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488B1 -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488B1
KR102556488B1 KR1020160003525A KR20160003525A KR102556488B1 KR 102556488 B1 KR102556488 B1 KR 102556488B1 KR 1020160003525 A KR1020160003525 A KR 1020160003525A KR 20160003525 A KR20160003525 A KR 20160003525A KR 102556488 B1 KR102556488 B1 KR 102556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er
cosmetic composition
transparent
wat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4457A (ko
Inventor
한나경
김선영
김일구
한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003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488B1/ko
Publication of KR20170084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또는 반투명 젤타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젤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석출된 버터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시원하고 가벼운 발림성을 가지면서도 도포 시 체온에 의해 버터 입자가 녹아 피부에 작용함으로써 일반 젤타입 화장료가 나타내지 못한 높은 보습력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in the form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gel}
본 발명은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시장에서 젤 타입 화장료는 시원한 사용감과 투명한 외관으로 수분 크림으로써 활용이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젤 크림의 경우 시원한 사용감과 가벼운 발림성을 제공하지만, 끈적이는 사용감이 있고 보습력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유화 타입 크림의 경우 보습력은 뛰어나지만 소비자가 선호하는 투명한 외관 및 시원하고 가벼운 사용감과는 거리가 멀어 만족도가 떨어진다.
이에, 투명한 젤 크림에 보습력을 높이기 위한 많은 시도가 진행되고 있으나, 보습력의 주요한 요소인 오일이나 버터 등을 다량 첨가하기에는 제형 안정성 측면에서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버터 입자를 포함하여 보습력과 우수한 사용감 및 제형 안정성을 나타내는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터 입자를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터 입자를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버터 및 실리콘 왁스를 함유하는 버터 입자; 및
수용성 고분자 및 수용성 보습제를 함유하는 젤을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수용성 고분자 및 수용성 보습제의 혼합 수분산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버터 및 실리콘 왁스의 혼합 분산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 및
제1단계의 혼합 수분산액에 제2단계의 혼합 분산액을 투입하여 버터 입자를 석출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한 젤 타입으로 시원한 사용감과 가벼운 발림성을 나타내고, 버터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 도포 시 체온에 의해 입자가 녹아 입자 내부의 내용물이 방출되어 우수한 보습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른 만족도를 나타낸 결과이다.
본 발명은 버터 및 실리콘 왁스를 함유하는 버터 입자; 및
수용성 고분자 및 수용성 보습제를 함유하는 젤을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버터는 입자 형태로 화장료에 포함되어 도포 시 체온에 의해 녹으면서 피부에 보습감을 주는 역할을 하며, 구체적으로, 호호바버터, 피치버터, 올리브버터, 아보카도버터, 아르간버터와 같은 식물성 버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녹는점이 40℃ 내지 65℃인 것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버터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너무 적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버터 입자가 외관으로 관찰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너무 많이 사용하게 되면 버터가 뭉쳐 체온에서 녹지 않는 문제가 있다.
