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008A - 차량 내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내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008A
KR20190009008A KR1020170090114A KR20170090114A KR20190009008A KR 20190009008 A KR20190009008 A KR 20190009008A KR 1020170090114 A KR1020170090114 A KR 1020170090114A KR 20170090114 A KR20170090114 A KR 20170090114A KR 20190009008 A KR20190009008 A KR 20190009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afety accident
information
accid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일
최중덕
이현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스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스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스포
Priority to KR1020170090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9008A/ko
Publication of KR20190009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0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detection of the vehicle occupants' presence; by detection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body of occupants, e.g. using radiant heat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38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for image processing, e.g. cameras or sensor 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27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sleepi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1Physiology, e.g. weight, heartbeat, health or special ne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9Attention level, e.g. attentive to driving, reading or sl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G06K2009/00932
    • G06K2009/0093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안전사고 감지장치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관리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차량에 설치되고, 차량의 현재위치에 대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정보를 수신하는 GPS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차량의 내부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내부정보를 기준정보와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며, 안전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안전사고에 대한 사고정보 및 GPS정보가 관리장치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내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Safety accident detection apparatus in vehicle and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전사고 감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감지하여 응급상황에 대한 응급조치가 신속하게 수행되도록 도와주는 차량 내에서의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도로 또는 고속도로에서 운전자 및 탑승자로 인해 차량정지 등의 교통위급상황 발생 시, 후속차량이 이러한 교통위급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고 2차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일 예로, 고속도로에서 당뇨병에 의한 쇼크 또는 심장마비, 혈압 등에 의한 쇼크로 운전자가 실신상태에 빠져 차량이 아이들(IDLE) 상태로 방치되어 후방 차량에 의한 2차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고 발생시, 운전자에 의한 위급상황 통지가 어렵고, 근접한 차량들의 운전자들 역시 위급 상황을 쉽게 확인되지 못하여 커다란 2차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32149호(2007.06.1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감지하여 응급상황에 대한 응급조치가 신속하게 수행되도록 도와주는 차량 내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안전사고 감지장치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관리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에 대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정보를 수신하는 GPS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내부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내부정보를 기준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안전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안전사고에 대한 사고정보 및 상기 GPS정보가 상기 관리장치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내부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안전사고가 발생되면 알람, 향기, 진동 자극 및 저주파 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서 생명체를 검출하면 상기 사고정보에 상기 생명체의 상태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사고가 발생하기 전, 상기 안전사고가 발생될 확률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아지면 상기 경보부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내부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내부에 대한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내부에 존재하는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휠(steering wheel)에 설치되고,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휠을 잡고 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압력센서,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휠에 설치되고, 상기 운전자의 손바닥에 대한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센서 및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휠에 설치되고, 상기 운전자의 손바닥에 분포된 혈관 및 근육으로 전달되는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및 상기 습도가 상기 기준 환경정보보다 높은 경우, 상기 안전사고를 온도상승으로 인한 고온사고로 판단하고, 상기 유해가스가 상기 기준 환경정보보다 높은 경우, 상기 안전사고를 가스유출로 인한 질식사고로 판단하며, 상기 압력, 상기 체온 및 상기 심박수가 상기 기준 운전정보보다 낮은 경우, 상기 안전사고를 졸음으로 인한 졸음 운전사고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차량 내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감지하는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상기 안전사고 감지장치로부터 상기 안전사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차량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안전사고 감지장치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관리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에 대한 GPS정보를 수신하는 GPS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내부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내부정보를 기준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안전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안전사고에 대한 사고정보 및 상기 GPS정보가 상기 관리장치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사고 감지장치가 안전사고를 감지하면 상기 안전사고에 해당되는 응급처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바디 컨트롤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바디 컨트롤 모듈은, 상기 안전사고가 발생되면, 상기 차량의 비상등이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안전사고가 고온, 질식사 및 졸음운전로 판단된 경우, 상기 차량의 창문을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은 차량의 내부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내부정보와 기준정보를 비교하여 안전사고의 여부를 판단하고, 안전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의 관리장치로 사고정보 및 GPS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에서 발생되는 응급상황에 대한 응급조치를 신속하게 수행하여 2차 사고에 대한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전사고 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경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사고 감지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차량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감지하여 응급상황에 대한 응급조치가 신속하게 수행되도록 도와준다. 이를 통해,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2차 사고에 대한 위험성을 최소화시켜준다.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안전사고 감지장치(10) 및 관리서버(30)를 포함하고, 바디 컨트롤 모듈(Body Control Module, BCM)(50)를 포함한다.
