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2878A - 초콜릿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초콜릿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2878A
KR20130122878A KR1020120046003A KR20120046003A KR20130122878A KR 20130122878 A KR20130122878 A KR 20130122878A KR 1020120046003 A KR1020120046003 A KR 1020120046003A KR 20120046003 A KR20120046003 A KR 20120046003A KR 20130122878 A KR20130122878 A KR 20130122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colate
nozzle
supply
lower bod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7396B1 (ko
Inventor
임선식
Original Assignee
임선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선식 filed Critical 임선식
Priority to KR1020120046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396B1/ko
Publication of KR20130122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cocoa or cocoa products
    • A23G1/20Apparatus for moulding, cutting, or dispensing chocolate
    • A23G1/201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23G1/21 - A23G1/28
    • A23G1/205Apparatus in which the material is shaped at least partially in a mould, in the hollows of a surface, a drum, an endless band or by drop-by-drop casting or dispensing of the material on a surface, e.g. injection moulding, transfer moulding
    • A23G1/206Apparatus for laying down material in moulds or drop-by-drop on a surface, optionally with the associated heating, cooling, portioning, cutting cast-tail, anti-drip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콜릿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 초콜릿이 공급되는 공급공간을 구비한 본체; 상기 공급공간에 구비되는 공급관; 상기 공급공간에 상기 공급관의 하측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복수의 노즐과, 상기 노즐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공급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조립체는, 상하방향으로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바디 및 상부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하부바디의 저부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각각 이격 배치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노즐장치를 교체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패턴으로 초콜릿을 공급할 수 있고 초콜릿이 균일하게 낙하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콜릿 공급장치{CHOCOLATE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초콜릿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패턴으로 액상 초콜릿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초콜릿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초콜릿은, 카카오매스와 코코아버터를 혼합한 반죽으로 만든 과자의 일 종이다.
상기 초콜릿에는 밀크, 버터, 설탕 및/또는 향료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초콜릿은 가공성이 매우 우수하여 다른 재료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초콜릿은 다른 재료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콜릿은 과자, 빵, 케익, 아이스크림 등 다양한 형태의 다른 재료의 표면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초콜릿을 다른 재료와 결합하기 위해 공급할 때는 초콜릿을 가열하여 액상으로 공급하는 초콜릿 공급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초콜릿 공급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콜릿 공급장치는, 액상의 초콜릿이 수용되는 저장용기(10)와, 상기 저장용기(10)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공급튜브(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급튜브(20)의 단부에는 액상 초콜릿이 배출될 수 있게 노즐부재(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튜브(20)는 내부의 액상 초콜릿을 가압하여 배출시킬 수 있게 가요성(flexibility)을 구비한 재질(예를 들면 고무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부재(30)는 액상 초콜릿이 일정량이 공급될 수 있게 소정 직경의 배출구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초콜릿 공급장치는, 작업자가 일일이 공급튜브(20)를 가압하여 액상 초콜릿을 인출(공급)하도록 되어 있어 초콜릿의 공급 속도 및 공급량이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 아니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노즐을 통해 동시에 초콜릿을 공급할 수 있는 초콜릿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 장치를 교체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패턴으로 초콜릿을 공급할 수 있는 초콜릿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장치를 교체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패턴으로 초콜릿을 공급할 수 있고 초콜릿이 균일하게 낙하할 수 있는 초콜릿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액상 초콜릿이 공급되는 공급공간을 구비한 본체; 상기 공급공간에 구비되는 공급관; 상기 공급공간에 상기 공급관의 하측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복수의 노즐과, 상기 노즐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공급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조립체는, 상하방향으로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바디 및 상부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하부바디의 저부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각각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콜릿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바디에는 상기 노즐의 일 부가 외측에서 삽입될 수 있게 