상기 실리콘 왁스는 버터와 혼합되어 석출되면서 버터의 녹는점을 낮춰주는 역할을 하며, 구체적으로 비스-스테아릴디메치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왁스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버터의 무거운 사용감을 극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버터와 실리콘 왁스 조합물의 녹는점이 크게 감소하여 버터 입자의 크기가 너무 작아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버터와 실리콘 왁스 함량의 중량비는 1:0.2 내지 1:1일 수 있다. 버터와 실리콘 왁스의 중량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여 체온에서 잘 녹고 우수한 사용감 및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화장료의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구체적으로, 카보머, 아크릴레이트폴리머, 스타이렌폴리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쿼터늄계 화합물, 폴리실세스퀴옥산계 화합물, 잔탄검, 구아검, 카라기난검, 낫토검, 셀룰로오스검, 젤란검 및 타라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너무 적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산된 버터 입자가 조성물 내에 유지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너무 많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높아 버터 입자가 고르게 분산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수용성 보습제는 제형의 보습력 유지와 소비자가 만족할 만한 사용감을 충족하기 위해 사용되며, 구체적으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메틸프로판디올, 솔비톨, 디글리세린, 에리스리톨, 펜타에리스리톨, 폴리부틸렌글라이콜-10, 폴리글리세린-3, 폴리글리세린-4, 폴리글리세린-6, 폴리글리세린-10, 폴리글리세린-20, 폴리글리세린-40, 소르베스-5, 소르베스-6, 소르베스-20, 소르베스-30, 소르베스-40, 이노시톨, 말티톨, 말토스, 만난, 만니톨, 만노스, 락티톨, 락토스, 디하이드록시프로필 PG-글루코사이드, 디치아옥탄디올, 프룩토오스, 글루카민, 메틸글루카민, 글루코스, 1,2,6-헥산치올, 메틸글루세스-10, 메틸글루세스-20, 오조니즈드글리세린, 피탄트리올, 치오글리세린, 트레이톨,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자이리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수용성 보습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또는 5 중량부 내지 15, 20 또는 2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만일 1 중량부 보다 적게 사용할 경우에는 보습력이 떨어져 소비자가 건조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25 중량부 보다 많이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감이 무겁고 부담스러워져 소비자 만족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 이온 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성 고분자 및 수용성 보습제의 혼합 수분산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버터 및 실리콘 왁스의 혼합 분산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 및
제1단계의 혼합 수분산액에 제2단계의 혼합 분산액을 투입하여 버터 입자를 석출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된 조성 성분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제 1 단계는 수용성 고분자 및 수용성 보습제를 혼합하여 혼합 수분산액을 제조한다(제 1 혼합물 제조).
상기 수용성 고분자 및 수용성 보습제의 혼합 수분산액은 수용성 고분자와 수용성 보습제, 정제수를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분산시킨 용액이다. 이때, 정제수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90 중량부, 35 내지 75 중량부, 45 내지 6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때, 상기 수분산액 외에 보존제, 킬레이트화제, 사용감 보조제, 효능 성분 등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로는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페녹시에탄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킬레이트화제로는 디소듐이디티에이, 트리소듐이디티에이, 테트라소듐이디티에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사용감 보조제로는 헥산디올,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갈조추출물, 효모/모근발효추출물, 효모/겨우살이 발효 추출물, 폴리쿼터늄-51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2 단계는 버터와 실리콘 왁스의 혼합 분산액을 제조한다(제 2 혼합물 제조).
상기 버터와 실리콘 왁스의 혼합 분산액은 버터와 실리콘 왁스를 고온(40 내지 65℃)의 온도에서 용해하여 분산시킨 용액이다.
제 3 단계는 상기 제 1 혼합물에 제 2 혼합물을 서서히 고르게 혼합시킨다. 상기 제 1 혼합물은 20 내지 30℃에서 2500 rpm으로 교반하며, 제 2 혼합물을 10kg/min의 속도로 천천히 투입하여 제 2 혼합물에 포함되어 있는 버터를 버터 입자의 형태로 석출시킨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버터 입자가 분산된 가용화 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 및 함량으로 가용화 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1. Part A(수용성 고분자와 수용성 보습제의 혼합 수분산액)의 각 원료를 계량 후 disper로 교반하며, 상온(20 내지 30℃)에서 3000rpm으로 각각 30분간 고르게 분산시켰다.
