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2024A -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2024A
KR20210082024A KR1020190174551A KR20190174551A KR20210082024A KR 20210082024 A KR20210082024 A KR 20210082024A KR 1020190174551 A KR1020190174551 A KR 1020190174551A KR 20190174551 A KR20190174551 A KR 20190174551A KR 20210082024 A KR20210082024 A KR 20210082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accident
vehicle
information
occupant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7290B1 (ko
Inventor
박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레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레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레칩스
Priority to KR1020190174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290B1/ko
Publication of KR20210082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2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within the own vehicle, e.g. a local storage device, digital m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컴퓨팅 장치가 교통사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교통사고 등급들과 각 등급에 따른 교통사고 정보 전송 방법을 저장하는 단계,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교통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화면에 교통사고 신고 접수 알람을 출력하여 탑승자에게 알리는 단계, 상기 교통사고 신고 접수 알람에 대한 상기 탑승자의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교통사고 등급들 중에서, 상기 응답에 따라 상기 교통사고가 해당하는 등급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교통사고의 등급에 따른 교통사고 정보 전송 방법에 따라 지정된 구조센터 서버 또는 등록된 단말로 상기 차량 상태 정보와 상기 탑승자의 상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RAFFIC ACCIDENT INFORMATION}
본 발명은 교통사고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콜(eCall, Emergency Call)은 교통사고 발생 시 자동으로 구조를 요청할 수 있는 차량용 비상 전화 시스템이다. 외딴 지역에서 차량 사고가 발생하거나, 운전자가 스스로 신고 등의 연락을 취할 수 없을 경우에 대비한 자동 안전 시스템이다. 에어백이 전개되는 등 교통사고가 발생한 것을 인지하면, 차량 내 설치된 시스템이 긴급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전화를 연결한다.
또한 사고가 발생한 인근 관할 긴급 구조대로 최소 사고 정보(Minimum Set of Data, MSD)를 전송한다. MSD는 사고가 발생한 위치, 사고 차량의 유형, 차량의 운행 방향, 긴급 전화번호로 신고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 사고 차량의 연료 타입, 사고 당시에 작동된 안전벨트 수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운전자 또는 차량 탑승자에게 심각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이콜이 작동하여 112에 자동으로 신고를 접수하더라도, 정확한 사고의 상황과 차량 탑승자의 상세한 정보까지는 알려줄 수 없다. 이콜이 아닌, 사고 발생 주변에 있는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차량 탑승자가 아닌 외부에 있는 입장에서 차량 내의 탑승자가 정확히 몇 명인지, 탑승자의 연령대가 어떻게 되는지, 부상자가 있는지 여부 등의 상세한 정보는 판단하기 어렵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교통사고 발생 시, 차량 내의 탑승자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수집하여 구조센터에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교통사고 발생 시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상태에 따라 신고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가 교통사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교통사고 등급들과 각 등급에 따른 교통사고 정보 전송 방법을 저장하는 단계,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교통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화면에 교통사고 신고 접수 알람을 출력하여 탑승자에게 알리는 단계, 상기 교통사고 신고 접수 알람에 대한 상기 탑승자의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교통사고 등급들 중에서, 상기 응답에 따라 상기 교통사고가 해당하는 등급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교통사고의 등급에 따른 교통사고 정보 전송 방법에 따라 지정된 구조센터 서버 또는 등록된 단말로 상기 차량 상태 정보와 상기 탑승자의 상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경미 사고인 경우 상기 등록된 단말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위급 사고인 경우 상기 지정된 구조센터 서버와 상기 등록된 단말의 비상 연락망으로 신고 접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응답이 있으면 경미 사고로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응답이 없으면 위급 사고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응답은, 상기 컴퓨팅 장치의 화면에 출력된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상기 탑승자가 음성으로 응답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정보는 차량의 좌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좌석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탑승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상기 탑승자가 앉은 좌석을 포함하는 탑승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안전벨트가 잠금 장치에 