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793A - 구속 바아를 위한 자기적 잠금 수단을 갖는 스키 리프트 시트 - Google Patents

구속 바아를 위한 자기적 잠금 수단을 갖는 스키 리프트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793A
KR20130125793A KR1020137018612A KR20137018612A KR20130125793A KR 20130125793 A KR20130125793 A KR 20130125793A KR 1020137018612 A KR1020137018612 A KR 1020137018612A KR 20137018612 A KR20137018612 A KR 20137018612A KR 20130125793 A KR20130125793 A KR 20130125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ki lift
switch
restraining bar
lif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8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1964B1 (ko
Inventor
보르누 이브스 쉐달
Original Assignee
솜미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솜미탈 filed Critical 솜미탈
Publication of KR20130125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02Cabins; Ski-lift seats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9)과 구속 바아(14)를 포함하는 스키 리프트 시트(1)에 관한 것으로, 상기 구속 바아는 탑승자의 떨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둘러싸인 공간을 규정하는 제 1 하강 끝 위치 및 한명 이상의 탑승자가 하차할 수 있도록 상기 구속 바아(14)가 시트(1)의 앞쪽 공간을 자유롭게 해주는 제 2 상승 끝 위치에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스키 리프프 시트(1)는, 구속 바아(14)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그 구속 바아를 잠금시키는 잠금 수단을 포함하며, 이 잠금 수단은 상기 프레임(9)에 부착되는 제 1 자성 부재(20)를 포함하고, 이 자성 부재는 구속 바아(14)를 하강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자화될 수 있는 제 2 부재(15)와 결합하게 된다.

Description

구속 바아를 위한 자기적 잠금 수단을 갖는 스키 리프트 시트{SKILIFT SEAT HAVING A MAGNETIC LOCK FOR A RESTRAINING BAR}
본 발명은 스키 리프트 시설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스키 리프트 시설은 탑승자, 스키어 또는 보행자가 경사로를 올라가거나 내려갈 수 있게 해준다. 스키 리프트는 일반적으로 두개의 엔드 스테이션(end station), 즉 경사로의 바닥부에 있는 일 스테이션과 경사로의 정상부에 있는 다른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이들 엔드 스테이션들은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는 당김 케이블 및 오버헤드 캐리어에 의해 연결된다. 풀리를 사용해 케이블을 구동하고 또한 철탑을 사용해 그 케이블을 지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케이블에 매달려 있는 탈것은 탑승자들을 일 엔드 스테이션으로부터 다른 엔드 스테이션으로 운반할 수 있다.
여러 종류의 스키 리프트, 즉 의자 리프트, 스키 토우, 곤돌라 리프트 또는 공중 로프웨이가 존재한다. 의자 리프트형 스키 리프트의 경우에는, 사용자는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케이블에 매달려 있는 시트를 사용하여 앉은 위치에서 경사로를 올라가거나 내려갈 수 있다. 스키 토우형 스키 리프트의 경우에는, 스키어가 그 자신의 스키상에서 끌려 경사로를 오를 수 있다. 곤돌라 리프트형의 시설에서는,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케이블에 매달려 있는 곤돌라를 사용하여 탑승자가 운반된다. 마지막으로, 공중 로프웨이형의 리프트는 전후 방향 운동으로 탑승자들을 경사로의 정상부 또는 바닥부로 운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그 운동은 엔드 스테이션에서 반전된다.
케이블이 폐루프를 형성할 때, 각각의 엔드 스테이션은 탑승자를 위해 탑승 구역 및 하차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키 리프트는 경사로를 오르고 내려가는 탑승자들을 동시에 운반할 수 있다.
스키 리프트가 의자 리프트형일 때는, 탈것(시트)은 분리가능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시트가 분리가능하면, 그 시트는 탑승 구역 또는 하차 구역에 도달하면 그 시트를 매달고 있는 케이블에서 분리되어 이차 경로를 따를 수 있다. 이차 경로에서, 시트의 속도는 감속되어 탑승자들의 탑승 또는 하차를 쉽게 해주며 그리하여 편안함과 안전성이 증가된다. 시트가 분리가능하지 않으면, 이 시트를 매달고 있는 케이블에 영구적으로 유지된다. 그 경우에, 분리 시스템이 없으면 스키 리프트는 더 간단한 구조를 갖게 된다.
경사로의 정상부나 바닥부에 있는 탑승자를 운반할 때, 높은 수준의 안전을 준수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시트는 지상으로 부터 비교적 먼 거리에서 떨어져 이동한다. 따라서, 특허 문헌 WO2007/135256 에는, 탑승자가 착용하며 강자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요소와 결합하는 자성 부재를 사용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개선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탑승자가 우발적으로 시트에서 떨어지질 위험을 제한하는 구속 바아를 사용하여 탑승자 안전을 개선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구속 바아는 전통적으로 시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탑승자들이 타고 내릴 수 있다. 구속 바아의 하강 사용 위치와 상승 사용 위치의 구별이 있다. 구속 바아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그 구속 바아는 탑승자가 열린 공간 내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애물을 형성한다. 구속 바아의 이 하강 위치는 보통 시트가 탑승 및 하차 구역 밖에서 이동하는 과정 중에 채택된다. 구속 바아가 상승 위치에 있으면, 시트 앞의 공간이 자유롭게 되어 탑승자가 자리에 앉거나 자리를 떠날 수 있다. 그러므로, 시트가 탑승 또는 하차 구역에 있을 때 구속 바아는 보통 상승 위치에 있게 된다.
