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6292A -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6292A
KR20130126292A KR1020120050298A KR20120050298A KR20130126292A KR 20130126292 A KR20130126292 A KR 20130126292A KR 1020120050298 A KR1020120050298 A KR 1020120050298A KR 20120050298 A KR20120050298 A KR 20120050298A KR 20130126292 A KR20130126292 A KR 20130126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ragrance
composition
primer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욱
김동명
현승수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0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6292A/ko
Publication of KR20130126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29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향 포집제 0.1 내지 10중량% 및 점증제 0.2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향 포집제의 평균 입경이 100 내지 1,000㎛이고, 상기 향 포집제가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증제가 무기 성분 및 점토 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기 성분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이고, 상기 무기 성분이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토 성분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이고, 상기 점토 성분이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비델라이트, 스테벤사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향의 지속성이 향상되고, 오일이 겔화되어 피부의 잡티를 가려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향의 증발 및 온도의 변화에 의한 형태의 변형이 적고, 제형 유지를 위하여 일정량 이상 사용된 왁스의 높은 경도를 소프트하게 하여 충진이 용이하며 사용시 부드러운 사용감을 가지게 한다.

Description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nhydrous Solid Perfume Primer Cosmetic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향 포집제 0.1 내지 10중량% 및 점증제 0.2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향 포집제의 평균 입경이 100 내지 1,000㎛이고, 상기 향 포집제가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증제가 무기 성분 및 점토 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기 성분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이고, 상기 무기 성분이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토 성분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이고, 상기 점토 성분이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비델라이트, 스테벤사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향수 화장료는 여러 가지의 천연 및 합성향의 혼합체로써 대체로 액체로 되어 있어 사용 및 보관상의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액체 향수의 경우 사용량의 조정이 용이하지 않으며 용기에 담아서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액체 향수는 휘발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증발이 용이하며 이로 인해 향이 함께 날아감으로써 향 지속성이 짧아지고, 피부에 직접 접촉시 다량의 휘발성 물질의 증발로 피부를 건조하게 만드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단 화장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기가 개방되면 이러한 휘발성 물질은 증발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보관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의 향기를 점차 잃어버리게 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른 휘발성 물질의 손실을 제한하거나 휘발성 물질의 일정한 방출을 제공하기 위해서, 중합체 조성물 내로의 휘발성 물질의 캡슐화 또는 포획화를 기반으로 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휘발성 물질의 일정한 방출을 위한 고형 포획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2010-0059943호) 및 향균성 수지(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2003-0048422호)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휘발성 물질의 지속적인 균일한 방출을 나타내는 개선된 화장 조성물, 특히 잔류형 조성물의 제공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있다. 또한, 휘발성 물질의 증발 및 온도의 변화에 의한 형태의 변형이 적고, 제형 유지를 위하여 일정량 이상 사용된 왁스의 높은 경도를 소프트하게 하여 충진이 용이하며 사용시 부드러운 사용감을 가지게 하는 화장 조성물의 제공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향 포집제 및 서로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진 점증제의 특정한 조성 비율을 통하여 향의 지속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향의 증발에 의한 표면 변형 및 온도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고, 오일을 겔화시키기 위해 일정량 이상 사용된 왁스의 높은 경도를 소프트하게 하여 충진이 용이하며, 사용시 부드러운 사용감을 가지게 하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향 포집제 0.1 내지 10중량% 및 점증제 0.2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향 포집제의 평균 입경이 100 내지 1,000㎛이고, 상기 향 포집제가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증제가 무기 성분 및 점토 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기 성분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이고, 상기 무기 성분이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토 성분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이고, 상기 점토 성분이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비델라이트, 스테벤사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점증제; 왁스; 및 오일을 혼합하여 85 내지 100℃로 가온하고, 가온된 이들 혼합물을 3000 내지 5000rpm으로 5 내지 20분간 교반한 후 60 내지 75℃로 냉각하는 제1 조성물 준비 단계; (2) 향 포집제 및 향료를 교반하는 제2 조성물 준비 단계; (3)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을 혼합하여 이들 혼합물을 60 내지 75℃로 유지하면서 2000 내지 3500rpm으로 5 내지 20분간 교반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에서 수득된 최종 생성물을 30 내지 50asp로 1 내지 5분간 탈포(defoamation)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향 포집제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이고, 상기 향 포집제의 평균 입경이 100 내지 1,000㎛이며, 상기 