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244A -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6244A
KR20170126244A KR1020160056413A KR20160056413A KR20170126244A KR 20170126244 A KR20170126244 A KR 20170126244A KR 1020160056413 A KR1020160056413 A KR 1020160056413A KR 20160056413 A KR20160056413 A KR 20160056413A KR 20170126244 A KR20170126244 A KR 20170126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vehicle
information
senso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활리
김진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6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6244A/ko
Publication of KR20170126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충격 감지 및 차량 사고 시 119 구급 요원 등에게 운전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여 빠른 응급처치를 유도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과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Driver's State of Accidient Vehicle}
본 발명은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생체신호 센싱 시스템에 기반하여 차량 사고가 감지될 때에 운전자의 신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통 사고 시에 보통 119 구급 요원들이 출동하여 운전자 등 부상자의 심박, 혈압, 기초체온 등 신체 상태를 측정 및 판단하고 치료를 시작하는데, 1분 1초가 아까운 긴박한 사고의 순간에는 치료전 측정과 판단을 수행할 시간마저 여의치 않을 때가 많다.
교통 사고 시에 차량의 상태나 주변환경 등에 대한 정보는 블랙박스 영상을 통하여 어느 정도 유추가 가능하지만, 운전자 등 부상자의 상태를 측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종래에 카메라를 이용하거나 시트, 스티어링휠 등에 헬스케어 센서 등을 장착한 헬스케어 시스템, 또는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DSM, Driver State Monitoring) 시스템은, 평상시 운전자의 상태를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거나 운전자가 의도할 때에만 측정을 수행하므로, 교통 사고 후에 운전자의 심박, 혈압, 기초체온 등 상태 정보를 정확히 제공해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충격 감지 및 차량 사고 시 119 구급 요원 등에게 운전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여 빠른 응급처치를 유도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과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일면에 따른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충격 감지 센서; 상기 차량에 가해진 충격량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일 때 상기 하나 이상의 충격 감지 센서로부터 생성된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에 탑승자의 헬쓰케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차량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헬쓰케어 감지 센서;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에어백의 전개 여부에 따라 경미 사고 또는 위급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교통 사고 후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상기 헬쓰케어 정보에 기초한 신체 상태 정보를, 상기 경미 사고 시와 상기 위급 사고 시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방식으로, 표시 수단을 통해 제공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은, 상기 교통 사고 후에 상기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심박, 호흡, 혈압, 혈당 또는 체온을 포함하는 상기 헬쓰케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체 상태 정보를 제공하여 빠른 응급처치를 유도하고 운전자의 안전과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미 사고 시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이나 스피커를 통해 상기 신체 상태 정보가 제공되도록 제어하거나, 통신 모듈을 통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신체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위급 사고 시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미 사고 시에 제공 대상의 신체 상태 정보를 출력수단을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 이외에, 상기 위급 사고 시에 제공 대상의 신체 상태 정보를, 통신 모듈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구조 센터 또는 주위의 구급차를 포함한 다른 차량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충격 감지 센서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기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헬쓰케어 감지 센서는, 승용차의 운전석, 조수석, 뒷좌석, 또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유아동 카시트에 착석한, 상기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 대하여, 헬쓰케어 관련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웨어러블 센서, 카메라, 시트벨트에 장착된 센서, 시트에 장착된 센서, 또는 버튼형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운전자 상태 안내 장치에서 교통 사고 후에 운전자 상태 안내 방법은, 차량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충격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에 가해진 충격량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일 때 해당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헬쓰케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에 탑승자의 헬쓰케어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에어백의 전개 여부에 따라 경미 사고 또는 위급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교통 사고 후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상기 헬쓰케어 정보에 기초한 신체 상태 정보를, 상기 경미 사고 시와 상기 위급 사고 시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방식으로, 표시 수단을 통해 제공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전자 상태 안내 방법은, 상기 교통 사고 후에 상기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심박, 호흡, 혈압, 혈당 또는 체온을 포함하는 상기 헬쓰케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체 상태 정보를 제공하여 빠른 응급처치를 유도하고 운전자의 안전과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미 사고 시에, 상기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이나 스피커를 통해 상기 신체 상태 정보를 제공하거나, 통신 모듈을 통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신체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제공한다.
