈마리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또는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아스테루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아스테루빈 이외에도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 내지 약 20 중량부, 5 내지 20 중량부, 또는 5 내지 15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형,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액상 또는 음료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아스테루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과자류, 당류, 아이스크림 제품류, 유가공품, 식육제품, 어육제품, 두부류 또는 묵류, 식용유지류, 면류, 다류, 음료류, 특수영양식품,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 얼음, 인삼제품류, 김치절임식품, 건포류, 과일, 야채, 과일 또는 야채의 건조제품, 절단제품, 과일쥬스, 야채쥬스, 이들의 혼합쥬스, 칩류, 면류, 축산가공식품, 수산가공식품, 유가공식품, 발효유식품, 두류식품, 곡류식품, 미생물발효식품, 제과제빵, 양념류, 육가공류, 산성음료수, 감초류, 허브류 등의 식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스테루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사용할 경우에는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 또는 0.1 내지 10 중량%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음료의 제조에 사용할 경우에는 전체 음료 중량의 0.02 내지 10 중량%, 또는 0.3 내지 1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아무르 불가사리로부터 아스테루빈의 분획
1. 열수 추출물로부터 분획
아무르불가사리 열수추출물(100 mg/ml)을 HPLC [C18 column (21.5 × 250 mm)]에 500μl 주입하여 농도구배 용매조건 (MeOH 5 % → 62%, 40분)으로 실시하여 아스테루빈(1 mg, 0.2 %) 및 아스테루빈 rich fraction을 분획하였다. 분획 후 NMR 및 MS 데이터 분석을 통해 화합물의 구조가 아스테루빈임을 확인하였다.
아무르불가사리 열수추출물(건조물) 중 아스테루빈의 함유량은 약 0.2 % 정도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아스테루빈 및 아스테루빈 rich fraction을 표시한 HPLC 크로마토그램을 도 1에 나타내었다.
2.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
아무르 불가사리 6.5 kg (wet weight)을 MeOH로 실온에서 2주간 2회 추출하여 MeOH 추출물 241 g을 획득하였다. 그 후 추출물을 물로 현탁한 후 n-Hexane, EtOAc, n-BuOH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용매분획하여 각각의 용매분획물을 제조하였다. Silica gel VLC : MC-MeOH gradient 용매를 이용하여 총 12개의 분획물을 얻었고, Fr. 8 분획물(4.4 g)에 대하여 C18 preparative 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MPLC) [MeOH-H2O]를 실시하였고, 이로부터 얻은 소분획물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C18 HPLC [C18 column (21.5 × 250 mm), MeOH-H2O]를 실시하여 asterubine을 분리하였다.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아스테루빈의 분획 과정 및 MPLC 크로마토그램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분획된 아스테루빈의 1H NMR, 13C-NMR 및 MS data 분석 결과를 아래 및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었다.
1H-NMR (250 MHz, D2O) δH 2.82 (6H, s), 2.98 (2H, t, J = 6.45), 3.47 (2H, t, J = 6.34), (도 3 참조)
13C-NMR (63 MHz, D2O) δC 37.83 (CH3) 38.11 (CH3) 49.51 (CH2) 156.16 (C), (도 4 참조)
FAB-MS m/z : 196 [M+H]+ (도 5 참조)
< 실시예 2> 아스테루빈의 근육세포에서의 AMPK 인산화 반응 촉진효과 검토 및 근육세포에서의 포도당 흡수능 증진효과 검토
아스테루빈에 대한 L6 myotube 세포에서의 AMPK, ACC 효소 활성화 및 포도당 흡수치(uptake)를 측정하기 위하여 문헌에서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화합물들의 효능을 측정하였다. (Schlattner U, et al., J Biol Chem. 279, pp 43940-51, 2004; Smwar R et al., Clin Ther. 20, 125-40, 1998).
실험결과, 도 6의 A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아스테루빈이 처리된 군에서 대조군 (control)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인산화된 AMPK와 ACC 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6의 B를 참조하면, 아스테루빈이 처리된 군에서 포도당 흡수치(glucose uptake) 또한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당뇨병 치료제인 Metformin과 유사한 활성으로 나타났다.
< 실시예 3> 제2형 당뇨 모델 쥐인 db / db mice 를 대상으로 한 in vivo 효과 검토
AMPK 활성화는 세포내 당 흡수능을 증가시켜 인슐린 저항성 및 제 2형 당뇨에서의 경우처럼 당 흡수능이 저하된 상태를 극복 할수 있다고 보고 되었다. (Hutber C. A., et al., AM J Physiol 272, ppE262-E266, 1997). 또한, AMPK 활성화에 따라 구체적인 대사과정의 변화로는 인산화된 활성 형태의 AMPK는 지방산 합성의 핵심효소로서 malonyl-CoA를 생산하는 ACC 단백질을 직접 인산화 시키는 효능이 있다 (Merrill G F., et al., Am J Physiol 272, ppE1107-E1112, 1997)고 발혀진 바 있다.