안전사고 감지장치(10)는 차량 내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감지한다. 여기서, 안전사고는 차량 내 온도상승으로 인한 고온 사고, 가스 유출로 인한 질식사고, 졸음운전으로 인한 졸음사고 등일 수 있다. 안전사고 감지장치(10)는 감지된 안전사고에 대한 사고정보 및 차량에 대한 위치정보를 관리장치(30)로 전송한다.
관리장치(30)는 안전사고 감지장치(10)로부터 안전사고에 대한 정보 및 차량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관리장치(30)는 소방서, 종합병원, 경찰서 등과 같은 기관의 단말이거나, 기 설정된 지정자의 단말일 수 있다. 즉, 관리장치(30)는 사고정보 및 위치정보를 전화통화, 영상통화, 문자,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의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관리장치(30)는 사고정보 및 GPS정보를 이용하여 발생된 안전사고에 맞는 맞춤형 응급조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바디 컨트롤 모듈(50)은 차량의 각종 전기장치를 제어한다. 바디 컨트롤 모듈(50)은 안전사고 감지장치(10)로부터 발생된 안전사고에 대한 사고정보를 수신하면 차량의 비상등이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바디 컨트롤 모듈(50)은 차량 내에서 발생된 안전사고를 주변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바디 컨트롤 모듈(50)은 안전사고 중 차량 내 고온사고, 질식사고 및 운전자의 졸음운전사고인 경우, 차량의 창문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초기 응급조치를 수행하여 안전사고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안전사고 감지장치(10) 및 관리서버(30)는 통신망(90)을 이용하여 서로 간의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망(90)은 백본망과 가입자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백본망은 X.25 망, Frame Relay 망, ATM망,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망 및 GMPLS(Generalized 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망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합된 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입자망은 FTTH(Fiber To The Home),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케이블망,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Wireless LAN(IEEE 802.11b, IEEE 802.11a, IEEE 802.11g, IEEE 802.11n), Wireless Hart(ISO/IEC62591-1), ISA100.11a(ISO/IEC 62734),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MQTT(Multi-Client Publish/Subscribe Messaging),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 3G,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4G 및 차세대 통신망인 5G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통신망(150)은 인터넷망일 수 있고, 이동 통신망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안전사고 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2의 경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안전사고 감지장치(10)는 통신부(11),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부(12), 센서부(14) 및 제어부(15)를 포함하고, 카메라부(13), 경보부(16), 디스플레이부(17) 및 저장부(18)를 더 포함한다.
통신부(11)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의 관리장치(30)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1)는 통신망(90)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신부(11)는 WCDMA, WIBro, Wimax, 3G, HSDPA, 4G 및 5G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GPS부(12)는 차량에 설치되고, 차량의 현재위치에 대한 GPS정보를 수신한다. GPS부(12)는 GPS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부(13)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차량의 내부에 대한 영상을 촬영한다. 카메라부(13)는 차량 전체에 대한 내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카메라는 소형 카메라로써, 차량의 모든 좌석이 촬영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14)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차량의 내부정보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14)는 온도센서(21), 습도센서(22), 가스센서(23), 압력센서(24), 체온센서(25) 및 심박센서(26)를 포함한다.