상기 위급 사고 시에, 상기 경미 사고 시에 제공 대상의 신체 상태 정보를 출력수단을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 이외에, 상기 위급 사고 시에 제공 대상의 신체 상태 정보를, 통신 모듈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구조 센터 또는 주위의 구급차를 포함한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여 제공한다.
상기 충격 감지 센서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기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헬쓰케어 감지 센서는, 승용차의 운전석, 조수석, 뒷좌석, 또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유아동 카시트에 착석한, 상기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 대하여, 헬쓰케어 관련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웨어러블 센서, 카메라, 시트벨트에 장착된 센서, 시트에 장착된 센서, 또는 버튼형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차량의 충격 감지 및 차량 사고 시 119 구급 요원 등에게 운전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여, 일분일초가 아쉬운 긴박한 상황에서 빠른 응급처치를 유도하고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과 생존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주행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과 연동을 위한, 차량 내 운전자 상태감지시스템(DSM), 헬스케어 시스템, 에어백 시스템 등의 상품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특히, 말을 못하는 유아동이나 심신미약자, 혹은 중증 상해로 인해 의식이 불명인 사람들의 상태를 안내할 수 있으므로, 차량 내 헬스케어 시스템으로서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안전 기능으로서 판매소구점(selling point) 확보가 가능하다.
향후 보험이나 법규 등과 맞물려, 본 발명에 따른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은 궁극적으로 사회전반의 의료비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의 동작 설명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미사고와 위급사고의 구분된 신체상태정보 제공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의 구현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그 설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각각의 도면에 그려진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여기에 기재되는 내용들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100)(또는 장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100)은, 제어부(110), 메모리(111), 차량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충격 감지 센서(120), 차량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헬쓰케어 감지 센서(130), 이동통신/근거리통신/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등을 통해 외부의 서버나 이동통신단말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모듈(140), 및 디스플레이 모듈(151)/스피커(152) 등을 포함하는 출력장치(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100)의 각부 구성요소들은 반도체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100)의 운영에 필요한 설정 정보를 메모리(111)에 관리하며, 센서(120/130)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나 기타 제어를 위하여 생성한 정보 등을 메모리(111)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충격 감지 센서(120)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해 차량 사고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여러곳에 충격 감지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 충격 시 에어백이 전개되는 에어배 시스템이 장착된 경우, 에어백 파이어링 판단을 위한 센서 진단 모듈(SDM, Sensor Diagnostic Module)은 차량에 설치된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 예를 들어, 전방충격 센서(EFS, elctronic front sensor), 측면충격 감지 센서(SIS, side impact sensor), 좌석 위치 감지 센서(시트가 앞쪽에 있으면 약하게 전개), 승객분류센서(북미의 경우 조수석 유아동/성인 판단시 활용하며, 무게를 감지하여 승객분류), 벨트 착용 감지 센서, 가속도 센서, 전복감지 센서 등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집하여, 에어백 파이어링 여부를 판단한다. 즉, 충격 감지 센서(120)는 이와 같이 차량에 설치된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일 수 있다.
