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498B1 - 쿨링 효과가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쿨링 효과가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498B1
KR102130498B1 KR1020180124509A KR20180124509A KR102130498B1 KR 102130498 B1 KR102130498 B1 KR 102130498B1 KR 1020180124509 A KR1020180124509 A KR 1020180124509A KR 20180124509 A KR20180124509 A KR 20180124509A KR 102130498 B1 KR102130498 B1 KR 102130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effect
cosmetic composition
weight
skin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4255A (ko
Inventor
박찬호
박현정
김선영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4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498B1/ko
Publication of KR20200044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61K2800/244Endothermic; Cooling; Cooling sen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쿨링 효과를 구현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쿨링 효과를 주는 에멀전 제형과는 달리 냉동보관 후 해동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쿨링 효과가 오랫동안 지속되고, 피부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고, 냉각 지속력이 우수하므로, 피부에 쿨링 효과를 주는 피부 외용 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쿨링 효과가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enhancing cooling effec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 쿨링 효과를 구현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인 쿨링 효과를 주는 에멀전 제형과는 달리 냉동보관 후 해동 없이 사용하는 화장료로써 쿨링 효과가 오랫동안 지속되고, 쿨링 효과를 극대화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지구 온난화 현상이 심화되면서 폭염이 지속됨에 따라 피부 속 콜라겐 섬유, 탄력 섬유가 급격한 속도로 파괴되는 열에 의한 노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 노출에 의한 피부화상의 진정 등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피부에 냉열감을 줄 필요가 있다.
종래에 피부에 냉열감을 주기 위하여 의약 외품으로 사용되는 파스나 화장품은 멘톨, 솔비톨, 에탄올 등을 소량 함유하고 있다. 이는 피부에 청량감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나, 실제 피부의 온도를 낮추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량 사용하였을 경우 피부에 심한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피부, 특히, 얼굴에 사용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다.
또한, 쿨링 효과를 제공하는 제품의 조성물들은 냉동보관 후 사용 시 해동시간을 필요로 하거나, 불충분한 쿨링 효과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더운 날씨 및 태양열에 의한 과도한 열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열에 의한 피부손상을 억제하고 피부를 진정시켜 건강하게 가꾸어 줄 수 있는 해동이 필요 없는 냉동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7-0023639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3-0102752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쿨링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쿨링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 쿨링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프로판디올,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피부 쿨링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냉동시켜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냉동시켜 사용하는 경우, 사용을 위한 해동이 필요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쿨링크림은 영하 4℃ 이하 냉동보관 후 사용 시 실온에서 10분 이상 해동시킨 다음 사용해야 하나, 본원발명의 조성물은 폴리올 비율을 최적화 함으로써, 실온에서 해동 과정 없이 즉시 사용 가능하며, 이에 따라 피부에 도포 시에 쿨링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프로판디올,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즉각적인 쿨링 효과가 우수하며, 뿐만 아니라 쿨링 지속력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프로판디올,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도포 초기부터 쿨링 효과가 현저하며, 쿨링 효과가 15분 이상 지속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0 내지 10.0 중량%, 2.0 내지 10.0 중량%, 3.0 내지 10.0 중량%, 4.0 내지 10.0 중량%, 5.0 내지 10.0 중량%, 1.0 내지 9.0 중량%, 2.0 내지 9.0 중량%, 3.0 내지 9.0 중량%, 4.0 내지 9.0 중량%, 5.0 내지 9.0 중량%, 1.0 내지 8.0 중량%, 2.0 내지 8.0 중량%, 3.0 내지 8.0 중량%, 4.0 내지 8.0 중량%, 5.0 내지 8.0 중량%, 1.0 내지 7.0 중량%, 2.0 내지 7.0 중량%, 3.0 내지 7.0 중량%, 4.0 내지 7.0 중량%, 5.0 내지 7.0 중량%, 예를 들어, 6.0 중량%의 프로판디올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프로판디올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쿨링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0 내지 10.0 중량%, 2.0 내지 10.0 중량%, 3.0 내지 10.0 중량%, 1.0 내지 9.0 중량%, 2.0 내지 9.0 중량%, 3.0 내지 9.0 중량%, 1.0 내지 8.0 중량%, 2.0 내지 8.0 중량%, 3.0 내지 8.0 중량%, 1.0 내지 7.0 중량%, 2.0 내지 7.0 중량%, 3.0 내지 7.0 중량%, 1.0 내지 6.0 중량%, 2.0 내지 6.0 중량%, 3.0 내지 6.0 중량%, 1.0 내지 5.0 중량%, 2.0 내지 5.0 중량%, 3.0 내지 5.0 중량%, 예를 들어, 4.0 