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998A - 요트 - Google Patents

요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998A
KR20130119998A KR1020120042921A KR20120042921A KR20130119998A KR 20130119998 A KR20130119998 A KR 20130119998A KR 1020120042921 A KR1020120042921 A KR 1020120042921A KR 20120042921 A KR20120042921 A KR 20120042921A KR 20130119998 A KR20130119998 A KR 20130119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frame
mast
kee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필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아이와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아이와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아이와이씨
Priority to KR1020120042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9998A/ko
Publication of KR20130119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9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63B15/02Staying of masts or of other sup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무원이 탑승하기 위한 공간이 내측에 형성되는 선체; 선체 내의 중심부에 선체의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선체의 폭방향으로 마련되는 센터용골; 센터용골의 중심부로부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선체 내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선체의 횡류를 방지하는 데거보드프레임; 선체의 선수측 상부에 마련되고, 마스트가 장착되도록 하며, 상면에 스텝을 형성하는 마스트용골프레임; 및 마스트용골프레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선체 내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마스트용골프레임을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도록 한 요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뒤틀림 방지, 마스트 저항의 견고함 등과 같은 구조적인 안정성과 전복시 뛰어난 복원력을 가지도록 하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요트{Yacht}
본 발명은 요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뒤틀림 방지, 마스트 저항의 견고함 등과 같은 구조적인 안정성과 전복시 뛰어난 복원력을 가지도록 하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요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가 문화의 확산과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지역적인 특성으로 인해 해양 스포츠 인구가 증가함으로써 요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요트 계류장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요트는 사용목적을 기준으로 딩기요트, 레이서요트, 그리고 크루즈 요트로 분류되는데, 딩기요트란 소형의 요트로서 1인 또는 2인이 조정하며 주로 연안에서 세일링용으로 사용되는 반면, 레이서요트는 경기용으로 사용되는 요트이며, 크루즈 요트는 선실이 갖추어진 순항용 대형 요트이다.
또한, 요트는 범장 양식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경우 캐트리그, 슬루프, 커터, 욜 등으로 분류된다.
이와 같은 요트는 해양에서 승무원의 안전과 항해의 신뢰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뒤틀림 방지, 마스트 저항 등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만족해야 하고, 전복시 복원력이 우수하여야 하며, 이러한 요건들과 들과 함께 제작이 용이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요트는 이러한 요건들을 동시에 만족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이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요트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뒤틀림 방지, 마스트 저항의 견고함 등과 같은 구조적인 안정성과 전복시 뛰어난 복원력을 가지도록 하고,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요트에 있어서, 승무원이 탑승하기 위한 공간이 내측에 형성되는 선체; 상기 선체 내의 중심부에 상기 선체의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선체의 폭방향으로 마련되는 센터용골; 상기 센터용골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선체 내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선체의 횡류를 방지하는 데거보드프레임; 상기 선체의 선수측 상부에 마련되고, 마스트가 장착되도록 하며, 상면에 스텝을 형성하는 마스트용골프레임; 및 상기 마스트용골프레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선체 내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기 마스트용골프레임을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트가 제공된다.
상기 선체는, 선미의 저면이 수평의 가상선에 대하여 이루는 스턴각이 6 내지 8도일 수 있다.
상기 센터용골과 상기 데거보드프레임은, 서로 일체를 이루고, 상기 센터용골의 양측과 하측, 그리고 상기 데거보드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선체와의 고정을 위하여 고정리브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체는, 상단에 테두리를 따라 부착되는 테두리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마스트용골프레임은,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폭방향으로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마스트용골프레임의 측부에 수직방향으로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상기 선체와의 고정을 위하여 고정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트에 의하면, 뒤틀림 방지, 마스트 저항의 견고함 등과 같은 구조적인 안정성과 전복시 뛰어난 복원력을 가지도록 하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트의 센터용골 및 데거보드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트의 마스트용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 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트(100)는 선체(110)와, 센터용골(120)과, 데거보드프레임(130)과, 지지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선체(110)는 승무원이 탑승하기 위한 공간이 내측에 형성되는데, 일례로 금형을 이용한 가공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내구성과 성형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나 금속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선체(110)는 금형으로부터 탈영시, 선체 모서리와 함께 탈착이 용이하도록 선미의 저면이 수평의 가상선에 대하여 이루는 스턴각(θ)이 6 내지 8도일 수 있고, 일례로 7도임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턴각(θ)이 6도 미만인 경우 선체(110)의 안정성과 저항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고, 8도 초과인 경우 금형으로부터의 탈영시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선체(110)는 상단에 테두리를 따라 용접이나 접착 방식에 의해 부착되는 테두리프레임(111; 도 4에 도시)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테두리프레임(111; 도 4에 도시)에 데거보드프레임(130)이 일체를 이룰 수 있다.
센터용골(120)은 선체(110) 내의 중심부에 선체(110)의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선체(110)의 폭방향으로 마련되고, 선체(110)가 전복시 복원이 쉽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거보드프레임(130)은 센터용골(120)의 중심부로부터 선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선수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선체(110) 내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선체(110)의 횡류를 방지하도록 한다.
센터용골(120)과 데거보드프레임(130)은 서로 일체를 이루도록 제작되거나, 별개로 제작되어 용접 등에 의해 서로 일체를 이루도록 할 수 있고, 센터용골(120)의 양측과 하측에 성형이나 절곡에 의해 고정리브(121)가 형성될 수 있고, 데거보드프레임(130)의 하부에 성형이나 절곡에 의해 고정리브(131)가 형성될 수 있는데, 센터용골(120)과 데거보드프레임(130)은 이러한 고정리브(121,131)에 의해 선체(110) 내측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센터용골(120)과 데거보드프레임(130)은 고정리브(121,131)가 재질의 특성에 따라 선체(110)의 내측면에 용접이나 접착 그 밖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마스트용골프레임(140)은 선체(110)의 선수측 상부에 마련되고, 마스트(미도시)가 장착되도록 홀(142)이 형성되며, 상면에 스텝(141)을 형성하며, 일례로 선체(110) 상단의 테두리프레임(111)에 폭방향으로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마스트 저항에 견고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50)은 마스트용골프레임(14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선체(110) 내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마스트용골프레임(140)을 지지하도록 하며, 마스트용골프레임(140)의 측부에 수직방향으로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선체(110)와의 고정을 위하여 고정리브(151)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50)은 마스트용골프레임(140)의 후측에 수직 하방을 향하도록 성형 내지 절곡에 의해 일체를 이룰 수 있고, 가장자리, 예컨대 양측과 하측의 고정리브(151)가 재질에 따라 선체(110)의 바닥면에 용접이나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요트에 의하면, 센터용골(120)에 의하여 선체(110)의 뒤틀림 방지 및 전복시 복원이 쉽도록 하고, 마스트용골프레임(140)이 선체(110)의 테두리프레임(111)에 일체를 이루게 됨으로써 선체(110)의 뒤틀림 방지 및 마스트의 저항에 견고하도록 한다.
또한, 센터용골(120)은 데거보드프레임(130)에 의해 선체(110) 내에 견고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마스트용골프레임(140)은 지지프레임(150)에 의해 선체(110) 내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이들 구조에 따른 제작의 용이함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선체 111 : 테두리프레임
120 : 센터용골 121 : 고정리브
130 : 데거보드프레임 131 : 고정리브
140 : 마스트용골프레임 141 : 스텝
142 : 홀 150 : 지지프레임
151 : 고정리브

