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416B1 - 피부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416B1
KR101569416B1 KR1020130059134A KR20130059134A KR101569416B1 KR 101569416 B1 KR101569416 B1 KR 101569416B1 KR 1020130059134 A KR1020130059134 A KR 1020130059134A KR 20130059134 A KR20130059134 A KR 20130059134A KR 101569416 B1 KR101569416 B1 KR 101569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weight
cooling
skin
stock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8484A (ko
Inventor
김성덕
정관영
한상근
정태화
박인기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9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416B1/ko
Publication of KR20140138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패드의 형성을 위한 아크릴계 에멀젼, 폴리머의 경화를 위한 지방산 및 급격히 경화되면 밀착력이 떨어짐으로 폴리올을 경화 지연제로 사용한 로션상의 에어로졸 원액과 비점이 낮은 액화가스를 알루미늄 캔에 투입하여 균일하게 분산시켜 제조된 에어로졸 화장료를 개시한다. 이는 분사 시, 비점이 낮은 액화가스가 순간적으로 기화되면서 에어로졸 용기에 용해되어있는 아크릴계 에멀젼이 공기 중에서 경화되어 -5℃ 이하의 패드가 피부 위에 형성하게 되고, 피부 위에 형성되는 패드는 피부와 부착성이 우수하고, 정제수를 최소로 함유하기 때문에 소프트하게 분사된 내용물을 눌러도 화장수가 배어 나오지 않는 특징을 지니며, 형성된 패드를 롤링하면 서로 뭉치면서 볼을 형성하게 되며 마사지 기능도 부여하여 일반적인 에어로졸 타입의 화장료처럼 화장수에 의한 일시적인 쿨링감을 주는 제형과 달리 패드를 형성하여 쿨링 효과가 오랫동안 지속되고, 패드의 차폐 효과로 인하여 쿨링 및 리프팅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erosol cosmetic composition for the cooling and lifting effect on the ski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에어로졸 화장료와 같이 화장수에 의한 일시적인 쿨링감을 주는 제형과는 달리 분사 시, 피부에 패드를 형성하여 쿨링 효과가 오랫동안 지속되고, 차폐 효과로 인하여 쿨링 및 리프팅 효과를 극대화한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기후의 양극화가 진행되면서 여름이 길어지고 무더위가 계속됨에 따라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피부 속 콜라겐 섬유, 탄력 섬유가 급격한 속도로 파괴되는 열에 의한 노화가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피부 표면의 체감 온도를 낮춰줌으로써 시원함을 느낄 수 있는 ‘쿨링(cooling)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쿨링 화장품은 바르는 순간 얼굴이 시원해져 높은 기온과 습도로 인해 지치고 생기 없는 피부에 활력을 주기 때문에 아무리 더워도 화장을 포기할 수 없는 일명‘화장족 여성' 들에게 여름 필수품으로 떠오르고 있다. 쿨링 화장품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단순한 스킨 케어 제품에서 한 단계 발전하여 붓기를 가라앉히는 아침 전용 쿨링 에센스, 상쾌하고 매끈한 피부로 가꿔주는 쿨링 스프레이, 살짝 바르기만 해도 차가운 사용감을 느끼게 해주는 특수 기능을 갖춘 아이섀도우 및 립글로스 등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쿨링 화장품은 알코올 성분을 첨가하여 알코올이 피부에서 증발할 때 피부의 열을 빼앗아 쿨링 효과를 부여하거나, 멘톨, 멘톨 유도체 및 자일리톨 등과 같은 성분을 쿨링 에이젼트로 사용하여 피부의 온도를 낮춰 시원한 느낌을 주는 원리로 만들어졌다.
