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763A -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763A
KR20200003763A KR1020190178172A KR20190178172A KR20200003763A KR 20200003763 A KR20200003763 A KR 20200003763A KR 1020190178172 A KR1020190178172 A KR 1020190178172A KR 20190178172 A KR20190178172 A KR 20190178172A KR 20200003763 A KR20200003763 A KR 20200003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vehicle
heart rate
state
rate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병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유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유아이
Priority to KR1020190178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3763A/ko
Publication of KR20200003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7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3/58Velocity or trajectory determination systems; 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systems
    • G01S13/62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 G06K9/0084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1Physiology, e.g. weight, heartbeat, health or special needs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심박 체크 시스템은, 상기 차량에 위치하는 운전자를 인식하는 운전자 인식 모듈; 및 상기 운전자 인식 결과에 따라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 사이에서 자동으로 전환되며, 상기 온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심박 체크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BIO-SIGNAL CHECKING SYSTEM FOR VEHICL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아래의 설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위치하는 운전자를 인식하여 적응적으로 동작하는 심박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체크하는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다.
인구의 고령화와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사람들의 맥박이나 혈압 등의 신체 활동을 측정하는 기술도 발전하고 있다. 이에,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다양한 심박 측정 기기가 등장했다. 심박 측정 기기는 사용자의 심장 근처에 부착되도록 휴대용으로 형성되어, PPG(Photoplethysmography) 신호를 이용하거나, 압센서(Pressure sensor)를 이용하거나, ECG(Electrocardiography)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한다.
이러한 심박 측정 기기는 사용자가 심장관련 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일상 생활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게 된다. 특히,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할 때, 운전자의 안전은 물론, 동승자 또는 다른 차량의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심박 측정 기기는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심박 측정 기기의 휴대를 번거로워하기 때문에, 심박 측정 기기는 집과 같이 제한된 장소에서만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심박 체크 시스템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차량의 운전자의 심박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체크하면, 운전자의 현재 건강 상태는 물론, 운전자가 졸음 상태에 있는지 또한 확인될 수 있기 때문에, 안전 운전을 위한 스마트 운전자 관리 기술에서도 차량용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하다.
일 실시예들은 차량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생체 신호를 체크하는 차량용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들은 차량에 위치하는 운전자를 인식함으로써, 인식 결과에 따라 운전자의 심박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체크하는 동작을 적응적으로 수행하는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때, 일 실시예들은 차량에 위치하는 운전자를 저비용, 고효율의 방식으로 인식하는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일 실시예들은 차량의 운전자의 위험도를 식별함으로써, 위험도에 따라 운전자의 생체 신호를 체크하는 동작을 적응적으로 수행하는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일 실시예들은 운전자의 생체 신호를 체크하는 과정에서, ECG를 이용하는 방식을 기반으로 다이버시티 또는 셀렉션의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운전자에 대해 체크된 생체 신호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일 실시예들은 차량 및 운전자 각각의 진동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또는 운전자의 자세 또는 차량의 오리엔테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운전자에 대해 체크된 생체 신호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일 실시예들은 운전자의 생체 신호를 체크하는 과정에서 발생시키는 자기장, 전기장, 전자기장 또는 수신하는 유도 자기장, 유도 전기장, 유도 전자기장에 운전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가 미치는 영향을 방지/최소화하는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을 제안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심박 체크 시스템은, 상기 차량에 위치하는 운전자를 인식하는 운전자 인식 모듈; 및 상기 운전자 인식 결과에 따라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 사이에서 자동으로 전환되며, 상기 온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심박 체크 모듈을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운전자 인식 모듈은,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량에 탑승하는지,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는지, 상기 운전자에 의해 상기 차량이 온 상태에 있는지 또는 상기 운전자에 의해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에 있는지 중 적어도 하나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운전자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심박 체크 모듈은, 상기 운전자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온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운전자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심박 체크 모듈은,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상기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심박 체크 모듈은, 상기 차량의 주행 패턴, 주행 지리 또는 주행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주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운전자 인식 모듈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위험도를 식별하고, 상기 심박 체크 모듈은, 상기 위험도에 따라 상기 주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운전자 인식 모듈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위험도를 식별하고, 상기 심박 체크 모듈은, 상기 위험도에 따라 상기 온 상태 또는 상기 오프 상태 사이에서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심박 체크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운전자의 신체를 향해 자기장, 전기장 또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자기장, 상기 전기장 또는 상기 전자기장에 의해 상기 운전자의 신체에서 발생되는 유도 자기장, 유도 전기장 또는 유도 전자기장을 수신하여, 상기 유도 자기장, 상기 유도 전기장 또는 상기 유도 전자기장을 기초로 상기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심박 체크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복수 