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423B1 - 보호필름과 분리가 용이한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보호필름과 분리가 용이한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423B1
KR102662423B1 KR1020210116559A KR20210116559A KR102662423B1 KR 102662423 B1 KR102662423 B1 KR 102662423B1 KR 1020210116559 A KR1020210116559 A KR 1020210116559A KR 20210116559 A KR20210116559 A KR 20210116559A KR 102662423 B1 KR102662423 B1 KR 102662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eam
hydrogel
weight
protective film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3514A (ko
Inventor
안선용
김완중
우용호
성준섭
윤석원
조소리
박재성
차지훈
이민우
이형환
박신영
오세임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아이큐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아이큐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아이큐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6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423B1/ko
Publication of KR20230033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4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보호필름과 분리가 용이한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 양상에 따른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보호필름 및/또는 원단 지지체와 크림 하이드로겔이 용이하게 분리되어 보호필름 및/또는 원단 지지체에 묻어 나오는 크림 하이드로겔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이에, 기존 마스크 팩과 비교하여 피부에 전사가 용이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양으로 스킨케어가 가능하고 크림 하이드로겔을 피부에 발라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호필름과 분리가 용이한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Cream hydrogel mask pack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a protective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보호필름과 분리가 용이한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용 마스크는 부직포 등으로 만들어진 마스크 시트에 화장료를 침지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화장용 마스크는 얼굴에 부착되어 화장료의 미용성분을 피부에 공급함으로써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보습효과와 각질 및 모공의 노폐물을 제거하여 피부를 맑고 깨끗이 하는 청결효과를 제공하며 아울러 피부의 생리기능을 회복시켜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성 화장품의 일종이다.
피부에 대한 보습, 피부 보호 작용, 피부 활성화 등을 목적으로 하여 만들어진 피부 미용 성분들은 피부에 대한 진정 작용, 피부 트러블 예방, 거친 피부의 회복 등과 같은 효능을 부여하여 사용자가 맑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는 보통 1세대의 시트마스크, 2세대의 하이드로겔 타입 마스크 그리고 3세대의 셀룰로오스 마스크로 구분을 하고 있다. 시트마스크의 경우에는 적용부위에 알맞은 모양으로 성형된 시트에 유효성분의 조성물(에센스 또는 에멀젼이나 크림)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또한, 3세대 셀룰로오스 마스크 경우에도 시트마스크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된다.
하이드로겔은 정제수를 분산매체로 하는 삼차원 친수성 고분자 망상구조를 가진 물질로서 다량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천연 조직과 같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마스크팩 시트는 착용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지만 손으로 문질러 도포가 불가능하여 많은 양이 버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크림타입으로 나오는 마스크의 경우 1세대와 3세대는 크림 또는 에멀전을 주입하거나 도포하여 제조하는데, 이러한 제조방식을 통한 마스크 역시 필름 및 파우치에 크림 내용물이 묻어 나오게 되어 버려지는 내용물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일 양상은 크림 하이드로겔 층;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 층의 양면에 하나씩 존재하는, 크림 하이드로겔을 보호하는 보호필름; 및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원단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 층은 보호필름과 분리가 용이한 것인,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겔화제, 점증제 및 비휘발성 용매를 포함하는 제1상을 얻는 단계; 상기 제1상에 유화제를 혼합분산시켜 크림 하이드로겔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을 두개의 보호필름 사이에 위치한 원단 지지체에 도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림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크림 하이드로겔 층;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 층의 양면에 하나씩 존재하는, 크림 