한편, 에어로졸(aerosol)은 물리학적으로 기체 중에 고체 혹은 액체의 미립자가 분산되어 있는 콜로이드 상태를 의미하며, 에어로졸 화장품은 주로 스프레이 타입 및 토출 타입의 헤어 제품에 적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스킨 케어와 메이크업 제품에도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에어로졸의 원리는 내압 밀폐 용기 내에 에어로졸 원액과 분사제를 넣어 분사 시, 분사제의 압력으로 인해 에어로졸 화장료를 균일하게 분사 또는 토출시키는 것인데, 이때 분사제의 종류에 따라 내압에 의해 액화하는 액화성 가스 혹은 액화하지 않는 압축성 가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용기의 특성상 제조 후 내용물은 외부와 차폐된 상태로 보관이 되어 일반적인 스킨 케어 제품에서 열, 빛 등의 이유로 안정화시키기 어려운 유효 성분에 대한 안정도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피부 쿨링용 에어로졸 화장료의 제품들은 에어로졸 화장료에 알코올 성분과 과량의 화장수를 함유하고 있다. 에어로졸 화장료를 분사할 경우, 비점이 낮은 분사제는 피부 표면에서 신속히 휘발됨과 동시에 피부 온도를 일정하게 낮추어 주며, 이때 남은 에어로졸 화장료에 포집 되었던 화장수들이 배어나와 수렴효과 및 모공 수축 효과를 부여하게 된다. 하지만, 쿨링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알코올 성분이 첨가된 에어로졸 화장료들은 산뜻한 사용감을 느낄 수 있으나, 피부가 예민한 사람들에게는 자극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알코올 성분의 특유한 향을 싫어하는 소비자들에게는 거부감을 줄 수 있고, 일반 스킨을 사용할 때보다 화장수가 많이 남아 일부는 버리게 된다. 또한, 피부에 분사 시, 일시적인 쿨링 효과는 나타낼 수 있으나, 그 효과를 오래 지속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피부에 쿨링 효과를 부여하는 에어로졸 화장료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다. 선행기술 1(KR 10-2006-0046937 A)은 피부 쿨링에 효과적인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발명에 의한 피부 쿨링용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수용성 고분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알코올, 정제수, 기타 화장료 성분 등을 함유하는 에어로졸 원액 30~80 중량% 및 에어로졸 분사제 20~70 중량%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조성물의 내용물이 젤상으로 분사되고 혼합되어 있는 액화 가스가 점성이 있는 내용물로부터 서서히 기화되면서 열을 흡수함으로써 피부에 즉각적이고 지속력 있는 쿨링 효과를 부여한다. 또한, 선행기술 2(KR 특 1997-048661 A)는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발명에 의한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고분자, 친수성 무기분체 및 HLB 값이 12∼18인 비이온성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에어로졸용 원액과 에어로졸용 분사제로 이루어짐으로써, 화장료를 분사 시 도포면에서 얼음상이 형성되고, 형성된 얼음상이 녹는 것이 지연됨으로써 피부에 쿨링 효과 및 진정 효과를 장시간 동안 부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쿨링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알코올 성분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쿨링 효과를 위해 첨가되는 알코올 성분은 민감성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수 있고, 특유의 향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쿨링 효과를 지속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 3(KR 10-2005-0041402 B1)은 퍼프형상을 갖는 수렴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에어로졸 용기로부터 화장료와 액화가스를 동시에 분사되게 함으로써, 비점이 낮은 액화가스가 기화하면서 화장료의 온도가 저하되도록 하여, 액상 상태의 아크릴레이트 폴리머가 경화되면서 온도가 낮은 퍼프형상의 수렴화장료가 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퍼프 형태의 수렴화장료가 높은 기온과 땀으로 늘어진 피부에 분사되면, 온도를 순간적으로 떨어뜨려 자연적인 수렴효과 및 모공을 수축효과를 부여하여 탄력있게 만들어 주며, 퍼프 형상에 의해 지속적인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로부터 제조된 퍼프 형상을 갖는 수렴화장료는 퍼프가 말 그대로 ‘화장솜’ 성상이기 때문에 누르면 화장수가 금방 배어나오고, 배어나온 화장수가 피부에 흡수되면 쿨링감이 금방 사라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알코올 성분을 포함하여 민감성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수 있고, 특유의 향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쿨링 효과를 