결합된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탑승자가 앉은 좌석을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가 교통사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교통사고 등급들과 각 등급에 따른 교통사고 정보 전송 방법을 저장하는 단계,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이상 원인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이상 원인에 따라 단순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이 손상된 부분을 출력하고, 교통사고인 경우 교통사고 발생에 따른 상기 차량이 손상된 부분과 교통사고 신고 접수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교통사고의 등급에 따른 교통사고 정보 전송 방법에 따라 지정된 구조센터 서버 또는 등록된 단말로 상기 차량이 손상된 부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이상 원인이 교통사고인 경우, 상기 구조센터 서버 또는 상기 등록된 단말의 비상 연락망으로 교통사고 신고 접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외부를 촬영하는 SVM(Surround View Monitor), 상기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IMS(Interior Monitoring System), 상기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는 GP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IMS로부터 상기 차량 내부의 영상을 분석하여 얻은 탑승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로서, 메모리,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로드된 프로그램의 명령들(instructions)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복수의 교통사고 등급들과 각 등급에 따른 교통사고 정보 전송 방법을 저장하는 단계,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차량 상태 정보와 상기 차량에 탑승한 탑승 인원을 포함하는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교통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교통사고로 인해 상기 차량의 손상된 부분과 교통사고 신고 접수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교통사고 신고 접수 알람에 대한 상기 탑승자의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교통사고 등급들 중에서, 상기 응답에 따라 상기 교통사고가 해당하는 등급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교통사고의 등급에 따른 교통사고 정보 전송 방법에 따라 지정된 구조센터 서버 또는 등록된 단말로 상기 차량 상태 정보와 상기 탑승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기술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의 속도, 상기 차량 주위의 영상, 상기 차량의 유형,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상기 차량에 주입되는 연료의 종류,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에어백의 전개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승자 정보는 각 탑승자의 성별, 각 탑승자의 연령대, 각 탑승자의 좌석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승자 정보는 상기 차량이 특수한 목적의 차량인지 여부 또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구조물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탑승자가 직접 신고를 하지 못할 위급 사고의 경우에도 신고 접수가 가능하므로, 위급한 상황의 탑승자는 응급 처치를 빠르게 받을 수 있고 구조자는 대응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 있지 않은 구조자가 사고 당시의 차량 내부의 상황을 알 수 있어, 사고 처리를 위한 구조 계획을 적절히 세울 수 있고 사고 처리 및 응급 환자 이송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과 그 주변 환경의 구성도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따라 탑승자 정보를 분석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의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과 그 주변 환경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교통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1000)은 차량의 영상 정보, 위치 정보, 상태 정보 등을 수집하여 차량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차량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탑승자에게 알리고, 탑승자의 반응에 따라 경미 사고와 위급 사고로 구분하여 판단하고, 구조센터 서버에 신고하고 차량 정보와 탑승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교통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1000)은 차량 정보 수집 장치(100),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를 포함하고, 구조센터 서버 및 휴대전화와 연결된다.
차량 정보 수집 장치(100)는 GPS(120), SVM(Surround View Monitor)(110), 내부 감시 시스템(Interior Monitoring System, 이하 ‘IMS’라고 호칭함)(130)과 차량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된 센서들(14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정보 수집 장치(100)는 차량의 외부, 내부를 촬영한 영상,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차량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로 전달한다. 한 예로서, 차량 정보 수집 장치(100)와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등으로 통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IMS(130)가 차량 정보 수집 장치(100) 내에 포함된 것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에 내장될 수도 있다.
차량 정보 수집 장치(100)는 표 1과 같이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각종 장치로부터 차량의 상태 정보를 표상하는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다.
