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775A -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775A
KR20200137775A KR1020190064640A KR20190064640A KR20200137775A KR 20200137775 A KR20200137775 A KR 20200137775A KR 1020190064640 A KR1020190064640 A KR 1020190064640A KR 20190064640 A KR20190064640 A KR 20190064640A KR 20200137775 A KR20200137775 A KR 20200137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oil
citron
citron oil
be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예원
서병휘
안순애
정해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90064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7775A/ko
Publication of KR20200137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7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자 오일 비드가 분산된,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을 적정 중량비로 포함하는 유자 오일 비드를 분산시킴으로써, 냉동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의 단점인 발림성과 떠짐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FREEZING STORAGE}
본 발명은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격한 기온 상승으로 인하여,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 피부의 온도를 낮추고, 시원한 사용감을 주는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용 조성물에 대한 사용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용 조성물을 사용할 때, 피부의 온도를 낮추고, 시원한 사용감을 주기 위하여, 상기 조성물을 냉동고에 넣어서 온도를 낮추고 있는데, 이렇게 기존의 냉동고에 넣어 사용하는 젤 제형의 팩 조성물의 경우, 급격한 저온의 환경으로 인해 젤 조성물이 단단하게 얼어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젤 제형의 팩 조성물이 얼게 되면, 팩 조성물을 실제 사용할 때, 떠짐성이 좋지 않아지고, 조성물을 튜브 용기에 넣어 사용하는 경우 조성물의 토출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 젤 제형의 팩 조성물을 사용하는 데에 불편함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종래에는, 일본공개특허 제2011-0037721호 등에서 귤속(Citrus) 식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유를 포함하는 수면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개시하고 있으나, 냉동 보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내용이 개시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천연 오일을 이용하면서도, 저온의 환경에서도 잘 얼지 않아 기존의 젤 제형이 크림 제형 대비하여 가지는 외관의 장점(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고, 떠짐성 역시 우수한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1-0037721호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천연 오일 중에서도 유자 오일을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과 혼합하여 비드 형태로 제조하였으며, 상기 비드를 적정 함량으로 분산시킨 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이 이러한 비드가 없는 젤 제형에 비해 저온의 환경에서도 잘 얼지 않아 기존의 젤 제형이 크림 제형 대비하여 가지는 외관의 장점(투명도)를 유지하면서도, 종래의 기술에 비해 떠짐성이 우수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온의 환경에서도 잘 얼지 않아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떠짐성이 우수한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유자 오일 비드가 분산된,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저온의 환경에서도 잘 얼지 않아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떠짐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유자 오일 비드는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을 적정 중량비로 포함함으로 인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으로 적합한 형태의 비드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우수한 품질의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유자 오일 비드가 분산된,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자 오일 비드는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비드를 의미한다.
상기 유자 오일 비드에서,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은 0.1 내지 2 : 0.1 내지 2 : 0.1 내지 2 : 3 내지 1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는 비드 형태가 잘 형성되도록 최적화된 것이다. 또한, 저온의 환경에서도 잘 얼지 않아 기존의 젤 제형이 크림 제형 대비하여 가지는 외관의 장점(투명도)를 유지하면서도, 종래의 기술에 비해 떠짐성이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는 정도를 고려하여 최적화된 것이다.
또한, 상기 유자 오일 비드에서,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과,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및 호호바 에스터 중량 총합의 중량비는 1:1 내지 5:1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 역시 비드 형태가 잘 형성되도록 최적화된 것이다. 또한, 저온의 환경에서도 잘 얼지 않아 기존의 젤 제형이 크림 제형 대비하여 가지는 외관의 장점(투명도)를 유지하면서도, 종래의 기술에 비해 떠짐성이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는 정도를 고려하여 최적화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자 오일은 천연 유자의 껍질을 압착하여 얻어지는 노란색의 액체로 비타민C가 풍부하여 항산화 효과로 인해 피부에 쌓인 피로와 스트레스를 푸는데 효과가 있고, 모세혈관을 보호하는 헤스페리딘 성분이 들어 있어 뇌혈관 장애와 중풍을 막아 주는 효과가 있으며, 배농(排膿) 및 배설작용을 해서 몸 안에 쌓여 있는 노폐물을 밖으로 내보내는 효능도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천연 유자란 가공된 형태의 유자가 아닌, 유자 나무로부터 재배하여 수확한 유자 열매를 의미한다.