지속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KR 10-2006-0046937 A KR 특 1997-048661 A KR 10-2005-0041402 B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에어로졸 화장료는 일반적인 에어로졸 화장료가 갖고 있는 제형 상의 단점을 극복하고 알코올 성분 없이 극소량의 화장수로 수렴 효과를 줄 수 있으며, 분사 시 피부에 도포되어 패드를 형성함으로써 쿨링 및 리프팅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즉, 에어로졸 원액과 분사제가 혼합되어 있는 에어로졸 화장료를 분사 시, 비점이 낮은 액화 가스가 기화되면서 화장료의 온도를 낮추어주며 이때, 화장료 내에 함유되어 있는 아크릴계 에멀젼이 서서히 경화됨으로써 패드를 형성하여 자연적인 쿨링 및 리프팅 효과를 부여하여 탄력이 있는 피부를 만들어 주며, 패드에 의한 차폐 효과로 인해 지속적인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션상의 에어로졸 원액과 저비점의 액화가스를 혼합하여 충진한 후, 분사 시 피부에 패드를 형성하는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에어로졸 원액과 에어로졸 분사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원액은 전체 원액 100중량%에 대하여 포화 지방산류 0.5~5.0중량%, 폴리올류 15~20중량%, 에테르계 유화제 0.1~1.0중량%, 아크릴계 에멀젼 50~70중량% 및 정제수를 함유하고,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에어로졸 원액 30~40중량% 및 에어로졸 분사제 60~70중량%를 함유하되, 에어로졸 원액과 에어로졸 분사제는 적어도 1:2 중량비 이상을 만족하는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아크릴계 에멀젼은 암모늄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다.
상기 폴리올류은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에톡시디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다.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는 비점이 -50~0℃인 저비점 액화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는 디메틸에테르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화 지방산류, 폴리올류, 에테르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와 정제수를 함께 65~85℃로 가온하여 완전히 용해하여 유화하고 35~55℃까지 냉각한 다음, 아크릴계 에멀젼을 투입하면서 호모믹서로 4,000~5,000 rpm에서 교반하여 로션상의 에어로졸 원액을 수득하는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에어로졸 원액은 포화 지방산류 0.5~5.0중량%, 폴리올류 15~20중량%, 에테르계 유화제 0.1~1.0중량%, 아크릴계 에멀젼 50~70중량% 및 나머지는 정제수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원액 30~40중량%와 분사제 60~70중량%를 용기에 충전하되, 그 비가 적어도 1:2 중량비 이상되도록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은 분사 시, 공기 중에서 경화되어 피부에 패드를 형성하여 부착하게 됨으로써, 쿨링 효과가 오랫동안 지속되고 차폐 효과로 인하여 쿨링 및 리프팅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피부에 형성된 패드를 롤링(rollong)하면 서로 뭉치면서 볼을 형성하게 되어 마사지 기능도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에 의한 에어로졸 화장료를 분사하여 패드가 형성되기 전, 후 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쿨링 효과의 형상을 FLUKE 社의 Ti9 Thermal Imager
로 촬영한 사진이다.
(1) 손등을 찍었을 때의 온도 사진
(2) 코튼 밴드 분사 후, 코튼 밴드 표면 온도 사진
(3) 코튼 밴드 분사 후, 5분 경과된 코튼 밴드 표면 온도 사진
도 3은 코튼 밴드 분사 후, 피부 온도로 회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피부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에어로졸 화장료’라 함은 내압밀폐 용기 내에 분사시키는 에어로졸 원액과 분사제를 넣어 분사 시, 분사제의 압력으로 인해 화장료를 균일하게 분사시키는 분무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패드’라 함은 패치(patch)와 같이 밀착력이 우수한 밴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코튼 밴드’라 함은 밴드와 코튼의 장점을 동시에 갖고 있으면서, 피부에 쿨링 효과를 부여하는 제형의 비쥬얼적 특성을 함축한 단어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밴드는 밀착력이 높아 피부에 잘 달라붙지만 시간이 지나면 답답한 느낌을 주는 특징이 있고, 코튼은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주지만 쉽게 날라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밴드와 코튼의 장점을 동시에 갖춘 것을 코튼 밴드라고 나타낸다.