2. Part B(버터와 실리콘 왁스의 혼합물)의 각 원료를 계량 후 고온(40 내지 65℃)에서 용해시켜 고르게 혼합한다.
3. Part A를 상온(20 내지 30℃)에서 2500rpm으로 교반하며 상기 2.의 Part B를 10 kg/min의 속도로 천천히 투입하여 고르게 혼합하면서 버터 입자를 석출시켰다.
원료명 배합비(중량%)
정제수 89.98
글리세린 2.00
1,2-헥산디올 2.00
트리소듐이디티에이 0.02
소듐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레시틴 1.00
피치버터 4.00
비스-스테아릴디메치콘 1.00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과 함량으로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버터의 종류에 따른 버터 입자의 외관과 사용감을 확인하기 위하여, 나머지 함량을 고정하고 녹는점이 다른 다양한 버터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버터와 함께 더 높은 녹는점 조건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방산을 이용하여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버터와 지방산의 녹는점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Part A 정제수 89.98 89.98 89.98 89.98 89.98
글리세린 2.00 2.00 2.00 2.00 2.00
1,2-헥산디올 2.00 2.00 2.00 2.00 2.00
트리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소듐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레시틴 1.00 1.00 1.00 1.00 1.00
Part B 쉐어버터 - - 5.00 - -
망고버터 - - - 5.00 -
피치버터 5.00 - - - -
호호바버터 - 5.00 - -
베헤닐알코올 - - - 5.00
쉐어버터 망고버터 피치버터 호호바버터 베헤닐알코올
녹는점(℃) 31 30-38 50-60 60-65 65-73
실험예 1: 버터의 종류에 따른 버터 입자의 외관 및 사용감 확인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버터의 종류에 따른 버터 입자의 외관 및 사용감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버터 입자 석출 정도(외관) 관찰방법]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버터의 종류에 따른 버터 입자의 외관을 관찰하기 위하여 상기 조성물을 슬라이드 글라스로 고정시킨 후 육안으로 관찰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버터 입자 석출 정도 확인]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버터의 종류에 따른 버터 입자의 사용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 녹는 정도 판단 기준에 따라 관능평가 하였다. 녹는 정도 평가는 피부에 도포하여 흡수되기까지 버터 입자가 이물감 없이 잘 녹는지를 평가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버터 입자 석출 판단기준]
O: 육안으로 버터 입자를 확인할 수 있음
X: 육안으로 버터 입자를 확인하기 어려움
[녹는 정도 판단기준]
O: 버터 입자가 이물감 없이 녹음
X: 버터 입자가 이물감이 있거나 녹지 않음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1 비교예 2 비교예 3
외관
Figure 112016003118318-pat00001
Figure 112016003118318-pat00002
Figure 112016003118318-pat00003
Figure 112016003118318-pat00004
Figure 112016003118318-pat00005
입자 석출 정도 O O X X O
녹는 정도 O O O O X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2의 경우 버터의 녹는점이 너무 낮아 상온에서 버터 입자가 잘 석출되지 않아 외관상 확인하기가 어려웠다. 비교예 3의 경우에는 사용된 버터보다 더 높은 녹는점 조건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방산을 이용하였는데, 석출된 큰 버터 입자를 외관에서 또렷이 확인할 수 있었으나 녹는점이 너무 높아 체온에서 녹지 않고 이물감이 느껴졌다.
실시예 1, 2는 적당한 크기의 버터 입자가 생성되어 외관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포했을 때 버터 입자가 체온에서 녹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서 버터의 녹는점이 이 발명의 구성의 주요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5 및 비교예 4~5: 가용화 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
하기 표 5와 같은 조성과 함량으로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4 비교예 5
Part A 정제수 91.98 89.98 84.98 93.98 74.98
글리세린 2.00 2.00 2.00 2.00 2.00
1,2-헥산디올 2.00 2.00 2.00 2.00 2.00
트리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소듐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레시틴 1.00 1.00 1.00 1.00 1.00
Part B 피치버터 3.00 5.00 10.00 1.00 20.00
실험예 2: 버터의 함량에 따른 버터 입자의 외관 및 사용감 확인
상기 실시예 3~5 및 비교예 4~5의 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버터의 함량에 따른 버터 입자의 외관 및 사용감을 상기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4 비교예 5
외관
Figure 112016003118318-pat00006
Figure 112016003118318-pat00007
Figure 112016003118318-pat00008
Figure 112016003118318-pat00009
Figure 112016003118318-pat00010
입자 석출 정도 O O O X O
녹는 정도 O O O O X
상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4의 경우 버터의 양이 너무 적어 분산이 잘 되지 않으며, 외관에서 석출된 버터 입자를 거의 확인할 수 없었다. 비교예 5의 경우, 버터 입자 석출은 많이 되었지만 버터의 양이 너무 많아 분산 중에 버터 입자끼리 뭉쳐서 크기가 커졌으며, 피부에 발랐을 때도 뭉침 현상이 일어나 잘 녹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내지 5의 경우, 모두 버터 입자가 생성되어 외관으로 관찰이 가능했으며, 발랐을 때 체온에서 녹는 것을 확인하였다. 버터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버터 입자의 크기도 함께 커지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버터의 함량이 최소 3% 이상이 되어야 버터 입자가 외관으로 관찰될 만큼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버터의 함량이 너무 많을 경우에는 버터 입자가 뭉쳐서 체온에서 녹지 않으므로, 10%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버터의 함량에 따라 버터 입자의 크기가 차이 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8 및 비교예 6~7: 가용화 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
하기 표 7와 같은 조성과 함량으로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비교예 6 비교예 7
Part A 정제수 88.98 86.98 84.98 89.98 79.98
글리세린 2.00 2.00 2.00 2.00 2.00
1,2-헥산디올 2.00 2.00 2.00 2.00 2.00
트리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소듐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레시틴 1.00 1.00 1.00 1.00 1.00
Part B 피치버터 5.00 5.00 5.00 5.00 5.00
비스-스테아릴디메치콘 1.00 3.00 5.00 - 10.00
실험예 3: 버터와 실리콘 왁스의 배합률에 따른 제형의 외관, 사용감 및 안정성 확인
상기 실시예 6~8 및 비교예 6~7의 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버터와 실리콘 왁스의 배합률에 따른 제형의 외관, 사용감 및 안정성을 상기 실험예 1 및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으며, 외관, 버터 입자 석출 및 사용감 평가 결과를 하기 표 8에, 제형 안정성 실험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6~8 및 비교예 6~7의 버터와 실리콘 왁스의 배합률에 따른 제형의 사용감을 평가하기 위해 아래 기준에 따라 관능평가 하였다.