안전의 이유로, 구속 바아는 탑승 또는 하차 구역 밖에서의 전체 이동 과정 에 걸쳐 들리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시트가 탑승 및 하차 구역 밖에서 이동하는 중에 탑승자가 구속 바아를 들어 올리는 것을 방지하는 어떤 것도 없어, 기존의 시트는 일반적으로 제한된 안전성만 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 문헌 EP 2,030,858 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구속 바아의 기계식 차단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기계식 장치는 종종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 그 결과, 이들 장치는 건설 중에 탈것에 장착될 수 있는 가능성만 준다. 상기 장치는 기존의 스키 리프트에j는 적합하게 될 수 없으며 또한 비교적 상당한 유지 보수를 필요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장치는 탑승자의 안전을 개선하지만, 그 공지된 장치는 탈것을 더 무겁게 하고, 이리하여 스키 리프트 탈것이 조기에 마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들 중 전부 또는 일부를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과 구속 바아를 포함하는 스키 리프트 시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구속 바아는 탑승자의 떨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둘러싸인 공간을 규정하는 제 1 하강 끝 위치 및 한명 이상의 탑승자가 하차할 수 있도록 상기 구속 바아가 시트의 앞쪽 공간을 자유롭게 해주는 제 2 상승 끝 위치에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스키 리프프 시트는, 구속 바아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그 구속 바아를 잠금시키는 잠금 수단을 포함하며, 이 잠금 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는 제 1 자성 부재를 포함하고, 이 자성 부재는 구속 바아를 하강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자화될 수 있는 제 2 부재와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순수하게 기계적인 잠금 수단을 포함하는 구속 바아를 위한 잠금 수단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나타나게 되는 기계적 제약이 없는 구속 바아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이는 특히 유지 보수 면에서 입증될 수 있으며(자성 요소는 (시간 소모적이고 비용이 많이 드는) 유지 보수를 거의 또는 전혀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또한 시트의 중량 면에서도 입증될 수 있다(구속 바아를 위한 잠금 장치는 단지 기계식 잠금 수단만 포함하고 그래서 시트가 더 무겁게 되므로(이에 따라 시트의 조기 마모가 일어남)).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수단은 스키 리프트 시트에 체결되고 구속 바아에는 체결되지 않는 요소들을 포함한다. 그래서, 구속 바아를 위한 잠금 수단은 기존의 스키 리프트 시트에 체결되기 위한 실질적인 구조 변경이 필요 없이 기존의 스키 리프트 시트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키 리프트 시트의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잠금 수단은 피봇 링크에 의해 시트의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스위치는 차단 부재와 상기 자화가능한 부재로 각각 구성되는 두 단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구속 바아는 상기 차단 부재에 지탱되도록 설계된 스탑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자화가능한 부재는 상기 자성 부재와 접촉하면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구속 바아가 회전하면 스위치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자성 부재와 자화가능한 부재가 서로 접촉하게 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스위치는 상기 자화가능한 부재를 강직하게 할 수 있는 보강 보강 수단을 포함하며, 그래서 상기 자화가능한 부재는 일 방향으로만 휘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트는 상기 스위치의 단부와 시트의 프레임에 연결되는 복귀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은, 상기 자화가능한 부재가 자성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고 또한 스위치가 안정적인 평형 위치로 신속하게 복귀하는데 도움을 주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스키 리프트 시트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차단 부재는 두 벽을 포함하고, 제 1 벽은 프레임 측에 있고, 제 2 벽은 이 제 2 벽의 두 표면의 경계를 한정하는 가장자리를 가지며, 상기 두 표면 중의 일 표면은 상기 제 1 벽에 평행하고 다른 표면은 제 1 벽에 인접하여 그 제 1 벽에 대해 경사져 있다.
따라서, 구속 바아가 하강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들어 올려지는 것이 쉽게 되며, 스위치의 단부의 운동 진폭이 제한된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 및 자성 부재는 상기 시트 아래에 위치되다.
유리하게는, 상기 스위치는 상기 자화가능한 부재가 체결되는 제 1 단부 및 구속 바아 요소를 수용하여 잠금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2 단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 2 단부는 지탱면 및 차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탱면과 차단면은 상기 구속 바아 요소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하우징의 경계를 한정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시트는 상기 스위치의 제 2 단부가 자성 부재 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저지하는 복귀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성 부재는 스키 리프트 시트에 있는 전기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자석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전자석에 전기가 공급되면, 상기 자성 부재의 자기장에 반대되는 자기장이 발생되어, 상기 자화가능한 부재가 자성 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시트는 상기 구속 바아를 위한 기계식 잠금 해제 수단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기계식 잠금 해제 수단은 레버 및 이 레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일 가능성에 따르면, 상기 레버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수단은, 시트의 행거에 부착되는 가동 제어 부재, 이 가동 제어 부재와 상기 레버에 연결되는 기계식 제어 케이블, 및 상기 레버를 작동시키는 위치 - 이 위치에서 상기 기계식 제어 케이블이 상기 레버를 끝어 당기게 됨 - 로 상기 가동 제어 부재가 움직이는 것을 저지하는 복귀 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가동 제어 부재는 상기 행거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고, 이 제어 스위치는 상기 기계식 제어 케이블이 부착되는 제 1 단부 및 램프(ramp)에 지탱되도록 설계된 지탱 부재를 포함하는 제 2 단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탱 부재는 상기 제 2 단부에 회전가능한 장착되는 롤러이다.
