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527A -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충돌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충돌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527A
KR20130123527A KR1020120046712A KR20120046712A KR20130123527A KR 20130123527 A KR20130123527 A KR 20130123527A KR 1020120046712 A KR1020120046712 A KR 1020120046712A KR 20120046712 A KR20120046712 A KR 20120046712A KR 20130123527 A KR20130123527 A KR 20130123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utside mirror
driving
uni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구
Original Assignee
이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구 filed Critical 이선구
Priority to KR1020120046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3527A/ko
Publication of KR20130123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54Audio sensitive means, e.g. ultrasou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3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5/931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아웃사이드 미러가 타 자동차와 충돌하지 못하도록 차간 또는 기타 장애물간의 거리를 감지하여 상황에 맞게 아웃사이드 미러가 접철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좁은 도로에서의 주차를 용이하게 하고 타차량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차가 운행되는 상태인가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부와; 타 자동차 및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검출되는신호에 따라 아웃사이드 미러를 차체에 밀착/복귀하는 전동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아웃사이드 미러를 해당 경로로 밀착 또는 복귀되도록 명령을 받아 수행하는 전동기 구동부와; 상기 전동기 구동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밀착/복귀의 접철이 가능하도록 아웃사이드 미러를 움직이는 접철 수단과; 상기 접철 수단과 연결되어 접철수단의 동작에 따라 접철이 이루어지는 아웃사이드 미러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충돌 방지장치에 관한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충돌 방지 장치{Automotive collision-avoidance device outside mirror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outside mirror) 충돌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아웃사이드 미러가 타 자동차와 충돌하지 못하도록 차간 또는 기타 장애물간의 거리를 감지하여 상황에 맞게 아웃사이드 미러가 접철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좁은 도로에서의 주차를 용이하게 하고 타차량과의 충돌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충돌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후방의 자동차 및 기타 장애물과의 거리를 알기 위해서 아웃사이드 미러를 장착하고 있는데 이 아웃사이드 미러는 자동차의 측면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타차량과 접촉되기가 쉽고 또한 손상될 위험이 있다.따라서 이 아웃사이드 미러를 수동으로 직접 접어 차체에 밀착시켜 차폭을 줄이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손으로 아웃사이드 미러를 직접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운전 도중에 작동시키기에는 불편하며 특히 운전자의 오른쪽에 장착되는 오른쪽 아웃사이드 미러는 운전석에 앉아서 운전자가 직접 차내에서 작동시킬 수가 없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거나 잠시 하차하여 직접 아웃사이드 미러를 조정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차 공간이 협소하거나 좁은 골목길을 빠져 나오는 등 차체의 폭을 줄여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운전자가 직접 접거나 조절하는 동작을 취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초음파 센서가 그 거리를 측정하여 타차량 및 장애물과의 거리가 근접할 시 자동으로 아웃사이드 미러를 차체에 밀착하여 충돌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며 운전자가 직접 손으로 조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차량 운행의 편리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자동차가 운행되는 상태인가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부와; 타 자동차 및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검출되는 신호에 따라 아웃사이드 미러를 차체에 밀착/복귀하는 전동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아웃사이드 미러를 해당 경로로 밀착 또는 복귀되도록 명령을 받아 수행하는 전동기 구동부와; 상기 전동기 구동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밀착/복귀의 접철이 가능하도록 아웃사이드 미러를 움직이는 접철 수단과; 상기 접철 수단과 연결되어 접철수단의 동작에 따라 접철이 