노즐결합부가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기 노즐결합부에 나사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결합부는 상기 하부바디의 저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의 축심에는 상기 액상 초콜릿이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노즐의 내측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의 외측 단부의 내부 통로는 배출 방향을 따라 일정한 유동단면적이 일정 구간 유지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기 노즐결합부에 나사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통로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비해 확장형성되는 확장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에는 수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통로에는 상기 수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바디 및 상부바디를 일체로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바디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구비될 수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에는 손으로 회전 조작할 수 있게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에는 상기 공급관과 내부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연결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은 상기 공급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받침대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모터가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모터는 상기 액상 초콜릿의 공급 도중 또는 공급 후 상기 받침대에 진동을 가하게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를 탄성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게 가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전기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히터는 봉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바디에는 상기 전기히터가 삽입될 수 있게 전기히터삽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액상 초콜릿이 수용되는 저장용기, 및 상기 저장용기의 액상 초콜릿을 펌핑하는 펌프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 및 상기 펌프는 상기 하부바디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의 일 단부는 상기 펌프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관의 타 단부는 상기 상부바디로 연장되어 상기 공급공간으로 하향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액상 초콜릿의 온도, 공급속도 및 공급시간을 제어(조절)할 수 있게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노즐을 구비한 노즐조립체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노즐을 통해 동시에 액상 초콜릿을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각 노즐을 개폐할 수 있는 노즐개폐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노즐(조립체)을 교체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패턴으로 초콜릿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노즐의 내측 단부에 개폐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노즐의 외측 단부 내부에는 일정한 유동단면적이 일정 구간 유지될 수 있어 액상 초콜릿이 균일하게 배출 및 낙하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초콜릿 공급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콜릿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초콜릿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부품 구성도,
도 4는 도 2의 제어부의 확대도,
도 5는 도 2의 노즐조립체의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5의 노즐조립체의 저면도,
도 7은 도 5의 노즐의 개방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도 5의 노즐 및 개폐부재의 결합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9는 도 5의 Ⅸ-Ⅸ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5의 클램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성형몰드의 형태에 따른 노즐의 개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콜릿 공급장치는, 액상 초콜릿이 공급되는 공급공간(S)을 구비한 본체(110); 상기 공급공간(S)에 구비되는 공급관(140); 상기 공급공간(S)에 상기 공급관(140)의 하측에 구비되는 받침대(150); 및 복수의 노즐(190)과, 상기 노즐(190)을 개폐하는 개폐부재(210)를 구비하여 상기 공급관(1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조립체(170a);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조립체(170a)는, 상하방향으로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바디(171) 및 상부바디(181);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190)은 상기 하부바디(171)의 저부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d1,d2)으로 각각 이격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체(110)는, 예를 들면, 상단에 액상 초콜릿이 공급되는 공급공간(S)이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예를 들면, 상단에 공급공간(S)이 구비되는 프레임(111)과, 상기 프레임(111)의 상측에 배치되는 헤드부(112)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12)는 상기 프레임(111)의 상단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공간(S)은 상기 프레임(111) 및 헤드부(11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1) 및 헤드부(112)는 연결부(113)에 의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3)는 상기 프레임(111)의 후방영역에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12)는 상기 프레임(111)에 비해 축소된 크기로 상기 연결부(113)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상기 액상의 초콜릿이 저장되는 저장용기(120)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111)의 내부에는 상기 저장용기(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120)에는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액상 