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8036A - 굴 분리기 - Google Patents

굴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8036A
KR20130118036A KR1020120040911A KR20120040911A KR20130118036A KR 20130118036 A KR20130118036 A KR 20130118036A KR 1020120040911 A KR1020120040911 A KR 1020120040911A KR 20120040911 A KR20120040911 A KR 20120040911A KR 20130118036 A KR20130118036 A KR 20130118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yster
separator
oysters
conveyo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2711B1 (ko
Inventor
김정명
김홍민
Original Assignee
김정명
김홍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명, 김홍민 filed Critical 김정명
Priority to KR1020120040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711B1/ko
Publication of KR20130118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90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에서 양식된 굴의 인양시 인양과 동시에 다수의 회전날개를 이용하여 굴과 수하줄을 분리하는 굴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써, 해상에서 양식된 굴을 땜목 내측으로 인양하는 소정의 경사각을 가진 콘베이어와; 상기 콘베이어의 상단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간격을 가지고 연결되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하나이상의 날개가 결합되어 인양되는 굴을 수하줄과 분리하는 회전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과한 노동력과 노동시간을 요구하지 않고 수하줄과 굴을 분리하는 효과가 있으며, 작업을 위한 별도의 인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장 운영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키고, 깨지는 굴의 양을 줄여 상품화할 수 없는 굴의 양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채취기와 동시에 유압모터에 의해 연속적으로 분리작업을 하므로 별도의 환경적 제약 없이 굴 분리 작업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작업자의 과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분리 작업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고, 단순한 형태로 하자발생시 작업자가 직접 유지보수를 쉽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굴의 인양과정에서 굴과 수하줄을 완벽하게 분리하여 육지의 작업장으로 운반하므로 수하줄을 분리하기 위한 또다른 작업과정을 거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굴 분리기{Oyster Separator}
본 발명은 해상에서 양식된 굴의 인양시 인양과 동시에 다수의 회전날개를 이용하여 굴과 수하줄을 분리하는 굴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반적으로 굴과 같은 부착성 수산물은 양식하기 위해 중앙에 구멍이 뚫린 가리비 껍질에 종자를 심게 된다. 이 구멍에 코팅연사를 통과시킨 후 매듭을 짓게 되는데, 매듭은 20~25cm간격을 가진다. 위 코팅연사를 두껍고 긴 길이의 원줄에 일정한 간격(40~45cm)으로 연결하고, 이렇게 만들어진 원줄과 코팅연사, 각각의 코팅연사 매듭마다 연결된 가리비를 허가받은 연안 청정해역의 양식장 수면하에 드리우고 정치시킨 다음 일정 기간이 지나 상품화가 가능한 정도로 성장한 후에 인양하여 채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인양작업은 땜목위의 크레인이 원줄을 일정 높이로 들어 올린 후 땜목 전방의 원줄가이드에 걸치게 된다. 이때 수하줄과 수하줄에 양식된 다량의 굴은 경사를 가진 콘베이어에 의해 땜목 내측으로 이송되고 세척과정을 거친 후 각각의 이송캐리어에 분배된다. 이후 육지의 작업장으로 옮겨진 후 굴 분리 작업자가 분리작업을 쉽게 하도록 젊은 작업자는 호미나 도구를 이용하여 굴을 두드리거나 깨뜨려 수하줄과 수하줄과 굴을 분리하고 이를 다수의 작업자들이 칼을 이용하여 알굴과 껍질을 분리하게 된다.
위 과정은 수하줄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굴 뭉치를 작은 뭉치로 만듦으로써 알굴과 패각을 분리하는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수하줄과 굴의 분리 과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수하줄과 굴의 분리작업의 주를 이루는 인력의 고령화 문제점이 있다.
(2) 굴을 분리하기 위하여, 과다한 동작을 취해 힘을 가하므로 힘이 많이 들고 부상의 위험이 상시 따르며, 지속적인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3) 위의 과정으로 분리과정 중 깨지거나 손실되는 굴 중 상품화할 수 없는 굴의 양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4) 굴과 수하줄을 완벽하게 분리하지 못하므로 패각분쇄기등을 이용한 굴 껍질의 분쇄 및 수하줄 분리작업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5) 분쇄된 패각에 소량의 수하줄이 포함되면 산업폐기물로 처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자의 과한 노동력과 노동시간을 요구하지 않고 수하줄과 굴을 분리할 수 있으며, 작업을 위한 별도의 인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장 운영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키고, 깨지는 굴의 양을 줄여 상품화할 수 없는 굴의 양을 감소시키는 굴 분리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채취기와 동시에 유압모터에 의해 연속적으로 분리작업을 하므로 별도의 환경적 제약 없이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기 위함이다.