이루어지는 아웃사이드 미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미러 충돌 방지장치에 관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미러 충돌방지 장치중 접철 수단을 상세히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을 도 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행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다수의 감지부와, 타차량 및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11)와, 상기 다수의 감지부와 초음파 센서(11)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를 통하여 아웃사이드 미러(S/M)의 밀착/복귀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아웃사이드 미러(S/M)를
차체로 밀착하는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출력하는 전동기 구동부(32)와,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따라 아웃사이드 미러(S/M)를 원상태로 복귀하는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출력하는 전동기 구동부(31)와,상기 전동기 구동부(31,32)의 구동 신호에 따라 아웃사이드 미러(S/M)를 접철하는 접철수단(40)과, 상기 접철 수단의 동작에 따라 접철되는 아웃사이드 미러(S/M)로 이루어진다.상기 주행 상태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부는 기어 위치 센서(12)와, 차속 센서(13) 및 발전기(14)로 이루어져 기어가 주행단에 위치하고 차속이 주행에 해당하는 수치로 측정되며 발전기(14)가 회전되고 있는 상태가 되면 주행상태로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초음파 센서(11)는 좌우 아웃사이드 미러(미도시)의 전면 외곽에 각각 장착되어 있고, 주행 상태로판단되면 초음파 센서(11)에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이 시작된다. 제어부(20)는 초음파 센서(11)의 동작에 따라 일정거리 정면으로 발생된 초음파 신호의 복귀여부 상태를 판독하여 거리를 연산하므로써 타 장애물의 근접정도를 인지한다.상기 아웃사이드 미러(S/M) 복귀를 위한 전동기 구동부(31)는 제어부(20)로 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는트랜지스터(TR1)와,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온/오프상태에 따라 전계의 형성이 가변되는 릴레이(RL1)로이루어진다.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S/M)의 차체 밀착을 위한 전동기 구동부(32)는 제어부(20)로 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는 트랜지스터(TR2)와,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온/오프상태에 따라 전계의 형성이 가변되는릴레이(RL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철 수단(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기 구동부(31,32)의 동작상태에 따라 회전 방향이변환되는 모터(M)와 상기 모터(M)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한 뒤 아웃사이드 미러(S/M)를 접철 가능하도록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래크 피니언(rack pinion)으로 이루어지며 래크(R)의 가이드는 차체 패널P)이 되도록 하며 피니언 기어(P1)는 모터(M)와 일체로 형성되어 모터와 같이 회전하고 래크(R)
의 직선 운동에 따라 피니언 기어(P2)가 회전하여 피니언 기어(P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아웃사이드 미러(S/M)가 접철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엔진의 시동이 온되면 각장치는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을 실행한다.
따라서 기어 위치 센서(12)에 의해 주행단 상태가 검출되고 차속 센서(13)에 의해 차속이 주행상태로 판단되며 발전기(14)가 회전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주행 상태로 최종 판단되므로 초음파 센서(11)가 작동된다.
상기 초음파 센서(11)에서 검출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부(20)는 주변에 차량이 근접했거나 장애물이 있는것으로 판단되면 트랜지스터(TR2)에 소정시간동안 온(on)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TR2)의 턴온(turn on)에 의하여 릴레이(RL2)의 코일(C2)에 전계가 형성되므로스위치(SW2)가 온된다. 그러므로 상기 모터(40)에 당기는 방향(pull)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M)가 회전하면 피니언 기어(P1)가 도 2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는 우방향으로 회전하고 래크(R)는 가이드(P)를 따라 차체 밖으로 움직인다.
래크(R)의 움직임에 따라 피니언 기어(P2)가 우방향으로 회전하므로써 아웃사이드 미러(S/M)가 차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접히게 된다.그러나, 상기 초음파 센서(11)에서 검출되는 신호가 주변에 차량 및 장애물이 없는 상태에 해당하면 제어부(20)는 트랜지스터(TR1)에 소정시간동안 온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TR1)의 턴온에 의하여 릴레이(RL1)의 코일(C1)에 전계가 형성되므로 스위치(SW1)가온된다. 그러므로 상기 모터(40)에 미는 방향(push)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M)가 회전하면 피니언 기어(P1)가도 2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는 좌방향으로 회전하고 래크(R)는 가이드(P)를 따라 차체 내부로 움직인
다.래크(R)의 움직임에 따라 피니언 기어(P2)가 좌방향으로 회전하므로써 아웃사이드 미러(S/M)가 펼쳐지게 된다.