Claims (4)

  1. 요트에 있어서,
    승무원이 탑승하기 위한 공간이 내측에 형성되는 선체;
    상기 선체 내의 중심부에 상기 선체의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선체의 폭방향으로 마련되는 센터용골;
    상기 센터용골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선체 내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선체의 횡류를 방지하는 데거보드프레임;
    상기 선체의 선수측 상부에 마련되고, 마스트가 장착되도록 하며, 상면에 스텝을 형성하는 마스트용골프레임; 및
    상기 마스트용골프레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선체 내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기 마스트용골프레임을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는,
    선미의 저면이 수평의 가상선에 대하여 이루는 스턴각이 6 내지 8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용골과 상기 데거보드프레임은,
    서로 일체를 이루고, 상기 센터용골의 양측과 하측, 그리고 상기 데거보드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선체와의 고정을 위하여 고정리브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는,
    상단에 테두리를 따라 부착되는 테두리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마스트용골프레임은,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폭방향으로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마스트용골프레임의 측부에 수직방향으로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상기 선체와의 고정을 위하여 고정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트.
KR1020120042921A 2012-04-25 2012-04-25 요트 KR201301199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921A KR20130119998A (ko) 2012-04-25 2012-04-25 요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921A KR20130119998A (ko) 2012-04-25 2012-04-25 요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998A true KR20130119998A (ko) 2013-11-04

Family

ID=49850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921A KR20130119998A (ko) 2012-04-25 2012-04-25 요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999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85869A (zh) * 2016-12-22 2017-04-26 浙江澳托美克船业有限公司 船舶防沉龙骨结构和防沉船艇
CN106697185A (zh) * 2016-12-22 2017-05-24 浙江澳托美克船业有限公司 防沉玻璃钢游艇
CN106741591A (zh) * 2016-12-22 2017-05-31 浙江澳托美克船业有限公司 防沉船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85869A (zh) * 2016-12-22 2017-04-26 浙江澳托美克船业有限公司 船舶防沉龙骨结构和防沉船艇
CN106697185A (zh) * 2016-12-22 2017-05-24 浙江澳托美克船业有限公司 防沉玻璃钢游艇
CN106741591A (zh) * 2016-12-22 2017-05-31 浙江澳托美克船业有限公司 防沉船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5684B2 (en) Inflatable kayak
KR20120080780A (ko) 프레임 구조물을 장착한 삼동선형 반 잠수보트
KR20130119998A (ko) 요트
JP5707701B2 (ja) 船首マスク及び船首マスク付き船舶
JP2015520063A5 (ko)
US20100162933A1 (en) Twin Sailing Board
WO2010114369A3 (en) Yacht with front windows on owner's cabin and with wheelhouse on intermediate deck
US7677190B2 (en) Slotted hulls for boats
JP2018103951A (ja) 三胴船及び三胴船の横揺低減方法
US3452698A (en) Power-driven hydroplane watercraft
CN103612716B (zh) 水面无人艇的横向双柱支撑式上层建筑
CN212332898U (zh) 一种充气独木舟
JP5295845B2 (ja) 船首浸水防止装置
KR101522233B1 (ko) 모듈결합방식 딩기보트
JPS58164492A (ja) 船舶
KR102124700B1 (ko) 예인 안전성 향상을 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선형구조
US913973A (en) Navigable vessel.
JP6619776B2 (ja) 水上オートバイ船尾搭載架台
JP4811918B2 (ja) エアボート
KR101358331B1 (ko) 브리지윙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20001263U (ko) 선박
JPH0230395Y2 (ko)
US20180170485A1 (en) Padded foil for watercraft
JPS6333753Y2 (ko)
JP5518504B2 (ja) インフレータブルボ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