중량%의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글리세린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쿨링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8 내지 8.0 중량%, 0.8 내지 7.0 중량%, 0.8 내지 6.0 중량%, 0.8 내지 5.0 중량%, 0.8 내지 4.0 중량%, 0.8 내지 3.0 중량%, 1.0 내지 8.0 중량%, 1.0 내지 7.0 중량%, 1.0 내지 6.0 중량%, 1.0 내지 5.0 중량%, 1.0 내지 4.0 중량%, 1.0 내지 3.0 중량%, 1.5 내지 8.0 중량%, 1.5 내지 7.0 중량%, 1.5 내지 6.0 중량%, 1.5 내지 5.0 중량%, 1.5 내지 4.0 중량%, 1.5 내지 3.0 중량%, 예를 들어, 2.0 중량%의 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부틸렌글리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쿨링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프로판디올,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의 중량비는 6:4:2인 것일 수 있으며, 프로판디올,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의 중량비가 4:4:4 인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도포 초기부터 쿨링 효과가 강하며, 쿨링 효과가 10분 이상 지속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쿨링"은 차갑게 느껴지는 온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용어 "냉각"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쿨링은 28 내지 30 ℃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피부 쿨링 효과를 구현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쿨링 효과를 주는 에멀전 제형과는 달리 냉동보관 후 해동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쿨링 효과가 오랫동안 지속되고, 피부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고, 냉각 지속력이 우수하므로, 피부에 쿨링 효과를 주는 피부 외용 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크림의 체온저감 효과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쿨링 효과가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프로판디올,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에 기재된 중량%로 정제수에 디소듐 EDTA, 프로판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1,2-헥산디올, 소르비톨,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브이피코폴리머를 첨가하고 0.5 시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그 다음,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그 다음, 방부제를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내지 4. 기존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비교예 1은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는 프로판디올 및 부틸렌글리콜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은 프로판디올 및 글리세린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4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1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중량%)을 나타내었다.
성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디소듐 EDTA 0.02 0.02 0.02 0.02 0.02
프로판디올 6.00 12.00 - - 4.00
글리세린 4.00 - 12.00 - 4.00
부틸렌글리콜 2.00 - - 12.00 4.00
1,2-헥산디올 1.50 1.50 1.50 1.50 1.50
소르비톨 0.50 0.50 0.50 0.50 0.50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브이피코폴리머
0.50 0.50 0.50 0.50 0.50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 0.30 0.30 0.30 0.30 0.30
방부제 0.20 0.20 0.20 0.20 0.20
정제수 84.98 84.98 84.98 84.98 84.98
합계 (중량%)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1. 쿨링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쿨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민감성 피부라 생각되는 성인 남, 녀 25명 (나이 30±5)을 선발하였다, 그 다음,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하여 냉동 보관된 화장료 조성물을 손등에 도포하였다. 그 다음, 양쪽 손등에서 느껴지는 쿨링 효과의 정도와 지속력을 관능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쿨링 효과 발생 쿨링 효과 지속시간(분)
실시예 초기부터 쿨링 효과 강하게 느껴짐 15분 이상
비교예 1 도포 10초 후, 쿨링 효과 약하게 느껴짐 5분 이상
비교예 2 도포 10초 후, 쿨링 효과 약하게 느껴짐 5분 이상
비교예 3 도포 10초 후, 쿨링 효과 약하게 느껴짐 5분 이상
비교예 4 초기부터 쿨링 효과 약하게 느껴짐 10분 이상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도포 초기부터 쿨링 효과가 강하게 느껴지고, 쿨링 효과가 15분 이상 지속되어 쿨링 효과 지속력 또한 우수하였다.
반면,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 프로판디올 및 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 프로판디올 및 글리세린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은 도포 10초 후부터 쿨링 효과가 점차 느껴지기 시작하였으며, 쿨링 효과 지속력은 약 5분 정도로 비교적 짧았다.
따라서, 프로판디올,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을 모두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프로판디올을 포함하지 않거나, 글리세린을 포함하지 않거나, 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지 않을 때에 비해 즉각적인 쿨링 효과 및 쿨링 효과 지속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프로판디올,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을 모두 포함하나 각각의 중량비가 4:4:4인 비교예 4의 화장료 조성물은 초기부터 쿨링 효과가 약하게 느껴지기 시작하였으며, 쿨링 효과 지속력은 약 10분 정도로 실시예 1에 비해 비교적 짧았다.