개 포함하여, 상기 유도 자기장, 상기 유도 전기장 또는 상기 유도 전자기장을 다이버시티 수신하거나, 셀렉션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심박 체크 모듈은, 상기 차량 및 상기 운전자 각각의 진동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진동 값 또는 상기 운전자의 자세 또는 상기 차량의 오리엔테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자세/오리엔테이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해 체크된 심박을 보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심박 체크 모듈은, 상기 운전자의 음성 신호를 취득하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 값을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해 체크된 심박을 보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심박 체크 시스템은, 상기 심박 체크 모듈에서 발생시키는 자기장, 전기장, 전자기장 또는 수신하는 유도 자기장, 유도 전기장 또는 유도 전자기장에 상기 운전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가 미치는 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심박 체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차량용 심박 체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운전자 인식 모듈에서, 상기 차량에 위치하는 운전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용 심박 체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심박 체크 모듈이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 사이에서 자동으로 전환되는 단계; 및 상기 온 상태로 설정되는 상기 심박 체크 모듈에서, 상기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량에 위치하는 운전자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량에 탑승하는지,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는지, 상기 운전자에 의해 상기 차량이 온 상태에 있는지 또는 상기 운전자에 의해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에 있는지 중 적어도 하나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운전자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및 상기 운전자 각각의 진동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진동 값 또는 상기 운전자의 자세 또는 상기 차량의 오리엔테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자세/오리엔테이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해 체크된 심박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용 심박 체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차폐막을 이용하여, 상기 심박 체크 모듈이 발생시키는 자기장, 전기장, 전자기장 또는 수신하는 유도 자기장, 유도 전기장, 유도 전자기장에 상기 운전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가 미치는 영향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은, 상기 차량에 위치하는 운전자를 인식하는 운전자 인식 모듈; 및 상기 운전자 인식 결과에 따라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 사이에서 자동으로 전환되며, 상기 온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의 생체 신호를 체크하는 생체 신호 체크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들은 차량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생체 신호를 체크하는 차량용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을 제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들은 차량에 위치하는 운전자를 인식함으로써, 인식 결과에 따라 운전자의 심박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체크하는 동작을 적응적으로 수행하는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을 제안할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예들은 차량에 위치하는 운전자를 저비용, 고효율의 방식으로 인식하는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들은 차량의 운전자의 위험도를 식별함으로써, 위험도에 따라 운전자의 생체 신호를 체크하는 동작을 적응적으로 수행하는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들은 운전자의 생체 신호를 체크하는 과정에서, ECG를 이용하는 방식을 기반으로 다이버시티 또는 셀렉션의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운전자에 대해 체크된 생체 신호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들은 차량 및 운전자 각각의 진동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또는 운전자의 자세 또는 차량의 오리엔테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운전자에 대해 체크된 생체 신호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들은 운전자의 생체 신호를 체크하는 과정에서 발생시키는 자기장, 전기장, 전자기장 또는 수신하는 유도 자기장, 유도 전기장, 유도 전자기장에 운전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가 미치는 영향을 방지/최소화하는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을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심박 체크 시스템의 개괄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심박 체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위험도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심박을 적응적으로 체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심박 체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차폐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심박 체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시청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심박 체크 시스템의 개괄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심박 체크 시스템(110)은 차량(120)에 구비되는 차량용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심박 체크 시스템(110)은 차량(120)에 구비되는 차량 제어 스마트 시스템(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과 네트워크(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제어 스마트 시스템은 차량(120)의 주행과 관련된 전자 제어 모듈, 내비게이션, 영상 모니터링 모듈 또는 각종 센서 등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차량(120)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카 서비스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핵심 또는 보조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제어 스마트 시스템은 스마트 카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프로세서 및 스마트 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일부 구성요소가 서버의 스마트 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플랫폼의 형태로 구현되어, 나머지 구성요소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스마트 카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차량 제어 스마트 시스템의 일부 구성요소가 서버의 플랫폼의 형태로 구현된다는 것은, 서버의 프로세서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들, 컴퓨터들, 서버들, 각종 장치들 간의 유/무선 통신 링크들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매체일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는 심박 체크 시스템(110)과 차량 제어 스마트 시스템이 서로 통신하기 위하여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 스위트(suite of protocols)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들 및 게이트웨이들의 월드 와이드 컬렉션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네트워크는 인트라넷,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WAN(wide area network)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네트워크는 인터넷의 일부일 수 있다.