유리하게는, 상기 자성 부재는 영구 자석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화가능한 부재는 금속판이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스키 의자형의 스키 리프트 시설에 관한 것으로, 이 스키 리프트 시설은 본 발명에 따른 스키 리프트 시트를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 양태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비한정적인 예로 제공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특별한 실시 형태에 따른 스키 리프트 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상세도로, 본 발명의 일 특별한 실시 형태에 따른 스키 리프트 시트에 장착되는 자기적 잠금 장치를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특별한 실시 형태에 따른 시트가 구비되어 있는 스키 리프트 시설의 도식적인 상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키 리프트 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상세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특별한 실시 형태에 따른 스키 리프트 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상세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이 특별한 실시 형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시트를 포함하는 스키 리프트 시설의 램프의 도식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이 특별한 실시 형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시트를 포함하는 스키 리프트 시설의 도식적인 상면도이다.
도 1 은 스키 리프트 시설(2)의 시트(1)를 나타낸다. 스키 리프트 시설(2)은 도 3 에 나타나 있다. 스키 리프트 시설(2)은 특히 스키 의자형이고 두개의 엔드 스테이션(3, 4)을 포함한다. 각각의 엔드 스테이션(3, 4)은 도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탑승자 탑승 구역(5)과 탑승자 하차 구역(6)을 포함할 수 있다 .
스키 리프트 시트(1)는 행거(8)에 의해 오버헤드 당김 케이블(7)에 매달려 있다. 케이블(7)은 철탑(도면에는 미도시)에 지지되다. 시트(1)는 행거(8)가 연결되는 프레임(9)을 포함한다. 케이블(7)은 폐루프를 형성하고 풀리(10, 11)로 구동된다.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트(1)는 등받이(12) 및 착석면(13)을 포함한다. 시트(1)의 프레임(9)은 굽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따라서 프레임(9)의 단부들은 등받이(12)와 착석면(13)을 형성한다. 등받이(12)와 착석부(13)는 운반 중에 한명 이상의 탑승자를 지지할 수 있다. 시트(1)는 또한 구속 바아(14)를 포함한다. 이 구속 바아(14)는 예컨대 피봇 링크(P1)에 의해 시트(1)의 프레임(9)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피봇 링크(P1)는 구속 바아(14)가 피봇 링크(P1)와 동일한 축선을 따라 회전 운동을 할 수 있게 해준다. 구속 바아(14)의 회전은 구속 바아(14)의 두 끝사용 위치, 즉 소위 "하강" 위치 및 소위 "상승" 위치 사이에서 일어난다. 구속 바아(14)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그 바아는 안전 공간에 대응하는 둘러싸인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시트(1)가 탑승 구역(5)과 하차 구역(6) 외부에서 이동하는 중에 탑승자는 상기 안전 공간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하강 위치에 있는 구속 바아는 탑승자의 시트(1)가 앞으로 기울어져 탑승자가 떨어질 위험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에 기여한다. 구속 바아(14)가 상승 사용 위치에 있을 때는, 시트(1)의 앞과 옆에 있는 공간이 자유롭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는 시트(1)의 앞쪽으로 이동하여 착석면(13)에서 나갈 수 있고, 또는 탑승자는 시트(1) 앞에 위치하여 그 시트에 앉을 수 있다. 이는 특히 시트(1)가 탑승 구역(5)이나 하차 구역(6)을 이동할 때의 경우이다.
스키 리프트 시트(1)는 또한 구속 바아(14)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그 구속 바아(14)를 위한 잠금 수단을 포함한다. 이 잠금 수단은 두 스테이션(3, 4) 사이에서의 시트(1)의 이동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 구속 바아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탑승자가 그 구속 바아(14)를 들어 올리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잠금 수단은 특히 자성 부재(20) 및 자화가능한 부재(15)를 포함한다. 이리하여, 구속 바아를 위한 기계식 잠금 수단(즉, 복잡한 구조체)만을 포함하고 또한 비교적 큰 중량을 가져 그러한 잠금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시트(1)의 빠른 마모를 야기하는 잠금 수단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제약을 없앨 수 있으며, 상기 복잡한 구조체는 그 복잡성 및 구속 바아를 위해 요구되는 구조적 변경 때문에 스키 리프트 시트에 적합하게 되기가 어렵다.
도 2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잠금 수단은 자화가능한 부재(15)를 포함한다. 이 부재(15)는 자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자성 재료는 외부 자기장에 노출되면 자화될 수 있는 어떤 재료라도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 자화가능한 부재(15)는 금속판, 예컨대 스테인레스 강판이다. 또한, 언급해야 할 중요한 점으로, 자화가능한 부재(15)는 금속판(15)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응력을 받으면 휘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잠금 수단은 또한 스위치(16)를 포함한다.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 그 스위치(16)는 차단 부재(17) 및 자화가능한 부재(15)를 포함한다. 차단 부재(17) 및 자화가능한 부재(15)는 스위치(16)의 단부(16a, 16b)를 각각 구성한다.
복귀 수단, 예컨대 인장 스프링(18)이 스위치(16)의 단부(16a)(차단 부재(17))와 시트(1)의 프레임(9)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인장 스프링(18)의 기능은 뒤에서 설명할 것이다.
도 2 에서 보는 바와 겉이, 차단 부재(17)는 특히 두개의 벽(17a, 17b)을 포함한다. 벽(17a)은, 벽(17b)에 평행한 표면의 형태로 되어 있고 벽(17a)의 경계를 한정하는 가장자리, 및 벽(17b)에 대해 경사진 표면을 갖는다. 벽(17b)은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등받이(12) 측에 위치된다.
차단 부재(17)는 피봇 링크(P2)에 의해 프레임(9)에 연결된다. 차단 부재(9)의 회전 축선은 구속 바아(14)의 회전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스위치의 원리에 따라 피봇 링크(P2)는 단부(16a, 16b) 사이에서 스위치(16)의 중간 부분에 위치된다.