수집하는 장치 수집하는 정보
SVM 차량의 진행 방향
SVM 차량의 유형
SVM 차량 주위 영상
IMS 차량 내부 영상
GPS 차량 속도
GPS 차량 현재 위치
에어백 센서 에어백 전개 여부
연료 센서 연료 종류
IMS(130)는 차량 내부를 사진 또는 영상 클립으로 촬영한다. IMS(130)가 자체적으로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탑승자 정보를 분석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IMS(130)가 촬영한 영상을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가 수신하여,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가 탑승자 정보를 분석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수집한 차량 정보와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판단하고, 이상이 발생한 경우, 차량의 손상 정도와 탑승자의 반응에 따라 단순 이상 또는 교통사고로 판단한다. 교통사고라고 판단된 경우, 탑승자의 반응 여부에 따라 경미 사고와 위급 사고로 구분하고, 구조센터로 신고하며 교통사고 정보를 구조센터 서버로 전송한다.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고, 차량 정보와 탑승자 정보에 따라 차량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단순 고장이 발생했는지 또는 교통사고가 발생했는지 판단하기 위한 기준들을 저장한다. 각 항목에 대한 기준값들은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수집한 데이터의 보관과 후처리를 위해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후처리란, 탑승자의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모자이크 처리를 의미할 수 있다.
NPU(240)란 인공 뉴럴 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세서 유닛으로, 동시다발적인 행렬연산에 최적화된 프로세서로 여러 개의 연산을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다. NPU(240)를 통해 차량 정보 수집 장치(100)의 IMS(130)로에서 수신한 차량 내부의 영상을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탑승자의 연령대, 성별, 부상의 정도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2와 같이 탑승자 정보를 테이블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할 때, 탑승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모자이크 처리를 위해 NPU(240)로 딥러닝 알고리즘을 구동할 수 있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따라 탑승자 정보를 분석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차량 정보 수집 장치(100)로부터 차량의 크기와 차량 내에 설치된 좌석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한다.
도 2의 (a)를 참고하면,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가 설치된 차량이 4인승 차량인 경우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해당 차량의 구조와 좌석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한 예로서, 좌석에 번호를 매길 수 있다. 4인승 차량은 보조 좌석을 고려하여 5개의 좌석에 탑승자가 위치할 수 있으며, 얼굴 인식(Face Recognition) 등의 이미지 프로세싱 알고리즘을 통해 차량 내 탑승자가 몇 명이고, 몇 번 좌석에 탑승자가 위치하는 지를 파악할 수 있다.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탑승자의 얼굴뿐만 아니라, 카시트 등 좌석에 추가로 설치되는 구조물들을 인식할 수 있다.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운전자를 포함한 차량에 탑승한 총 인원, 각 좌석에 탑승한 탑승자의 성별, 연령대 등을 분석하고, 표 2와 같은 형태로 관리할 수 있다.
탑승 인원 탑승자 성별
(남/여)
탑승자 연령대
(영유아/청소년/어른/노인)
탑승 위치
(a) 2 1-남
2-여
1-어른
2-노인
1, 2
(b) 4 1-남
3-남
5-여
6-여
1-어른
3-청소년
5-청소년
6-영유아
1, 3, 5, 6
한편,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가 관리하는 탑승자 정보는, 해당 차량이 장애인 차량 등과 같이 특수한 경우인지, 차량 내 탑승자 중 장애인이 포함되었는지를 추가로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사전에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에 장애인 차량 여부를 등록하거나, 차량 정보 수집 장치(100)의 IMS(130)에서 수신한 영상에서 휠체어 등을 인식하여 해당 차량이 장애인 차량인지 파악할 수 있다. 해당 차량이 장애인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장애인이 탑승한 좌석 번호와 휠체어가 위치한 좌석 번호 등을 추가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탑승자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이미지 프로세싱 알고리즘의 결과와 함께 몇 번 좌석의 안전벨트가 잠금 장치에 장착되었는지를 추가로 고려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고하면, 대형 승합차의 경우 보조 좌석 또는 접이식 의자가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접이식 의자가 펼쳐지는 경우, 탑승 가능한 좌석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접의식 의자는 일반 좌석과 안전벨트의 유형이 다를 수 있으므로,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접의식 의자와 일반 좌석과 좌석 번호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의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차량 정보 수집 장치(100)로부터 차량의 내부와 외부의 영상, 차량의 위치 정보, 차량의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S101).