심박 체크 시스템(110)과 차량 제어 스마트 시스템 사이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심박 체크 시스템(110)은 운전자의 생체 신호(심박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체크하는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으로서, 이하,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시스템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운전자의 호흡을 체크하는 기능 역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심박 체크 시스템(11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운전자를 인식하고 이에 응답하여 적응적으로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동작과 동일하게, 운전자를 인식하고 이에 응답하여 적응적으로 운전자의 호흡을 체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심박 체크 시스템(110)은 운전자의 심박 체크 동작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기 위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심박 체크 시스템(110)은 차량(120)의 내부 공간 중 운전석 시트 또는 운전자의 안전 벨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심박 체크 시스템(110)의 일부 구성요소만이 운전석 시트 또는 안전 벨트 상에 배치되고, 나머지 구성요소는 차량(120)의 내부 공간 중 다른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심박 체크 시스템(110)이 운전자 인식 모듈 및 심박 체크 모듈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는 심박 체크 시스템(110)의 핵심 기능을 기준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분한 것일 뿐,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핵심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심박 체크 시스템(110)은 차량(120)에 위치하는 운전자를 인식하여, 운전자 인식 결과에 따라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 사이에서 자동으로 전환됨으로써,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동작을 적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심박 체크 시스템(110)은 운전자를 인식하는 과정 또는 온 상태로 설정되어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차량 제어 스마트 시스템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심박 체크 시스템(110)에 대해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재하기로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심박 체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심박 체크 시스템(200)은 운전자 인식 모듈(210) 및 심박 체크 모듈(220)을 포함한다.
운전자 인식 모듈(210)은 차량에 위치하는 운전자를 인식한다. 이하, 차량에 위치하는 운전자를 인식한다는 것은, 차량의 내/외부에 운전자가 위치함(존재함)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운전자 인식 모듈(210)의 운전자 인식 결과는 운전자가 인식되는 경우(운전자가 차량 내/외부에 위치함)와 운전자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운전자가 차량 내/외부에 위치하지 않음)의 두 가지 경우로 도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전자 인식 모듈(210)은 카메라 또는 적외선 센서를 기반으로, 차량의 내부(예컨대, 운전석)를 주기적으로 센싱함으로써, 차량의 내부에 운전자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운전자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또는 적외선 센서는 심박 체크 시스템(200)에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도 1을 참조하여 상술된 차량 제어 스마트 시스템에 포함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 때, 운전자 인식 모듈(210)은 차량에 위치하는 운전자를 인식하는 방식을 달리함으로써, 저비용, 고효율을 지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인식 모듈(210)은 차량의 내부 좌석(예컨대, 운전석)에 배치된 무게 센서를 기반으로 차량의 운전석에 운전자가 착석하는지 여부(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운전자를 인식할 수 있다. 무게 센서는 심박 체크 시스템(200)에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도 1을 참조하여 상술된 차량 제어 스마트 시스템에 포함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운전자 인식 모듈(210)은 운전자가 소지한 차량 키(또는 카드)가 차량에 근접함을 센싱하는 근접 센서를 기반으로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운전자를 인식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운전자 인식 모듈(210)은 운전자에 의해 차량이 온 상태에 있는지 여부(예컨대, 차량의 시동이 걸렸는지 또는 차량의 전원 시스템이 구동 시작하는지)를 판단하여, 운전자를 인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운전자 인식 모듈(210)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된 차량 제어 스마트 시스템 중 차량의 시동과 관련된 모듈 또는 전원 시스템과 연동하여 차량이 온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운전자 인식 모듈(210)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된 차량 제어 스마트 시스템 중 주행과 관련된 전자 제어 모듈과 연동하여 차량이 주행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운전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전자 인식 모듈(210)은 저비용, 고효율의 방식으로 차량에 위치하는 운전자를 인식함으로써, 후술되는 심박 체크 모듈(220)을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인식 모듈(210)은 차량에 위치하는 운전자를 인식할 뿐만 아니라,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심박 체크 시스템(200)에 포함되어 구비되거나, 심박 체크 시스템(200)과 별도로 차량에 구비될 수 있음)를 활용하여, 운전자의 위험도를 식별할 수도 있다. 