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014A - 음주운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음주운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014A
KR20130123014A KR1020120046097A KR20120046097A KR20130123014A KR 20130123014 A KR20130123014 A KR 20130123014A KR 1020120046097 A KR1020120046097 A KR 1020120046097A KR 20120046097 A KR20120046097 A KR 20120046097A KR 20130123014 A KR20130123014 A KR 20130123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driving
vehicle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우
Original Assignee
강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우 filed Critical 강민우
Priority to KR1020120046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3014A/ko
Publication of KR20130123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01N33/4972Determining alcohol cont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9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alcohol, e.g. ethanol in bre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36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alcoh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Immun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주운전을 방지하는 장치는 운전자의 날숨 중에 포함된 알콜농도를 감지하는 알콜농도 감지부.운전자의 안구상태를 검사하는 안구상태 검사부. 운전자의 운전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화면정보로 출력하고, 프로그램에 따른 운전자 행동을 입력받기 위한 상태판단부. 안구상태, 알콜농도, 및 판단된운전자 행동 중 하나 이상을 운전자의 음주상태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단계별 상황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구동을 제어하는 차량구동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운전자의 음주상태를단계적으로 측정하고, 측정결과에 따라 경고메시지를 출력하여 운전자의 운전의지를 최소화시키고, 최종적으로 운전자가 운전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여 운전자가 음주운전을 근본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한 후 GPS로 신호를 보내어 대리운전을 부른다.

Description

음주운전 방지장치 {Drunk driving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음주운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음주상태를 사람눈의 홍채로 감지,측정하여 운전자가 운전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게 되면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여 그후 GPS로 신호를 보내어 대리운전을 부를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가 음주운전을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끊임없이 개발을 통하여 발전을 하고 있고 사람들의 수익이 좋아짐으로서 자동차는 계속해서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차가 많아질 수록 사고는 그만큼 증가를 하게 되는데 특히 음주운전은 개인을 판단력을 흐르게 하여 사고를 유발 시킨다.
음주운전은 계속해서 하고 있지만 음주운전자는 계속해서 늘고 있다.
음주운전자는 음주를 하고나서 운전을 하다가 음주단속을 마주치게 되면 음주상태에서 판단력이 흐려지게 되기 때문에 음주단속을 회피하여 사고가 날 수도 있다.
음주단속시에는 길 한복판에서 실시하기 때문에 교통체증이 일어나고, 음주운전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아니고 운전자가 자제력,판단력을 잃어버린 상황이기 때문에 음주운전이 적발이 안되면 사고가 발생하게되어 사고예방이 불가능하다.
<6>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운전자의 음주 여부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결과에 운전자의 운전의지를 최소화시키고, 최종적으로 운전자가 운전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여 운전자가 음주운전을 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주운전 방지장치는, 음주운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운전자의 날숨 중에 포함된 알콜농도를 감지하는 알콜농도 감지부, 운전자의 안구상태를 검사하는 안구상태 검사부. 프로그램에 따른 일련의 운전자 행동을 입력받기 위한 상태판단부; 안구상태, 알콜농도, 및 판단된 운전자 행동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운전자의 음주상태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단계별 상황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구동을 제어하는 차량구동제어부를 포함한다.
알콜농도 감지부는, 운전자가 호흡하면서 내뱉는 공기를 충분히 흡입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를 한다.
안구상태 검사부는 안구의 홍채를 측정하여 안구상태를 검사하는 것으로 한다.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하는 착석여부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착석여부판단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알콜농도 감지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주운전 방법은 운전자가 숨을 내쉬었을 때 감지하는 단계 후 운전자의 알콜농도가 기준치를 넘어서면 경고메세지를 보낸 다음 안구상태를 검사하여 기준치를 넘어서게 되면 운전자의 운전여부를 판단하여 자동차를 제어.
본 발명은 운전자의 음주상태를 단계적으로 측정한 다음, 측정결과에 따라 경고메시지를 출력하여 운전자의 운전의지를 최소화시키고, 운전자가 운전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었을 때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의 시동을 제어해줌으로써 운전자가 음주운전을 수행할 수 없게 한다.
Figure pat00001
알콜농도 감지부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내뱉는 공기(날숨) 중에 포함된 알콜농도를 감지한다.이때, 알콜농도 감지부는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운전자의 안면부, 특히 입과 코를 통해 운전자가 호흡하면서 내뱉는 공기를 충분히 흡입할 수 있는 위치(예:운전석 위 천장 또는 조향 핸들)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콜농도 감지부는 차량 내부의 공기에서 감지한 알콜농도를 제어부에 출력한다.
안구상태 검사부는 운전자의 안구상태를 측정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제어부에 출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운전자의 안구진탕(무의식으로 일어나는 안구의 주기적 운동) 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제어부에 출력한다. 하지만, 이에 음주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안구상태를 검사하는
방법이 정해져있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운전자의 안구상태를 이용하여 음주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착석여부판단부는 운전자가 차량의 운전석에 착석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한다. 이때, 착석여부 판단부는 운전석에 구비된 안전벨트의 탈부착 여부를 판단하여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운전석에 가해지는 하중을 비교분석하여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하지만,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하고 있는지에 대한 판단은 다른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음성출력부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 데이터들을 합성하여 음성경고 및 음성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음성출력부는 음성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터치패널은 저장부에 저장된 운전자의 운전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화면정보로 보여준다.
음주운전 여부를 측정한 후 시동을 제어한 후에 GPS로 신호를 보내어 대리운전이 올 수 있도록 한다.
운전자가 탑승을 한 후 음주운전 여부를 판단한 후 운전자가 음주 기준치를 넘었을 경우 GPS로 신호를 보내 대리운전을 부른다.