자화가능한 부재(15)(단부(16b))는 스크류, 볼트 또는 리벳으로 차단 부재(17)에 체결될 수 있다. 보강판(19)이 상기 자화가능한 부재(15)에 접해 배치되어 있으며 그 부재를 부분적으로 덮는다. 보강판(19)은 자화가능한 부재(15)의 상측 부분, 즉 자화가능한 부재(15)에 있어서 피봇 링크(P2)에 가까운 부분에 배치된다. 자화가능한 부재(15)의 하측 부분은 보강판(19)으로 덮히지 않는다. 보강판(19)은 자화가능판 부재(15)에 있어서 등받이(12) 쪽을 향하는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자화가능한 부재(15)는 시트(1)의 운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반대인 방향에 대응하는 일 방향으로만 그의 가요성을 유지한다.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단 부재(17)는 어깨부(17c)를 포함하는데, 이 어깨부에 상기 자화가능한 부재(15)가 지탱된다. 자화가능한 부재(15)의 상측 부분은 어깨부(17c)와 보강판(19)(예컨대 볼트 결합으로 상기 자화가능한 부재(15)에 체결됨)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잠금 수단은 또한 자성 부재(20)를 포함한다. 이 자성 부재(20)는 영구 자석이다. 자성 부재(20)는 스키 리프트 시트(1)의 프레임(9)에 체결된다. 자성 부재(20)는 자화가능한 부재(15)와 결합하여 구속 바아(14)를 하강 위치에 잠금시키는데 관여한다. 따라서, 자성 부재(20)는 피봇 링크(P2) 및 자화가능한 부재(15)에 있어서 그 자성 부재와 결합하는 하측 부분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등거리에 위치된다.
자성 부재(20)에는 전자석, 예컨대 코일(21)이 결합되어 있다. 이 코일(21)은 행거(8)에 위치되는 전기 도체(22, 23)(WO 2010/052426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키 리프트 시트(1)가 탑승 구역(5)을 떠나면, 착석면(13)에 앉아 있는 탑승자는 구속 바아(14)를 내리게 된다.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속 바아(14)는 스탑 수단, 예컨대 러그(lug; 24)를 포함하는데, 이 러그의 축선은 구속 바아(14)의 회전 축선에 평행하다. 구속 바아가 내려지면 러그(24)는 차단 부재(17)의 벽(17b)에 지탱된다. 따라서, 구속 바아(14)의 하강으로 인한 그 구속 바아의 회전 운동에 의해 스위치(16)의 단부(16a)(차단 부재(17))에 힘이 가해진다. 그리고 스위치(16)는 피봇 링크(P2)의 축선 주위로 회전하여 스위치의 다른 단부(16b)가 움직이게 되고 자화가능한 부재(15)가 자성 부재(20)와 접촉하게 된다. 자성 부재(20)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으로 인해, 자화가능한 부재(15)가 자성 부재(20)에 끌려 위치 유지된다.
이 단계에서, 구속 바아(14)는 아직 그의 하강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고 잠금되지 않은 상태이다.
러그(24)가 스위치(16)의 단부(16a)를 가로지를 때까지 구속 바아(14)를 계속 내리면, 자화가능한 부재(15)가 휘어지게 되다. 따라서, 러그(24)는 차단 부재(17)의 다른 측에서 그 차단 부재의 벽(17a)에 접해서 위치된다.
이 단계에서, 구속 바아(14)는 그의 하강 위치에서 잠금된다. 탑승자가 그 구속 바아를 들어 올리는 것은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사실, 차단 부재(17)는 비복귀 폴(pawl)로서 작용한다. 차단 부재(17)는 구속 바아(14)가 그의 하강 위치로부터 들리는 것을 방지하는데 기여한다. 탑승자 중 한명이 고의로 또는 우발적으로 힘을 가하여 구속 바아(14)를 들어 올리려고 하면, 러그(24)가 가압되어 있는 벽(17a)이 구속 바아(14)의 회전을 차단하게 된다. 자화가능한 요소(15)와 자성 부재(20)의 결합으로 스위치(16)의 단부(16b)가 프레임(9)에 고정되어 있는 한, 스위치는 회전하기 못한다. 스위치(16)는 또한 휘어질 수도 없는데, 왜냐하면 자화가능한 요소(15)에 가압되어 있는 보강판(19)이 그 자화가능한 요소가 스키 리프트 시트(1)의 전진 운동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위치(16)의 단부(16a)는 러그(24)의 복귀 경로에 배치되는 극복할 수 없는 장애물을 형성한다. 탑승자가 구속 바아(14)를 그의 하강 위치로부터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스키 리프트 시트(1)가 하차 구역(6)에 도달하면, 전기 도체(22, 23)는 WO 2010/052426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압을 받는 전도성 브러쉬 장치와 접촉한다. 따라서, 그 전기 도체(22, 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코일(21)에 전력이 공급된다. 그 결과, 그 코일은 자성 부재(20)의 자기장과는 반대되는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자성 부재(20)에서 상기 자화가능한 요쇼(15)를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상당히 감소되어 실제적으로 또는 완전히 존재하지 않게 된다. 스위치(16)의 단부(16b)는 그 자체의 중량의 영향 하에서, 피봇 링크(P2)의 축선 주위로 회전하면서 자성 부재(20)에서 분리되어 안정적인 평형 위치에 있으려고 한다.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 이 안정적인 평형 위치는 특히 도 2 에 나타나 있는 수직 위치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인장 스프링(18)이 있으면, 이 스프링은 자화가능한 부재(15)와 자성 부재(20)를 분리시켜 스위치(16)를 안정적인 평형 위치로 복귀시키는데 기여한다.