하이드로겔을 보호하는 보호필름; 및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원단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 층은 보호필름과 분리가 용이한 것인,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하이드로겔(hydrogel)"은 많은 양의 물이 고분자 물질의 격자 내에 채워져 팽윤된, 3차원적인 친수성 고분자 망상구조를 갖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크림(cream)"은 수분 및 오일성분을 포함한 통상적으로 화장품에 많이 사용되는 제형으로서 이들의 비율은 조절 가능하여 오일과 수분 비율에 따라서 피부 흡수율을 조절할 수 있고, 무겁거나 가벼운 사용감 구현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크림 하이드로겔"은 상기 하이드로겔의 망상구조에 크림이 섞여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은 하이드로겔의 망상구조에 크림을 가두게 되어 크림이 변질되지 않고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은 하이드로겔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시트 마스크의 거친 느낌이 없이 부드럽고 피부에 찰싹 달라붙는 밀착감이 높은 것일 수 있다.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 층은 보호필름과 분리가 용이하여 보호필름에 크림 하이드로겔이 묻어나지 않고 깔끔하게 분리되어, 피부에 적용될 크림 하이드로겔의 손실이 낮거나 없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원단 지지체는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과 분리가 가능하고, 분리가 용이하여 피부 적용 후 크림 하이드로겔을 피부에 문질러서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림 하이드로겔을 보호필름을 제거한 후에 피부에 부착한 후, 원단 지지체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 피부에 적용할 수도 있고, 원단 지지체를 분리하여 크림 하이드로겔을 손으로 문질러 펴 바르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원단 지지체는 크림 하이드로겔과 분리가 용이하여 피부에 크림 하이드로겔이 90 % 내지 100 % 전사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은 겔화제(gelling agent), 점증제(thickener), 비휘발성 용매,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겔화제는 카라기난(carrageenan), 로커스트빈검(Locust bean gum), 잔탄검(Xanthan gum), 아가(Agar) 및 글루코만난(Glucomanna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겔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1.00 중량%, 예를 들어 0.01 중량% 내지 0.80 중량%, 0.01 중량% 내지 0.50 중량%, 0.05 중량% 내지 1.00 중량%, 0.05 중량% 내지 0.80 중량%, 0.05 중량% 내지 0.50 중량%, 0.10 중량% 내지 1.00 중량%, 0.10 중량% 내지 0.80 중량% 또는 0.10 중량% 내지 0.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겔화제가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하이드로겔의 강력한 표면 막형성이 어려워 보호필름과 크림 하이드로겔의 친밀도가 매우 높아짐에 따라 보호필름에 크림 하이드로겔이 붙게 되고, 또한 그물망 구조 형성이 어려워짐에 따라 하이드로겔 매트릭스의 강도가 떨어지게 되어 깔끔하게 보호필름과의 분리가 어려워질 수 있으며 제품의 상품성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겔화제가 1.00 %중량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하이드로겔의 특성이 강해져 하이드로겔 매트릭스의 강도가 높아짐에 따라 크림처럼 제형이 펴지지 못해 피부에 펴 바르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카보머(carbomer),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 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소듐 폴리아크릴로일디메칠 타우레이트(Sodium Polyacryloyldimethyl Taurate) 및 폴리아크릴산 나트륨(Sodium polyacryla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2.00 중량%, 예를 들어 0.01 중량% 내지 1.50 중량%, 0.01 중량% 내지 1.00 중량%, 0.01 중량% 내지 0.80 중량%, 0.01 중량% 내지 0.50 중량%, 0.10 중량% 내지 2.00 중량%, 0.10 중량% 내지 1.00 중량%, 0.10 중량% 내지 0.80 중량% 또는 0.10 중량% 내지 0.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의 경우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기 때문에 수분을 제형이 잡고 있기 위해서 친수성 고분자인 점증제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점증제가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점도가 떨어져 크림 제형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제품 생산시 벌크의 안정성이 떨어지며, 제품의 상품성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점증제가 2.00 중량%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져 생산시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하이드로겔의 막형성에 방해가 되어 크림 하이드로겔이 보호필름과 분리가 잘 일어나지 못하고 제품사용 후 피부에 남아있는 점증제로 인해서 때밀림 현상이 나오게 되어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용매는 다가 알코올(polyhydric alcohol)인 것일 수 있고, 상기 다가 알코올은 글리세린(Glycerin),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프로판다이올(Propanediol),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및 다이글리세린(Diglycer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휘발성 용매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0 중량% 내지 40.00 중량%, 예를 들어 2.00 중량% 내지 30.00 중량%, 2.00 중량% 내지 25.00 중량%, 5.00 중량% 내지 40.00 중량%, 5.00 중량% 내지 30.00 중량%, 5.00 중량% 내지 25.00 중량%, 10.00 중량% 내지 40.00 중량%, 10.00 중량% 내지 30.00 중량% 또는 10.00 중량% 내지 25.