차량의 상태 정보란, 차량의 속도, 가속도, 현재 위치, 브레이크의 상태, 배터리의 상태, 배기가스 정보, 주유량, 연료 분사량, 등 차량의 운행과 직접적으로 관계된 정보를 의미하고, 차량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주요 부품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VM(110)으로부터 차량 주변을 하늘에서 내려다보는 시점에서 주차선이나 사각 영역 장애물 등을 포함한 영상을 수신하고, IMS(130)로부터 탑승자가 촬영된 차량 내부의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수집된 정보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임의의 시간 동안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에 저장되고, 설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장치의 효율적인 용량 관리를 위해 삭제될 수 있다. 저장되는 시간은 사용자, 관리자 또는 제조사의 기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정보를 장기적으로 보관하고 백업을 위해,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차량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한 예로서,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게이트웨이를 거쳐 TCU(220)를 통해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차량 내부의 영상을 이용하여, 탑승자 정보를 분석한다(S102). 탑승자 정보란, 현재 차량에 탑승한 인원, 탑승자의 성별, 연령대,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한 위치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가 차량 내부 영상으로 탑승자 정보를 분석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IMS(130)가 탑승자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수신한 차량 정보와 분석한 탑승자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103). 구체적으로,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의 AP(210) 내부 또는 외부에 연결된 MCU(230)와 센서(140)에 연결된 MCU 간의 통신으로 실시간으로 차량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MCU 간 통신 방식은 CAN, LIN, FlexRay 등 일 수 있다. 한편, 영상 데이터와 같이 많은 데이터량이 필요되는 경우, AP(210)와 센서(140)가 직접 통신한다. AP(210)와 센서(140)가 통신하는 방식은 Ethernet, PCIe 등 일 수 있다.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차량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확인한다(S104). 구체적으로, 차량의 정상과 이상을 구분하기 위해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MCU(230)에 연결된 센서(140)들로부터 수집하는 각 정보들의 임계값을 설정하여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에 저장할 수 있다.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수집 정보의 각 항목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차량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104 단계에서 차량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차량 정보 수집 장치(100)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일련의 과정을 다시 진행할 수 있다.
S104 단계에서 차량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면,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차량이 손상된 원인을 파악한다(S105). 예를 들어, 차량에 이상이 있는 경우는 내부의 센서 등의 고장이거나 또는 차량 외부의 장애물과의 충돌이 발생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전자는 교통사고가 아니고, 후자는 교통사고로 취급될 수 있으므로 손상이 발생한 원인을 분석해야 한다.
차량이 손상된 원인을 바탕으로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교통사고가 발생했는지 판단한다(S106).
S106 단계에서, 차량 내부의 센서 등의 고장이 손상 원인으로 판단된 경우,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화면에 차량 손상 정보를 표시한다(S107). 예를 들어 도 4의 (a)와 같이 차량이 손상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문구와, 손상된 위치를 그림으로 제공할 수 있다.
S106 단계에서, 교통사고라고 판단된 경우,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교통사고가 발생 내용과 신고 버튼을 화면에 표시하고 알람을 발생한다(S108). 신고 버튼은 교통사고가 발생했다는 사실을 구조센터 서버에 알리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4의 (b)와 같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추가로 교통사고로 차량이 손상된 부분을 더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화면에 버튼이 출력되면 운전자 등의 탑승자는 신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운전자는 화면의 신고 버튼을 눌러 구조센터에 교통사고를 접수할 수 있다. 또는 부상자가 없거나 경미한 사고의 경우 운전자의 재량에 따라 사고 접수를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화면의 취소 버튼을 눌러 신고 접수를 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부상자가 있거나 차량이 심각하게 손상되어 신고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경우임에도, 탑승자가 의식 불명이거나 차량 내부의 특정한 상황에 의해 신고 버튼을 누를 수 없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고 접수를 자동으로 하기 위해,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버튼이 화면에 출력되는 일정 시간을 설정한다. 설정한 시간이 경과하여도 운전자 등의 탑승자가 신고 또는 취소 버튼을 누르지 않은 경우, 탑승자가 버튼을 누르지 못할 정도의 위급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내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신고 또는 취소 버튼을 누르는지 확인한다(S109).
