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3017A - 방역 차량 및 그 방역 방법 - Google Patents

방역 차량 및 그 방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3017A
KR20220043017A KR1020210108007A KR20210108007A KR20220043017A KR 20220043017 A KR20220043017 A KR 20220043017A KR 1020210108007 A KR1020210108007 A KR 1020210108007A KR 20210108007 A KR20210108007 A KR 20210108007A KR 20220043017 A KR20220043017 A KR 20220043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door
detected
quarantin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116B1 (ko
Inventor
김민재
조이현
김은혁
Original Assignee
김민재
조이현
김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재, 조이현, 김은혁 filed Critical 김민재
Publication of KR20220043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7/00Motor vehicles or trailers predominantly for carrying passengers
    • B62D47/02Motor vehicles or trailers predominantly for carrying passengers for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포함하는 이중문 사이에서, 마스크를 착용하고 열이 소정값 미만인 승객을 감지하고 소독한 후 제2 도어를 여는 방역 차량 및 그 방역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방역 차량은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가 열린 후 승객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승객의 탑승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도어를 닫고; 상기 승객의 마스크 착용 여부 및 체열을 감지하고; 상기 승객의 마스크 착용이 감지되고 상기 승객의 체열이 소정값 미만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이중문 사이 공간에 살균액을 분사하고 상기 제2 도어를 열 수 있다.

Description

방역 차량 및 그 방역 방법{Disinfection vehicle and disinfection method of the sam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포함하는 이중문 사이에서, 마스크를 착용하고 체열이 소정값 미만인 승객을 감지하고 소독한 후 제2 도어를 여는 방역 차량 및 그 방역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 들어 코로나 19, 메르스, 사스 등의 바이러스에 의한 신종 호흡기성 전염병이 유행하고 있다. 이러한 호흡기성 전염병은 전염력이 강하여 감염자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사회 활동을 위축시키므로, 국민 건강에 있어서 큰 문제 일뿐만 아니라 경제 활동마저 위축되어 나라 경제 전반에 걸쳐 큰 문제를 일으킨다. 한편, 호흡기성 전염병은 호흡기 증상과 발열을 동반하므로 체열 측정을 통해 일차적으로 감염 여부의 판단이 가능하고, 마스크 착용을 통해 바이러스를 차단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대중 교통수단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호흡기성 전염병이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대중 교통 수단을 이용하기 전에 감염자와 마스크 미착용자를 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포함하는 이중문 사이에서, 마스크를 착용하고 체열이 소정값 미만인 승객을 감지하고 소독한 후 제2 도어를 여는 방역 차량 및 그 방역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역 차량은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포함하는 이중문; 상기 제1 도어가 열린 후 승객의 탑승 및 마스크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카메라; 상기 승객의 체열을 감지하는 열감지 센서; 상기 이중문 사이 공간에 설치되어 살균액을 분사하는 소독분사부;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승객의 탑승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도어를 닫도록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승객의 마스크 착용이 감지되고 상기 열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승객의 체열이 소정값 미만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소독분사부에 의해 살균액을 분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도어를 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역 방법은 제1 도어가 열린 후 승객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승객의 탑승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도어를 닫는 동작; 상기 승객의 마스크 착용 여부 및 체열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승객의 마스크 착용이 감지되고 상기 승객의 체열이 소정값 미만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이중문 사이 공간에 살균액을 분사하고 상기 제2 도어를 여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버스, 지하철, 열차 등과 같은 대중 교통 수단의 탑승 단계에서, 승객의 마스크 착용 여부 및 체열을 감지하여 감염자와 마스크 미착용자를 통제함으로써, 대중 교 통수단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전염병이 전파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대중 교통 수단을 통한 감염자 확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차량의 개략적인 외관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차량의 제1 도어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차량의 제2 도어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차량의 스피커, 카메라, 열감지 