이하, 운전자의 위험도는 운전자가 졸음 상태에 있어 위험한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또는 운전자의 건강 상태에 대해 위험한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운전자 인식 모듈(210)은 운전자가 차량에 위치함을 인식하는 경우에만 운전자의 위험도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인식 모듈(210)은 차량에 구비된 생체 센서(이하, 생체 센서는 심박 체크 모듈(220)에서 측정하는 심박과 구별되는 다른 생체 신호-예컨대, 운전자의 신체 온도, 눈의 깜빡임 빈도 등-를 측정하는 센서를 의미함)를 통해, 운전자의 건강 위험도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운전자 인식 모듈(210)은 차량에 구비된 마이크 센서를 통해, 운전자가 대화를 하고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운전자의 졸음 위험도를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전자 인식 모듈(210)에서 운전자의 위험도를 식별하는 것은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위험도가 식별된 결과는 기준 값을 초과하는지 또는 기준 값 이하인지의 두 가지 경우로 도출될 수 있다. 이하, 운전자의 위험도가 하나의 기준 값과 비교되어 식별 결과가 두 가지 경우로 도출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운전자의 위험도는 복수의 기준 값들과 비교됨으로써, 식별 결과가 위험한 정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단계들로 도출될 수 있다.
이에, 운전자 인식 모듈(210)은 차량에 위치하는 운전자를 인식한 결과에 따라 심박 체크 모듈(220)을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설정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위험도를 인식한 결과에 기초하여 심박 체크 모듈(220)을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설정할 수도 있다.
심박 체크 모듈(220)은 운전자 인식 모듈(210)에서 운전자를 인식한 결과에 따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 사이에서 자동으로 전환된다. 즉, 심박 체크 모듈(220)은 평상시에 오프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가, 운전자 인식 모듈(210)에서 운전자가 인식되는 경우에만 온 상태로 설정되고, 운전자 인식 모듈(210)에서 운전자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심박 체크 모듈(220)이 오프 상태로 설정된다는 것은,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비활성되는 것을 의미하여, 심박 체크 모듈(220)이 온 상태로 설정된다는 것은,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활성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운전자 인식 모듈(210)에서 운전자를 인식함에 응답하여, 온 상태로 설정된 심박 체크 모듈(220)은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박 체크 모듈(220)은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본인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에 따라 심박을 체크하는 주기를 미리 설정해둔 뒤,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심박 체크 모듈(220)이 운전자 별 심박 체크 주기를 호출할 수 있도록 운전자 인식 모듈(210)은 운전자가 차량에 위치함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해당 운전자가 누구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이하, 주기는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시간 간격을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0의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중단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기는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동작을 항상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심박 체크 모듈(220)은 차량의 주행 패턴, 주행 지리 또는 주행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주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 패턴을 고려한 결과, 운전자의 졸음을 유발하는 정도가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심박 체크 모듈(220)은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주기를 기준 주기보다 더 짧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심박 체크 모듈(220)은 운전자 인식 모듈(210)에서 식별된 운전자 위험도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주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심박 체크 모듈(220)은 더 나아가, 운전자 인식 모듈(210)에서 식별된 운전자 위험도에 따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 사이에서 자동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심박 체크 모듈(220)은 운전자 인식 모듈(210)에서 운전자를 인식한 결과(또는 운전자의 위험도를 식별한 결과)에 따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 사이에서 자동으로 전환되며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동작을 적응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운전자가 심박 체크 시스템을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번거로움과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심박 체크 모듈(220)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함으로써, ECG를 