향 포집제가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증제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20중량%이고, 상기 점증제가 무기 성분 및 점토 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기 성분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이고, 상기 무기 성분이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토 성분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이고, 상기 점토 성분이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비델라이트, 스테벤사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왁스는 세레신, 오조케라이트, 밀납, 마이크로 크리스탈린납, 칸델릴라납, 카르나우바납, 파라핀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오일은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미네랄 오일,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폴리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트리옥타노인, 옥탄도데칸올,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이소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스테아로일스테아레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 얻어지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은 향의 고형화를 통해 피부의 잡티를 가려줄 뿐만 아니라 향의 지속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향의 증발에 의한 표면 변형 및 온도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되고, 오일을 겔화시키기 위해 일정량 이상 사용된 왁스의 높은 경도를 소프트하게 하여 충진이 용이하며, 사용시 부드러운 사용감을 가지게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향 포집제 0.1 내지 10중량% 및 점증제 0.2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향 포집제의 평균 입경이 100 내지 1,000㎛이고, 상기 향 포집제가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증제가 무기 성분 및 점토 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기 성분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이고, 상기 무기 성분이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토 성분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이고, 상기 점토 성분이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비델라이트, 스테벤사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향 포집제는 모두 무기질의 입자로서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또는 오일 흡유량이 서로 다른 이들 혼합물이 적합하며, 특히 실리카의 경우 향 포집제로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향 포집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3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향 포집제가 0.1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향을 전부 포집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지나치게 향을 포집하게 되어 향 증발시 표면의 변형을 초래하고 피부를 건조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향 포집제의 평균 입경은 100 내지 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향 포집제의 평균 입경이 100㎛ 미만인 경우 원료 사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000㎛를 초과하는 경우 피부에서 거친 느낌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향을 일정량 이상 포집하면서 점차적으로 발산하는 기능을 가지기 위한 향 포집제의 향 흡유량은 향 포집제 100g을 기준으로 향 100 내지 300㎖가 바람직하다. 향 포집제의 향 흡유량이 높을수록 향의 지속성을 높일 수 있으나 향 포집제 100g을 기준으로 향이 300㎖를 초과하는 경우 향의 지속성이 높아지는 정도가 미미하며, 100㎖/100g 미만일 경우 향의 포집량이 적어 향의 지속성이 급격히 감소한다.
점증제로는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무기 성분, 및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비델라이트, 스테벤사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점토 성분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실리카 및 벤토나이트의 혼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점증제로서 무기 성분 또는 점토 성분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였으나 이들 성분의 혼합물을 사용하였을 경우 원래의 용도인 오일을 겔화시킴과 동시에 향의 증발에 의한 내용물 수축 및 온도에 따른 내용물의 변화가 최소화 되며, 제형 유지를 위하여 일정량 이상 사용된 왁스의 높은 경도를 소프트하게 하여 충진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는 것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 성분 및 점토 성분은 본 발명에 따른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 1 내지 3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무기 성분 및 점토 성분이 각각 0.1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점증 효과가 현저히 떨어져서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각각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용물의 유동성이 없어 충진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성분의 오일 흡유량은 무기 성분 100g을 기준으로 오일 100 내지 300㎖가 바람직하다. 무기 성분의 오일 흡유량이 높을수록 오일을 겔화시킬 수 있으나 무기 성분 100g을 기준으로 오일 300㎖를 초과하는 경우 지나치게 겔화되어 유동성이 적어져서 충진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무기 성분 100g을 기준으로 오일 100㎖ 미만일 경우 오일의 흡유가 적어 겔화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성분의 평균 입경은 100 내지 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 포집제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무기 성분의 평균 입경이 100㎛ 미만인 경우 원료 사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000㎛를 초과하는 경우 피부에서 거친 느낌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은 향, 왁스 및 오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향은 라벤더(lavender), 레몬(lemon), 라임(lime), 자스민(jasmine), 장미(rose) 등의 향수의 원료나 머스크(musk) 등의 동물성 항료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향으로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해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당업자에게는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왁스는 세레신, 오조케라이트, 밀납, 마이크로 크리스탈린납, 칸델릴라납, 카르나우바납, 파라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조성물의 