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점증제 및 겔화제 고분자의 경우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피부의 표피층을 투과하지 못하고 표면에 남게 되는데, 이러한 고분자끼리 얽혀 막을 형성하면서 때밀림 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비휘발성 용매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서 때밀림 현상의 개선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비휘발성 용매가 2.0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남아있는 용질의 양에 비해 용매가 적어 때밀림 현상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비휘발성 용매가 40.00 중량%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사용감이 너무 무겁게 되며 동시에 내용물의 수분이 흡수 및 증발이 어려워져 본 발명에서 제품을 사용하면서 나타나는 시각적인 효과가 매우 느리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솔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Cetearyl Glucoside),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3 Methylglucose Distearate),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세테스-20(Ceteth-20), 솔비탄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폴리솔베이트 20(Polysorbate 20), 폴리솔베이트 60(Polysorbate 60), 폴리솔베이트 80(Polysorbate 80) 및 피이지-150다이스테아레이트(PEG-150 Distear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5.0 중량%, 예를 들어 1.0 중량% 내지 4.0 중량%, 1.0 중량% 내지 3.0 중량%, 1.5 중량% 내지 5.0 중량%, 1.5 중량% 내지 4.0 중량%, 1.5 중량% 내지 3.0 중량%, 2.0 중량% 내지 5.0 중량%, 2.0 중량% 내지 4.0 중량% 또는 2.0 중량% 내지 3.0 중량%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유화제가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크림 같은 사용감이 나오지 못하게 되고, 유화제가 5.0 중량%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겔화제의 겔링을 저해하여 필름에 묻거나 필름과 잘 분리가 되지만 발림성이 떨어져 사용감이 안좋아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성분 외에도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에는 여러가지 오일성분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에 포함될 수 있는 오일은, 피부 보습력 및 영양분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쿠알란(Squalane), 에스터형오일(Ester Oil), 미네랄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트리에틸헥사노인(Triethylhexanoin),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및 천연 유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단 지지체는 예를 들어 부직포, 나일론 메쉬, PU가 합지된 셀룰로오스 또는 대나무 원단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은 하이드로겔 매트릭스가 무너지면서 발려져야 하기 때문에 하이드로겔의 함량이 낮고, 이에 하이드로겔의 강도가 떨어져 내용물을 유지할 수 있는 원단 지지체가 필요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은 생산방법 및 크림 하이드로겔의 보호를 위해서 보호필름이 필요한 것일 수 있으며, 피부 적용 시 보호필름을 제거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은 예를 들어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 Propylene; OPP), 폴리에스테르(P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asting Poly Propylene; CPP),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에는 상기 겔화제, 점증제, 비휘발성 용매 및 유화제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정제수, 보습제, 방부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계면활성제, 담제, 향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및 고분자 다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적용하는" 및 "도포하는"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원하는 부위, 예를 들어 피부에의 적어도 부분적 국소화를 초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겔화제, 점증제 및 비휘발성 용매를 포함하는 제1상을 얻는 단계; 상기 제1상에 유화제를 혼합분산시켜 크림 