초콜릿을 교반하는 교반장치 및 온도 유지를 위한 가열장치(예를 들면 전기히터)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상기 액상의 초콜릿을 펌핑하는 펌프(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펌프(130)는 상기 프레임(11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130)는 상기 저장용기(120)의 내부의 액상의 초콜릿을 펌핑할 수 있게 상기 저장용기(1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펌프(130)의 일 측에는 상기 저장용기(120)의 내부의 액상의 초콜릿을 상기 공급공간(S)으로 공급할 수 있게 공급관(1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140)에는, 예를 들면, 상기 공급관(140)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가열장치(142)(예를 들면 전기히터(1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140)은, 예를 들면, 일 단이 상기 펌프(130)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향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140)의 타 단은 상기 연결부(113) 및 헤드부(112)를 경유하여 상기 헤드부(112)의 저부에 하향 연장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저장용기(120)의 내부의 액상 초콜릿이 상기 공급관(140)을 통해 상기 공급공간(S)으로 제공(공급)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액상 초콜릿이 공급되는 용기(예를 들면, 성형몰드(270)) 또는 제빵류, 또는 과자류 등을 지지할 수 있게 받침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150)는, 예를 들면, 직사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150)는 좌우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150)에는, 예를 들면, 상기 노즐조립체(170a)의 각 노즐(190)의 위치에 대응되게 성형몰드(270)를 위치시키는 지그 또는 가이드(152)(이하, '가이드(152)'로 표기함)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52)는 성형몰드(270)의 크기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성형몰드(270)는 각 노즐(190)의 가로방향 간격(d1) 및 세로방향 간격(d2)에 대응되게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셀(27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150)의 저부에는 복수의 지지스프링(15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스프링(155)은, 예를 들면, 상하방향을 따라 신축이 가능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받침대(150)는 상하방향으로 탄성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150)의 일 측에는 상기 받침대(150)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장치(1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장치(157)는 상기 받침대(150)에 장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장치(157)는, 예를 들면, 진동모터(157)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진동장치(157)는, 상기 액상 초콜릿의 공급도중 또는 공급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진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액상 초콜릿이 성형 몰드(270)에 공급된 후 진동장치(157)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의해 각 셀(272)의 내부의 액상 초콜릿의 표면(또는 표면 높이)이 균일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액상 초콜릿의 온도, 공급속도 및 공급시간을 제어(조절)할 수 있게 제어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예를 들면, 액상 초콜릿의 공급시 시각 정보(예를 들면, 온도, 속도,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램프와, 전원을 개폐하는 각 종 스위치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헤드부(112)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예를 들면, 상기 헤드부(112)의 전면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저장용기(120)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표시부(251a), 온도조절스위치(251b), 및 전원스위치(251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진동장치(157)의 동작을 표시하는 동작표시램프(252a) 및 상기 진동장치(157)의 전원개폐스위치(25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공급관(140)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표시부(254a) 및 상기 공급관(140)의 가열부(전기히터)(142)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스위치(254b) 및 개폐스위치(254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본 실시예의 초콜릿 공급장치의 전원 공급상태를 표시하는 주전원공급표시부(25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저장용기(120)의 내부의 액상의 초콜릿을 교반하는 교반장치의 속도를 표시하는 속도표시부(258a),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스위치(258b), 상기 교반장치의 전원을 개폐하는 전원개폐스위치(258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초콜릿의 공급시간을 표시하는 공급시간표시부(260a), 상기 초콜릿의 공급모드를 조절하는 공급모드조절스위치(260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초콜릿의 공급속도(예를 들면 rpm)를 표시하는 공급속도표시부(262a), 공급속도를 조절하는 공급속도조절스위치(262b), 상기 펌프(130)의 전원을 개폐하는 전원개폐스위치(262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비상시 전원을 차단하는 비상스위치(26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일 측 하부에는 발로 조작이 가능한 페달스위치(2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페달스위치(264)는 1회 조작시 액상 초콜릿이 미리 설정(조절)된 속도로 미리 설정(조절)된 시간만큼 공급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관(140)에는 복수의 노즐(190)을 구비한 노즐조립체(17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조립체(170a)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대면 접촉되어 결합되는 상부바디(181) 및 하부바디(17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181)와 상기 하부바디(171)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실링부재(18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186)는 예를 들면, 탄성이 있는 고무부재 또는 