제형 유지 기능에 사용되는 것으로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해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당업자에게는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왁스는 본 발명에 따른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가 바람직하며, 5 내지 10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왁스가 1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형 유지가 어려우며, 반대로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용물의 유동성이 없어 충진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오일은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미네랄 오일(Mineral Oil),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폴리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트리옥타노인, 옥탄도데칸올,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이소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스테아로일스테아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화장품과 바디용품에서 보습의 용도로 사용되는 오일로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해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당업자에게는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수 고체 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향 포집제 0.1 내지 10중량%; 향료 0.3 내지 30중량%; 점증제 0.2 내지 20중량%; 왁스 1 내지 10중량%; 및 오일 30 내지 98.4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점증제가 무기 성분 및 점토 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무기 성분이 0.1 내지 10중량%, 상기 점토 성분이 0.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향 포집제 1 내지 3중량%; 향료 3 내지 10중량%; 점증제 2 내지 6중량%; 왁스 5 내지 10중량%; 및 오일 71 내지 89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점증제가 무기 성분 및 점토 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무기 성분이 1 내지 3중량%, 상기 점토 성분이 1 내지 3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율일 경우 향의 고형화를 통해 피부의 잡티를 가려줄 뿐만 아니라 향의 지속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향의 증발에 의한 표면 변형 및 온도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되고, 오일을 겔화시키기 위해 일정량 이상 사용된 왁스의 높은 경도를 소프트하게 하여 충진이 용이하며, 사용시 부드러운 사용감을 가지게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효과가 극대화되며 이는 하기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수 고체 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은 방부제, 색소, 산화방지제 등과 같은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제에 사용되는 첨가제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첨가제들 역시 당업자에게는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로부터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이며, 그 사용량 또는 적절한 반복 시험 및 수득하고자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등에 따라 적의 조절될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1) 점증제; 왁스; 및 오일을 혼합하여 85 내지 100℃로 가온하고, 가온된 이들 혼합물을 3000 내지 5000rpm으로 5 내지 20분간 교반한 후 60 내지 75℃로 냉각하는 제1 조성물 준비 단계; (2) 향 포집제 및 향료를 교반하는 제2 조성물 준비 단계; (3)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을 혼합하여 이들 혼합물을 60 내지 75℃로 유지하면서 2000 내지 3500rpm으로 5 내지 20분간 교반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에서 수득된 최종 생성물을 30 내지 50asp로 1 내지 5분간 탈포(defoamation)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조성물 준비 단계 및 제2 조성물 준비 단계의 경우 순서의 변경은 당업자에게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향 포집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이고, 상기 향 포집제의 평균 입경이 100 내지 1,000㎛이며, 상기 향 포집제가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20중량%이고, 상기 점증제가 무기 성분 및 점토 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기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이고,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토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이고,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비델라이트, 스테벤사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향 포집제, 향, 점증제, 왁스 및 오일의 함량 비율 및 성분에 대한 기재는 앞의 기재를 원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의 온도, 교반 속도, 탈포 속도 및 시간은 반복적인 실험을 통한 최적의 조건을 실험적으로 구한 것으로서 각 조건의 상한이나 하한에 따른 문제점들은 고려하지 않았으며,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에 최적이라고 여겨지는 조건을 기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으로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 A 내지 E를 평량하여 용해조에 투입한 후 90℃로 가온하면서 혼합하였다. 세라신이 완전히 용해된 후 울트라 호모 믹서(Vaccum Agi Homo Mixer)를 이용하여 4000rpm으로 10분간 교반하였다. 상기 수득된 혼합물을 용해조 안에서 70℃로 냉각시켜 제1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하기 표 1에서 나타낸 성분 F 및 G를 평량하여 헨셀 믹서를 이용하여 교반시켜 제2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제1 조성물에 제조된 상기 제2 조성물을 투입한 후 이들 혼합물을 70℃로 유지하며 울트라 호모 믹서(Vaccum Agi Homo Mixer)를 이용하여 3000rpm으로 10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수득된 최종 생성물을 40asp로 2분간 탈포하고, 상온으로 될 때까지 자연 냉각하면서 혼합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A 미네랄 오일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B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20 20 20 20 20
C 세레신 5 5 5 5 5
D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 3 2 - - 1
E 벤토나이트 1 2 - 1 -
F 실리카 1 2 - - 1
G 향료 10 10 10 10 10
(단위: 중량%)
상기 성분 D로 사용된 실리카는 평균 입경이 400㎛, 오일 흡유량이 실리카 100g을 기준으로 오일 150㎖이며, 상기 성분 F로 사용된 실리카는 평균 입경이 300㎛, 향 흡유량이 향 포집제 100g을 기준으로 향 150㎖이다.