센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차량의 소독분사부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차량의 GPS 획득부, 자동연락부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차량의 방역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판례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 상에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차량의 개략적인 외관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역 차량(100)는 제1 도어(200) 및 제2 도어(300)를 포함하는 이중문(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객의 탑승 시, 승객은 이중문(110) 사이 공간에서 마스크 착용 여부 및 체열이 소정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받은 후, 마스크를 착용하고 체열이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만 제2 도어(300)를 통해 방역 차량(100) 내부에 탑승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중문(110)이 방역 차량(100)의 앞부분에 구비되어 있으나, 이중문(110)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대중 교통 수단으로 버스를 예시하였으나, 본 실시예가 특정 교통 수단에 한정되지 않고, 지하철, 철도 등 다양한 교통 수단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와 같은 대중 교통 수단의 탑승 단계에서 승객의 마스크 착용 여부 및 체열을 감지하여 감염자와 마스크 미착용자를 통제함으로써, 대중 교통수단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전염병이 전파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대중 교통 수단을 통한 감염자 확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방역 차량(100)은 이중문(110) 이외에도 스피커(410), 열감지 센서(420), 카메라(430), 소독분사부(510), 제어부(미도시), GPS 획득부(610), 자동연락부(620), 적어도 하나의 창문(630) 및 속도 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역 차량(100)은 도시된 구성요소 외에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도시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구성 요소는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차량의 제1 도어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역 차량(100)은 제1 도어(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도어(200)가 2개의 도어부로 구성되어 각각 좌우측 방향으로 미닫이 방식으로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도어(200)는 미닫이 방식으로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으나, 폴딩 방식으로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등 특정 개폐 방식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제1 도어(200)를 1개의 도어부로 구성하고 소정의 일 방향으로 미닫이 방식으로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등 제1 도어(200)의 구성이 특정 구성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차량의 제2 도어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역 차량(100)은 제2 도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어(300)는 상부에 트랙(Track)을 설치하여 상부 롤러에 의해, 힌지로 연결되어 있는 차단판을 펴거나 접어서 폴딩 방식으로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다. 제2 도어(300)를 폴딩 방식으로 개폐함으로써, 이중문(110) 사이 공간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도 감염자와 마스크 미착용자를 편리하게 통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도어(300)는 폴딩 방식으로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으나, 특정 개폐 방식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도어(200)가 열린 후 제2 도어(300)가 열릴 때까지, 방역 차량(100)은 이중문(110) 사이 공간에서 승객의 마스크 착용 여부 및 체열이 소정값 미만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차량의 스피커, 카메라, 열감지 센서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역 차량(100)은 스피커(410), 열감지 센서(420), 카메라(430) 및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410), 열감지 센서(420) 및 카메라(430)는 이중문 사이 공간의 제1 도어나 제2 도어가 설치된 면의 상부 등과 같이 이중문(110) 사이 공간 어디에나 위치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카메라(430)는 제1 도어(200)가 열린 후, 승객의 탑승 여부 및 마스크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열감지 센서(420)는 승객의 체열을 감지할 수 있다.
카메라(430)에 의해 승객의 탑승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1 도어(200)를 닫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430)에 의해 상기 승객의 마스크 착용이 감지되고 열감지 센서(420)에 의해 상기 승객의 체열이 소정값 미만으로 감지된 경우, 후술할 소독분사부(510)에 의해 살균액을 분사하고 제2 도어(300)를 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430)에 의해 상기 승객의 마스크 미착용이 감지되거나, 열감지 센서(420)에 의해 상기 승객의 체열이 소정값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 제1 도어(200)를 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도어(200)를 열도록 제어함으로써, 마스크 미착용 승객 또는 소정값 이상의 체열이 감지된 승객의 하차를 유도할 수 있다.