온도센서(21), 습도센서(22) 및 가스센서(23)는 차량의 환경정보를 측정한다. 온도센서(21)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차량의 내부에 대한 온도를 측정한다. 습도센서(22)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차량의 내부에 대한 습도를 측정한다. 가스센서(23)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차량의 내부에 존재하는 유해가스를 감지한다. 여기서, 유해가스는 인체에 유해한 가스로써,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산화물(oxidant), 탄화수소, 불소화합물,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등이 포함된다.
압력센서(24), 체온센서(25) 및 심박센서(26)는 운전자의 운전정보를 측정한다. 압력센서(24)는 차량의 스티어링휠(steering wheel)에 설치되고,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을 잡고 있는지 여부를 측정한다. 압력센서(24)는 스티어링휠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의 어느 위치를 잡더라도 압력이 측정될 수 있도록 한다. 체온센서(25)는 차량의 스티어링휠에 설치되고, 운전자의 손바닥에 대한 체온을 측정한다. 체온센서(25)는 스티어링휠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의 어느 위치를 잡더라도 체온이 측정될 수 있도록 한다. 심박센서(26)는 스티어링휠에 설치되고, 운전자의 손바닥에 분포된 혈관 및 근육으로 전달되는 심박수를 측정한다. 심박센서(26)는 스티어링휠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의 어느 위치를 잡더라도 심박수가 측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5)는 안전사고가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안전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관리장치(30)에 안전사고에 대한 사고정보 및 GPS정보를 전송한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5)는 센서부(14)로부터 측정된 내부정보를 기준정보와 비교한다. 여기서, 기준정보는 정상상태에서의 차량의 내부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5)는 비교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5)는 측정된 내부정보가 기준정보의 범위에 포함되면 정상상태이고, 미포함되면 안전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5)는 센서부(14)에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가 기준 환경정보보다 높은 경우, 안전사고를 온도상승으로 인한 고온사고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센서부(14)에서 측정된 유해가스가 기준 환경정보보다 높은 경우, 안전사고를 가스유출로 인한 질식사고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는 센서부(14)에서 측정된 압력, 체온 및 심박수가 기준 운전정보보다 낮은 경우, 안전사고를 졸음으로 인한 졸음 운전사고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안전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고정보 및 GPS정보를 관리장치(3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안전사고에 대한 응급조치가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는 안전사고정보를 바디 컨트롤 모듈(70)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는 카메라부(13)로부터 촬영된 영상에서 생명체를 검출한다. 여기서, 생명체는 운전자, 탑승자 등과 같은 사람 및 강아지, 고양이 등과 같은 동물일 수 있다. 제어부(15)는 생명체를 안면인식, 모션인식, 객체인식 등과 같은 영상처리 기술로 검출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는 생명체가 검출된 상태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사고정보에 생명체의 상태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5)는 생명체의 수, 종류, 현재 상태 등을 사고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는 촬영된 영상에서 폭발 위험이 있는 라이터, 배터리, 미니 선풍기 등과 같은 위험요소들을 별도로 감지하여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경보부(16)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면 알람, 향기, 진동 자극 및 저주파 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경보를 발생한다. 경보부(16)는 알람부(27), 향기 분사부(28) 및 자극 발생부(29)를 포함한다.
알람부(27)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경보음을 발생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응급상황을 알린다. 바람직하게는, 알람부(27)는 차량의 오디오와 연결되어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향기 분사부(28)는 특정 향기를 분사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응급상황을 알린다. 예를 들면, 안전사고가 졸음 운전사고라고 판단되면 향기 분사부(28)는 졸음을 깨우는 향기를 분사하여 운전자가 졸음운전을 하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자극 발생부(29)는 스티어링휠에 설치되고, 진동 또는 저주파 자극을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응급상황을 알린다. 바람직하게는, 자극 발생부(29)는 스티어링휠에 설치된 압력센서(24), 체온센서(25) 및 심박센서(26)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서로 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한편, 경보부(16)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기 전에도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즉, 안전사고가 발생하기 전, 안전사고가 발생될 확률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아졌다고 제어부(15)가 판단하면 경보부(16)는 제어부(15)에 의해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사고가 발생될 확률은 내부정보가 기준정보의 범위를 벗어날수록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면 현재 상황에 대한 대응 매뉴얼을 출력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7)는 운전자 및 탑승자가 올바른 응급조치를 수행할 수 있게 도와준다.