상기 유자 오일은, 유자 오일 자체의 향에 비해 비드에 감싸진 형태로 인한 향에 대한 기호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어, 유자 오일 비드의 형태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자 오일 비드는,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은 0.1 내지 2 : 0.1 내지 2 : 0.1 내지 2 : 3 내지 1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유자 오일 비드에 포함된 4가지 구성 성분의 적정 중량비에서, 상기 유자 오일의 중량비는 0.1 내지 2,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유자 오일의 향이 미미하여 향에 대한 기호도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이에 따른 심신 안정 및 수면의 질 개선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범위 초과이면, 비드 형태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고, 유자 오일의 향이 과도하게 강하거나 변질되어 향에 대한 기호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은 코코넛과 팜 오일로부터 얻어지는 천연 유래 지방 알코올 성분이다. 상기 베헤닐 알코올은 화학 알코올 성분이 아닌 천연 유래 지방 알코올 성분으로서, 피부 속 수분 손실을 방지하여 촉촉함을 유지하는 보습 기능과,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자 오일 비드는,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은 0.1 내지 2 : 0.1 내지 2 : 0.1 내지 2 : 3 내지 1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유자 오일 비드에 포함된 4가지 구성 성분의 적정 중량비에서, 상기 베헤닐 알코올의 중량비는 0.1 내지 2,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저하되어 비드 형태를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범위 초과이면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과도하여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호호바 에스터(Jojoba Esters)는 호호바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트호호바오일 또는 이들 혼합물을 에스터 교환반응하여 얻은 에스터의 복합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호호바 에스터는 피부 유연화제 역할을 하여, 피부결을 부드럽고 매끄럽게 유연화시키고, 피부 속 수분의 증발을 차단하여 촉촉한 피부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자 오일 비드는,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은 0.1 내지 2 : 0.1 내지 2 : 0.1 내지 2 : 3 내지 1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유자 오일 비드에 포함된 4가지 구성 성분의 적정 중량비에서, 상기 호호바 에스터의 중량비는 0.1 내지 2,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범위 초과이면 비드 형태를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Hydrogenated C6-14 Polyolefin)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어 피부 속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차단하여 피부 보습력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고, 비수용선 점증제 기능을 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자 오일 비드는,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은 0.1 내지 2 : 0.1 내지 2 : 0.1 내지 2 : 3 내지 1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유자 오일 비드에 포함된 4가지 구성 성분의 적정 중량비에서,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의 중량비는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저하되어 비드 형태를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범위 초과이면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과도하여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 미만이면 저온의 환경에서도 잘 얼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범위 초과이면 비드가 적정 강도보다 약하게 형성되어 제대로 된 모양으로 굳지 않거나, 비드가 너무 작거나 형성되지 않고 아예 없어져버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자 오일 비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분산된 형태로 포함되며, 상기 유자 오일 비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향에 대한 기호도 향상은 인한 심신 안정 효과와 수면의 질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상기 범위 초과이면, 향에 대한 기호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자 오일 비드의 입경은 0.05cm 내지 0.8cm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cm 내지 0.6 cm, 보다 바람직하게는 0.2cm 내지 0.5cm 일 수 있다. 상기 유자 오일 입드의 입경이 상기 범위 범위에 포함될 경우 비드의 균일도가 높아져 우수한 품질의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 유자 오일 범위 비드에 포함된 유자 오일의 함량이 적어 향에 대한 기호도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이에 따른 심신 안정과 수면의 질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상기 범위 초과이면 사용감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젤 제형이거나 또는 실리콘 오일이 소량으로, 구체적으로 0 초과 10 중량% 이하, 또는 0 초과 5 중량% 이하로 포함되어 분산된 젤 제형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특히, 수면 전에 피부에 적용하도록 제형화될 경우, 수면의 질 개선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면 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화장료에 배합되는 성분,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상기한 특정 적색 복합 분체 및 각 안료 이외의 다른 분체, 보습제, 방부제, 약효 성분, 자외선 흡수제, 색소, 무기염 또는 유기산염, 향료,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물 등을 더 배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스테아르산 나트륨, 팔미트산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지방산 비누로 대표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트라가칸스검, 카라기난, 로커스트빈검, 덱스트린,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잔탄검, 젤라틴, 알긴산 나트륨, 아라비아 고무, 수용성 콜라겐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수용성 고분자를 들 수 있다.