S109 단계에서 취소 버튼이 눌린 경우,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현재 차량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하였으나 구조센터 서버 또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휴대전화 비상연락망에 연락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고, 교통사고로 손상된 차량 정보만을 화면에 표시한다(S110). 한 예로서, 도 4의 (c)와 같은 화면이 제공되고, 사고가 발생한 차량의 부분을 알릴 수 있다. 추가적으로,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가 위급 사고의 등급을 세분화하여 사고 등급을 판단하고, 이를 제공할 수도 있다.
S109 단계에서 신고 버튼이 눌린 경우,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경미 사고가 난 것으로 판단하고, 운전자 또는 탑승자 단말로 S101 단계와 S102 단계에서 수집한 정보를 전송한다(S111). 구체적으로.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내장된 블루투스 모듈 또는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하여 차량 내에 위치한 휴대전화들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S109 단계에서 설정한 시간 내 어떠한 버튼도 눌리지 않았다면,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위급 사고가 난 것으로 판단하고, 구조센터 서버에 신고하여 교통사고를 접수한다(S112). 한편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TCU(220)를 통해 구조센터 서버로 곧바로 메시지를 보내거나 미리 등록된 음성을 송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미리 등록된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휴대전화 비상연락망에 메시지를 보내거나 미리 등록된 음성을 송출하여 신고 접수를 요청할 수 있다
S111 단계 이후,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교통사고 직후의 정확한 사고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차량 정보 수집 장치(100)로부터 추가 정보를 수집한다(S113). 차량 정보 수집 장치(100)가 추가로 수집하는 정보는 S101 단계에서 수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구조센터 서버로 S101 단계, S102 단계에서 수집된 교통사고 발생 전 정보와 S113 단계에서 수집한 교통사고 발생 후 정보를 구조센터 서버로 전송한다(S112). 구조자는 교통사고 발생 전후의 정보를 비교하여 정확한 구조 계획을 세우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한편,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의 차량 정보와 탑승자 정보가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의 영상 데이터가 구조센터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가 구조센터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 구조센터 서버가 S112 단계에서 신고를 접수하고, 위급 사고가 발생한 차량의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로 직접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도 5는 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차량 정보 수집 장치(100)는 차량 외부에 설치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SVM(110), GPS(120), 차량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IMS(130), 가속도 센서, 공기압 센서, 장애물 센서, 에어백 센서 등 차량에 설치된 각종 센서들(140)을 포함한다.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는 AP (Application Processor) (210), 외부의 서버 또는 단말과 통신하는 TCU (Telematics control unit)(220), 차량에 설치된 센서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230), 인공지능 모델 또는 딥러닝 모델과 관련된 연산을 수행하는 NPU(Neural Processing Unit)(240), 차량 정보와 탑승자 정보, 관리자가 설정한 기준값을 저장하는 메모리(250)를 포함한다.
차량 정보 수집 장치(100)와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등의 인터페이스로 통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교통사고 내용을 알리는 방법으로서,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의 화면에 버튼을 출력하는 방법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신고 여부에 대한 알림을 주고 확인 받을 수 있는 어떠한 방법이든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음성으로 신고 접수에 대해 안내하고, 운전자는 음성으로 "신고해줘." 또는 "취소해줘." 등의 명령을 내리면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200)는 운전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탑승자가 직접 신고를 하지 못할 위급 사고의 경우에도 신고 접수가 가능하므로, 위급한 상황의 탑승자는 응급 처치를 빠르게 받을 수 있고 구조자는 대응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 있지 않은 구조자가 사고 당시의 차량 내부의 상황을 알 수 있어, 사고 처리를 위한 구조 계획을 적절히 세울 수 있고 사고 처리 및 응급 환자 이송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4)

  1. 컴퓨팅 장치가 교통사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교통사고 등급들과 각 등급에 따른 교통사고 정보 전송 방법을 저장하는 단계,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교통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화면에 교통사고 신고 접수 알람을 출력하여 탑승자에게 알리는 단계,
    상기 교통사고 신고 접수 알람에 대한 상기 탑승자의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교통사고 등급들 중에서, 상기 응답에 따라 상기 교통사고가 해당하는 등급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교통사고의 등급에 따른 교통사고 정보 전송 방법에 따라 지정된 구조센터 서버 또는 등록된 단말로 상기 차량 상태 정보와 상기 탑승자의 상태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사고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경미 사고인 경우 상기 등록된 단말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위급 사고인 경우 상기 지정된 구조센터 서버와 상기 등록된 단말의 비상 연락망으로 신고 접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설정하는, 교통사고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응답이 있으면 경미 사고로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응답이 없으면 위급 사고로 판단하는, 교통사고 정보 제공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응답은,
    상기 컴퓨팅 장치의 화면에 출력된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상기 탑승자가 음성으로 응답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교통사고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차량 정보는 차량의 좌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좌석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탑승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상기 탑승자가 앉은 좌석을 포함하는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는, 교통사고 정보 제공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안전벨트가 잠금 장치에 결합된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탑승자가 앉은 좌석을 판단하는, 교통사고 정보 제공 방법.