따라서 실시예 2에서 나타난 아스테루빈(Asterubine)의 효과를 바탕으로 제2형 당뇨 모델 쥐인 db/db mice로 in vivo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방법은 5주령 쥐를 1주일간 적응기간을 거친 후 6주령부터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인 db/db group에는 매일 saline (0.9% NaCl)을 경구투여 하였고 Metformin group과 Asterubine group에는 해당 물질을 각각 250 mg/kg BW와 100 mg/kg BW의 농도로 매일 경구투여하였다. 실험기간 중 5일에 한번 몸무게, 식이섭취량, 혈당을 측정하였고, 4주 실험이 끝난 후 혈액을 체취하여 Insulin (Mercodia), 총콜레스테롤 (Asan), 중성지방 (Asan), HDL 콜레스테롤 (Asan)을 각각의 ELISA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7, 도 8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아스테루빈을 경구투여 (100 mg/kg BW) 하였을 때 대조군인 db/db와 비교시 식이섭취(food intake, 도 7B 참조)는 차이가 나지 않았지만 몸무게가 10.7%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도 7A 참조), 도 8 에서는 혈당과 혈당의 조절과 관련된 혈중 insulin의 함량이 db/db 대조군에 비해 각각 24.8%(혈당, 도 8A 참조)와 29.6%(혈중 인슐린, 도 8B 참조)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혈중의 각종 지질을 분석한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내었고, 표 1을 참조하면, db/db group와 비교 시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과 LDL 콜레스테롤이 각각 26.0%, 50.3%와 42.5%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Group 총 콜레스테롤
(mg/dl)
중성지방
(mg/dl)
HDL 콜레스테롤
(mg/dl)
LDL 콜레스테롤
(mg/dl)
Wild type (Lean) 140.4±11.7 61.3±5.0 82.1±4.7 46.0±6.7
db / db 20.8±9.2 167.7±11.1 76.1±7.0 111.1±11.4
db / db+Metformin
(250 mg/kg)
194.3±14.7
(10.4%↓)
93.7±9.2
(44.2%↓)
113.0±8.6
(48.4%↑)
62.6±4.0
(43.7%↓)
db / db+Asterubine
(100 mg/kg)
163.3±13.6
(26.0%↓)
83.4±1.5
(50.3%↓)
82.7±10.2
(8.6%↑)
63.9±13.0
(42.5%↓)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아스테루빈(asterubi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5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테루빈은 아무르 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의 열수추출물 또는 메탄올 추출물에서 분획된 것인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테루빈은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 및 ACC(Acetyl-CoA Carboxylase)의 인산화를 증가시키고, 근육세포의 포도당 흡수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증후군은 비만, 고혈압, 동맥경화, 고지혈증, 간질환, 과인슐린혈증, 과혈당증, 1형 및 2형 당뇨병, 인슐린 내성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지혈증, 발기부전, 심혈관계질환 또는 허혈성질환을 포함하는 것인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아스테루빈(asterubi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증후군은 비만, 고혈압, 동맥경화, 고지혈증, 간질환, 과인슐린혈증, 과혈당증, 1형 및 2형 당뇨병, 인슐린 내성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지혈증, 발기부전, 심혈관계질환 또는 허혈성질환을 포함하는 것인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20051254A 2012-05-15 2012-05-15 아스테루빈의 신규 용도 KR101397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254A KR101397044B1 (ko) 2012-05-15 2012-05-15 아스테루빈의 신규 용도
PCT/KR2012/011304 WO2013172528A1 (ko) 2012-05-15 2012-12-21 아스테루빈의 신규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254A KR101397044B1 (ko) 2012-05-15 2012-05-15 아스테루빈의 신규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607A true KR20130127607A (ko) 2013-11-25
KR101397044B1 KR101397044B1 (ko) 2014-05-20

Family

ID=49583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254A KR101397044B1 (ko) 2012-05-15 2012-05-15 아스테루빈의 신규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7044B1 (ko)
WO (1) WO201317252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068B1 (ko) * 2005-04-07 2007-01-2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치료 및예방을 위한 조성물
WO2006114775A2 (en) * 2005-04-27 2006-11-02 Tg Biotech Treatment of insulin resistance syndrome
JP2008273856A (ja) 2007-04-26 2008-11-13 Ryuei Soken:Kk ヒトデエキスを有効成分とする物質
KR20110103517A (ko) * 2010-03-15 2011-09-2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감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1형 당뇨병 치료제 조성물
KR20110123002A (ko) * 2010-05-06 2011-11-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Ampk 활성화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044B1 (ko) 2014-05-20
WO2013172528A1 (ko) 201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2256B2 (ja) Glp−1分泌促進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52233A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2112599B1 (ko) 석류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10051543A (ko) 블루베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39066B1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52479B1 (ko) 탈지된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항암 조성물
KR102644808B1 (ko) 신품종 고춧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273440B2 (ja) Glp−1産生促進剤、dppiv阻害剤及びグルコース吸収阻害剤
KR101397044B1 (ko) 아스테루빈의 신규 용도
KR100967813B1 (ko) 나복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9801404B2 (en) IGF-1 production-promoting agent
KR20220125943A (ko) 당근잎 분말 및 브로콜리 분말을 함유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항비만 및 면역기능 강화용 조성물
KR100888068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1344564B1 (ko) 마라소스의 주성분인 고추 및 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2082172A (ja) チョウセンゴミシ水抽出エキス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ジペプチジルペプチダーゼiv阻害剤
JPWO2016060259A1 (ja) ポリフェノール含有機能性経口組成物
KR20160139953A (ko)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2599530B1 (ko) 벤조피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소용 조성물
KR101293032B1 (ko) 다시마 및 부티르산 나트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KR20190083071A (ko) 모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73432A (ko) 로즈힙 및 녹차씨를 주성분으로 혼합된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US20230050805A1 (en) Autonomic nerve regulator and cognitive function improver
KR20140093573A (ko) 디하이드로진저론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620793B1 (ko) 콩 및 상추 발효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