하이드로겔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을 두개의 보호필름 사이에 위치한 원단 지지체에 도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림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겔화제, 점증제, 비휘발성 용매, 크림 하이드로겔, 보호필름 및 원단 지지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제1상을 얻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정제수에 겔화제, 점증제, 비휘발성 용매 및/또는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첨가하여 혼합분산시켜 제1상을 얻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을 수득하는 단계는 유화제 뿐만 아니라 오일성분도 포함하여 혼합분산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분산은 아지믹서 및 패들(paddle)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분산(dispersion)"은 용질 입자들이 용매 속에 퍼져있는 상태 또는 이러한 상태로 만드는 행위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혼합분산"은 시료를 혼합하고 분산하는 행위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상을 얻는 단계 및/또는 크림 하이드로겔을 수득하는 단계는 상온 또는 60 ℃ 내지 100 ℃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제조방법은 도포된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냉각시키는 단계 및/또는 냉각된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목형으로 타공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대해 기술한 용어 및 방법 등은 각 발명들 간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일 양상에 따른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보호필름 및/또는 원단 지지체와 크림 하이드로겔이 용이하게 분리되어 보호필름 및/또는 원단 지지체에 묻어 나오는 크림 하이드로겔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이에, 기존 마스크 팩과 비교하여 피부에 전사가 용이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양으로 스킨케어가 가능하고 크림 하이드로겔을 피부에 발라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의 보호필름을 제거한 경우 크림 하이드로겔이 보호필름에 묻어 나오지 않는 것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을 피부에 적용한 뒤 시간이 흐름에 따라 피부에 크림이 흡수되는 것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4는 일 비교예에 따른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의 보호필름을 제거한 경우 크림 하이드로겔이 보호필름에 묻어 나오는 것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및 일 비교예에 따른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을 피부에 적용하여 비교한 사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을 피부에 적용한 뒤 원단 지지체를 제거한 경우 피부에 크림 하이드로겔이 남아 있는 것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5b는 일 비교예에 따른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을 피부에 적용한 뒤 원단 지지체를 제거한 경우 원단 지지체와 크림 하이드로겔이 분리되지 않아 피부에 크림 하이드로겔이 남아 있지 않는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제조
하기 표 1과 같이 조성을 달리하여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먼저 하기 표 1의 원료 1을 원료 9에 넣고 약 75 내지 약 85℃까지 가온하여 용해시켰다. 그 후, 표 1에 따라 나머지 수상원료(원료 2 내지 4 및 원료 6 내지 8)를 첨가한 뒤 10 내지 20 분간 아지믹서 및 패들(paddle)을 사용하여 분산 및 점증시켰다. 그 후 83 ℃ 까지 가온시켜 녹은 유상 원료 10 내지 12를 첨가하여 20분간 아지믹서 및 패들을 사용하여 크림 하이드로겔 내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크림 하이드로겔 내용물을 펌프를 사용하여 보호 필름과 원단 지지체 사이에 부어주고 도포한 뒤, 천천히 냉각시켜 목형을 사용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타공하여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 원료 성분명 실시예 1
(중량 %)
실시예 2
(중량 %)
비교예 1
(중량 %)
비교예 2
(중량 %)
수상 원료 1 방부제 2.00 2.00 2.00 2.00
원료 2 카라기난 0.10 - - 0.50
원료 3 글루코만난 0.20 0.15 - 0.15
원료 4 잔탄검 0.16 0.20 - 0.20
원료 5 로커스트빈검 - 0.10 - 0.40
원료 6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
브이피코폴리머
0.50 0.5 0.50 0.50
원료 7 글리세린 20.0 15.0 20.0 15.0
원료 8 디프로필렌글라이콜 4.00 4.00 4.00 4.00
원료 9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유상 원료 10 코코넛 오일 4.00 4.00 4.00 4.00
원료 11 시어 버터 2.00 2.00 2.00 2.00
원료 12 세테아릴알코올 0.4 0.4 0.4 0.4
원료 13 폴리소르베이트80 1.0 1.0 1.0 1.0
원료 14 폴리소르베이트20 0.4 0.4 0.4 0.4
원료 15 피이지-150다이스테아레이트 0.8 0.8 0.8 0.8
실험예 1: 보호필름과의 분리 용이성 확인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같이 제조된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내용물과 보호필름이 분리가 용이한지 확인하였다.