본 발명은 에어로졸 원액과 에어로졸 분사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원액은 전체 원액 100중량%에 대하여 포화 지방산류 0.5~5.0중량%, 폴리올류 15~20중량%, 에테르계 유화제 0.1~1.0중량%, 아크릴계 에멀젼 50~70중량% 및 정제수를 함유하고,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에어로졸 원액 30~40중량% 및 에어로졸 분사제 60~70중량%를 함유하되, 에어로졸 원액과 에어로졸 분사제는 적어도 1:2 이상의 중량비를 만족하는 피부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로션상의 에어로졸 원액은 분사 시, 피부에 도포되어 패드를 형성하기 위하여 아크릴계 에멀젼을 사용하고, 상기 폴리머의 경화를 위하여 지방산을 사용하였으며, 급격히 경화되면 밀착력이 떨어짐으로 폴리올을 경화 지연제로 사용한다. 상기 로션상의 에어로졸 원액과 비점이 낮은 액화가스를 알루미늄 캔에 투입하여 균일하게 분산시켜 제조된 에어로졸 화장료를 분사 시, 비점이 낮은 액화가스가 순간적으로 기화되면서 에어로졸 용기에 용해되어있는 아크릴계 에멀젼이 공기 중에서 경화되어 -5℃ 이하의 패드가 피부 위에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에서 아크릴계 에멀젼은 암모늄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계 에멀젼은 필름 형성제로서의 기능을 한다. 일정한 온도에서 아크릴계 에멀젼은 지방산 체인을 기둥으로 삼아 견고한 필름을 형성한다. 이러한 내용물들은 알루미늄 캔 내부에서 추진제와 함께 액상으로 있다가 분사 시, 추진제의 기화열에 의해 내용물들은 LCST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이하로 떨어지게 되어 점차 결정화되어 피부 밀착력이 높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구현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폴리머의 경화를 위하여 지방산을 사용하는데, 지방산은 주쇄에 이중 결합이 없는 저급 포화 지방산류 사용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예로는 스테아릭애씨드, 미리스틱애씨드 및 팔미틱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저급 불포화 지방산을 사용하면 패드 성상이 생성되지 않고, 고급 불포화 지방산 또는 고급 포화 지방산을 사용하게 되면 패드의 경도가 단단해져 쉽게 끊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적정한 경도의 패드를 생성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에서 폴리머의 경화 지연제로 사용되는 폴리올류는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에톡시디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수소 결합에 의한 정제수를 포집하고 아크릴계 에멀젼의 경화를 지연시킴으로써 분사 후, 화장수가 배어 나오지 않게 하며 쿨링감을 오랫동안 유지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화제는 에테르계 유화제를 사용하는데, 구체적인 예로는 올레스-2, 올레스-10, 올레스-16, 올레스-20 및 올레스-25를 사용한다. 이는 에테르계 유화제가 패드 성상을 형성시키는데 중요한 성분인 로션상의 에어로졸 원액을 안정화 시키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에서 에어로졸 분사제는 비점이 -50~0℃인 저비점 액화 가스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저비점 액화 가스는 액화석유가스, 디메틸에테르, 프로판, N-부탄 및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액화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 측면과 작업성에서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메틸에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친수성 원료가 대부분인 에어로졸 원액과 액화석유가스, 프로핀 및 N-부탄은 혼화성이 다소 떨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에서 에테르계 유화제, 포화 지방산류, 폴리올류를 사용한다. 패드를 형성하기 위하여 로션상의 내용물을 안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에테르계 유화제는 에어로졸 원액 100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를 사용한다. 에테르계 유화제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에서는 로션 상의 에어로졸 원액의 안정도가 저하되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1.0중량%을 초과하여 사용하면 뻣뻣한 사용감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백탁 현상 및 경도 형성을 위하여 사용되는 포화 지방산류는 에어로졸 원액 100중량%에 대하여 0.5~5.0중량%를 사용한다. 포화 지방산 함량이 0.5중량% 미만에서는 경도가 낮아 패드 형성하기 어렵고, 5.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 시, 경도가 높아져 유동 특성이 저감하게 된다.