따라서, 프로판디올,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의 중량비가 6:4:2일 경우가 프로판디올,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의 중량비가 4:4:4인 경우 보다, 즉각적인 쿨링 효과 및 쿨링 효과 지속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쿨링크림의 체온저감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쿨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쿨링 효과를 평하기 위해, 민감성 피부라 생각되는 성인 남, 녀 25명 (나이 30±5)을 선발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을 손등에 도포한 후, 양쪽 손등에서 느껴지는 쿨링 효과의 정도와 지속력을 관능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도포 5분 전, 도포 후, 0, 5, 10 및 15분이 경과한 시점에서 IR 카메라(IRIS-X P(GOLD) (MEDICORE, Korea))를 이용하여 측정 이미지를 얻은 후, 측정 이미지 중 양쪽 손등 부위에 ROI(regions of interest)를 설정하고 ROI 내 피부 온도의 평균값을 취하여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율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시간 온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쿨링크림 도포 전(-5분) 31.8 31.7 31.9 32.1 31.9
쿨링크림 도포 후(0분) 28.9 30.7 30.4 30.8 29.5
5분 28.9 31.1 30.9 30.9 29.7
10분 29.0 31.6 31.5 31.8 29.9
15분 29.2 31.7 31.8 32 31.4
상기 표 3 및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 에 비해 손등 온도 저하 정도가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경우에는, 도포 후 피부 온도가 약간 감소하였으나, 5분 후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포 후 온도가 급격히 낮아졌다가 서서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4의 경우에는, 도포 후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비해 손등 온도가 급격히 낮아졌다가 서서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실시예 1에 비해 손등 온도 저하 정도가 더 작았으며, 더 빠르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5)

  1. 프로판디올,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을 6:4: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피부 쿨링용 화장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0 내지 10.0 중량%의 프로판디올은을 포함하는 것인, 피부 쿨링용 화장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0 내지 10.0 중량%의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것인, 피부 쿨링용 화장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8 내지 8.0 중량%의 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것인, 피부 쿨링용 화장품 조성물.
  5. 삭제
KR1020180124509A 2018-10-18 2018-10-18 쿨링 효과가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0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509A KR102130498B1 (ko) 2018-10-18 2018-10-18 쿨링 효과가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509A KR102130498B1 (ko) 2018-10-18 2018-10-18 쿨링 효과가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255A KR20200044255A (ko) 2020-04-29
KR102130498B1 true KR102130498B1 (ko) 2020-07-07

Family

ID=7046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509A KR102130498B1 (ko) 2018-10-18 2018-10-18 쿨링 효과가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4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7989A (ko) 2022-04-15 2023-10-24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승마 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쿨링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7750A (ja) * 2014-02-07 2015-08-20 株式会社コーセー パック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7045A (ko) * 2011-01-18 2014-03-26 에드워드 택 웨이 치료적 쿨링제 조성물에서 용매로서 사용하기 위한 (r)-1,2-프로판디올
KR101314472B1 (ko) 2012-03-08 2013-10-07 주식회사 팬택 원격의 싱크 장치를 표시하는 방법, 이를 위한 소스 장치 및 시스템
KR101569416B1 (ko) * 2013-05-24 2015-11-17 한국콜마주식회사 피부 쿨링 및 리프팅용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23639A (ko) 2015-08-24 2017-03-06 주식회사 제닉 쿨링 마스크 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쿨링 마스크 시트 팩
KR102001513B1 (ko) * 2017-12-21 2019-07-18 추봉세 쿨링 효능이 향상된 쿨링 마스크팩, 이의 제조 방법 및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7750A (ja) * 2014-02-07 2015-08-20 株式会社コーセー パック化粧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7989A (ko) 2022-04-15 2023-10-24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승마 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쿨링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255A (ko)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06273A1 (en) Cosmetic Product Comprising a Seaweed Extract, in Particular Carrageen
KR102130498B1 (ko) 쿨링 효과가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2905B1 (ko) 고마쥬 타입 각질제거용 수분산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58431B1 (ko) 천연유래물질을 이용한 발포성 입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3737B1 (ko) 고보습 히팅 팩용 아로마조성물 및 고보습 히팅 팩
KR101621942B1 (ko) 기능성 효능 물질의 피부 전달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72543B1 (ko) 지속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66023B1 (ko) 겔 또는 밤 타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102211941B1 (ko) 에리스리톨과 디실록산을 포함하는 냉감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94034B1 (ko) 캡슐화된 쿨링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12617A (ko) 스틱 타입의 클레이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89290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0908732B1 (ko) 재결정화된 설탕입자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2218872B1 (ko) 끈적임이 적은 배니싱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53486B1 (ko) 헤어케어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253135B1 (ko) 각질 박리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08969464B (zh) 防冻伤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525752B1 (ko) 즉각적 및 지속적으로 쿨링감을 지니는 쿨링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17319B1 (ko) 용해도가 향상된 아피게닌을 포함하는 탈모 완화 조성물
KR20170129469A (ko)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101270926B1 (ko) 비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286135B1 (ko) 반투명 o/w 멀티밤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00211A (ko) 온열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06619319B (zh) 一种含抗菌肽的止痒沐浴露及其制备方法
KR102297560B1 (ko) 메칠하이드로제네이티드로지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