실시예 1의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림 하이드로겔과 펄지 및 엠보 보호필름이 잘 분리됨을 확인하였으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필름을 제거하여 손등에 적용하였을 때 크림 하이드로겔과 원단 지지체가 잘 분리되어 크림 하이드로겔이 손등에 많이 묻어있고 발림성이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실시예 1 및 2과 비교하여 겔화제인 카라기난, 글루코만난, 잔탄검 및 로커스트빈검을 모두 제외시킨 비교예 1의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경우, 도 2에 나타낸 실시예 1의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팩과 비교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림 하이드로겔과 보호필름이 잘 분리되지 않고 보호필름에 크림 하이드로겔이 묻어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2의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경우,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단 지지체와 크림 하이드로겔의 분리가 잘 되어 손등에 크림 하이드로겔이 많이 묻어있고 발림성이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실시예 2와 비교하여 카라기난 함량을 0.50 중량%로 포함하고, 로커스트빈검을 0.4 중량%로 포함시켜 겔화제 함량을 높인 비교예 2의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경우, 도 5a에 나타낸 실시예 2의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팩과 비교하여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필름과 크림 하이드로겔은 분리가 잘 되었으나, 크림 하이드로겔의 강도가 높아서 원단 지지체와 크림 하이드로겔의 분리가 잘 되지 않았으며 발림성이 낮아서 손등에 크림 하이드로겔이 묻어 나오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기 표 2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크림 하이드로겔의 용량이 7 내지 8 g 포함된 마스크팩을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보호필름에 묻어 나오는 크림 하이드로겔 양과 피부에 남아있는 크림 하이드로겔 양을 측정한 값과 발림성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보호필름에 묻어 나오는 크림 하이드로겔의 양
(필름에 묻어 나온 양 / 피부에 남아있는 양)
적음
(0.01g / 7.24g)
적음
(0.01g / 7.30g)
많음(7.19g / 7.20g) 거의 없음
(0.00g / 7.30g)
크림 하이드로겔의 발림성 좋음 좋음 좋음 나쁨

Claims (13)

  1. 크림 하이드로겔 층;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 층의 양면에 하나씩 존재하는, 크림 하이드로겔을 보호하는 보호필름;및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원단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은 겔화제(gelling agent) 0.01-1.00 중량%, 점증제(thickener) 0.01-2.00 중량%, 비휘발성 용매 2-40 중량% 및 유화제 1-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겔화제는 카라기난(carrageenan), 글로코만난(Glucomannan), 잔탄검(Xanthan gum) 및 로커스트빈검(Locust bean g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점증제는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 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를 포함하고,
    상기 비휘발성 용매는 글리세린(Glycerin),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프로판다이올(Propanediol),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및 다이글리세린(Diglycer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유화제는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폴리솔베이트 80(Polysorbate 80), 폴리솔베이트 20(Polysorbate 20) 및 피이지-150다이스테아레이트(PEG-150 Disteara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원단 지지체는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과 분리가 가능하고, 분리가 용이하여 피부 적용 후 크림 하이드로겔을 피부에 문질러서 사용 가능하고,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 층은 보호필름과 분리가 용이한 것인,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겔화제, 점증제 및 비휘발성 용매를 포함하는 제1상을 얻는 단계;
    상기 제1상에 유화제를 혼합분산시켜 크림 하이드로겔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을 두개의 보호필름 사이에 위치한 원단 지지체에 도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크림 하이드로겔은 겔화제(gelling agent) 0.01-1.00 중량%, 점증제(thickener) 0.01-2.00 중량%, 비휘발성 용매 2-40 중량% 및 유화제 1-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겔화제는 카라기난(carrageenan), 글로코만난(Glucomannan), 잔탄검(Xanthan gum) 및 로커스트빈검(Locust bean g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점증제는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 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를 포함하고,
    상기 비휘발성 용매는 글리세린(Glycerin),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프로판다이올(Propanediol),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및 다이글리세린(Diglycer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유화제는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폴리솔베이트 80(Polysorbate 80), 폴리솔베이트 20(Polysorbate 20) 및 피이지-150다이스테아레이트(PEG-150 Disteara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크림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제조방법.