그리고 구속 바아(14)는 더 이상 잠금되지 않는다. 그러면, 탑승자는 구속 바아가 그의 하강 위치를 떠나 피봇 링크(P1)의 축선 주위로 회전하여 상승 위치로 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구속 바아를 들어 올리기만 하면 된다. 구속 바아(14)가 들어 올려지면, 러그(24)는 차단 부재(17)의 벽(17a)(스위치(16)의 단부(16a))에 힘을 가하게 된다. 스위치(16)의 단부(16a)는 더 이상 자성 부재(20) 에 고정되지 않고 또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러그(24)가 차단 부재(17)(스위치(16)의 단부(16a))에 의해 형성되는 장애물을 다시 한번 가로지를 때까지, 구속 바아(14)의 들림 중에 러그(24)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스위치(16)가 피봇 링크(P2)의 회전 축선 주위로 강제 회전하게 된다. 구속 바아(14)는 상승 끝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회전할 수 있다. 벽(17b)에 대해 경사진 벽(17a)의 표면은 차단 부재(17)의 다른 측에 있는 러그(24)의 복귀에 도움을 준다. 벽(17a)의 경사진 표면은 또한 러그(24)가 차단 부재(17)를 가로지르는데 필요한 단부(16b)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일단 스키 리프트 시트(1)가 하차 구역(6) 또는 탑승 구역(5)을 떠나면, 전도성 브러쉬 장치와 전기 도체(22, 23) 사이의 전기 접촉이 단절된다. 그래서, 코일(21)에는 더 이상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다. 자성 부재(20)의 자기장이 다시 제공된다. 그 결과, 구속 바아(14)가 다시 한번 하강 끝 위치로 내려가 잠금된다.
도 4 및 5 에 도시되어 있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른 특별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구속 바아(14)의 차단 수단은 스키 리프트 시트(1) 아래에 위치된다.
설명하는 상이한 실시 형태들이 공유하는 요소들에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했다.
여기서, 자성 부재(20)는 시트(1) 아래, 예컨대 착석면(13) 아래에 고정된다.
여기서, 자화가능한 부재(15)는 스위치(30)의 제 1 단부(31)에 연결된다.
스위치(30)는 시트(1)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도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위치(30)는 피봇 링크(P2)에 의해 플랜지(33)에 연결될 수 있다. 이 플랜지(33)는 시트(1)에 고정된다.
스위치(30)는 제 2 단부(32)를 포함한다. 이 제 2 단부(32)는 구속 바아(14)에 부착되어 있는 구속 바아 요소, 예컨대 러그(34)를 받고 차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러그(34)는 구속 바아(14)의 발 디딤대에 부착될 수 있다.
도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 단부(32)는 훅크 형상일 수 있다 .
여기서, 제 2 단부(32)는 지탱면(35) 및 차단면(36)을 포함한다. 지탱면(35) 및 차단면(36)은 하우징(37)의 경계를 한정하도록 배치된다. 이 하우징(37)은 러그(34)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스위치(30)는 러그(34)를 수용하는 위치(이 위치에서 하우징(37)은 러그(34)를 수용하도록 위치됨)와 구속 바아(14)의 잠금 위치(이 위치에서 상기 자화가능한 부재(15)는 자성 부쟤(20)에 지탱됨)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수용 위치에서 상기 지탱면(35)은 러그(34)의 궤도상에 위치되며, 차단면(36)은 그 궤도에서 떨어져 있다. 차단 위치에서, 차단면(36)은 러그(34)의 궤도를 가로질러 위치된다.
스위치(30)가 그의 수용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복귀 수단, 예컨대 토션 스프링(38)이 배치된다. 여기서, 이 토션 스프링(38)은 스위치(30)에 부착되어 있는 제 2 러그(40)에 지탱되도록 설계된 제 1 단부(39) 및 플랜지(33)에 부착되어 있는 제 3 러그(42)에 지탱되도록 설계된 제 2 단부(41)를 포함한다.
작동 중에, 시트(1)가 탑승 구역(5)에 있는 초기 상태에서 시작할 때, 구속 바아(14)는 상승 위치에 있고 스위치(30)는 러그(34)를 수용하기 위한 위치에 있다.
시트(1)가 탑승 구역(5)를 떠날 때, 시트(1)의 탑승자(들)가 구속 바아(14)를 그의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 위치로 내리면, 러그(34)가 스위치(30)의 제 2 단부(32) 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하우징(37) 안에 결합하고 지탱면(35)에 지탱되는 러그(34)에 의해 스위치(30)는 피봇 링크(P2) 주위로 회전하게 된다. 이 회전의 결과, 제 1 단부(31)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자화가능한 부재(15)가 한편으로 자성 부재(20)와 접촉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차단면(36)이 러그(34)의 복귀 궤도를 가로질러 움직일 때까지 제 1 단부(31)가 상승하게 된다.
자화가능한 부재(15)와 자성 부재(20)의 결합에 의해 스위치(30)는 움직이지 못한다. 구속 바아(14)는 하강 위치에서 잠금된다.
사실, 러그(34)는 하우징(37) 안에 잡혀 있다. 차단면(36)은 러그(34)의 역 방향 운동을 방지하는데, 이 역방향 운동은 구속 바아(14)가 그의 하강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움직는 운동에 대응한다.