이용하는 방식을 기반으로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심박 체크 모듈(220)은 PPG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 압센서를 이용하는 방식, 정전식 센싱(Capacitive sensing) 또는 바이오 레이더를 이용하는 방식을 차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심박 체크 모듈(220)은 차용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박 체크 모듈(220)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운전자의 신체(특히, 심장)를 향해 자기장, 전기장 또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자기장, 전기장 또는 전자기장에 의해 운전자의 신체에서 발생되는 유도 자기장, 유도 전기장 또는 유도 전자기장을 수신함으로써, 유도 자기장, 유도 전기장 또는 유도 전자기장을 기초로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심박 체크 모듈(220)은 적어도 하나의 코일 안테나를 포함하는 RLC 회로를 포함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코일 안테나를 통하여 운전자의 신체(특히, 심장)를 향해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자기장에 의해 운전자의 심장에 흐르게 되는 에디 커런트로 유도 자기장을 발생시킨 뒤, 적어도 하나의 코일 안테나를 통해 유도 자기장을 수신하여, 유도 자기장의 인덕턴스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할 수 있다. 이러한 RLF 회로의 자기장 발생, 유도 자기장 수신 과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심박 체크 모듈(220)은 ECG를 이용하는 방식을 활용하기 때문에, 차량의 내부 공간 중 운전석 시트 또는 운전석 안전 벨트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심박 체크 모듈(22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는 운전자의 심장을 향해 자기장, 전기장 또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유도 자기장, 유도 전기장 또는 유도 전자기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운전석 시트에서 운전자가 착석했을 때 심장이 위치하는 곳 또는 운전자가 운전석 안전 벨트를 착용했을 때, 운전자의 심장이 위치하는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심박 체크 모듈(220)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복수 개 포함함으로써, 다이버시티 또는 셀렉션 기법을 사용하여 운전자의 심박을 정확히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박 체크 모듈(220)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기반으로 유도 자기장, 유도 전기장 또는 유도 전자기장을 다이버시티 수신하거나, 셀렉션 수신함으로써, 심박을 측정함에 있어 페이딩 효과 및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심박 체크 모듈(220)은 차량 및 운전자 각각의 진동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진동 값 또는 운전자의 자세 또는 차량의 오리엔테이션(회전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자세/오리엔테이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에 대해 체크된 심박을 보정함으로써, 체크된 심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박 체크 모듈(220)은 심박 체크 시스템(200) 또는 차량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차량의 진동 값 및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운전자의 신체 진동 값을 수신한 뒤, 잡음(예를 들어, 차량의 진동 값과 운전자의 신체 진동 값 사이의 차이로 인한 잡음)을 운전자의 심박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심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심박 체크 모듈(220)은 차량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로부터 센싱된, 차량의 회전도를 나타내는 오리엔테이션 값과 잡음(예를 들어,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운전자의 신체 자세 값 사이의 차이로 인한 잡음)을 운전자의 심박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심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심박 체크 모듈(220)은 운전자의 음성 신호를 취득하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 값을 이용하여, 운전자에 대해 체크된 심박을 보정함으로써, 체크된 심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말을 하는 경우, 운전자의 음성 신호는 심박을 체크하는 과정에서 잡음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에, 심박 체크 모듈(220)은 체크된 심박에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제거함으로써, 심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심박 체크 시스템(200)은 차폐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폐막은 심박 체크 모듈(220)이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과정에서 발생시키는 자기장, 전기장, 전자기장 또는 수신하는 유도 자기장, 유도 전기장, 유도 전자기장에 운전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가 미치는 영향을 방지/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이상, 심박 체크 시스템(200)이 운전자 인식 모듈(210) 및 심박 체크 모듈(220)을 포함하는 경우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더 적거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 심박 체크 시스템(200)이 운전자의 심박 신호를 체크하는 경우로 설명하였으나, 심박 체크 시스템(200)은 운전자의 호흡 신호를 동일한 방식에 따라 적응적으로 체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운전자 인식 모듈(210)에서 차량에 위치하는 운전자를 인식함에 응답하여, 심박 체크 