Claims (14)

  1. 음주운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운전자의 날숨 중에 포함된 알콜농도를 감지하는 알콜농도 감지부.상기 운전자의 안구상태를 검사하는 안구상태 검사부;
    상기 운전자의 운전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화면정보로 출력하고, 상기 프로그램에 따른 일련의 운전자 행동을 입력받기 위한 상태판단부.상기 안구상태, 상기 알콜농도, 및 상기 판단된 운전자 행동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상기 운전자의 음주상태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단계별 상황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구동을 제어한 후 GPS로 신호를 보내어 대리운전을 부르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콜농도 감지부는,운전자가 호흡하면서 내뱉는 공기를 충분히 흡입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안구상태 검사부는,상기 운전자의 안구진탕 정도를 측정하여 상기 안구상태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상태 판단부는 균형감각, 반응도, 및 순발력 테스트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운전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음주운전 방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착석여부판단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석여부판단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알콜농도 감지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음주운전 방지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상기 착석여부판단부는,차량의 운전석에 구비된 안전벨트의 탈부착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상기 착석여부판단부는,차량의 운전석에 가해지는 하중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상기 운전석에 착석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8. 음주운전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1) 운전자의 날숨 중에 포함된 알콜농도를 감지하는 단계;
    2) 감지된 알콜농도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운전자의 운전의지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에서 운전의지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운전자의 안구상태를 검사하여 운전자의 안구상태가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4) 상기 운전자의 안구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면, 상기 운전자의 운전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화면정보로 표시하고, 상기 프로그램에 따른 운전자의 입력을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수신받아 상기운전자의 운전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5) 상기 4)단계에서 판단된 운전자의 운전가능 여부에 따라 차량 구동을 제어한 후 GPS로 신호를 보내어 대리운전을 부르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상기 3)단계는,상기 2)단계에서 운전의지가 없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상기 4)단계는 균형감각, 반응도, 및 순발력 테스트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운전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상기 5)단계는,상기 4)단계에서 판단된 운전자의 운전가능 여부에 따라 상황별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상기 2) 내지 4) 단계 수행중 상기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1) 단계부터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상기 5)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운전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방법.
  14. 청구항 8에 있어서,상기 5)단계에서 상기 운전자의 운전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차량주행시 차량의 속도를 일정속도 이하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방법.
KR1020120046097A 2012-05-02 2012-05-02 음주운전 방지장치 KR20130123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097A KR20130123014A (ko) 2012-05-02 2012-05-02 음주운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097A KR20130123014A (ko) 2012-05-02 2012-05-02 음주운전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014A true KR20130123014A (ko) 2013-11-12

Family

ID=49852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097A KR20130123014A (ko) 2012-05-02 2012-05-02 음주운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301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7246A1 (ko) * 2015-02-26 2016-09-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의 안전 시동 장치
CN108045226A (zh) * 2017-12-08 2018-05-18 湖北民族学院 一种多功能车载酒驾监测装置及方法
CN111731098A (zh) * 2020-07-29 2020-10-02 刘春其 一种车载酒精检测装置及其控制系统
CN113329904A (zh) * 2018-12-12 2021-08-31 盖兹洛克公司 使用注视参数和运动参数的映射的酒精锁装置和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7246A1 (ko) * 2015-02-26 2016-09-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의 안전 시동 장치
US10377235B2 (en) 2015-02-26 2019-08-13 Lg Innotek Co., Ltd. Vehicle safe starting device
CN108045226A (zh) * 2017-12-08 2018-05-18 湖北民族学院 一种多功能车载酒驾监测装置及方法
CN113329904A (zh) * 2018-12-12 2021-08-31 盖兹洛克公司 使用注视参数和运动参数的映射的酒精锁装置和系统
CN111731098A (zh) * 2020-07-29 2020-10-02 刘春其 一种车载酒精检测装置及其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1916B2 (ja) 自動運転支援装置、自動運転支援システム、自動運転支援方法および自動運転支援プログラム
US9937929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that drives or is able to be driven in an at least partially automated manner
US88235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correcting an autonomous driving system
JPWO2008096421A1 (ja) 酒酔い運転防止装置、酒酔い運転防止方法、及び、酒酔い運転防止プログラム
KR20130050113A (ko) 위험단계별 경고기능을 갖는 차량 운행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6179810A (ja) 自動走行制御装置及び自動走行制御システム
KR101768847B1 (ko) 차량 내부 모니터링 및 알림기능이 구비된 블랙박스
KR20130123014A (ko) 음주운전 방지장치
WO2019208450A1 (ja)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201121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JP2018106240A (ja) 車両用運転者状態判定装置
JP2011192031A (ja) 制御装置及び運転安全性保護方法
KR20140114949A (ko) 차량의 주행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4444670A (zh) 电梯用举动异常监视装置
CN106515570A (zh) 紧急制动提醒方法、装置及车辆
JP7389372B2 (ja) 異常検知装置及びシート
CN114179740A (zh) 用于车辆中安抚儿童的方法及装置
US20120215428A1 (en) Vehicle speed signal falsification detection apparatus, vehicle speed limiting apparatus, vehicle speed signal falsification detection method, and vehicle speed limiting method
JP2022122108A (ja) 飲酒運転防止装置
JP2019124975A (ja) 認知症リスクの判定システム
KR101324650B1 (ko) 졸음 운전 방지 장치
SE539493C2 (sv) Förarvarning och begränsning av fordons framförande vid olyckstillbud
CN112583885A (zh) 用于车辆的紧急系统以及为车辆用户提供救援构件的方法
KR20170126244A (ko)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2013095595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