실리콘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186)는 상기 하부바디(171) 및/또는 상부바디(18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181) 및 하부바디(171)는 예를 들면, 직사각 형상으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181) 및 하부바디(171)는 금속부재(예를 들면, 알루미늄(Al))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181) 및 하부바디(171)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상부바디(181) 및 하부바디(171)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게 가열부(1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185)는 전기히터(18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히터(185)는, 예를 들면, 막대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히터(185)는, 예를 들면, 상기 상부바디(18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기히터(185)는, 예를 들면,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181)에는 상기 전기히터(185)가 삽입될 수 있게 전기히터삽입부(18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히터삽입부(183)는 상기 상부바디(181)의 전방 양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181) 및 하부바디(171)는 금속부재로 형성되어 상호 대면 접촉되게 결합되므로 전도에 의해 열전달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상부바디(181) 및 하부바디(171)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 초콜릿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여 공급에 적절한 점성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바디(171)는, 예를 들면, 상측으로 개방된 사각 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바디(171)의 저부면에는 복수의 노즐(190)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노즐(190)은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제1간격(d1) 및 제2간격(d2)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간격(d1) 및 제2간격(d2)은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거나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노즐(190)은,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6줄이 제1간격(d1)으로 각각 이격 배치되고, 세로방향으로 4줄이 각각 제2간격(d2)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즐(190)의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의 각 배치 개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조립체(170b)는 가로방향으로 8줄, 세로 방향으로 6줄이 각각 구비되게 노즐조립체(170b)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성형 몰드(270)는,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노즐조립체(170a)에 대응되게 가로방향으로 6줄의 셀(272), 세로방향으로 4줄의 셀(272)이 각각 구비되어 총 24개의 셀(272)이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190)은 상기 하부바디(171)의 외측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바디(171)의 저부면에는 노즐결합부(17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결합부(173)는 상기 하부바디(171)의 저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190)은 상기 노즐결합부(173)에 나사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19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바디(191)와, 상기 노즐바디(191)에 비해 축소된 결합부(19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노즐(190)의 축심 또는 중앙에는 상기 액상의 초콜릿이 이동하는 통로(193)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92)에는 수나사부(19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결합부(173)에는 상기 노즐(190)의 각 결합부(192)가 각각 나사결합될 수 있게 복수의 암나사부(174)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즐(190)에는 상기 통로(193)를 개폐하는 개폐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노즐(190)의 통로(193)를 적절하게 개폐할 수 있어 다양한 패턴으로 액상의 초콜릿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210)는, 예를 들면, 상기 노즐(190)의 통로(193)에 삽입되는 삽입부(212)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210)는 상기 노즐(190)의 내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12)에는 수나사부(2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로(193)에는 상기 삽입부(212)가 나사결합될 수 있게 암나사부(19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암나사부(195)는 상기 노즐(190)의 내측 단부의 통로(193)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노즐(190)의 외측 단부의 내부에는 일정한 직경의 통로(193)가 형성될 수 있어 액상 초콜릿이 다른 방향으로 비산됨이 없이 직하방으로 균일하게 낙하(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210)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212)에 비해 확장형성되는 확장부(215)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부(215)의 표면(상면)에는 공구가 결합될 수 있게 공구결합부(2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구결합부(216)는, 예를 들면, 십( +)자 및/또는 일(-)자 홈, 또는 렌치홈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조립체(170a)는 상기 상부바디(181) 및 하부바디(171)를 일체로 체결하는 체결부재(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181) 및 하부바디(171)에는 상기 체결부재(220)가 결합될 수 있게 체결부재결합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결합부(230)는,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바디(171)의 내부 저부에서 상향 돌출된 하부보스(232)와, 상기 상부바디(181)의 내부에서 상기 하부보스(232)에 대응되게 하향 돌출된 상부보스(23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보스(235) 및 하부보스(232)는 상호 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20)는, 수나사부(222)와, 