또한,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비톨, 자일리톨, 글리세린, 말티톨,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1,4-부틸렌글리콜,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나트륨, 락트산, 락트산 나트륨,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보습제를 들 수 있다.
또한,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옥시벤조산 알킬에스테르, 벤조산 나트륨, 소르브산 칼륨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방부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약효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비타민류, 생약, 소염제, 살균제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성분이 사용된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아미노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 안트라닐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등의 화장료에 범용되는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색소로서는 헤마토코커스조 색소 등인 천연 색소 등의 화장료에 적용할 수 있는 색소를 들 수 있다.
또한, 유화 안정화제로서 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냉동 보관에 최적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영하 20도의 조건에서 50시간 보관하여도 얼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영하 20도의 조건에서 72시간 보관한 후의 경도가 35 N 미만인 것, 바람직하게는 32 N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또한,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을 전술한 바와 같은 중량비로 혼합한 후 건조하여 유자 오일 비드를 제조한 후,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유자 오일 비드의 제조방법은,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을 전술한 바와 같은 중량비로 혼합한 후 70 내지 120도의 온도에서 3 내지 10분간 가온하여 혼합한 후 건조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 유자 왁스 비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은 오일 왁스 비드를 포함하는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하기 표 1 내지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에 따라, 천연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 올레핀)를 80도 이상 온도에서 5분 이상 가온하여 혼합한 후 건조시켜 오일 왁스 비드를 제조하였다.
상기 오일 왁스 비드와 하기 표 1 내지 표 2에 기재된 성분들을 통상적인 젤 제형의 제조방법으로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단위: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0.05
3. 폴리아크릴레이트-13 0.3 0.3 0.3 0.3 0.3
4. 폴리이소부텐 0.135 0.135 0.135 0.135 0.135
5. 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7 0.7 0.7 0.7 0.7
6. 1,2-헥산디올 1.0 1.0 1.0 1.0 1.0
7. 트리실록산 1.2 1.2 1.2 1.2 1.2
8. 디메치콘 1.8 1.8 1.8 1.8 1.8
오일 왁스 비드 9. 천연 유자 오일 1 2.5 0.5 0.5 0.5
10. 베헤닐 알코올 1 0.5 2.5 0.5 0.5
11. 호호바 에스터 1 0.5 0.5 2.5 0.5
12.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
(C6-14올레핀)
1 0.5 0.5 0.5 2.5
성분
(단위: 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3. 폴리아크릴레이트-13 0.3 0.3 0.3 0.3
4. 폴리이소부텐 0.135 0.135 0.135 0.135
5. 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7 0.7 0.7 0.7
6. 1,2-헥산디올 1.0 1.0 1.0 1.0
7. 트리실록산 1.2 1.2 1.2 1.2
8. 디메치콘 1.8 1.8 1.8 1.8
오일 왁스 비드 9. 천연 유자 오일 5 - - -
10. 베헤닐 알코올 - 5 - -
11. 호호바 에스터 - - 5
12.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
(C6-14올레핀)
- - - 5
실험예 1: 유자 오일 비드의 외관 및 사용감 확인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오일 왁스 비드의 외관 및 사용감을 비교(N=5)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사용감 및 외관 상태
비교예 1 X
비교예 2 X
비교예 3 X
비교예 4 X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 사용감 및 외관이 매우 좋다, ○: 사용감 및 외관이 약간 좋다, △: 사용감 및 외관이 나쁘다, X: 사용감 및 외관이 아주 나쁘다)
상기 표 3에서 사용감이 좋다는 것은, 피부에 롤링 시 오일 왁스 비드가 이물감 없이 잘 녹는 것을 나타내며,
외관이 좋다는 것은, 비드의 사이즈가 너무 크거나 작지 않고 직경 0.1~0.5cm 범위로 형성된다는 것을 나타내며,