헬쓰케어 감지 센서(130)는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 등 탑승자의 헬쓰케어 정보(예, 심박, 호흡, 혈압, 혈당, 체온 등)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측정하기 위해 차량에 구비된 다양한 헬쓰케어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 가해진 충격량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일 때 충격 감지 센서(120)는 해당 감지 신호를 생성하며, 이에 따라 헬쓰케어 감지 센서(130)는 차량에 탑승자의 헬쓰케어 정보를 측정한다. 헬쓰케어 감지 센서(130)는 승용차의 운전석, 조수석, 뒷좌석, 또는 차량에 설치된 유아동 카시트에 착석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 대하여, 헬쓰케어 관련 정보(예, 심박, 호흡, 혈압, 혈당, 체온, 표정 등 감지)를 감지하기 위한, 웨어러블 센서, 카메라, 시트벨트에 장착된 센서, 시트에 장착된 센서, 또는 버튼형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차량에 설치된 에어백의 전개 여부에 따라 경미 사고 또는 위급 사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통 사고 후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위와 같은 헬쓰케어 정보에 기초한 신체 상태 정보(예, 해당 헬쓰케어 정보를 포함하는 경보메시지, 경보음 등)를, 상기 경미 사고 시와 상기 위급 사고 시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1), 스피커(152)와 같은 표시 수단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 본 발명의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100)에서는, 교통 사고 후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심박, 호흡, 혈압, 혈당 또는 체온과 같은 헬쓰케어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신체 상태 정보를 제공하여 빠른 응급처치를 유도하고 운전자의 안전과 생존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100)의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의 동작 설명을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동안, 충격 감지 센서(120)는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는 지 여부를 감시한다(S110). 예를 들어, 차량에 충격 시 에어백이 전개되는 에어배 시스템이 장착된 경우, 에어백 파이어링 판단을 위한 센서 진단 모듈(SDM, Sensor Diagnostic Module)은 차량에 설치된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 예를 들어, 전방충격 센서(EFS, elctronic front sensor), 측면충격 감지 센서(SIS, side impact sensor), 좌석 위치 감지 센서(시트가 앞쪽에 있으면 약하게 전개), 승객분류센서(북미의 경우 조수석 유아동/성인 판단시 활용하며, 무게를 감지하여 승객분류), 벨트 착용 감지 센서, 가속도 센서, 전복감지 센서 등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집하여, 에어백 파이어링 여부를 판단한다.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와 같은 센서를 하나 이상 조합하여 충격 감지 센서(120)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격 감지 센서(120)는 차량에 가해진 충격량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경우, 교통 사고로 판단해 소정의 해당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20).
충격 감지 센서(120)가 해당 감지 신호를 생성하면, 이에 따라 헬쓰케어 감지 센서(130)는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 등 탑승자의 헬쓰케어 정보(예, 심박, 호흡, 혈압, 혈당, 체온 등)를 측정하여 탑승자의 신체 상태를 감지한다(S130). 헬쓰케어 감지 센서(130)는 승용차의 운전석, 조수석, 뒷좌석, 또는 차량에 설치된 유아동 카시트에 착석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 대하여, 헬쓰케어 관련 정보(예, 심박, 호흡, 혈압, 혈당, 체온, 표정 등 감지)를 감지하기 위한, 웨어러블 센서, 카메라, 시트벨트에 장착된 센서, 시트에 장착된 센서, 또는 버튼형 센서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차량 내 각 센서들(120)을 통해 충격이 감지되면, 운전자 등에 대한 헬스케어 센싱을 실시하고, 미세 충돌과 같은 경미한 사고일 경우 소정의 신체 상태 정보를 표시하고(S131), 위험 충돌과 같은 위급 사고일 경우(에어백 전개시)(S140) 신체 상태 정보의 표시와 더불어 네트워크 상의 구조 센터나 주위의 구급차 등에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한다(S141). 위험 충돌과 같은 위급 사고가 아닌 경우(에어백 전개가 없는 경우)(S140) 이와 같은 추가적인 메시지 전송은 없다(S142).