모듈(220)은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 사이에서 자동으로 전환되며, 온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운전자의 호흡을 체크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심박 체크 시스템(200)은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으로서, 운전자 인식 모듈(210)과 생체 신호(호흡 신호 및 심박 신호)를 체크하는 생체 신호 체크 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위험도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심박을 적응적으로 체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심박 체크 시스템(310)은 운전자 인식 모듈에서 식별하는 운전자의 위험도에 기초하여 심박 체크 모듈을 오프 상태 및 온 상태에서 전환하며, 운전자의 심박을 적응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인식 모듈에서 운전자가 차량에 위치함을 인식한 뒤, 차량(320)에 구비된 카메라(330)를 통하여 운전자의 졸음 위험도를 식별한 결과, 운전자의 졸음 위험도가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심박 체크 모듈은 비활성화인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운전자 인식 모듈은 카메라(330)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운전자의 졸음 위험도를 식별하고, 특정 순간 운전자의 졸음 위험도가 기준 값을 초과하게 되면, 심박 체크 모듈은 그 순간 온 상태로 전환되어,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심박 체크 시스템(310)은 운전자의 위험도를 식별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심박 체크 모듈을 온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인식 모듈에서 운전자가 차량에 위치함을 인식한 뒤, 차량(320)에 구비된 카메라(330)를 통하여 운전자의 졸음 위험도를 식별하는 과정에서, 운전자의 머리카락 또는 안경에 의해 운전자의 눈이 가려진 경우(또는 카메라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심박 체크 모듈은 자동으로 온 상태로 전환되어,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심박 체크 시스템(310)은 운전자 인식 모듈에서 식별하는 운전자의 위험도에 기초하여 심박 체크 모듈에서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주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인식 모듈에서 차량(320)에 구비된 마이크 센서(340)을 통하여 운전자의 졸음 위험도를 식별한 결과, 운전자가 동승자와 대화를 하고 있기 때문에, 졸음 위험도가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심박 체크 모듈은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주기를 기준 주기보다 더 길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심박 체크 시스템(310)은 운전자 인식 결과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위험도를 식별한 결과에 따라 운전자의 심박을 적응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심박 체크 동작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심박 체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차폐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심박 체크 시스템은 차폐막(4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폐막(410)은 심박 체크 모듈(420)이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과정에서 발생시키는 자기장, 전기장, 전자기장 또는 수신하는 유도 자기장, 유도 전기장, 유도 전자기장에 운전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동승자)가 미치는 영향을 방지/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심박 체크 모듈(420)(특히, 심박 체크 모듈(420)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이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적응적으로 차량(4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박 체크 모듈(420)이 도면과 같이 운전석 시트에 배치되는 경우, 차폐막(410)은 운전석 시트의 뒷좌석 시트에 앉는 동승자가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자기장, 전기장, 전자기장 또는 유도 자기장, 유도 전기장, 유도 전자기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운전석 시트의 내부(심박 체크 모듈(420)을 뒷좌석 시트에 앉는 동승자로부터 격리시키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차폐막(410)은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자기장, 전기장, 전자기장 또는 유도 자기장, 유도 전기장, 유도 전자기장을 다른 동승자들로부터 격리시키는 차량(430)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심박 체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심박 체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운전자 인식 모듈은, 차량에 위치하는 운전자를 인식한다(510).
구체적으로, 운전자 인식 모듈은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는지,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는지, 운전자에 의해 차량이 온 상태에 있는지 또는 운전자에 의해 차량이 주행 상태에 있는지 중 적어도 하나의 여부를 판단하여 운전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심박 체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심박 체크 모듈은 운전자 인식 결과에 따라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 사이에서 자동으로 전환된다(520).
예를 들어, 운전자 인식 모듈에서 운전자가 인식되는 경우, 심박 체크 모듈은 520 단계에서 온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521).