또한, 작업자의 과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분리 작업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단순한 형태로 하자발생시 작업자가 직접 유지보수를 쉽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굴의 인양과정에서 굴과 수하줄을 완벽하게 분리하여 육지의 작업장으로 운반하므로 수하줄을 분리하기 위한 또다른 작업과정을 거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굴 인양시 수하줄을 제거하여 패각분쇄기를 통해서 분쇄된 패각에 수하줄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분쇄된 패각을 별도의 복잡한 과정 없이 재활용 및 퇴비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굴 분리기는, 해상에서 양식된 굴을 땜목 내측으로 인양하는 소정의 경사각을 가진 콘베이어와; 상기 콘베이어의 상단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간격을 가지고 연결되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하나이상의 날개가 결합되어 인양되는 굴을 수하줄과 분리하는 회전날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날개는 굴 분리작업에 수하줄이 터지거나 끊어지지 않도록 원줄에 의한 수하줄의 당겨짐과 굴의 하중에 의해서 수하줄이 받는 부하를 줄이기 위해 상기 콘베이어의 상단면에 하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날개는 수하줄 주위에 덩어리 형태로 양식된 굴을 밀어내거나 두드려서 분리하기 위해 날개내측부가 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는 수하줄과 굴의 분리작업시 부하를 줄여 연속적인 분리작업을 위해 회전축을 기준으로 마주보는 날개가 0~90도의 상대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작업자의 과한 노동력과 노동시간을 요구하지 않고 수하줄과 굴을 분리하는 효과가 있으며, 작업을 위한 별도의 인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장 운영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키고, 깨지는 굴의 양을 줄여 상품화할 수 없는 굴의 양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채취기와 동시에 유압모터에 의해 연속적으로 분리작업을 하므로 별도의 환경적 제약 없이 굴 분리 작업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작업자의 과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분리 작업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고, 단순한 형태로 하자발생시 작업자가 직접 유지보수를 쉽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굴의 인양과정에서 굴과 수하줄을 완벽하게 분리하여 육지의 작업장으로 운반하므로 수하줄을 분리하기 위한 또다른 작업과정을 거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굴의 양식상태를 보인 도면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날개의 분해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날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의 결합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굴 분리기의 설명도 -1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굴 분리기의 설명도 -2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굴 분리기의 설명도 -3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굴 분리기의 설명도 -4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굴 분리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상에서 양식된 굴(1)의 인양시 인양과 동시에 굴(1)과 수하줄(7)을 분리하는 굴 분리기에 있어서, 크게 콘베이어(100)와 회전날개(200)로 구성된다.
콘베이어(100)는 해상에서 양식된 굴(1)을 땜목(10) 내측으로 인양하기 위한 것으로써, 내측에 콘베이어(100)의 길이 방향으로 콘베이어 벨트(110)가 위치하고 있으며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에 의해 움직인다. 수하줄(7) 하나에 매달려있는 100kg에 달하는 굴(1)의 무게로 인한 수하줄이 받는 하중을 줄이면서 인양하기 위해서, 상기 콘베이어(100)는 땜목(10)을 기준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일정 길이만큼 해수면 아래에 잠기도록 위치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양식된 굴(1)의 인양을 위해 원줄(5)을 해수면 위로 소정의 높이만큼 들어올리면 수면위로 드러난 양식된 굴로 인해 수하줄(7)이 받는 하중이 증가하여 끊어지거나 터져서 양식된 굴(1)이 해수면 아래로 사라지게 되는 손실 발생을 줄이기 위해 수하줄(7)이 받는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진 상기 콘베이어(100)에 의해 인양되는 굴(1)이 미끌리지않고 콘베이어 벨트(110) 위에 놓여서 땜목(10) 내측으로 인양되기 위해서 상기 콘베이어 벨트(110)에는 일정 거리간격을 가지고 다수의 인양망판(12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인양망판(120)은 상기 콘베이어 벨트(110)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있으며 물빠짐을 위한 다수의 구멍(125)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날개(200)는 유압모터(260)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수하줄(7)으로부터 굴(1) 뭉치를 분리하는 날개(2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날개(220)은 회전축(2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간격을 가지고 하나 이상이 위치한다.