저장부(18)는 GPS부(12)로부터 수신된 GPS정보가 저장되고, 카메라부(13)로부터 촬영된 영상의 영상정보가 저장된다. 저장부(18)는 센서부(14)로부터 측정된 내부정보가 저장되고, 디스플레이부(17)에 출력되는 대응 매뉴얼이 저장된다. 저장부(18)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사고 감지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안전사고 감지방법은 차량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감지하여 응급상황에 대한 응급조치가 신속하게 수행되도록 도와준다.
S210단계에서, 안전사고 감지장치(10)는 차량의 내부정보를 측정한다. 안전사고 감지장치(10)는 차량의 내부에 대한 온도, 습도, 유해가스를 측정한다. 또한 안전사고 감지장치(10)는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을 잡고 있는지 여부, 운전자 체온, 운전자 심박수를 측정한다.
S230단계에서, 안전사고 감지장치(10)는 안전사고가 발생되었는지 판단한다. 안전사고 감지장치(10)는 측정된 내부정보를 기준정보와 비교한다. 안전사고 감지장치(10)는 비교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여부를 판단한다. 즉, 안전사고 감지장치(10)는 결과값이 기준정보의 범위에 포함하면 정상상태이고, 미포함하면 안전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안전사고 감지장치(10)는 기준정보 중 각 요소에 대한 결과값을 이용하여 안전사고의 종류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전사고 감지장치(10)는 고온사고, 질식사고, 졸음 운전사고 등으로 안전사고를 분류할 수 있다. 안전사고 감지장치(10)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S250단계를 수행하고,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으면 구동을 종료한다.
S250단계에서, 안전사고 감지장치(10)는 GPS정보를 수신한다. 안전사고 감지장치(10)는 현재 차량의 GPS정보를 수신한다.
S270단계에서, 안전사고 감지장치(10)는 관리장치(30)에 안전사고에 대한 사고정보 및 GPS정보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안전사고 감지장치(10)는 외부로 안전사고가 발생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안전사고 감지장치(10)는 안전사고에 대한 신속한 응급조치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한편, 안전사고 감지장치(10)는 안전사고에 대한 사고정보를 바디 컨트롤 모듈(70)에도 전송하여 초기 응급조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안전사고 감지장치 11: 통신부
12: GPS부 13: 센서부
14: 제어부 15: 경보부
16: 디스플레이부 17: 저장부
21: 온도센서 22: 습도센서
23: 가스센서 24: 압력센서
25: 체온센서 26: 심박센서
30: 관리장치 50: 바디 컨트롤 모듈
90: 통신망 100: 모니터링 시스템

Claims (8)

  1.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관리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에 대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정보를 수신하는 GPS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내부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내부정보를 기준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안전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안전사고에 대한 사고정보 및 상기 GPS정보가 상기 관리장치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 내 안전사고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내부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안전사고가 발생되면 알람, 향기, 진동 자극 및 저주파 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안전사고 감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서 생명체를 검출하면 상기 사고정보에 상기 생명체의 상태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안전사고 감지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사고가 발생하기 전, 상기 안전사고가 발생될 확률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아지면 상기 경보부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안전사고 감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내부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내부에 대한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내부에 존재하는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휠(steering wheel)에 설치되고,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휠을 잡고 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압력센서;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휠에 설치되고, 상기 운전자의 손바닥에 대한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센서; 및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휠에 설치되고, 상기 운전자의 손바닥에 분포된 혈관 및 근육으로 전달되는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안전사고 감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및 상기 습도가 상기 기준 환경정보보다 높은 경우, 상기 안전사고를 온도상승으로 인한 고온사고로 판단하고,
    상기 유해가스가 상기 기준 환경정보보다 높은 경우, 상기 안전사고를 가스유출로 인한 질식사고로 판단하며,
    상기 압력, 상기 체온 및 상기 심박수가 상기 기준 운전정보보다 낮은 경우, 상기 안전사고를 졸음으로 인한 졸음 운전사고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안전사고 감지장치.