O : 버터 입자가 이물감 없이 녹고 피부표면에 남지 않음
△: 버터 입자가 이물감 없이 녹지만 피부표면에 남음
X : 버터 입자가 이물감이 있거나 녹지 않음
[제형 안정성 실험]
상기 실시예 6~8 및 비교예 6~7의 버터와 실리콘 왁스의 배합률에 따른 제형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아래 기준에 따라 평가 하였다.
O : 상태유지
△: 불안정
X : 버터 입자 또는 외상 변화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비교예 6 비교예 7
외관
Figure 112016003118318-pat00011
Figure 112016003118318-pat00012
Figure 112016003118318-pat00013
Figure 112016003118318-pat00014
Figure 112016003118318-pat00015
입자 석출 정도 O O O O X
사용감 O O O O
조건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비교예 6 비교예 7
실온 O O O O
45℃ O O O X
50℃ O O O X
Cycle O O O X
4℃ O O O X
상기 표 8 및 9에 따르면, 비교예 6의 경우 실리콘 왁스 없이 버터 입자만을 석출할 때 외관도 양호하고 체온에도 녹지만, 피부 위에 일부 얇은 막으로 남아 무거운 사용감을 나타냈다. 또한, 제형 안정성 실험에서도 비교예 6의 경우 저온에서 입자끼리 뭉쳐 불규칙한 크기의 입자를 형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7의 경우, 실리콘 왁스의 비율이 높아 조합물의 녹는점이 크게 감소하여 입자가 작은 크기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외상이 현탁해지는 것으로 보아 안정성이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형 안정성 실험에서도 비교예 7의 경우 고온에서 버터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고 외상이 현탁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실시예 6 내지 8은 적당한 크기의 버터 입자가 생성되어 외관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체온에서 잘 녹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냈다. 또한, 제형 안정성 실험에서도 고온, 저온 모두 상온과 같이 안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실리콘 왁스가 저온에서는 버터 입자가 서로 뭉치는 것을 막아주지만, 다량 함유될 경우 버터 입자의 고온 안정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버터와 실리콘 왁스의 조합물에서 버터와 실리콘 왁스의 함량 중량비가 1:0.2 내지 1:1일 경우, 사용감과 안정성 측면에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9
하기 표 10의 조성과 함량으로 버터 입자가 분산된 가용화 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실시예 9
정제수 89.98
글리세린 2.00
1,2-헥산디올 2.00
트리소듐이디티에이 0.02
소듐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레시틴 1.00
피치버터 4.00
비스-스테아릴디메치콘 1.00
비교예 8
하기 표 11의 조성과 함량으로 통상적인 가용화 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비교예 8
정제수 25.00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50
정제수 46.50
글리세린 6.00
부틸렌글라이콜 7.00
베타인 1.00
비스-피이지-18메칠에텔디메칠실란 1.50
1,2-헥산디올 1.00
트리소듐이디티에이 0.02
변성알코올 3.0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8.00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20
트로메타민 0.28
비교예 9
하기 표 12의 조성과 함량으로 통상적인 O/W 유화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비교예 9
트리에칠헥사노인 6.0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4.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0
세테아릴알코올 1.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00
C14-22알코올, C12-20알킬글루코사이드 1.20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1.5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50
디메치콘 5.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0
정제수 54.04
글리세린 6.00
1,2-헥산디올 2.00
트리소듐이디티에이 0.03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25
정제수 14.00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14
트로메타민 0.14
실험예 3: 제형의 종류에 따른 만족도 확인
상기 실시예 9 및 비교예 8~9의 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른 만족도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사용 만족도 확인방법]
20-40대 성인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제조된 실시예 9 및 비교예 8~9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만족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사용 만족도 판단기준]
1: 전반적인 사용 만족도 매우 나쁨
2: 전반적인 사용 만족도 나쁨
3: 전반적인 사용 만족도 보통
4: 전반적인 사용 만족도 좋음