스피커(410)는 카메라(430)에 의해 상기 승객의 마스크 미착용이 감지되거나 열감지 센서(420)에 의해 상기 승객의 체열이 소정값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 탑승 거부를 알리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410)에 의한 탑승 거부 음성 출력에 의해, 마스크 미착용 승객 또는 소정값 이상의 체열이 감지된 승객의 하차를 유도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차량의 소독분사부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역 차량(100)은 소독분사부(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독분사부(510)는 이중문(110) 사이 공간에 설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분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430)에 의해 승객의 탑승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1 도어(200)를 닫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430)에 의해 상기 승객의 마스크 착용이 감지되고 열감지 센서(420)에 의해 상기 승객의 체열이 소정값 미만으로 감지된 경우, 제1 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소독분사부(510)에 의해 살균액을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소독분사부(510)는 살균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노즐을 통해 상기 살균액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살균액은 수소계 소독액, 알코올 및 염소계 소독액을 포함하나, 다른 원료의 살균액이 가능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차량의 GPS 획득부, 자동연락부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역 차량(100)은 GPS 획득부(610), 자동연락부(620), 적어도 하나의 창문(630) 및 속도 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GPS 획득부(610)는 방역 차량(100)의 GPS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동연락부(620)는 열감지 센서(420)에 의해 승객의 체열이 소정값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 전염병 관계기관에 자동으로 통신을 연결하고 전염병 의심 승객이 방역 차량(100)에 탑승했음을 상기 관계기관에 신고할 수 있다. 자동연락부(620)는 열감지 센서(420)에 의해 승객의 체열이 소정값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 GPS 획득부(610)에 의해 획득된 상기 GPS 위치 정보를 상기 관계기관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계기관은 119 안전신고센터 및 병원 등 전염병을 치료하거나 관리하는 다양한 기관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자동연락부(620)는 GPS 획득부(610)에 의해 획득된 상기 GPS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가까운 병원을 선정하거나, 사전에 설정된 병원에 자동으로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자동연락부(620)는 전염병을 관리하는, 사전에 설정된 관계기관에 자동으로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속도 센서부는 방역 차량(100)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속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창문(63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 센서부에 의해 방역 차량(100)의 속도가 소정값 미만으로 감지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창문(630)을 열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속도 센서부에 의해 방역 차량(100)의 속도가 소정값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창문(630)을 닫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역 차량(100)의 속도에 기초하여 창문의 개폐를 제어하여 방역 차량(100) 내부를 환기시킴으로써, 대중 교통 수단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전염병이 확산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역 차량의 방역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710에서, 방역 차량(100)은 정류장 또는 플랫폼에 도착하거나 탑승을 대기하는 승객을 감지한 경우, 제1 도어를 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도어는 미닫이 방식으로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으나, 특정 개폐 방식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동작 715에서, 방역 차량(100)은 상기 제1 도어가 열린 후 승객의 탑승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 720에서, 방역 차량(100)은 상기 승객의 탑승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도어를 닫을 수 있다.
동작 725에서, 방역 차량(100)은 상기 승객의 마스크 착용 여부 및 체열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730에서, 방역 차량(100)은 상기 승객의 마스크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승객이 마스크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동작 745로 이동하고, 상기 승객이 마스크를 미착용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동작 735로 이동할 수 있다.
동작 735에서, 방역 차량(100)은 탑승 거부를 알리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동작 740에서, 방역 차량(100)은 상기 제1 도어를 열 수 있다.