시트(1)가 하차 구역(6)에 도달하면, 코일(21)에 전력이 공급되어 자성 부재(20)의 자기장을 중화시킨다. 자화가능한 부재(15)는 자성 부재(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스위치(30)는 더 이상 부동 상태가 아니다. 탑승자(들)는 시트(1)에서 떠나기 위해 구속 바아(14)를 그의 하강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들어 올릴 수 있다. 이 조작 중에, 러그(34)는 차단면(36)에 지탱되어 스위치(30)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의 스위치의 회전은 토션 스프링(38)의 도움을 받는다.
도 6, 7, 8 및 9 에 도시되어 있는 일 특별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구속 바아(14)의 잠금은 도 4 및 5 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이루어지지만, 이때의 잠금 해제는 기계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시트(1)는 구속 바아(14)를 위한 기계식 잠금 해제 수단을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 자성 부재(20)에는 전력을 공급받는 코일(21)이 제공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자성 부재(20)의 자기장은 중화될 수 없다. 또한, 시트(1)는 전기 도체(22, 23)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 특별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계식 잠금 해제 수단은 레버(50) 및 이 레버(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레버(50)는 시트(1)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레버는 피봇 링크(P3)에 의해 시트(1)(또는 플랜지(33))에 연결될 수 있다. 자화가능한 부재가 자성 부재(20)와 접촉할 때 제 1 단부(51)는 자화가능한 부재(15)에 지탱되도록 배치된다.
도 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수단은 기계식 제어 케이블(53), 제어 스위치(54) 및 이 제어 스위치(54)를 그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수단(예컨대, 압축 스프링(55))을 포함한다(스프링의 배치에 따라 이 스프링은 인장 스프링일 수도 있다).
상기 제어 스위치(54)는 피봇 링크(P3)에 의해 행거(8)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제어 스위치(54)는 제 1 단부(56) 및 제 2 단부(57)를 포함한다. 제 1 단부(56)는 기계식 제어 케이블(53)에 연결된다(이 케이블은 레버의 제 2 단부(52)에도 연결됨). 제 2 단부(57)는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할 램프(ramp; 58)에 의해 움직이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제 2 단부(57)는 상기 제 2 단부(57)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지탱 부재, 예컨대 롤러(59)를 포함한다.
압축 스프링(55)은 한편으로 행거(8)에 부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어 레버(54)에 부착된다. 도 6 의 실시예에서, 압축 스프링(55)은 제어 스위치(54)의 제 1 단부(56)에 부착되어 있다.
스키 리프트 시설(60)은 도 8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롤러(59)의 궤도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58)를 포함한다. 각각의 램프(58)는 입구 또는 하차 구역(6)에서 스키 리프트 시설(60)의 정치식(stationary) 구조물에 부착된다.
램프(58)는 제어 스위치(54)의 회전을 일으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61)를 포함한다. 도 8 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램프(58)는 입구에 있는 경사부(61) 및 출구에 있는 경사부(62)를 포함한다. 이들 두 경사부(61, 62) 사이에는, 중간부(63)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중간부는 제어 스위치(54)를 구속 바아(14)의 잠금해제 위치(도 6 에 나타나 있음)에 유지시켜 탑승자가 구속 바아(14)를 그의 하강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움직이게 해 줄 수 있다.
조작 중에, 구속 바아(14)의 잠금은 도 4 및 5 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자성 부재(20)는 이 자성 부재(20)의 자기장에 반대되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코일(21)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자화가능한 부재(15)가 자성 부재(20)와 접촉하여 배치되면 이들 부재는 자동적으로 서로에 고정된다.
시트(1)가 입구에 도달하거나 하차 구역(6)에 있으면 롤러(59)는 도 8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램프(58) 아래에서 그 램프에 지탱된다. 롤러(59)가 (시트(1)와 함께 화살표 "64" 방향으로) 경사부(61) 아래에서 이동하면, 제어 스위치(54)가 회전하게 된다. 이 회전의 결과, 기계식 제어 케이블(53)이 당겨지고 이에 따라 레버(50)의 제 2 단부(52)가 움직이게 된다.
자화가능한 부재(15)가 이제 자성 부재(20)에 고정될 때까지, 레버(50)의 회전에 의해 그의 제 1 단부(51)가 그 자화가능한 부재에 지탱된다. 제 1 단부(51)는 자화가능한 부재(15)에 힘을 가하는데, 이 힘은 그 부재를 자성 부재(20)에서 분리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이 힘은 자화가능한 부재(51)와 자성 부재(20) 사이에 공기 틈이 형성되게 하는데 충분하다. 탑승자가 구속 바아(14)를 들어 올릴 때 이 공기 틈으로 인해 상기 자화가능한 부재(15)와 자성 부재(2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롤러(59)가 램프(58)의 중간부(63)를 떠나면, 제어 스위치(54)가 압축 스프링(55)의 영향 하에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레버(50) 또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레버의 제 1 단부(51)는 자화가능한 부재(15)에서 멀어지게 움직인다. 그러므로, 레버(50)의 위치로 인해, 자화가능한 부재(15)가 자성 부재(20)와 접촉할 수 있어 구속 바아(14)를 잠금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키 리프트 시트(1)는, 시트(1)가 탑승 구역(5) 또는 하차 구역(6) 밖에서 이동하는 중에 구속 바아가 하강 끝 위치에 있으면 그 구속 바아(14)가 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시트(1)가 탑승 구역(5) 또는 하차 구역(6) 내로 이동하는 중에는 구속 바아(14)가 상승 끝 위치로 들릴 수 있게 해주는 자기적 잠금 수단을 갖는다.