이를 위하여, 제어부(110)는 차량에 설치된 에어백의 전개 여부에 따라 경미 사고 또는 위급 사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통 사고 후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위와 같은 헬쓰케어 정보에 기초한 신체 상태 정보(예, 심박, 호흡, 혈압, 혈당, 체온, 표정 등 바이탈 사인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경보메시지, 경보음 등)를, 상기 경미 사고 시와 상기 위급 사고 시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1), 스피커(152)와 같은 표시 수단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미 사고 시에, 제어부(110)는 차량에 설치된 AVN(Audio Video Navigation) 등의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스피커(152)를 통해 신체 상태 정보가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통신 모듈(140)을 통해 미리 등록된 운전자, 동승자 등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신체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장치에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도 3 참조). 예를 들어, 말을 못하는 유아동 동승자의 경우, 안전벨트나 유아용 카시트 등에 장착된 헬쓰케어 감지 센서(130)에 의한 센싱 정보에 기초한 신체 상태 정보를 AVN에 표시하거나, 운전자, 동승자 등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는 WiFi, WiBro 등 무선 인터넷 통신, WCDMA, LTE 등 이동통신 또는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무선 통신 등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일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위와 같은 통신을 지원하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PC 등 다양한 휴대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차량에 설치된 에어백이 전개되는 위급 사고 시에, 제어부(110)는 경미 사고 시에 제공 대상의 신체 상태 정보를 출력수단(디스플레이 모듈(151), 스피커(152),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동통신단말기 등)을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 이외에, 위급 사고 시에 제공 대상의 신체 상태 정보를, 통신 모듈(140)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구조 센터(예, 119 구급센터, 의료기관 등) 또는 주위의 구급차(예, 119 구급차, 기타 다른 차량)를 포함한 다른 차량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도 3 참조). 예를 들어, e-call/mail(electronic-call/mail)이나 TMS(Telematics System)를 이용하여 구조 센터(예, 119 구급센터, 의료기관 등) 또는 주위의 구급차(예, 119 구급차, 기타 다른 차량)를 포함한 다른 차량으로, 위급 사고 시에 제공 대상의 신체 상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경미 사고 시에 제공 대상의 신체 상태 정보와 위급 사고 시에 제공 대상의 신체 상태 정보는, 심박, 호흡, 혈압, 혈당, 체온, 표정 등 바이탈 사인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경보메시지, 경보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위급 사고 시에 제공 대상의 신체 상태 정보에는, 이외에도 운전자 또는 동승자 등이 위급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소정의 텍스트나 경보음을 포함하는 메시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 본 발명의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100)에서는, 교통 사고 후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심박, 호흡, 혈압, 혈당 또는 체온과 같은 헬쓰케어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신체 상태 정보를 제공하여 빠른 응급처치를 유도하고 운전자의 안전과 생존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100)의 구현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100)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100)은 도 4와 같은 컴퓨팅 시스템(100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1310) 및 RAM(Random Access Memory)(13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100)에서는, 차량의 충격 감지 및 차량 사고 시 119 구급 요원 등에게 운전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여, 일분일초가 아쉬운 긴박한 상황에서 빠른 응급처치를 유도하고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과 생존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주행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과 연동을 위한, 차량 내 운전자 상태감지시스템(DSM), 헬스케어 시스템, 에어백 시스템 등의 상품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특히, 말을 못하는 유아동이나 심신미약자, 혹은 중증 상해로 인해 의식이 불명인 사람들의 상태를 안내할 수 있으므로, 차량 내 헬스케어 시스템으로서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안전 기능으로서 판매소구점(selling point) 확보가 가능하다. 향후 보험이나 법규 등과 맞물려, 본 발명에 따른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은 궁극적으로 사회전반의 의료비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제어부(110)
메모리(111)
충격 감지 센서(120)
헬쓰케어 감지 센서(130)
통신모듈(140)
디스플레이 모듈(151)
스피커(152)
출력장치(150)

Claims (12)

  1. 차량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충격 감지 센서;
    상기 차량에 가해진 충격량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일 때 상기 하나 이상의 충격 감지 센서로부터 생성된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에 탑승자의 헬쓰케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차량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헬쓰케어 감지 센서;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에어백의 전개 여부에 따라 경미 사고 또는 위급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교통 사고 후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상기 헬쓰케어 정보에 기초한 신체 상태 정보를, 상기 경미 사고 시와 상기 위급 사고 시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방식으로, 표시 수단을 통해 제공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사고 후에 상기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심박, 호흡, 혈압, 혈당 또는 체온을 포함하는 상기 헬쓰케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체 상태 정보를 제공하여 빠른 응급처치를 유도하고 운전자의 안전과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미 사고 시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이나 스피커를 통해 상기 신체 상태 정보가 제공되도록 제어하거나, 통신 모듈을 통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신체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급 사고 시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미 사고 시에 제공 대상의 신체 상태 정보를 출력수단을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 이외에, 상기 위급 사고 시에 제공 대상의 신체 상태 정보를, 통신 모듈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구조 센터 또는 주위의 구급차를 포함한 다른 차량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감지 센서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기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쓰케어 감지 센서는, 승용차의 운전석, 조수석, 뒷좌석, 또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유아동 카시트에 착석한, 상기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 대하여, 헬쓰케어 관련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웨어러블 센서, 카메라, 시트벨트에 장착된 센서, 시트에 장착된 센서, 또는 버튼형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