동작 745에서, 방역 차량(100)은 상기 승객의 체열이 소정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승객의 체열이 소정값 미만인 경우 동작 755로 이동하고, 상기 승객의 체열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 동작 75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동작 755에서, 방역 차량(100)은 이중문 사이 공간에 살균액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살균액은 수소계 소독액, 알코올 및 염소계 소독액을 포함하나, 다른 원료의 살균액이 가능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동작 760에서, 방역 차량(100)은 제2 도어를 열 수 있다. 상기 제2 도어는 폴딩 방식으로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으나, 특정 개폐 방식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동작 750에서, 방역 차량(100)은 전염병 관계기관에 자동으로 통신을 연결하고, 전염병 의심 승객이 상기 방역 차량에 탑승했음을 상기 관계기관에 신고할 수 있다. 방역 차량(100)은 GPS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관계기관에 신고하는 동작은 상기 획득된 GPS 위치 정보를 상기 관계기관에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계기관은 119 안전신고센터 및 병원 등 전염병을 치료하거나 관리하는 기관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방역 차량(100)은 상기 획득된 GPS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가까운 병원을 선정하거나, 사전에 설정된 병원에 자동으로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방역 차량(100)은 전염병을 관리하는, 사전에 설정된 관계기관에 자동으로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방역 차량(100)은 방역 차량(100)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방역 차량(100)은 상기 감지된 속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창문(63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방역 차량(100)은 소정값 미만의 속도가 감지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창문(630)을 열도록 제어하거나, 소정값 이상의 속도가 감지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창문(630)을 닫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를 통해 설명된 방역 차량(10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어(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예를 들어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디바이스의 제조사 또는 전자 마켓(예를 들어, 구글 플레이스토어, 앱 스토어)을 통해 전자적으로 배포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형태의 상품(예를 들어,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downloadable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적 배포를 위하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제조사의 서버, 전자 마켓의 서버, 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중계 서버의 저장매체가 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 및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서버의 저장매체 또는 디바이스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서버 또는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는 제3의 디바이스(예, 스마트폰)가 존재하는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제3의 디바이스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로부터 디바이스 또는 제3 디바이스로 전송되거나, 제3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자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 디바이스 및 제3 디바이스 중 하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서버, 디바이스 및 제3 디바이스 중 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분산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가 서버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서버와 통신 연결된 디바이스가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3 디바이스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제3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된 디바이스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3 디바이스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는 경우, 제3 디바이스는 서버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제3 디바이스는 프리로드 (pre-loaded)된 상태로 제공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컴퓨터 시스템 또는 모듈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5)

  1.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포함하는 이중문;
    상기 제1 도어가 열린 후 승객의 탑승 및 마스크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카메라;
    상기 승객의 체열을 감지하는 열감지 센서;
    상기 이중문 사이 공간에 설치되어 살균액을 분사하는 소독분사부;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승객의 탑승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도어를 닫도록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승객의 마스크 착용이 감지되고 상기 열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승객의 체열이 소정값 미만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소독분사부에 의해 살균액을 분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도어를 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역 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승객의 마스크 미착용이 감지되거나 상기 열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승객의 체열이 소정값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 탑승 거부를 알리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방역 차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승객의 마스크 미착용이 감지되거나, 상기 열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승객의 체열이 소정값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도어를 열도록 제어하는, 방역 차량.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승객의 체열이 소정값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 전염병 관계기관에 자동으로 통신을 연결하고 전염병 의심 승객이 상기 방역 차량에 탑승했음을 상기 관계기관에 신고하는 자동연락부를 더 포함하는, 방역 차량.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역 차량의 GPS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연락부는
    상기 열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승객의 체열이 소정값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방역 차량의 GPS 위치 정보를 상기 관계기관에 전송하는, 방역 차량.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는 미닫이 방식으로 자동으로 개폐되고;
    상기 제2 도어는 폴딩 방식으로 자동으로 개폐되는, 방역 차량.
  7.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창문; 및
    상기 방역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역 차량.
  8. 방역 차량의 방역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역 차량는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가 열린 후 승객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승객의 탑승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도어를 닫는 동작;
    상기 승객의 마스크 착용 여부 및 체열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승객의 마스크 착용이 감지되고 상기 승객의 체열이 소정값 미만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이중문 사이 공간에 살균액을 분사하고 상기 제2 도어를 여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역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의 마스크 미착용이 감지되거나 상기 승객의 체열이 소정값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 탑승 거부를 알리는 음성을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역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의 마스크 미착용이 감지되거나 상기 승객의 체열이 소정값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도어를 여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역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의 체열이 소정값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
    전염병 관계기관에 자동으로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 및
    전염병 의심 승객이 상기 방역 차량에 탑승했음을 상기 관계기관에 신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역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역 차량의 GPS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계기관에 신고하는 동작은
    상기 방역 차량의 GPS 위치 정보를 상기 관계기관에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역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는 미닫이 방식으로 자동으로 개폐되고;
    상기 제2 도어는 폴딩 방식으로 자동으로 개폐되는, 방역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방역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창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역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감지된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역 방법.