물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실시 형태는 단지 일 예로서만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내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특히 다양한 요소들의 구성 및 기술적 균등물의 대체에 관해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키 리프트 시트(1)는 분리가능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Claims (20)

  1. 프레임(9)과 구속 바아(14)를 포함하는 스키 리프트 시트(1)로서,
    상기 구속 바아는 탑승자의 떨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둘러싸인 공간을 규정하는 제 1 하강 끝 위치, 및 한명 이상의 탑승자가 하차할 수 있도록 상기 구속 바아(14)가 시트(1)의 앞쪽 공간을 자유롭게 해주는 제 2 상승 끝 위치에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스키 리프프 시트(1)는, 구속 바아(14)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그 구속 바아를 잠금시키는 잠금 수단을 포함하며, 이 잠금 수단은 상기 프레임(9)에 부착되는 제 1 자성 부재(20)를 포함하고, 이 자성 부재는 구속 바아(14)를 하강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자화될 수 있는 제 2 부재(15)와 결합하게 되는 스키 리프트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은 피봇 링크(P2)에 의해 시트(1)의 상기 프레임(9)에 연결되는 스위치(16)를 포함하는 스키 리프트 시트(1).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6, 30)는 차단 부재(17)와 상기 자화가능한 부재(15)로 각각 구성되는 두 단부(16a, 16b)를 포함하는 스키 리프트 시트(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바아(14)는 상기 차단 부재(17)에 지탱되도록 설계된 스탑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자화가능한 부재(15)는 상기 자성 부재(20)와 접촉하면 휘어질 수 있는 스키 리프트 시트(1).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6)는 상기 자화가능한 부재(15)를 강직하게 할 수 있는 보강 수단을 포함하며, 그래서 상기 자화가능한 부재(15)는 일 방향으로만 휘어질 수 있는 스키 리프트 시트(1).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는 상기 스위치(16)의 단부(16a)와 시트(1)의 프레임(9)에 연결되는 복귀 수단을 포함하는 스키 리프트 시트(1).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17)는 두 벽(17a, 17b)을 포함하고, 상기 벽(17b)은 프레임(9) 측에 있고, 상기 벽(17a)은 이 벽(17a)의 두 표면의 경계를 한정하는 가장자리를 가지며, 상기 두 표면 중의 일 표면은 상기 벽(17b)에 평행하고 다른 표면은 벽(17b)에 인접하여 그 벽(17b)에 대해 경사져 있는 스키 리프트 시트(1).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0) 및 자성 부재(20)는 상기 시트(1) 아래에 위치되는 스키 리프트 시트(1).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0)는 상기 자화가능한 부재(15)가 체결되는 제 1 단부(31) 및 구속 바아 요소를 수용하여 잠금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2 단부(32)를 포함하는 스키 리프트 시트(1).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부(32)는 지탱면(35) 및 차단면(36)을 포함하고, 상기 지탱면(35)과 차단면(36)은 상기 구속 바아 요소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하우징(37)의 경계를 한정하는 스키 리프트 시트(1).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스위치(30)의 제 2 단부(32)가 자성 부재(20) 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저지하는 복귀 수단을 포함하는 스키 리프트 시트(1).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부재(20)는 스키 리프트 시트(1)에 있는 전기 도체(22, 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스키 리프트 시트(1).
  13.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구속 바아(14)를 위한 기계식 잠금 해제 수단을 포함하는 스키 리프트 시트(1).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잠금 해제 수단은 레버(50) 및 이 레버(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스키 리프트 시트(1).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50)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수단은, 시트(1)의 행거(8)에 부착되는 가동 제어 부재, 이 가동 제어 부재와 상기 레버(50)에 연결되는 기계식 제어 케이블(53), 및 상기 레버(50)를 작동시키는 위치 - 이 위치에서 상기 기계식 제어 케이블(53)이 상기 레버(50)를 끝어 당기게 됨 - 쪽으로 상기 가동 제어 부재가 움직이는 것을 저지하는 복귀 수단을 포함하는 스키 리프트 시트(1).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제어 부재는 상기 행거(8)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어 스위치(54)를 포함하고, 이 제어 스위치(54)는 상기 기계식 제어 케이블(53)이 부착되는 제 1 단부(56) 및 램프(ramp; 58)에 지탱되도록 설계된 지탱 부재를 포함하는 제 2 단부(57)를 포함하는 스키 리프트 시트(1).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탱 부재는 상기 제 2 단부(57)에 회전가능한 장착되는 롤러(59)인 스키 리프트 시트(1).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부재(20)는 영구 자석인 스키 리프트 시트(1).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가능한 부재(15)는 금속판인 스키 리프트 시트(1).
  20. 특히 스키 의자형의 스키 리프트 시설(2)로서,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키 리프트 시트(1)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스키 리프트 시설.