  7. 컴퓨팅 장치가 교통사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교통사고 등급들과 각 등급에 따른 교통사고 정보 전송 방법을 저장하는 단계,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이상 원인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이상 원인에 따라 단순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이 손상된 부분을 출력하고, 교통사고인 경우 교통사고 발생에 따른 상기 차량이 손상된 부분과 교통사고 신고 접수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교통사고의 등급에 따른 교통사고 정보 전송 방법에 따라 지정된 구조센터 서버 또는 등록된 단말로 상기 차량이 손상된 부분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사고 정보 제공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이상 원인이 교통사고인 경우, 상기 구조센터 서버 또는 상기 등록된 단말의 비상 연락망으로 교통사고 신고 접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교통사고 정보 제공 방법.
  9. 제7항에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외부를 촬영하는 SVM(Surround View Monitor), 상기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IMS(Interior Monitoring System), 상기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는 GP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교통사고 정보 제공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IMS로부터 상기 차량 내부의 영상을 분석하여 얻은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는, 교통사고 정보 제공 방법.
  11. 컴퓨팅 장치로서,
    메모리,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로드된 프로그램의 명령들(instructions)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복수의 교통사고 등급들과 각 등급에 따른 교통사고 정보 전송 방법을 저장하는 단계,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차량 상태 정보와 상기 차량에 탑승한 탑승 인원을 포함하는 탑승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교통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교통사고로 인해 상기 차량의 손상된 부분과 교통사고 신고 접수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교통사고 신고 접수 알람에 대한 상기 탑승자의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교통사고 등급들 중에서, 상기 응답에 따라 상기 교통사고가 해당하는 등급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교통사고의 등급에 따른 교통사고 정보 전송 방법에 따라 지정된 구조센터 서버 또는 등록된 단말로 상기 차량 상태 정보와 상기 탑승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실행하도록 기술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의 속도, 상기 차량 주위의 영상, 상기 차량의 유형,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상기 차량에 주입되는 연료의 종류,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에어백의 전개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13. 제11항에서,
    상기 탑승자 정보는 각 탑승자의 성별, 각 탑승자의 연령대, 각 탑승자의 좌석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탑승자 정보는 상기 차량이 특수한 목적의 차량인지 여부 또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구조물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KR1020190174551A 2019-12-24 2019-12-24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77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551A KR102277290B1 (ko) 2019-12-24 2019-12-24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551A KR102277290B1 (ko) 2019-12-24 2019-12-24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024A true KR20210082024A (ko) 2021-07-02
KR102277290B1 KR102277290B1 (ko) 2021-07-14

Family

ID=76863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551A KR102277290B1 (ko) 2019-12-24 2019-12-24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2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40421A (zh) * 2022-07-20 2022-10-25 安徽远航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作业区的事故高效提报方法
KR102567778B1 (ko) * 2022-10-11 2023-08-17 (주)아이하트 이동체의 속성에 따라 보정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한 이동체의 위험발생 관제 시스템 및 방법
CN117455209A (zh) * 2023-12-26 2024-01-26 山东智慧云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地理位置的智慧交警管理服务系统及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26A (ja) * 1991-06-27 1993-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ナビゲーシヨン装置