또한, 폴리올류는 에어로졸 원액 100중량%에 대하여 15~20중량%을 사용한다. 폴리올의 함량이 15중량% 미만에서는 아크릴계 에멀젼의 경화가 신속히 일어나 쿨링감이 오랫동안 유지되지 못하고, 정제수 포집력이 약해져 분사 후, 형성된 패드를 롤링하게 되면 화장수가 배어나오게 된다. 폴리올을 2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제수 포집력은 강해지나 쿨링감은 약해지고 분사된 패드의 피부에의 부착성이 약해져 제품의 특징을 상실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에서 첨가부인 아크릴 계열의 폴리머는 파우더 함량이 40~50%인 아크릴계 에멀젼 50~7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아크릴계 에멀젼 함량이 50중량% 미만에서는 찰진 느낌이 줄어들어 피부 밀착도가 떨어지게 되며, 7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내용물이 끊어지지 않고 실오라기처럼 분사되어 제품의 상품성이 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원액과 에어로졸 분사제는 각각 30~40중량%와 60~7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에어로졸 원액과 에어로졸 분사제는 적어도 1:2 중량비 이상을 만족해야 한다. 조성물에 있어서 에어로졸 분사제의 함량이 낮을 경우 분사력이 낮아 패드의 형성을 방해하고, 반대로 가스의 함량이 높을 경우 분사력이 너무 강하여 패드가 조각조각 갈라져 분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에어로졸 원액과 에어로졸 분사제의 중량비가 1:2 미만에서는 패드가 형성되긴 하지만 피부에 밀착력이 약해지고 쉽게 끊어지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성분들의 사용량은 통상적으로 화장품 제조 공정에 있어서 공지된 사용 허용범위 내에서 로션 형태를 형성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형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의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방산 및 폴리올이 함유된 유상부와 정제수를 함께 계량하여 65~85℃로 가온 한 다음, 호모믹서를 2,500 ~3,500 rpm으로 교반하면서 완전 분산시킨다. 그리고 상기 유화물을 35~55℃의 온도로 천천히 냉각한다. 만약 이때 급격히 냉각하면 지방산의 석출량이 증가되어 균일한 패치 타입의 밴드 성상을 형성하기 어렵게 된다. 상기 냉각된 유화물에 호모믹서 2,500~3,500 rpm으로 교반하면서 첨가부인 아크릴 계열의 에멀젼을 천천히 투입한 후, 호모믹서 4,000~5,000 rpm으로 교반하여 로션상의 에어로졸 원액을 얻는다. 다음으로 이렇게 만들어진 로션상의 에어로졸 원액 30~40중량%와 비점이 낮은 액화가스 60~70 중량%를 에어로졸 용기에 투입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분사제와 함께 분사시키면 피부에 도포되어 패드를 형성하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6 및 비교예 1~6: 피부 쿨링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의 제조
피부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지방산과 폴리올이 함유된 유상부 및 정제수를 함께 계량하여 65~85℃로 가온한 다음, 호모믹서를 3,000 rpm으로 교반하면서 완전히 분산시켰다. 그리고 상기의 유화물을 35~55℃의 온도로 천천히 냉각시키고, 호모믹서를 3,000 rpm으로 유지하면서 아크릴 계열의 에멀젼을 천천히 투입한 후, 호모믹서를 4,000~5,000 rpm으로 교반하여 에어로졸 원액을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아크릴레이트 폴리머는 NATIONAL STARCH & CHEMICAL 社의 YODOSOL GH-800 F 및 DERMACRYL AQF를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의 조성은 수상부, 유상부 및 첨가부 총 중량 100중량%에 대한 중량%이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수상부
(중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유상부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6 8 10 5 15 -
글리세린 10 8 6 3 15 -
올레스-2 0.1 0.1 0.5 0.1 0.1 0.5
올레스-10 - 0.1 0.5 0.1 0.5 0.1
스테아릭애씨드 0.2 0.2 0.2 0.2 0.2 0.2
미리스틱애씨드 1.8 2.0 2.4 2.5 1.8 2.0
팔미틱애씨드 2.0 1.8 2.4 2.5 2.0 1.8
첨가부
(중량%)
아크릴레이트
폴리머
66 66 66 45 70 50
상기의 표 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에어로졸 원액을 제조하였을 때, 패드의 경도 형상에 필요한 로션 성상의 화장료를 형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때, 확인 여부는 가시적으로 보이는 육안으로 측정 및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3은 패드의 경도 형상에 필요한 로션 성상의 유화물로 제조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그 중에서 실시예 2 조건에서 가장 우수한 물성과 사용감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지방산이 너무 많이 함유되어 경도가 너무 높아져 유동 특성이 낮아지고 형성된 패드들이 쉽게 끊어짐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2의 경우에는 폴리올의 함량이 높아 끈적임 현상이 있을 뿐만 아니라 유화를 파괴하였으며, 비교예 3의 경우에는 유화제의 함량이 0중량% 이어서 지방산이 유화되지 않아 석출됨을 볼 수 있었다.