사용감이 나쁘다는 것은, 피부에 롤링 시 오일 왁스비드가 잘 녹지 않고 이물감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외관이 나쁘다는 것은, 비드의 사이즈가 직경 0.1~0.5cm 범위를 벗어나 너무 크거나 너무 작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 결과, 오일 왁스 비드를 형성하는 4종의 성분 비율이 실시예 5와 같을 때 직경 0.1~0.5cm의 적정 크기의 비드가 형성되면서도 피부 도포 시에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고 부드럽게 녹는 가장 이상적인 사용감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4와 같이, 1종의 성분만 사용하게 되면 제조 과정 중 비드가 형성되지 않거나 비드의 사이즈가 너무 작아져 외관이 좋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와 같이, 4종의 성분을 유사 비율로 조합하는 경우, 적정 사이즈의 비드가 형성되나 가장 이상적인 조합비는 실시예 5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조합비를 벗어나게 되면 비드의 사이즈가 너무 작거나 커지게 되고, 피부 도포 시 이물감이 느껴지거나 너무 물러지는 등 화장료에 적합하지 않은 사용감이 나오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사용감적으로는 실시예 5에 비해 떨어지지만, 비드 형성 및 제형 구성 측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및 비교예 5: 유자 왁스 비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4는 오일 왁스 비드를 포함하는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하기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에 따라, 천연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 올레핀)를 80도 이상 온도에서 5분 이상 가온하여 혼합한 후 건조시켜 유자 오일 비드를 제조하였다. 이 후, 상기 유자 오일 비드와 하기 표 4에 기재된 성분들을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실험에서, 어는 점을 낮추어 냉동조건에서 잘 버틸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을 하기 위하여, 글리세린, 프로판디올, 에탄올을 추가로 포함하여, 냉동조건에서의 안정도를 측정하였다.
성분
(단위: 중량%)
실시예
6
비교예
5
1. 정제수 to 100 to 100
2.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3. 폴리아크릴레이트-13 0.3 0.3
4. 폴리이소부텐 0.135 0.135
5. 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7 0.7
6. 1,2-헥산디올 1.0 1.0
7. 트리실록산 1.2 1.2
8. 디메치콘 1.8 1.8
9. 글리세린 2 2
10. 프로판디올 10 10
11. 에탄올 7 7
오일 왁스 비드 12. 천연 유자 오일 0.5 -
13. 베헤닐 알코올 0.5 -
14. 호호바 에스터 0.5 -
15.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
(C6-14올레핀)
0.5 -
상기 표 4에서, 실시예 6 및 비교예 5에서는 폴리올, 에탄올을 고함량으로 넣은 후, 왁스 비드의 유무에 따른 냉동 안정도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폴리올, 에탄올이 있어도 얼지는 않지만, 비드를 포함하게 되면 그 효과가 더욱 더 높아질 수 있는지를 아래의 실험예 2 내지 3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의 어는 점, 냉동 후 떠짐성 및 단단한 정도 확인
1) 제형의 어는점 확인
상기 실시예 6과 비교예 5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영하 20도의 조건에 보관하며 완전히 어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시간(h)
실시예 6 얼지 않음(50 시간 경과 후)
비교예 5 18
상기 표 5의 결과를 확인하였을 때, 실시예 6이 비교예 5에 비해 저온의 환경에서 얼지 않고 제형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제형의 얼린 후 떠짐성 확인
상기 실시예 6과 비교예 5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영하 20도에서 3일간 얼린 후 손가락을 이용해 내용물을 떠낼 때의 느껴지는 만족도를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상기 평가는 잘 훈련된 팩 화장료 센서리 평가단 10명에게 평가하게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떠짐성 만족도
실시예 6 4.5
비교예 5 2.9
(1점: 잘 떠지지 않는다, 2점: 비교적 잘 떠지지 않는다. 3점: 보통, 4점: 비교적 쉽게 떠진다, 5점: 매우 쉽게 떠진다)
상기 표 6의 결과를 확인하였을 때, 실시예 6이 비교예 5에 비해 떠짐성 만족도가 현저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3) 제형의 얼린 후 단단한 정도 확인
상기 실시예 6 내지 7과 비교예 5 내지 6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영하 20도에서 3일간 얼린 후. 꺼낸 직후의 경도를
SUN SCIENTIFIC CO.,LTD 사의 SUN RHEO METER(모델명: COMPAC-100Ⅱ)를 사용/측정하여 내용물의 어는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경도(단위: N)
실시예 6 30
비교예 5 51
위 결과를 확인하였을 때, 실시예 6이 비교예 5에 비해 동일한 저온조건(영하 20도)에서 덜 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8)

