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030A -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030A
KR20130120030A KR1020120042979A KR20120042979A KR20130120030A KR 20130120030 A KR20130120030 A KR 20130120030A KR 1020120042979 A KR1020120042979 A KR 1020120042979A KR 20120042979 A KR20120042979 A KR 20120042979A KR 20130120030 A KR20130120030 A KR 20130120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elastic string
coupled
gripp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4944B1 (ko
Inventor
김도규
Original Assignee
김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규 filed Critical 김도규
Priority to KR1020120042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944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이 휴대단말기의 일측에 결합되는 탄성줄부재와, 상기 탄성줄부재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다른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부재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와 탄성줄부재 사이로 손을 집어넣어 탄성줄부재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지 않고 휴대단말기를 하지하여 낙상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지용 보조기구에 클립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별도의 수납홈이 형성되어 외부충격에 의해 클립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Gripping device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파지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대각 모서리 방향으로 탄성줄부재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와 탄성줄부재 사이로 손을 집어넣어 휴대단말기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가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생활화되면서, 사용자 부주의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파손이 종종 발생된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의 파손은 사용자가 한손으로 휴대단말기를 잡고 이용하기 때문에 손에서 휴대단말기가 미끄러져 낙상에 의해 휴대단말기가 파손된다.
또한,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을 즐기기 위해 기기조작을 할 경우 한손으로 휴대단말기를 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 화면을 터치하는 등의 기기조작을 하거나, 동영상을 시청할 경우 휴대단말기를 파지하기 위해 장시간동안 손가락에 힘을 주게 되어 손가락에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휴대단말기의 파지가 용이하지 않아 고가의 휴대단말기가 낙상에 의해 파손되거나, 장시간 이용시 사용자의 손가락에 무리가 가는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휴대단말기의 파지를 용이하도록 하는 파지 보조기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파지용 보조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휴대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는 파지용 보조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측이 휴대단말기의 일측에 결합되는 탄성줄부재와, 상기 탄성줄부재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다른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부재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줄부재의 일측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일측 모서리에 결합되고,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대각방향 모서리에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탄성줄부재와 클립부재간에는 결합플레이트가 개재되어 상기 탄성줄부재의 타측이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에는 상기 클립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수납되는 수납홈 또는 수납공이 형성된다.
아울러, 일측이 휴대단말기의 일측 모서리에 결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대각방향 모리서로 연장되는 탄성줄부재와, 상기 탄성줄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휴대단말기 대각방향 모서리의 일정부분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수지재질의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와 탄성줄부재 사이로 손을 집어넣어 탄성줄부재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휴대단말기에 고정되어 장시간 이용시 사용자의 손가락에 무리가 가지 않으며, 휴대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이 미끄러지지 않아 낙상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지용 보조기구에 클립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별도의 수납홈이 형성되어 외부충격에 의해 클립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결합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결합플레이트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의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는 일측이 휴대단말기(1)의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탄성줄부재(10)와, 탄성줄부재(10)의 타측에 연결되어 휴대단말기(1)의 다른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부재(20)를 포함한다.
탄성줄부재(10)는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신축성을 가지는 고무밴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일측이 휴대단말기(1)의 일측 모서리 즉, 휴대단말기(1)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열쇠 또는 장식품을 매달수 있는 고정홈부(1a)에 결합된다.
여기서 탄성줄부재(10)는 고정홈부(1a)에 연결되는 별도의 연결줄(미도시)에 결합될 수도 있다.
클립부재(20)는 휴대단말기(1)의 측면을 감싸기 위해 'ㄱ'자 형상으로 꺽인 구조로 휴대단말기(1)의 두께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클립부재(20)는 측면이 'ㄷ'자 형상으로 휴대단말기(1)의 측면에 끼움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탄성줄부재(10)가 휴대단말기(1)의 일측 모서리에 결합되고, 클립부재(20)는 휴대단말기(1)의 대각방향 모서리에 결합되어 탄성줄부재(10)가 휴대단말기(1)의 대각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대각방향으로 위치하는 탄성줄부재(10)는 일직선방향보다 파지가 용이하며, 안정감이 뛰어난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탄성줄부재(10)와 클립부재(20)간에 별도의 결합플레이트(30)를 개재하여 양부재간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결합플레이트(30)를 휴대단말기(1)에 접하도록하여 파지시 안정감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결합플레이트(3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일측과 타측에 탄성줄부재(10)와 클립부재(20)가 결합되기 위한 복수개의 결합공(30a)이 형성된 플레이트로, 본 발명에 따른 파지 보조기구를 휴대단말기(1)에 결합할 때에, 결합플레이트(30)는 휴대단말기(1)의 모서리 부분의 저면에 접하도록 위치하여 사용자가 탄성줄부재(10) 사이로 손을 집어넣어 파지시 안정감을 높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결합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결합플레이트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서는 클립부재(20)가 결합플레이트(3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결합플레이트(30)에는 클립부재(20)가 회동하여 결합플레이트(30) 내측에 수납되기 위한 수납홈(31) 또는 수납공(32)이 형성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자면, 결합플레이트(30)에는 클립부재(20)에 대응되는 크기의 수납홈(31)이 형성되고, 수납홈(31)의 양측에는 클립부재(2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결합축(33)이 형성된다.
그리고 클립부재(20)는 측면이 'ㄱ'자 형상으로 휴대단말기(1)의 두께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휴대단말기(1)의 측면을 감싸게 되며, 클립부재(20)의 양단이 링형상으로 결합축(33)에 힌지결합되고 수납홈(31)의 측벽(34)에 의해 지지되어 수납홈(31)의 외측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수납홈(31)에는 클립부재(20)가 회동되어 클립부재(20)의 'ㄱ'자 형상으로 꺽여진 단부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 보조기구를 휴대단말기(1)에 거치하지 않고 평상시 보관할 때에, 클립부재(20)를 회동시켜 결합플레이트(30) 내측에 형성된 수납홈(31)에 수납하여 클립부재(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의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는 일측이 휴대단말기(1)의 일측 모서리에 결합되는 탄성줄부재(10)와, 탄성줄부재(10)의 타측에 연결되고 휴대단말기(1)의 대각방향 모서리의 일정부분을 수용하는 커버부재(40)를 포함한다.
커버부재(40)는 휴대단말기(1)와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수지재질의 사출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커버부재(40)에는 휴대단말기(1)의 모서리 일정부분이 수용되는 수용홈(41)이 형성되고, 이러한 커버부재(40)의 수용홈(41)은 휴대단말기(1)의 두께와 대응되거나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수용홈(41)에 휴대단말기(1)의 모서리부분이 밀착삽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 3 실시예의 커버부재(40)는 신축성이 우수하여 휴대단말기의 두께가 다른 여러종류의 휴대단말기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휴대단말기 10 : 탄성줄부재
20 : 클립부재 30 : 결합플레이트
30a : 결합공 31 : 수납홈
32 : 수납공 33 : 결합축
34 : 측벽 40 : 커버부재
41 : 수용홈