상기 수나사부(222)의 회전 조작을 위한 손잡이(22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23)는 손으로 회전 조작이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220)의 분리 및 결합을 위한 공구 사용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상부보스(235)에는 상기 체결부재(220)의 수나사부(222)가 삽입될 수 있게 삽입공(237)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보스(232)에는 상기 체결부재(220)의 수나사부(222)가 나사결합될 수 있게 암나사부(234)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바디(181)에는 상기 공급관(140)과 내부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연결관(18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87)은 상기 상부바디(181)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87)은 상기 상부바디(181)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87)은 상기 공급관(1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87)은 상단이 상기 공급관(140)의 내부에 삽입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140) 및 상기 연결관(187)의 상호 결합영역에는 상기 연결관(187)을 고정시키는 클램핑유닛(2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유닛(240)은, 예를들면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관(14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241)와, 상기 클램프(241)의 일 측 영역과 상하방향을 따라 맞물림되는 걸림턱(188)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88)은 상기 연결관(187)의 외면에 반경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88)의 일 측에는 상기 클램프(241)가 회동할 수 있게 상기 연결관(187)의 외면에 함몰되고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된 그루브(189)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클램프(241)의 회동 조작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241)는, 예를 들면, 상기 공급관(140)에 결합되는 바디(242)와, 상기 바디에 대해 회동 가능한 레버(24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레버(243)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레버(243)는, 상기 바디(242)에 결합되는 회동축(244), 상기 회동축(244)으로부터 일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동축(244)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걸림턱(188)과 상하방향에 대해 맞물림되는 걸림돌기(245) 및, 상기 회동축(244)으로부터 타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동축(244)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손잡이(246)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241)의 레버(243)는, 상기 손잡이(246)가 상기 공급관(140)의 길이방향에 거의 수직하게 배치되는 개방위치와, 상기 손잡이(246)가 상기 공급관(14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위치 간을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노즐조립체(170a)를 상기 공급관(140)에 결합하고자 할 때는, 상기 클램프(241)를 개방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관(187)을 상기 공급관(140)의 하측에 배치하여 상기 공급관(140)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87)이 삽입되면 상기 손잡이(246)를 하향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손잡이(246)를 하향 회동시키면 상기 걸림돌기(244)는 상기 그루브(189)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45)의 상단은 상기 걸림턱(188)의 하측에 접촉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연결관(187)의 하향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50)를 조작하여 액상 초콜릿의 공급량, 즉 공급속도 및 공급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를 조작하여 상기 페달스위치(264)의 1회 조작시 상기 노즐조립체(170a)를 통해 공급될 액상 초콜릿의 공급량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액상 초콜릿의 공급 전에 상기 진동장치(157)에 전원이 인가되게 스위치(251b)를 조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진동장치(157)가 구동되면 상기 받침대(150)가 진동될 수 있다.
상기 노즐조립체(170a)의 하측 상기 받침대(150)의 상측에 성형몰드(2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성형몰드(270)는 상기 가이드(152)에 의해 공급에 적절한 위치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성형몰드(270)가 배치되면 상기 페달스위치(264)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페달스위치(264)가 조작되면 상기 펌프(130)는 구동되어 기 설정된 공급시간 및 공급속도로 상기 액상 초콜릿이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펌프(130)에 의해 펌핑된 액상 초콜릿은 상기 공급관(140)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노즐조립체(170a)의 각 노즐(190)을 통해 상기 성형몰드(270)의 해당 셀(272)의 내부로 정확하게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성형몰드(270)의 각 셀의 내부로 공급된 액상 초콜릿은 상기 받침대(150)의 진동에 의해 진동하면서 상기 셀(272)의 내부에 골고루 퍼지게 되어 균일한 표면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조립체(170a)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성형몰드(280)에 액상 초콜릿을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초콜릿 공급장치는 노즐조립체(170a)에 비해 작은 성형몰드(280)에 초콜릿을 공급할 경우 노즐(190)을 적절히 개폐하는 것에 의해 노즐조립체를 새로 제작함이 없이 초콜릿의 공급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노즐(190)의 가로 방향 간격(d1) 및 세로 방향 간격(d2)에 대응되게 직사각형 셀(272)이 가로로 5열, 세로로 3열이 각각 구비된 성형몰드(280)에 액상 초콜릿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노즐조립체(170a)를 상기 공급관(140)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체결부재(220)를 회전 조작하여 상기 하부바디(171)와 상기 상부바디(181)를 서로 분리할 수 있다. 다음, 상기 하부바디(171)에 결합된 노즐(190)의 가로방향의 1열의 노즐(190)들과, 세로방향의 1열의 노즐(190)에 각각 개폐부재(210)를 결합하여 해당 노즐(190)의 통로(193)를 차단할 수 있다.