  1.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유자 오일 비드가 분산된,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호호바 에스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의 중량비는 0.1 내지 2 : 0.1 내지 2 : 0.1 내지 2 : 3 내지 10인 것인,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폴리올레핀과, 유자 오일,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및 호호바 에스터 중량 총합의 중량비는 1:1 내지 5:1 인 것인,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자 오일 비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자 오일 비드의 입경은 0.05cm 내지 0.8cm 인,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젤 제형으로 제형화 되는 것인,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영하 20도의 조건에서 50시간 보관하여도 얼지 않는 것 인,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영하 20도의 조건에서 72시간 보관한 후의 경도가 35 N 미만인 것 인,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64640A 2019-05-31 2019-05-31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7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640A KR20200137775A (ko) 2019-05-31 2019-05-31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640A KR20200137775A (ko) 2019-05-31 2019-05-31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775A true KR20200137775A (ko) 2020-12-09

Family

ID=7378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640A KR20200137775A (ko) 2019-05-31 2019-05-31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77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28364A (ja) * 2019-02-08 2020-08-27 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Amorepacific Corporation 柚子オイルビーズを含む化粧料組成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7721A (ja) 2009-08-06 2011-02-24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睡眠改善作用の皮膚外用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7721A (ja) 2009-08-06 2011-02-24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睡眠改善作用の皮膚外用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28364A (ja) * 2019-02-08 2020-08-27 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Amorepacific Corporation 柚子オイルビーズを含む化粧料組成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614B1 (ko)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JP3161869B2 (ja) 油中水型エアゾール組成物およびその製法
KR101663141B1 (ko) 캡슐을 포함하는 이층상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184505B (zh) 一种天然抗氧化护肤霜及其制备方法
JP2008525396A (ja) 海藻抽出物、特にトチャカを含む化粧品
KR101942535B1 (ko) 3층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9609A (ko) 고마쥬 타입 각질제거용 수분산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7775A (ko) 냉동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21942B1 (ko) 기능성 효능 물질의 피부 전달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0814035B1 (ko)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120076169A (ko) 저융점 왁스상 성분을 포함하는 냉장유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9002B1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994406B1 (ko)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9669A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101366940B1 (ko)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제조용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KR101994407B1 (ko)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7179B1 (ko)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2297560B1 (ko) 메칠하이드로제네이티드로지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62423B1 (ko) 보호필름과 분리가 용이한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84476B1 (ko)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KR102597745B1 (ko) 냉장 온도에서 어는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39803B1 (ko) 오일층이 하단부에 위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529580B1 (ko) 폴리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o/w 화장품 경도 증가용 조성물
KR102633490B1 (ko) 사용감이 개선된 크림상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5138B1 (ko)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