상기 세레신의 경우 일반적인 화장품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왁스로서 본 발명에서는 세레신 하나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의 경우 보습 작용을 위해 일반적인 화장품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오일로서 본 발명에서는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하나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비교예의 평가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하기 실험을 한 후 각각을 평가하였다.
내용물 무게 변화 및 표면 상태 관찰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의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을 완전 밀폐가 가능한 용기에 각각 30g씩 30개를 준비하였다. 그 중 10개는 덮개를 닫지 않고 상온에서, 또 다른 10개는 덮개를 닫아 상온에서, 나머지 10개는 덮개를 닫아 40℃에서 1일 동안 보관한 후에 내용물의 감소량을 측정하고 표면 상태의 변화를 관찰하여 이들을 각각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4
내용물 무게 감소량 평균값(g) 덮개 닫음 0.15 0.11 0.84 0.46 0.17
(상온)
덮개 안닫음 1.58 1.52 2.92 2.51 1.62
(상온)
시료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표면 상태 덮개 닫음 양호 양호 미세 수축 미세 수축 미세 수축
(상온)
덮개 안닫음 수축 수축 약간 수축 심함 수축 심함 수축 심함
(상온) 약간
덮개 닫음 미세 수축 미세 수축 수축 수축 심함 수축 심함
(40℃) 심함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의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덮개를 닫은 경우 및 닫지 않은 경우 모두에서 실시예 1 내지 2의 조성물에 비해 무게가 빠르게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의 조성물의 표면은 상온에서 덮개를 닫은 경우에도 미세 수축 현상이 일어나며, 상온에서 덮개를 닫지 않은 경우엔 수축의 정도가 더 심해지고, 덮개를 닫은 경우라도 40℃에서는 수축 현상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향 포집제를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1의 조성물과 실리카 또는 벤토나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한 점증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2 및 3의 조성물 경우에는 실시예 1 내지 2의 조성물에 비해 향의 지속성이 적을 뿐만 아니라 향의 증발 및 온도의 증가에 의한 표면 상태의 변화가 심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 및 관찰을 통해 향 충진제로서 실리카를 특정한 비율로 사용하고 점증제로서 실리카와 벤토나이트를 특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2의 조성물의 경우 향 지속성이 강하고 향의 증발 및 온도에 의한 표면 형태의 변형이 적으며, 내용물의 충진이 용이하고 충진 후 표면의 굴곡 역시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향 포집제 0.1 내지 10중량% 및 점증제 0.2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향 포집제의 평균 입경이 100 내지 1,000㎛이고, 상기 향 포집제가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증제가 무기 성분 및 점토 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기 성분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이고, 상기 무기 성분이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토 성분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이고, 상기 점토 성분이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비델라이트, 스테벤사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향 포집제가 1 내지 3중량%이고, 상기 점증제가 2 내지 6중량%이되, 상기 점증제가 무기 성분 및 점토 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무기 성분이 1 내지 3중량%, 상기 점토 성분이 1 내지 3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 포집제의 향 흡유량이 향 포집제 100g을 기준으로 향 100 내지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성분의 오일 흡유량이 무기 성분 100g을 기준으로 오일 100 내지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성분의 평균 입경이 100 내지 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 포집제가 실리카이며, 상기 점증제가 실리카 및 벤토나이트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향료, 왁스 및 오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향 포집제 0.1 내지 10중량%;
    향료 0.3 내지 30중량%;
    점증제 0.2 내지 20중량%;
    왁스 1 내지 10중량%; 및
    오일 30 내지 98.4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점증제가 무기 성분 및 점토 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무기 성분이 0.1 내지 10중량%, 상기 점토 성분이 0.1 내지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향 포집제 1 내지 3중량%;
    향료 0.3 내지 10중량%;
    점증제 2 내지 6중량%;
    왁스 1 내지 10중량%; 및
    오일 71 내지 89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점증제가 무기 성분 및 점토 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무기 성분이 1 내지 3중량%, 상기 점토 성분이 1 내지 3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가 세레신, 오조케라이트, 밀납, 마이크로 크리스탈린납, 칸델릴라납, 카르나우바납, 파라핀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이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미네랄 오일,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폴리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트리옥타노인, 옥탄도데칸올,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이소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스테아로일스테아레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12. (1) 점증제; 왁스; 및 오일을 혼합하여 85 내지 100℃로 가온하고, 가온된 이들 혼합물을 3000 내지 5000rpm으로 5 내지 20분간 교반한 후 60 내지 75℃로 냉각하는 제1 조성물 준비 단계;