하기 표 2는 실시예 2에 종류가 다른 분사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에어로졸 화장료의 조성물이다.
성분 종류 실시예 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실시예 2
(중량%)
- 30 30 30 40 15 70
가스
(중량%)
DME 70 - - 60 85 30
LPG - 70 - - - -
PROPANE - - 20 - - -
N-BUTANE - - 50 - - -
상기의 표 2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에어로졸 화장료를 제조하였을 때, 에어로졸 용기에 충전하여 분사 시, 패드 성상의 화장료를 형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 2의 화장료를 에어로졸 분사제의 종류에 따라 충전하여 분사하였을 때, 실시예 4는 패드 성상의 화장료가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시예 5와 6에서는 패드는 생성이 되었지만 충진 가스와 내용물의 혼화성이 다소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4는 에어로졸 원액과 DME 가스의 중량비가 1:1.5 로서 패드는 형성 되었으나, 피부와의 밀착력이 떨어지고 쉽게 끊어지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5 및 비교예 6을 충전하여 분사해 본 결과 가스 함량이 낮을 경우 분사력이 낮아 패드의 형성을 방해하고, 반대로 가스의 함량이 높을 경우 분사력이 너무 강하여 패드가 조각조각 갈라져 분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에 의한 에어로졸 화장료를 분사하여 패드가 형성되기 전, 후의 사진으로 본 발명에 의한 에어로졸 화장료를 분사 시 피부에 패드가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쿨링 효과의 형상을 FLUKE 社의 Ti9 Thermal Imager로 촬영한 사진이다. 손등을 찍었을 때의 온도는 31.7℃이고, 코튼 밴드 분사 후 코튼 밴드 표면의 온도는 -20.6℃였으며, 5분 경과 후 코튼 밴드 표면의 온도는 -0.8℃로 쿨링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도 3은 코튼 밴드 분사 후, 피부 온도로 회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 사진이다. 코튼 밴드 분사 후 약 5분이 지났을 때의 피부 표면 온도는 19.8℃이고, 약 10분이 지났을 때의 피부 표면 온도는 27.6℃로 쿨링 효과가 일시적이 아닌 지속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Claims (6)

  1. 에어로졸 원액과 에어로졸 분사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원액은 전체 원액 100중량%에 대하여 포화 지방산류 0.5~5.0중량%, 폴리올류 15~20중량%, 에테르계 유화제 0.1~1.0중량%, 암모늄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아크릴계 에멀젼 50~70중량% 및 정제수를 함유하고,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에어로졸 원액 30~40중량% 및 에어로졸 분사제 60~70중량%를 함유하는, 분사 시 패드를 형성하는 피부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류은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에톡시디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는 비점이 -50~0℃인 저비점 액화가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는 디메틸에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6. (1) 포화 지방산류, 폴리올류, 에테르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와 정제수를 함께 65~85℃로 가온하여 용해시켜 유화하고 35~55℃까지 냉각한 다음, 첨가부인 암모늄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아크릴계 에멀젼을 투입하면서 호모믹서로 4,000~5,000 rpm에서 교반하여 로션상의 에어로졸 원액을 수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에어로졸 원액은 에어로졸 원액 100중량%에 대하여, 포화 지방산류 0.5~5.0중량%, 폴리올류 15~20중량%, 에테르계 유화제 0.1~1.0중량%, 아크릴계 에멀젼 50~70중량% 및 나머지는 정제수로 이루어지고; 및
    (2) 용기에, 상기 (1) 단계의 에어로졸 원액 30~40 중량%와 에어로졸 분사제 60~70 중량%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사 시 패드를 형성하는 피부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 제조방법.