5: 전반적인 사용 만족도 매우 좋음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8과 실시예 9의 만족도를 비교해보면 발림성과 흡수력을 비슷하나 실시예 9의 경우 보습감에서 훨씬 높은 점수를 얻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8은 가용화 젤 타입 제형으로 산뜻하게 발리고 빠르게 흡수되는 장점이 있지만 보습감은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실시예 9는 젤 타입 제형의 장점이 있으면서 보습감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9와 실시예 9의 만족도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9는 발림성과 흡수력은 높으나 보습감은 비교예 9보다 약간 낮은 점수를 얻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9는 O/W 제형으로 보습감이 좋지만 흡수력이 떨어지는 제형이다. 이에 비해, 실시예 9는 비교예 9에 못지 않는 보습감을 보이면서도 우수한 발림성과 흡수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실험을 통해 실시예 9가 비교예 8, 9의 장점을 고루 갖추어 만족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5)

  1. 녹는점이 40 ℃ 내지 65℃인 버터, 및 실리콘 왁스를 1:0.2 내지 1:1 중량비로 함유하는 버터 입자; 및
    수용성 고분자 및 수용성 보습제를 함유하는 젤을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터는 호호바버터, 피치버터, 올리브버터 및 아르간버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터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왁스는 비스-스테아릴디메치콘인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왁스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카보머, 아크릴레이트폴리머, 스타이렌폴리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쿼터늄계 화합물, 폴리실세스퀴옥산계 화합물, 잔탄검, 구아검, 카라기난검, 낫토검, 셀룰로오스검, 젤란검 및 타라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보습제는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메틸프로판디올, 솔비톨, 디글리세린, 에리스리톨, 펜타에리스리톨, 폴리부틸렌글라이콜-10, 폴리글리세린-3, 폴리글리세린-4, 폴리글리세린-6, 폴리글리세린-10, 폴리글리세린-20, 폴리글리세린-40, 소르베스-5, 소르베스-6, 소르베스-20, 소르베스-30, 소르베스-40, 이노시톨, 말티톨, 말토스, 만난, 만니톨, 만노스, 락티톨, 락토스, 디하이드록시프로필 PG-글루코사이드, 디치아옥탄디올, 프룩토오스, 글루카민, 메틸글루카민, 글루코스, 1,2,6-헥산치올, 메틸글루세스-10, 메틸글루세스-20, 오조니즈드글리세린, 피탄트리올, 치오글리세린, 트레이톨,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자이리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보습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12. 수용성 고분자 및 수용성 보습제의 혼합 수분산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녹는점이 40 ℃ 내지 65℃인 버터 및 실리콘 왁스의 혼합 분산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 및
    제1단계의 혼합 수분산액에 제2단계의 혼합 분산액을 투입하여 버터 입자를 석출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 및 수용성 보습제의 혼합 수분산액은 수용성 고분자 및 수용성 보습제와 정제수를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분산시킨 용액인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버터 및 실리콘 왁스의 혼합 분산액은 40℃ 내지 65℃의 온도에서 분산시킨 용액인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제3단계는 제1단계의 혼합 수분산액에 제2단계의 혼합 분산액을 20℃ 내지 30℃에서 투입하여 버터 입자를 석출시키는 것인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60003525A 2016-01-12 2016-01-12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KR102556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525A KR102556488B1 (ko) 2016-01-12 2016-01-12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525A KR102556488B1 (ko) 2016-01-12 2016-01-12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457A KR20170084457A (ko) 2017-07-20
KR102556488B1 true KR102556488B1 (ko) 2023-07-17

Family

ID=59443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525A KR102556488B1 (ko) 2016-01-12 2016-01-12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4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116B1 (ko) * 2017-12-21 2020-06-03 탑월드(주) 천연성분과 오일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876007B (zh) * 2019-04-12 2021-07-16 重庆渠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臭氧抗菌灭毒凝胶及其制备方法
CN111136991B (zh) * 2020-02-24 2020-08-14 潍坊市宇虹防水材料(集团)有限公司 一种耐老化性能好的聚合物改性沥青防水卷材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6426B2 (ja) * 1994-06-17 1997-12-08 ロレアル 脂質粒子を含有する皮膚クレンジング組成物