통로를 차단하고자 하는 노즐(190)에 개폐부재(21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하부바디(171)와 상부바디(181)를 상호 결합하고, 상기 노즐조립체(170a)를 상기 공급관(140)에 결합한다.
상기 제어부(250)를 통해 액상 초콜릿의 공급시간 및 공급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52)를 이용하여 상기 성형몰드(28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페달스위치(264)를 조작하면 상기 성형몰드(280)의 각 셀(282)로 개방된 노즐(190)로부터 액상 초콜릿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몰드(290)는 다양한 모양의 셀(292)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성형몰드(290)는, 하트모양(♡)의 복수의 셀(292)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성형몰드(290)에 액상 초콜릿을 공급하고자 할 때는, 상기 노즐조립체(170b)의 상부바디(181) 및 하부바디(171)를 분리하고, 평면 투영시 상기 각 셀(292)의 외부에 배치되는 노즐(190)의 통로(193)를 차단할 수 있다.
평면 투영시 상기 각 셀(193)의 외측에 통로(193)가 배치되는 노즐(190)은 상기 개폐부재(210)를 결합하여 해당 노즐(190)의 통로(193)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하트모양의 셀(292)의 내부로 액상 초콜릿이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21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상부바디(181) 및 하부바디(171)를 결합하고, 상기 노즐조립체(170b)를 상기 공급관(14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를 통해 액상 초콜릿의 공급시간 및 공급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52)를 조절하여 상기 성형몰드(290)를 정확한 위치에 위치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페달스위치(264)를 조작하면 상기 펌프(130)가 구동되어 미리 설정된 공급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공급속도로 액상 초콜릿을 공급되게 할 수 있다.
펌핑된 액상 초콜릿은 개방된 노즐(190)을 통해 상기 성형몰드의 각 셀의 내부로공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본체 111 : 프레임
112 : 헤드부 113 : 연결부
120 : 저장용기 130 : 펌프
140 : 공급관 150 : 받침대
152 : 가이드 155 : 지지스프링
157 : 진동장치 170a,170b : 노즐조립체
171 : 하부바디 173 : 노즐결합부
181 : 상부바디 187 : 연결관
188 : 걸림턱 189 : 그루브
190 : 노즐 182 : 결합부
193 : 통로 210 : 개폐부재
212 : 삽입부 215 : 확장부
220 : 체결부재 223,246 : 손잡이
230 : 체결부재결합부 240 : 클램핑유닛
243 : 레버 244 : 회동축
245 : 걸림돌기 250 : 제어부
270,280,290 : 성형몰드 272,282,292 : 셀

Claims (12)

  1. 액상 초콜릿이 공급되는 공급공간을 구비한 본체;
    상기 공급공간에 구비되는 공급관;
    상기 공급공간에 상기 공급관의 하측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복수의 노즐과, 상기 노즐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공급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조립체는, 상하방향으로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바디 및 상부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하부바디의 저부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각각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콜릿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에는 상기 노즐의 일 부가 외측에서 삽입될 수 있게 노즐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콜릿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노즐결합부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콜릿 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결합부는 상기 하부바디의 저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콜릿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축심에는 상기 액상 초콜릿이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노즐의 내측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콜릿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외측 단부의 내부 통로는 배출 방향을 따라 일정한 유동단면적이 일정 구간 유지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콜릿 공급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통로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비해 확장형성되는 확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콜릿 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수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통로에는 상기 수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콜릿 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 및 상부바디를 일체로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에는 손으로 회전 조작할 수 있게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콜릿 공급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게 가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콜릿 공급장치.