KR1020130059134A 2013-05-24 2013-05-24 피부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69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134A KR101569416B1 (ko) 2013-05-24 2013-05-24 피부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134A KR101569416B1 (ko) 2013-05-24 2013-05-24 피부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484A KR20140138484A (ko) 2014-12-04
KR101569416B1 true KR101569416B1 (ko) 2015-11-17

Family

ID=52459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134A KR101569416B1 (ko) 2013-05-24 2013-05-24 피부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4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442A (ko) * 2017-04-10 2018-10-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0840B (zh) * 2016-01-25 2019-03-15 广州保税区雅兰国际化妆品有限公司 一种便捷温和免洗卸妆喷雾海绵气雾剂及其制备方法
CN105640799A (zh) * 2016-01-25 2016-06-08 广州保税区雅兰国际化妆品有限公司 一种降温紧致喷雾海绵气雾剂及其制备方法
KR101713561B1 (ko) 2016-03-22 2017-03-09 주식회사 한생인 거품상 피부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거품상 피부 마사지 방법
KR102130498B1 (ko) * 2018-10-18 2020-07-07 코스맥스 주식회사 쿨링 효과가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9920B1 (ko) * 2020-06-05 2022-09-05 코스맥스 주식회사 젤리타입의 미스트 화장료 조성물
CN117679327B (zh) * 2023-12-14 2024-05-03 广州玥颜化妆品有限公司 一种降温化妆品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2338B2 (ja) * 2002-09-27 2011-02-16 株式会社資生堂 冷却皮膚外用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2338B2 (ja) * 2002-09-27 2011-02-16 株式会社資生堂 冷却皮膚外用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442A (ko) * 2017-04-10 2018-10-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
KR102370390B1 (ko) 2017-04-10 2022-03-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
KR20220034071A (ko) * 2017-04-10 2022-03-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
KR102432885B1 (ko) 2017-04-10 2022-08-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484A (ko)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416B1 (ko) 피부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520840B (zh) 一种便捷温和免洗卸妆喷雾海绵气雾剂及其制备方法
CN104739656B (zh) 一种含阴离子Gemini表面活性剂的纳米乳液及其制备方法
KR101896106B1 (ko)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팩
US8613956B2 (en) Cosmetic particles that transform from hard to soft particles comprising hydrogenated long-chain triglyceride oils
KR101805823B1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이 주입된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포함하는 워터드롭 타입 화장품
KR100953144B1 (ko) 이산화탄소를 분사제로 사용하는 폼타입의 마사지 무스 팩화장료 조성물
CN105640799A (zh) 一种降温紧致喷雾海绵气雾剂及其制备方法
KR101448847B1 (ko)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고내상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784238B1 (ko) 피부쿨링에 효과적인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KR101859674B1 (ko)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KR101428474B1 (ko) 고내상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001513B1 (ko) 쿨링 효능이 향상된 쿨링 마스크팩, 이의 제조 방법 및 사용방법
KR102509002B1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453617B1 (ko) 유중 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75467B1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22988B1 (ko) 에어로졸형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15310B1 (ko) 퍼프형상을 갖는 수렴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2624091B1 (ko) 펌프식 분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4530B1 (ko) 셔벗 상태로 토출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물품
JP2000119132A (ja) エアゾール組成物
KR101998575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102662423B1 (ko) 보호필름과 분리가 용이한 크림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58862B1 (ko) 피부 분사용 스프레이 조성물
KR20140040001A (ko)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