    (2) 향 포집제 및 향료를 교반하는 제2 조성물 준비 단계;
    (3)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을 혼합하여 이들 혼합물을 60 내지 75℃로 유지하면서 2000 내지 3500rpm으로 5 내지 20분간 교반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에서 수득된 최종 생성물을 30 내지 50asp로 1 내지 5분간 탈포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향 포집제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이고, 상기 향 포집제의 평균 입경이 100 내지 1,000㎛이며, 상기 향 포집제가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증제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20중량%이고, 상기 점증제가 무기 성분 및 점토 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기 성분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이고, 상기 무기 성분이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토 성분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이고, 상기 점토 성분이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비델라이트, 스테벤사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향 포집제 0.1 내지 10중량%;
    향료 0.3 내지 10중량%;
    점증제 0.2 내지 20중량%;
    왁스 1 내지 10중량%; 및
    오일 30 내지 98.4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점증제가 무기 성분 및 점토 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무기 성분이 0.1 내지 10중량%, 상기 점토 성분이 0.1 내지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향 포집제 1 내지 3중량%;
    향료 0.3 내지 10중량%;
    점증제 2 내지 6중량%;
    왁스 1 내지 10중량%; 및
    오일 71 내지 89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점증제가 무기 성분 및 점토 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무기 성분이 1 내지 3중량%, 상기 점토 성분이 1 내지 3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20050298A 2012-05-11 2012-05-11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26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298A KR20130126292A (ko) 2012-05-11 2012-05-11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298A KR20130126292A (ko) 2012-05-11 2012-05-11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292A true KR20130126292A (ko) 2013-11-20

Family

ID=49854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298A KR20130126292A (ko) 2012-05-11 2012-05-11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62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669A (ko) 2019-10-02 2021-04-12 코스맥스 주식회사 무스형의 메이크업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669A (ko) 2019-10-02 2021-04-12 코스맥스 주식회사 무스형의 메이크업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7823B2 (ja) 汗を吸収する化粧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900609B2 (en) Sweat-absorbing cosmetic produc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CN108883034B (zh) 高岭土作为遮光剂的用途
US8652447B2 (en) Cosmetic and personal care products containing synthetic magnesium alumino-silicate clays
CN112566611B (zh) 油性固态化妆品
CN106852117A (zh) 用于在皮肤上卸妆的固体无水组合物
DE102011001611B4 (de) Schminkzusammensetzung
CN107714514A (zh) 含有包裹粉体脂质薄膜颗粒的化妆品组成物及其制造方法
KR19990071865A (ko) 산화규소분체및그제조방법,그를이용한화장료,미셀유지분체,향료유지분체
WO2017218497A1 (en) Hydrating lip balm composition
CN112867477B (zh) 油性固态清洁化妆品
KR20130126292A (ko) 무수 고체향 프라이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S6084210A (ja) 固型粉末調合剤及びその製造方法
EP2978499B1 (en) Solid anhydrous composition comprising a high melting point wax and silica aerogel
KR102249022B1 (ko) 수중유 에멀젼을 포함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22232A (ko) 커버력과 보습력이 우수한 파우더 조성물
KR101841554B1 (ko) 고융점 및 고광택 성능을 갖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JP2001139454A (ja) 発泡性浴用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99973B1 (ko) 다공성 분체를 포함하는 스틱제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27028B1 (ko) 무정형 실리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파우더형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7180351B2 (ja) 固形粉末化粧料
JP6955757B2 (ja) 固形粉末化粧料
JP6652241B2 (ja) 固形粉末化粧料
KR20200137775A (ko)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EP3470050A1 (en) Use of calcined kaolin as a mattifying ag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