KR1020210116559A 2021-09-01 2021-09-01 보호필름과 분리가 용이한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62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559A KR102662423B1 (ko) 2021-09-01 2021-09-01 보호필름과 분리가 용이한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559A KR102662423B1 (ko) 2021-09-01 2021-09-01 보호필름과 분리가 용이한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514A KR20230033514A (ko) 2023-03-08
KR102662423B1 true KR102662423B1 (ko) 2024-05-03

Family

ID=8550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559A KR102662423B1 (ko) 2021-09-01 2021-09-01 보호필름과 분리가 용이한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4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038Y1 (ko) 2008-09-22 2011-08-11 (주) 제이티 에센스겔 마스크팩
KR102055150B1 (ko) 2019-05-07 2019-12-12 주식회사 리더스코스메틱 경피 흡수 능력이 증진된 마스크팩용 세포간지질 모사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102258395B1 (ko) 2020-12-17 2021-06-21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마스크 팩용 하이드로겔, 이를 이용한 바이오 글루코즈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0405B1 (ko) * 2019-04-01 2021-08-18 퓨어앤텍 주식회사 착용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효성분이 피부에 전달되고 수분이 공기 중으로 증발하며 투명하게 변화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어진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913B1 (ko) * 2015-10-19 2017-11-01 송하정 마스크팩 및 그 제조장치
KR20200000336U (ko) * 2018-08-01 2020-02-11 (주)뷰티화장품 분리부재가 구비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20200060837A (ko) * 2018-11-23 2020-06-02 엠제이 주식회사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038Y1 (ko) 2008-09-22 2011-08-11 (주) 제이티 에센스겔 마스크팩
KR102290405B1 (ko) * 2019-04-01 2021-08-18 퓨어앤텍 주식회사 착용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효성분이 피부에 전달되고 수분이 공기 중으로 증발하며 투명하게 변화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어진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102055150B1 (ko) 2019-05-07 2019-12-12 주식회사 리더스코스메틱 경피 흡수 능력이 증진된 마스크팩용 세포간지질 모사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102258395B1 (ko) 2020-12-17 2021-06-21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마스크 팩용 하이드로겔, 이를 이용한 바이오 글루코즈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514A (ko) 202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150B1 (ko) 경피 흡수 능력이 증진된 마스크팩용 세포간지질 모사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EP2020221B1 (de) DMS (Derma Membrane Structure) in Schaum-Cremes
KR102623442B1 (ko) 다중 유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1663141B1 (ko) 캡슐을 포함하는 이층상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69416B1 (ko) 피부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51344A (ko) 메이크업 효과를 갖는 팩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11322A (ko) 마스크팩용 액정 유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마스크팩
KR20170009408A (ko) 세라마이드-피토스테롤 유도체 액정 수화 기술을 이용한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95371B1 (ko) 크림형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78630A (ko) 수중유형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91248B1 (ko) 화장료용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가지는 시트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62423B1 (ko) 보호필름과 분리가 용이한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32938B1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101873955B1 (ko) 마스크 팩 코팅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KR102556488B1 (ko)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JP7470111B2 (ja) ハイドロゲルマスク組成物、これを利用して製造されたハイドロゲル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19174B1 (ko) 라멜라 액정이 수분산된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509002B1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984165B1 (ko) 클렌징 겸용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6233A (ko)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이드로겔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001513B1 (ko) 쿨링 효능이 향상된 쿨링 마스크팩, 이의 제조 방법 및 사용방법
CN111343960A (zh) 含有高含量油成分的化妆品组合物及使用其的片状面膜
KR102175467B1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94407B1 (ko)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70296453A1 (en)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dispersion,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use thereof for skin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