KR100499508B1 (ko) * 2003-01-13 2005-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JP2010033570A (ja) * 2008-07-24 2010-02-12 Mando Corp 車両用ゲートウェイ電子制御装置及びその走行情報記録方法
KR20110092945A (ko) * 2010-02-11 2011-08-18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차량의 사고 발생을 알리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견적 시뮬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5017A (ko) * 2015-08-27 2017-03-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긴급 구조 요청 장치 및 방법
KR20170126244A (ko) * 2016-05-09 2017-1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930200B1 (ko) * 2018-02-28 2018-12-17 (주)로프 빅데이터를 포함하는 외부 서버 연계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및 차량용 사고 알림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26A (ja) * 1991-06-27 1993-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ナビゲーシヨン装置
KR100499508B1 (ko) * 2003-01-13 2005-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JP2010033570A (ja) * 2008-07-24 2010-02-12 Mando Corp 車両用ゲートウェイ電子制御装置及びその走行情報記録方法
KR20110092945A (ko) * 2010-02-11 2011-08-18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차량의 사고 발생을 알리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견적 시뮬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5017A (ko) * 2015-08-27 2017-03-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긴급 구조 요청 장치 및 방법
KR20170126244A (ko) * 2016-05-09 2017-1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고 차량의 운전자 상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930200B1 (ko) * 2018-02-28 2018-12-17 (주)로프 빅데이터를 포함하는 외부 서버 연계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및 차량용 사고 알림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40421A (zh) * 2022-07-20 2022-10-25 安徽远航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作业区的事故高效提报方法
CN115240421B (zh) * 2022-07-20 2024-02-09 安徽远航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作业区的事故高效提报方法
KR102567778B1 (ko) * 2022-10-11 2023-08-17 (주)아이하트 이동체의 속성에 따라 보정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한 이동체의 위험발생 관제 시스템 및 방법
CN117455209A (zh) * 2023-12-26 2024-01-26 山东智慧云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地理位置的智慧交警管理服务系统及方法
CN117455209B (zh) * 2023-12-26 2024-03-12 山东智慧云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地理位置的智慧交警管理服务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290B1 (ko) 202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7290B1 (ko) 교통사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9161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st-vehicle crash intelligence
JP5467907B2 (ja) 車載画像監視装置
KR101177356B1 (ko) 엘리베이터 방범장치
JP2002063668A (ja) 車内の人検出通報装置及び危険状態回避装置
KR102337143B1 (ko) 사고를 당한 차량의 적어도 한 명의 탑승자를 구호하는 방법 및 전용 구호 시스템
CN106515575A (zh) 一种用于儿童安全座椅的报警方法及系统
JP2017117194A (ja) 車両の緊急通報システム
CN207328380U (zh) 汽车占座、安全带系扣识别远程监控装置及系统
CN114496181A (zh) 车辆中的自动分诊护士系统
CN107499278A (zh) 汽车占座、安全带系扣识别远程监控装置、系统及方法
US20210139033A1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device
KR102549382B1 (ko) 어린이 사고 예방 안전 장치 및 방법
CN112614306B (zh) 一种带车辆及人员信息检测的车载ecall设备报警方法及系统
KR20160028542A (ko) 차량의 응급구조 및 범죄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373447B2 (en) Systems including image detection to inhibit vehicle operation
US20210099849A1 (en) Emergency system for a vehicle
JP2023182752A (ja) 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等
Rathore et al. Integrating biometric sensors into automotive Internet of Things
CN114793334A (zh) 基于车联网的救援呼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022574A (zh) 用于检测交通工具中乘客异常安定的系统和方法
KR20190009008A (ko) 차량 내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CN114948458A (zh) 一种车辆远程医疗救助方法、系统和车辆
JP6360662B2 (ja) 状況確認システム
KR20170025017A (ko) 긴급 구조 요청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