반면에, 운전자 인식 모듈에서 운전자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심박 체크 모듈은 520 단계에서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522)(평상시에 심박 체크 모듈은 오프 상태로 설정됨).
따라서, 온 상태로 설정되는 심박 체크 모듈은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한다(530). 이 때, 심박 체크 모듈은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심박 체크 모듈은 차량의 주행 패턴, 주행 지리 또는 주행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주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심박 체크 모듈은 운전자 인식 모듈로 하여금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위험도를 식별하도록 함으로써, 위험도에 따라 주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530 단계에서 심박 체크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운전자의 신체를 향해 자기장, 전기장 또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자기장, 전기장 또는 전자기장에 의해 운전자의 신체에서 발생되는 유도 자기장, 유도 전기장 또는 유도 전자기장을 수신하며, 유도 자기장, 유도 전기장 또는 유도 전자기장을 기초로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할 수 있다. 여기서, 심박 체크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복수 개 포함함으로써, 유도 자기장, 유도 전기장 또는 유도 전자기장을 다이버시티 수신하거나, 셀렉션 수신할 수 있다.
또한, 530 단계에서, 심박 체크 모듈은 차량 및 운전자 각각의 진동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진동 값 또는 운전자의 자세 또는 차량의 오리엔테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자세/오리엔테이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에 대해 체크된 심박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530 단계에서, 심박 체크 모듈은 차량용 심박 체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차폐막을 이용함으로써, 심박 체크 모듈이 발생시키는 자기장, 전기장, 전자기장 또는 수신하는 유도 자기장, 유도 전기장, 유도 전자기장에 운전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가 미치는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510 단계에서 운전자 인식 모듈이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위험도를 식별함으로써, 520 단계에서 심박 체크 모듈은 위험도에 따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 사이에서 자동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1.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심박 체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위치하는 운전자를 인식하는 운전자 인식 모듈; 및
    상기 운전자 인식 결과에 따라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 사이에서 자동으로 전환되며, 상기 온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심박 체크 모듈
    을 포함하는 심박 체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인식 모듈은,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량에 탑승하는지,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는지, 상기 운전자에 의해 상기 차량이 온 상태에 있는지 또는 상기 운전자에 의해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에 있는지 중 적어도 하나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운전자를 인식하는, 심박 체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 체크 모듈은,
    상기 운전자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온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운전자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심박 체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 체크 모듈은,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상기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심박 체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 체크 모듈은,
    상기 차량의 주행 패턴, 주행 지리 또는 주행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주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심박 체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인식 모듈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위험도를 식별하고,
    상기 심박 체크 모듈은,
    상기 위험도에 따라 상기 주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심박 체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인식 모듈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위험도를 식별하고,
    상기 심박 체크 모듈은,
    상기 위험도에 따라 상기 온 상태 또는 상기 오프 상태 사이에서 자동으로 전환되는, 심박 체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 체크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운전자의 신체를 향해 자기장, 전기장 또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자기장, 상기 전기장 또는 상기 전자기장에 의해 상기 운전자의 신체에서 발생되는 유도 자기장, 유도 전기장 또는 유도 전자기장을 수신하여, 상기 유도 자기장, 상기 유도 전기장 또는 상기 유도 전자기장을 기초로 상기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심박 체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 체크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복수 개 포함하여, 상기 유도 자기장, 상기 유도 전기장 또는 상기 유도 전자기장을 다이버시티 수신하거나, 셀렉션 수신하는, 심박 체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 체크 모듈은,
    상기 차량 및 상기 운전자 각각의 진동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진동 값 또는 상기 운전자의 자세 또는 상기 차량의 오리엔테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자세/오리엔테이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해 체크된 심박을 보정하는, 심박 체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 체크 모듈은,
    상기 운전자의 음성 신호를 취득하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 값을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해 체크된 심박을 보정하는, 심박 체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 체크 모듈에서 발생시키는 자기장, 전기장, 전자기장 또는 수신하는 유도 자기장, 유도 전기장 또는 유도 전자기장에 상기 운전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가 미치는 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막
    을 더 포함하는 심박 체크 시스템.