  15. 제 8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10108007A 2020-09-28 2021-08-17 방역 차량 및 그 방역 방법 KR102548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25461 2020-09-28
KR1020200125461 2020-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017A true KR20220043017A (ko) 2022-04-05
KR102548116B1 KR102548116B1 (ko) 2023-06-27

Family

ID=8118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007A KR102548116B1 (ko) 2020-09-28 2021-08-17 방역 차량 및 그 방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1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8976A (ja) * 2008-11-28 2010-06-10 Ohbayashi Corp 入場管理システム
KR101649600B1 (ko) * 2015-12-31 2016-08-19 주식회사 엠케이엘 이동형 음압격리병동 시스템
KR20190009008A (ko) * 2017-07-17 2019-01-28 주식회사 맥스포 차량 내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47056A (ko) * 2018-10-26 2020-05-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차량 내부 바람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내부 바람 제어 방법
KR102134903B1 (ko) * 2020-06-08 2020-07-17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감염예방 인증 키오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8976A (ja) * 2008-11-28 2010-06-10 Ohbayashi Corp 入場管理システム
KR101649600B1 (ko) * 2015-12-31 2016-08-19 주식회사 엠케이엘 이동형 음압격리병동 시스템
KR20190009008A (ko) * 2017-07-17 2019-01-28 주식회사 맥스포 차량 내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47056A (ko) * 2018-10-26 2020-05-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차량 내부 바람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내부 바람 제어 방법
KR102134903B1 (ko) * 2020-06-08 2020-07-17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감염예방 인증 키오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116B1 (ko)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009B1 (ko) 축산시설 출입 관리 시스템
JPWO2020039818A1 (ja) 空間浄化システム、及び、空間浄化方法
DE602008003186D1 (de) Verfahren, Produkt und System zur Sicherheitsstufenfestlegung sowie Durchsetzung des minimalen Sicherheitserfordernisses während der Ausfallsicherung einer virtuellen Maschine.
US20190112150A1 (en) Elevator system
ATE397564T1 (de) Aufzugsanordnung
WO2004042670A3 (en) Canine security system
US20140257604A1 (en) Braking system
WO2023273331A1 (zh) 用于控制空调的方法及装置、空调、存储介质
Bockting et al. Commentary: Gender variance, dissonance, or identity disorder?
KR20220043017A (ko) 방역 차량 및 그 방역 방법
JP2011116524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unchithapautham et al. Autophagy is one of the multiple mechanisms active in photoreceptor degeneration
CN110699935A (zh) 一种控制设备的方法、装置、智能晾衣架及存储介质
KR20200003763A (ko)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TE403917T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für durchgangskontrolle und/oder personenvereinzelung
KR101254717B1 (ko) 폐쇄회로카메라를 이용한 디지털 방역관제시스템
CN112842711B (zh) 急救车、急救车参数的处理方法及系统
TWM601428U (zh) 消毒門禁管理系統
US20180194360A1 (en) Protection from heat in vehicles
KR101309691B1 (ko) 로봇의 이상 유무 감지 장치
US202103538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 workspace from airborne contaminants
García et al. Paying for the Consequences. How Privatization and Austerity Disabled Infection Protection Law
Tonti COVID-19 & the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the Fallout of a Multinational Framework?
CN113797374A (zh) 消毒设备、消毒系统和利用消毒设备的消毒方法
DE102020124435A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ahrzeuges, Fahrzeugsteuergerät und Fahrze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