  7. 차량 내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감지하는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상기 안전사고 감지장치로부터 상기 안전사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차량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안전사고 감지장치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관리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에 대한 GPS정보를 수신하는 GPS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내부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내부정보를 기준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안전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안전사고에 대한 사고정보 및 상기 GPS정보가 상기 관리장치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사고 감지장치가 안전사고를 감지하면 상기 안전사고에 해당되는 응급처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바디 컨트롤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바디 컨트롤 모듈은,
    상기 안전사고가 발생되면, 상기 차량의 비상등이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안전사고가 고온, 질식사 및 졸음운전로 판단된 경우, 상기 차량의 창문을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70090114A 2017-07-17 2017-07-17 차량 내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09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114A KR20190009008A (ko) 2017-07-17 2017-07-17 차량 내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114A KR20190009008A (ko) 2017-07-17 2017-07-17 차량 내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008A true KR20190009008A (ko) 2019-01-28

Family

ID=65269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114A KR20190009008A (ko) 2017-07-17 2017-07-17 차량 내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90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704B1 (ko) * 2020-01-20 2020-11-05 임승환 최적 응급 업체 선택을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43017A (ko) * 2020-09-28 2022-04-05 김민재 방역 차량 및 그 방역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704B1 (ko) * 2020-01-20 2020-11-05 임승환 최적 응급 업체 선택을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43017A (ko) * 2020-09-28 2022-04-05 김민재 방역 차량 및 그 방역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6036B2 (en) Mobile alert and security system
US9870706B2 (en) Mobile alert system
CN106965674B (zh) 当乘员经历潜在病症时用于操作车辆的方法和系统
US989595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interior vehicle temperature to protect occupants from extreme heat
WO2014141618A1 (en) Vehicle tracking of personal devices with response system
US20160096412A1 (en) Passenger cabin interior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CN105109402A (zh) 一种汽车报警装置及方法
US9269260B2 (en) Method and system to increase protection of personnel during K9 deployments
JP2016036729A (ja) 車両用生体計測モニタシステム及び警報システム
CA2904745A1 (en) Safety detection in sealed vehicle spaces
CN112277797B (zh) 汽车内的生命探测报警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20150041900A (ko) 수상 및 수중 인명 구조를 위한 무선 착용 기술 기반의 스마트 구명 조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20200050874A1 (en) Car interior surveillance system with e-call functionality
CN111038209A (zh) 一种车载空调启动方法及装置
KR20190009008A (ko) 차량 내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CN108062847A (zh) 一种车内乘员和宠物综合安全防护及监控系统及方法
CN112614306B (zh) 一种带车辆及人员信息检测的车载ecall设备报警方法及系统
US20210099849A1 (en) Emergency system for a vehicle
CN114496181A (zh) 车辆中的自动分诊护士系统
KR101919143B1 (ko) 차량 잔류인원 보호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시스템
US11356832B2 (en) Mission critical push to talk services
KR101825134B1 (ko) 감정측정 디바이스를 활용한 드론 방범 시스템
KR20160028542A (ko) 차량의 응급구조 및 범죄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63389A (ko) 차량사고 발생 알림 시스템 및 방법
CN114701934B (zh) 电梯的安防控制方法、装置、系统以及云平台、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