  11. 제10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에는 상기 공급관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연결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콜릿 공급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진동모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콜릿 공급장치.
KR1020120046003A 2012-05-01 2012-05-01 초콜릿 공급장치 KR101367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003A KR101367396B1 (ko) 2012-05-01 2012-05-01 초콜릿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003A KR101367396B1 (ko) 2012-05-01 2012-05-01 초콜릿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878A true KR20130122878A (ko) 2013-11-11
KR101367396B1 KR101367396B1 (ko) 2014-03-13

Family

ID=49852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003A KR101367396B1 (ko) 2012-05-01 2012-05-01 초콜릿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39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206B1 (ko) * 2017-10-31 2018-06-19 정찬욱 교량구조물의 내진 보강장치
KR101869207B1 (ko) * 2017-10-31 2018-07-20 정찬욱 교량하부구조물의 내진 보강장치 시공방법
KR101887313B1 (ko) * 2017-10-31 2018-08-09 정찬욱 희생수단을 이용한 교량 내진 보호장치
KR101926445B1 (ko) * 2017-10-31 2019-03-07 세종아스콘(주) 도로 보수용 아스콘 제조방법
KR101926446B1 (ko) * 2017-10-31 2019-03-07 이영희 맨홀 보수용 아스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013Y1 (ko) * 1996-10-18 1999-03-20 이익재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 초코렛 도포장치
JP3052194B2 (ja) 1997-05-28 2000-06-12 芥川製菓株式会社 チョコレート菓子を製造するノズルとそのノズルを使用したチョコレート菓子の製造方法
JP2003169604A (ja) * 2001-12-10 2003-06-17 Fujiya:Kk 曲面状チョコレートの製造方法
JP3880599B2 (ja) * 2004-12-17 2007-02-14 有限会社石川機械工業所 チョコレート供給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206B1 (ko) * 2017-10-31 2018-06-19 정찬욱 교량구조물의 내진 보강장치
KR101869207B1 (ko) * 2017-10-31 2018-07-20 정찬욱 교량하부구조물의 내진 보강장치 시공방법
KR101887313B1 (ko) * 2017-10-31 2018-08-09 정찬욱 희생수단을 이용한 교량 내진 보호장치
KR101926445B1 (ko) * 2017-10-31 2019-03-07 세종아스콘(주) 도로 보수용 아스콘 제조방법
KR101926446B1 (ko) * 2017-10-31 2019-03-07 이영희 맨홀 보수용 아스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7396B1 (ko) 201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396B1 (ko) 초콜릿 공급장치
CN109090329B (zh) 用于制作液体或半液体食品的机器和操作该机器的方法
US20170295820A1 (en) Method and machine for making ice cream
US20140083300A1 (en) Beverage dispenser with removable nozzle rotating module
JP2016526419A (ja) 飲料を製造するための混合チャンバ
KR102349053B1 (ko)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압착기계
US96817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awing cakes
CN205890213U (zh) 一种喷头支架装置及具有该喷头支架装置的喷墨打印机
KR101890913B1 (ko) 호두과자 제조장치
CA2867193C (en) Edible wafer
KR101821615B1 (ko) 초콜릿 제조방법
KR101547223B1 (ko) 원형타입 빙과류 제조장치
US9717262B2 (en) Confectionery process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process
KR100537638B1 (ko) 계피떡 자동 성형기
EP1665949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ulticoloured poured cosmetic products with various shapes
KR200468187Y1 (ko) 콘 과자의 제조장치
CN211211167U (zh) 一种脱模机
CN219593512U (zh) 一种自动脱模结构
KR100561929B1 (ko)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 자동제조기의 반죽 자동 공급장치
NZ615786B2 (en) Improved confectionery process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process
AU2012265001A1 (en) Beverage dispenser with removable nozzle rotating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