  7. 운전자 상태 안내 장치에서 교통 사고 후에 운전자 상태 안내 방법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충격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에 가해진 충격량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일 때 해당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헬쓰케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에 탑승자의 헬쓰케어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에어백의 전개 여부에 따라 경미 사고 또는 위급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교통 사고 후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상기 헬쓰케어 정보에 기초한 신체 상태 정보를, 상기 경미 사고 시와 상기 위급 사고 시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방식으로, 표시 수단을 통해 제공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상태 안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사고 후에 상기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심박, 호흡, 혈압, 혈당 또는 체온을 포함하는 상기 헬쓰케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체 상태 정보를 제공하여 빠른 응급처치를 유도하고 운전자의 안전과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상태 안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미 사고 시에, 상기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이나 스피커를 통해 상기 신체 상태 정보를 제공하거나, 통신 모듈을 통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신체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상태 안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급 사고 시에, 상기 경미 사고 시에 제공 대상의 신체 상태 정보를 출력수단을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 이외에, 상기 위급 사고 시에 제공 대상의 신체 상태 정보를, 통신 모듈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구조 센터 또는 주위의 구급차를 포함한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상태 안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감지 센서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기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상태 안내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헬쓰케어 감지 센서는, 승용차의 운전석, 조수석, 뒷좌석, 또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유아동 카시트에 착석한, 상기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 대하여, 헬쓰케어 관련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웨어러블 센서, 카메라, 시트벨트에 장착된 센서, 시트에 장착된 센서, 또는 버튼형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상태 안내 방법.
KR1020160056413A 2016-05-09 2016-05-09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6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413A KR20170126244A (ko) 2016-05-09 2016-05-09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413A KR20170126244A (ko) 2016-05-09 2016-05-09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244A true KR20170126244A (ko) 2017-11-17

Family

ID=60808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413A KR20170126244A (ko) 2016-05-09 2016-05-09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62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677A (ko) * 2017-11-28 2019-06-05 김영환 IoT 스마트웨어 기반의 긴급 상황 대응 장치
GB2583347A (en) * 2019-02-24 2020-10-2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vehicle and a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for vehicle
KR20210082024A (ko) * 2019-12-24 2021-07-02 주식회사 텔레칩스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677A (ko) * 2017-11-28 2019-06-05 김영환 IoT 스마트웨어 기반의 긴급 상황 대응 장치
GB2583347A (en) * 2019-02-24 2020-10-2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vehicle and a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for vehicle
KR20210082024A (ko) * 2019-12-24 2021-07-02 주식회사 텔레칩스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5547B2 (en) Emergency-call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10434965B2 (en) Vehicular safety seat, controller coupled with vehicular safety seat, and vehicular safety seat system
TWM557690U (zh) 疲勞駕駛監測裝置
EP2983147B1 (en) Biometric monitoring and alerting for a vehicle
US11077792B2 (en) Driver focus analyzer
CN108705958B (zh) 用于座椅生物识别的隐私保护的系统和方法
KR20130050113A (ko) 위험단계별 경고기능을 갖는 차량 운행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26244A (ko)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2007183824A (ja) 運転支援装置
JP2016091309A (ja) 警告通知システム及び警告通知方法
JP2017117194A (ja) 車両の緊急通報システム
CN113766479A (zh) 用于车辆的向救援呼叫中心发送乘员信息的方法及装置
CN114496181A (zh) 车辆中的自动分诊护士系统
KR20200077135A (ko) 자동 잠든 아이 확인 장치
Priyanka et al.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avoidance and drowsiness detector for automobile accidents prevention
JP6641642B2 (ja) 生命徴候検出装置
JP2017084071A (ja) 車載機
SE539493C2 (sv) Förarvarning och begränsning av fordons framförande vid olyckstillbud
US20230234564A1 (en) Agent apparatus
US10912509B2 (en) Portable intelligent driver's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on the road
JP2018116426A (ja) ドライバ状態検出装置
JP2015125697A (ja) 車両用事故通報装置
KR102175359B1 (ko)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차량의 경보시스템
KR20180108033A (ko) 생체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정보 알람 시스템
KR102417890B1 (ko) 운전자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