US20070148459A1 (en) 2005-12-28 2007-06-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icroencapsulated delivery vehicles
JP2010120909A (ja) * 2008-11-21 2010-06-03 Yamano:Kk 外用塗布剤、外用塗布クリーム及び外用塗布ジェル
WO2014114975A2 (en) * 2013-01-22 2014-07-31 Kao Corporation Hair and skin conditioning compositions
US20140369950A1 (en) 2006-12-20 2014-12-18 Avon Products, Inc. Gel-Based Lipstick Having Improved Rheology
KR101521868B1 (ko) 2013-02-15 2015-05-20 한국콜마주식회사 피부 지질 복합체 및 보습 오일에 포접된 이데베논 캡슐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데베논 안정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6269B2 (ja) * 2009-03-31 2011-03-09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KR101771016B1 (ko) * 2010-11-18 2017-08-28 (주)아모레퍼시픽 사용감 증진을 위한 모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6426B2 (ja) * 1994-06-17 1997-12-08 ロレアル 脂質粒子を含有する皮膚クレンジング組成物
US20070148459A1 (en) 2005-12-28 2007-06-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icroencapsulated delivery vehicles
US20140369950A1 (en) 2006-12-20 2014-12-18 Avon Products, Inc. Gel-Based Lipstick Having Improved Rheology
JP2010120909A (ja) * 2008-11-21 2010-06-03 Yamano:Kk 外用塗布剤、外用塗布クリーム及び外用塗布ジェル
WO2014114975A2 (en) * 2013-01-22 2014-07-31 Kao Corporation Hair and skin conditioning compositions
KR101521868B1 (ko) 2013-02-15 2015-05-20 한국콜마주식회사 피부 지질 복합체 및 보습 오일에 포접된 이데베논 캡슐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데베논 안정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457A (ko)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150B1 (ko) 경피 흡수 능력이 증진된 마스크팩용 세포간지질 모사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JP5073031B2 (ja) 皮膚化粧料
KR101240254B1 (ko) 하이드로겔 시트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0007B1 (ko) 마스크팩용 액정 유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마스크팩
JP6038334B2 (ja) 可変的な透明度を有する水中油型のオルガノゲル化粧料組成物
US11318074B2 (en) Oil-in-water form cosmetic composition
KR102298806B1 (ko)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45838B1 (ko)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102556488B1 (ko)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3138A (ko) 안정도가 개선된 다중 유화 조성물
KR20170038249A (ko) 투명성이 개선된 고함량 세라마이드 나노 에멀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70819B1 (ko) 폴리 이온 복합체를 이용한 실리콘 중수 및 수중 실리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KR101991248B1 (ko) 화장료용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가지는 시트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TW202027723A (zh) 穩定固體油性組分之低黏度化妝組成物
KR102635395B1 (ko)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는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00975A (ko) 투명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7010B1 (ko) 고함량 오일을 안정화시킨 반투명 수중유형(o/w)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4142B1 (ko) 폴리실세스퀴옥산과 에몰리언트를 함유한 피부보습과 주름완화에 효과적인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220395436A1 (en) Gel composition with high oil content, the preparation method and the use of the same
KR102076302B1 (ko)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마스크팩
KR102559066B1 (ko) 피부 보습 및 쿨링 효과를 가지는 수분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58175B1 (ko)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9150A (ko) 고함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저점도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668880B1 (ko) 무기안료 캡슐 입자가 분산된 실리콘을 함유한 투명겔 화장료 조성물
KR102525475B1 (ko) 현탁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