Claims (5)

  1. 자동차가 운행되는 상태인가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와; 타 자동차 및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와; 상기 감지부에서 검출되는 신호에 따라 아웃사이드 미러를 차체에 밀착/복귀하는 전동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아웃사이드 미러를 해당 경로로 밀착 또는 복귀되도록 명령을 받아 수행하는 전동기 구동부와; 상기 전동기 구동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밀착/복귀의 접철이 가능하도록 아웃사이드 미러를 움직이는 접철 수단과; 상기 접철 수단과 연결되어 접철수단의 동작에 따라 접철이 이루어지는 아웃사이드 미러로 이루어지는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충돌 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수의 감지부는 기어 위치 센서와, 차속 센서 및 발전기로 이루어져 기어가 주행단에 위치하고 차속이 주행에 해당하는 수치로 측정되며 발전기가 회전되고 있는 상태가 되면 주행상태로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충돌 방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리 감지부는 좌우 아웃사이드 미러의 전면 외곽에 각각 장착되며, 주행 상태로 판단되면서 전원이 공급되므로 이 시점부터 동작을 실행하여 일정거리 정면으로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충돌 방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 구동부는 차체 밀착을 위한 구동부와 원상 복귀를 위한 구동부로 이루어지며 각 구동부는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는 트랜지스터와, 트랜지스터의 온/오프상태에 따라 전계의 형성이 가변되는 릴레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충돌 방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접철 수단은 전동기 구동부의 신호에 따라 회전 상태가 가변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한 뒤 아웃사이드 미러를 접철 가능하도록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래크 피니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충돌 방지장치.
KR1020120046712A 2012-05-03 2012-05-03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충돌 방지 장치 KR20130123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712A KR20130123527A (ko) 2012-05-03 2012-05-03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충돌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712A KR20130123527A (ko) 2012-05-03 2012-05-03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충돌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527A true KR20130123527A (ko) 2013-11-13

Family

ID=49852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712A KR20130123527A (ko) 2012-05-03 2012-05-03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충돌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35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1257A (zh) * 2018-07-06 2018-12-18 安徽思源三轻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防撞型声纳外壳
WO2022227656A1 (zh) * 2021-04-28 2022-11-03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的后视镜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1257A (zh) * 2018-07-06 2018-12-18 安徽思源三轻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防撞型声纳外壳
WO2022227656A1 (zh) * 2021-04-28 2022-11-03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的后视镜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8955B2 (en) Smart parking assist system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341274B (zh) 车辆的出库模式选择显示装置
KR101965989B1 (ko) 주변 물체의 존재에 관한 자동차 운전자의 경고 방법,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자동차
US20110241857A1 (en) Driver assistance method for moving a motor vehicle and driver assistance device
KR102565928B1 (ko) 자율 주행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9697735B2 (en) Drive assistance device
KR20130106005A (ko) 차량의 주차 조향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10288727A1 (en) Control device for assisting a parking maneuver
JP2007112297A (ja) 車両用障害物衝突回避システム
JP5282730B2 (ja) 運転支援装置
CN106809122A (zh) 车辆侧视镜系统
CN115485449A (zh) 用于车辆的控制系统
KR102520243B1 (ko) 운전자 지원을 위한 경보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22485A (ko) 주차보조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356538B1 (ko) 차량의 주차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7023586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20130123527A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충돌 방지 장치
JP2014034287A (ja) 駐車支援システム
US8712642B2 (en) Method for parking or exiting a parking bay and for avoiding a collision of a vehicle, and corresponding assistance systems and vehicle
JPH0262414B2 (ko)
KR101125385B1 (ko) 차량의 주차 보조 시스템
JPS6146739A (ja) 車両用自動可倒式バツクミラ−
KR19980028863A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충돌 방지장치
KR200445736Y1 (ko) 주차권 발급기
KR20130053604A (ko) 차량 후진 보조 전자제어장치 및 보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