Claims (6)

  1. 일측이 휴대단말기의 일측에 결합되는 탄성줄부재와;
    상기 탄성줄부재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다른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줄부재의 일측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일측 모서리에 결합되고,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대각방향 모서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줄부재와 클립부재간에는 결합플레이트가 개재되어 상기 탄성줄부재의 타측이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에는 상기 클립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수납되는 수납홈 또는 수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
  5. 일측이 휴대단말기의 일측 모서리에 결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대각방향 모리서로 연장되는 탄성줄부재와;
    상기 탄성줄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휴대단말기 대각방향 모서리의 일정부분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수지재질의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

KR1020120042979A 2012-04-25 2012-04-25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 KR101394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979A KR101394944B1 (ko) 2012-04-25 2012-04-25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979A KR101394944B1 (ko) 2012-04-25 2012-04-25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030A true KR20130120030A (ko) 2013-11-04
KR101394944B1 KR101394944B1 (ko) 2014-05-14

Family

ID=49850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979A KR101394944B1 (ko) 2012-04-25 2012-04-25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9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254B1 (ko) 2014-09-15 2016-01-22 이용훈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이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1967449B1 (ko) * 2018-10-31 2019-04-10 노동환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KR102348928B1 (ko) * 2020-11-23 2022-01-07 이명진 노트북용 마우스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524A (ja) * 1999-12-27 2001-07-03 Masanobu Kitajima ノートパソコン用携帯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254B1 (ko) 2014-09-15 2016-01-22 이용훈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이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1967449B1 (ko) * 2018-10-31 2019-04-10 노동환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KR102348928B1 (ko) * 2020-11-23 2022-01-07 이명진 노트북용 마우스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944B1 (ko)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64235A1 (en) Cell phone protection case structure
US9545147B2 (en)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holding tool
US8616422B2 (en) Cantilevered snap fit case
KR20130120030A (ko) 휴대단말기용 파지 보조기구
US20210004050A1 (en) Connector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CN104353239A (zh) 具有可拆卸电子设备支架的多功能游戏手柄
KR101753173B1 (ko)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US8728646B2 (en) Battery lock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US8428662B2 (en) Hand held mobile device containing comfort perches
KR200473092Y1 (ko) 스마트 폰 그립 장치 및 이를 갖는 스마트 폰 케이스
KR101586254B1 (ko)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이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JP3186332U (ja) 携帯機器用把持具
KR101468850B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US20110069858A1 (en) Electronic device
KR200455103Y1 (ko) 휴대폰용 콤비 케이스
US8355249B2 (en) Protective cover mechanism
KR20140059885A (ko) 수납케이스의 부착이 용이한 휴대기기 커버
KR20130142307A (ko) 모바일폰 케이스
KR101370928B1 (ko)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
JP6646053B2 (ja) バッテリ区画を有する筐体
JP3149882U (ja) 携帯電話装置
KR101046322B1 (ko) 터치펜
CN209801079U (zh) 电子器物的手持式辅助器
JP4244785B2 (ja) アタッチメント及びacアダプタ
CN210409494U (zh) 一种手持握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