KR1020137018612A 2010-12-17 2011-11-16 구속 바아를 위한 자기적 잠금 수단을 갖는 스키 리프트 시트 KR101881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0/60742 2010-12-17
FR1060742A FR2969100B1 (fr) 2010-12-17 2010-12-17 Siege de remontee mecanique avec verrouillage magnetique de garde-corps
PCT/FR2011/052662 WO2012080603A1 (fr) 2010-12-17 2011-11-16 Siège de remontée mécanique avec verrouillage magnétique de garde-corp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793A true KR20130125793A (ko) 2013-11-19
KR101881964B1 KR101881964B1 (ko) 2018-07-25

Family

ID=44259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8612A KR101881964B1 (ko) 2010-12-17 2011-11-16 구속 바아를 위한 자기적 잠금 수단을 갖는 스키 리프트 시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499176B2 (ko)
EP (1) EP2651737B1 (ko)
JP (1) JP5876504B2 (ko)
KR (1) KR101881964B1 (ko)
CN (1) CN103313899B (ko)
CA (1) CA2820145C (ko)
ES (1) ES2531140T3 (ko)
FR (1) FR2969100B1 (ko)
RU (1) RU2586427C2 (ko)
UA (1) UA108771C2 (ko)
WO (1) WO20120806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69100B1 (fr) 2010-12-17 2013-01-11 Sommital Siege de remontee mecanique avec verrouillage magnetique de garde-corps
FR2982564B1 (fr) * 2011-11-16 2014-01-03 Sommital Vehicule de remontee mecanique
FR2992276B1 (fr) * 2012-06-20 2014-07-18 Sommital Siege de remontee mecanique et installation equipee de ce siege
FR3003222B1 (fr) 2013-03-14 2016-09-09 Sommital Vehicule de remontee mecanique et installation comprenant ce vehicule
JP6499838B2 (ja) * 2014-08-25 2019-04-10 独立行政法人自動車技術総合機構 索道の椅子式搬器のセーフティバー警告装置及び警告方法
AT516705B1 (de) * 2015-04-02 2016-08-15 Innova Patent Gmbh Vorrichtung zum Arretieren einer verschwenkbaren Schutzeinrichtung für einen Sessellift
JP1547755S (ko) * 2015-04-21 2016-04-11
JP1547754S (ko) * 2015-04-21 2016-04-11
AT517204B1 (de) * 2015-07-09 2016-12-15 Innova Patent Gmbh Sessel für einen Sessellift
IT202000018013A1 (it) * 2020-07-24 2022-01-24 Leitner Spa Seggiola per un impianto di trasporto aereo a fu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0576A (ko) * 2006-05-24 2009-02-26 노엘 블랑동 스키 리프트 설비에 있는 좌석의 안전 시스템 및 이의 구축방법
KR20090023054A (ko) * 2007-08-30 2009-03-04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의자 리프트 또는 케이블 선로 시스템의 운송 수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22536A1 (fr) * 1978-04-10 1979-11-09 Sigma Plastique Abri repliable et rapidement demontable pour siege de telesiege
US4763937A (en) * 1986-09-11 1988-08-16 Sittnick Jr Ralph A Electromagnetic door lock system
US5038128A (en) * 1989-07-17 1991-08-06 P S P "Metalsnab" Magnetic gripper
US6494145B2 (en) * 2000-09-15 2002-12-17 Joseph F. Kernan Automatic crossbar on ski chair-lift for facilitating passenger dismount
AT503887B1 (de) * 2006-04-13 2008-08-15 Innova Patent Gmbh Sessel eines sesselliftes mit abrutschsicherung
ITMI20070157U1 (it) * 2007-04-20 2008-10-21 Rolic Invest Sarl Seggiovia
AU2008230019A1 (en) * 2007-10-24 2009-05-14 Assa Abloy Australia Pty Limited A Self Latching Latch
AT507379B1 (de) * 2008-10-09 2010-09-15 Innova Patent Gmbh Sessel für sessellift
FR2937937B1 (fr) * 2008-10-30 2010-12-10 Pomagalski Sa Dispositif de transport automatique de luges sur un teleporteur a cable
FR2937938A1 (fr) * 2008-11-05 2010-05-07 Sommital Installation de remontee mecanique
FR2969100B1 (fr) 2010-12-17 2013-01-11 Sommital Siege de remontee mecanique avec verrouillage magnetique de garde-corp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0576A (ko) * 2006-05-24 2009-02-26 노엘 블랑동 스키 리프트 설비에 있는 좌석의 안전 시스템 및 이의 구축방법
KR20090023054A (ko) * 2007-08-30 2009-03-04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의자 리프트 또는 케이블 선로 시스템의 운송 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3132386A (ru) 2015-01-27
KR101881964B1 (ko) 2018-07-25
EP2651737A1 (fr) 2013-10-23
FR2969100A1 (fr) 2012-06-22
CA2820145C (fr) 2019-04-02
FR2969100B1 (fr) 2013-01-11
UA108771C2 (uk) 2015-06-10
JP5876504B2 (ja) 2016-03-02
US9499176B2 (en) 2016-11-22
US20130269567A1 (en) 2013-10-17
CN103313899A (zh) 2013-09-18
ES2531140T3 (es) 2015-03-11
CN103313899B (zh) 2016-04-06
JP2014503413A (ja) 2014-02-13
EP2651737B1 (fr) 2014-11-26
WO2012080603A1 (fr) 2012-06-21
CA2820145A1 (fr) 2012-06-21
RU2586427C2 (ru)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5793A (ko) 구속 바아를 위한 자기적 잠금 수단을 갖는 스키 리프트 시트
KR102098667B1 (ko) 기계식 체어리프트 시트 및 이러한 시트를 구비한 시설
RU2505434C2 (ru) Механический подъемник
KR101998714B1 (ko) 기계식 리프트 차량
JP5773361B2 (ja) フットレスト
CA3160354A1 (en) Cableway with transport vehicle for conveying an object
JP2013151273A (ja) 低高地用交通システム
CN107364452B (zh) 通过架空缆索的运送设施和方法
JP7464312B2 (ja) ケーブルカー車両のための扉制御装置
RU2787420C1 (ru) Канатная дорога, имеющая стабилизацию кабин
EP1017461B1 (en) Fall attraction for fairgrounds
JP6555713B2 (ja) チェアリフト搬器のセーフティーバーロック装置
JPH0485291A (ja) エスカレータの踏段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