  13.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심박 체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심박 체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운전자 인식 모듈에서, 상기 차량에 위치하는 운전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용 심박 체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심박 체크 모듈이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 사이에서 자동으로 전환되는 단계; 및
    상기 온 상태로 설정되는 상기 심박 체크 모듈에서, 상기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심박 체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위치하는 운전자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량에 탑승하는지,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는지, 상기 운전자에 의해 상기 차량이 온 상태에 있는지 또는 상기 운전자에 의해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에 있는지 중 적어도 하나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운전자를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심박 체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및 상기 운전자 각각의 진동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진동 값 또는 상기 운전자의 자세 또는 상기 차량의 오리엔테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자세/오리엔테이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해 체크된 심박을 보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심박 체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심박을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용 심박 체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차폐막을 이용하여, 상기 심박 체크 모듈이 발생시키는 자기장, 전기장, 전자기장 또는 수신하는 유도 자기장, 유도 전기장, 유도 전자기장에 상기 운전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가 미치는 영향을 방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심박 체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7.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위치하는 운전자를 인식하는 운전자 인식 모듈; 및
    상기 운전자 인식 결과에 따라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 사이에서 자동으로 전환되며, 상기 온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의 생체 신호를 체크하는 생체 신호 체크 모듈
    을 포함하는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
KR1020190178172A 2019-12-30 2019-12-30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037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172A KR20200003763A (ko) 2019-12-30 2019-12-30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172A KR20200003763A (ko) 2019-12-30 2019-12-30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017A Division KR20180089194A (ko) 2017-01-31 2017-01-31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763A true KR20200003763A (ko) 2020-01-10

Family

ID=6915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172A KR20200003763A (ko) 2019-12-30 2019-12-30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37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6730A (ko) * 2020-01-28 2021-08-06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기반의 상태 변화 감지에 따른 운전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US11590930B1 (en) 2021-08-27 2023-02-28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Vehicle systems for verifying passenger protective equipment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11940283B2 (en) 2021-08-12 2024-03-26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Vehicle matching systems and methods for matching a user with a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6730A (ko) * 2020-01-28 2021-08-06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기반의 상태 변화 감지에 따른 운전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US11940283B2 (en) 2021-08-12 2024-03-26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Vehicle matching systems and methods for matching a user with a vehicle
US11590930B1 (en) 2021-08-27 2023-02-28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Vehicle systems for verifying passenger protective equipment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9870B2 (en) Vehicle compatible ambulatory defibrillator
KR102631160B1 (ko) 차량 탑승자 상태 감지방법 및 차량 탑승자 상태 감지장치
KR20200003763A (ko)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1529527B2 (en) Medical device operational modes
CN105015552B (zh) 驾驶员状态监测系统及其控制方法
US20170090475A1 (en) Driver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wearable device
EP2797828B1 (en) Emergency operation of elevators
KR20180018854A (ko) 맞춤화된 햅틱 피드백을 위한 스마트 착용형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US10913426B2 (en) Automobile, steering wheel, and driver identity recognition method
KR101839089B1 (ko) 운전자의 졸음 인식 방법 및 졸음 인식 장치
CN109381201A (zh) 车载疲劳监测系统
US2019034684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KR20110105411A (ko) 무선 측정 생체 신호를 이용한 안전 운전 시스템
US20200194127A1 (en) Biometric data capturing and analysis using a hybrid sensing systems
KR102076759B1 (ko) 심화신경망과 랜덤 포레스트의 앙상블을 이용한 멀티센서 기반의 비접촉식 수면 단계 검출 방법 및 장치
WO2018211966A1 (ja) 運転者監視装置、運転者監視方法及び運転者監視のためのプログラム
KR20190131678A (ko)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99298A (ko) 알에프 렌즈를 이용한 통신 장치
KR20180089194A (ko)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0836256B2 (en) Enhanced touchscreen operation
WO2019160168A1 (ko)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생체 신호 체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WO2016061351A1 (en) Wearable device for operator degraded performance notification with location-based remedial response
US11972673B2 (en) System for assisting a patient to raise an alarm
KR20230039111A (ko) 히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Bansode et al. Stereotypic repetitive hand flapping movement detector for children with aut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