또한 소정의 거리간격을 가지고 규칙적으로 위치하는 각각의 날개(220)는 수하줄(7)에서 굴(1)이 분리되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상대각도(D)를 가지고 위치하며, 서로 마주보는 날개(220) 사이로 지나가는 수하줄(7)로부터 굴(1) 뭉치를 분리하기 위해 유압모터(260)의 회전에 따라 각각의 날개(220)가 회전하며 굴(1) 뭉치를 밀거나 두드려서 연속적인 분리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투입되는 굴(1)의 양이나 처리속도에 따라 각각의 날개(220)가 이루는 상대각도(D) 및 날개(22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화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날개(220)와 각각의 상대각도(D)는 15도로 배치되어 수하줄(7)과 굴(1)의 연속적인 분리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날개(220)의 날개내측부(225)는 직선으로 형상될 수 있으나, 상기 회전축(210)에 의해 날개(220)가 회전하며 굴(1) 뭉치를 밀거나 두드리는 작업과정에서 굴(1)의 깨짐을 방지하고 수하줄(7)이 걸려서 엉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날개내측부(225)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날개(200)가 상기 콘베이어(100)의 상단부 양쪽 측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150)에 고정 설치되기 위해서 상기 회전축(210)의 양측 끝단에는 브라켓(250)이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250)의 내부를 회전축(210)이 통과한다.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브라켓(250)의 내측에는 베어링이 위치하고 있어 유압모터(260)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이 마찰이나 저항 없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날개(200)는 콘베이어(100)의 상단부에 하나 이상이 위치하게 되는데, 이는 원줄(5)이 해수면 위로 들어올려 져서 땜목(10) 내측으로 움직일때 원줄(5)에 연결된 수하줄(7)과 원줄매듭(6)은 해수면위로 드러난 굴 뭉치(A)의 하중을 받게 되는데 회전날개(200)가 두 개일 경우에는 하단의 회전날개(200)에 의해 구분된 상단의 굴 뭉치(A)와 하단의 굴 뭉치(B) 사이에 위치한 수하줄(7)의 일부분이 굴 분리작업을 위해 당겨지는 수하줄(7)의 부하를 분담하게 되어 안전하며 빠른 굴 분리 및 인양작업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도 7 및 도 8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바다에서 양식중인 굴(1)을 채취하기 위해서 땜목(10) 위에 위치한 크레인을 이용하여 원줄(5)을 수면 위 일정 높이까지 들어올리고 땜목(10) 전방에 위치한 원줄분리기(20)에 놓는다. 땜목(10) 내측에 일정 높이를 가지고 위치한 사바기(30)에 원줄(5)을 걸고 동작시키면 사바기(30)의 롤러가 회전하며 원줄(5)을 인양한다. 원줄(5)과 함께 원줄(5)에 원줄매듭(6)으로 결합되며 일정 거리간격을 가진 수하줄(7)과 수하줄(7)에 양식된 굴(1)도 땜목(10) 내측으로 인양되게 된다. 이때 인양작업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해수면 아래에 일정 길이만큼 들어간 콘베이어(100)에 의해 인양되는데, 콘베이어벨트(110)와 인양망판(120)에 의해 수하줄(7)이 받던 양식된 굴(1)의 하중이 줄어들게 된다. 원줄(5)과 콘베이어(100)에 의해 움직이는 수하줄(7)은 콘베이어(100)의 상단부에 하나이상 위치한 회전날개(200)를 통과하게 되는데, 원줄(5)에 의한 당겨짐과 수하줄(7)을 양쪽에서 마주보며 회전하는 날개(220)에 의해서 수하줄(7)에 붙어 있는 굴(1)이 밀리거나 두드려져서 수하줄(7)과 굴(1)이 분리되게 되고, 분리된 굴(1)은 콘베이어(100)에 의해 운반된 후 세척기(40)로 전달된다. 이후 세척기와 이송콘베이어(60)를 통과한 후 이송캐리어(60)에 적재되고 육지의 작업장으로 인양된 후 굴(1)과 수하줄(7)을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과정 없이 작업자에 의해 알굴과 패각을 분리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1: 굴 2: 가리비 5: 원줄 6: 원줄매듭 7: 수하줄 8: 수하줄매듭
9: 부구 10: 땜목 20: 원줄분리기 30: 사바기 40: 세척기
50: 이송콘베이어 60: 이송캐리어(carrier)
100: 콘베이어 110: 콘베이어 벨트 120: 인양망판 125: 구멍
130: 구동모터 150: 가이드
200: 회전날개 210: 회전축 220: 날개 225: 날개내측부
250: 브라켓(bracket) 260: 유압모터 270: 볼트

Claims (4)

  1. 해상에서 양식된 굴(1)의 인양시 인양과 동시에 굴(1)과 수하줄(7)을 분리하는 굴 분리기에 있어서,
    해상에서 양식된 굴(1)을 땜목(10) 내측으로 인양하는 소정의 경사각을 가진 콘베이어(100)와;
    상기 콘베이어(100)의 상단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간격을 가지고 결합되며 회전축(210)의 길이방향으로 하나이상의 날개(220)가 결합되어 인양되는 굴(1)을 수하줄(7)과 분리하는 회전날개(2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 분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200)는 굴 분리작업에 수하줄(7)이 터지거나 끊어지지 않도록 원줄(5)에 의한 수하줄(7)의 당겨짐과 굴(1)의 하중에 의해서 수하줄(7)이 받는 부하를 줄이기 위해 상기 콘베이어(100)의 상단면에 하나 이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분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200)는 수하줄(7) 주위에 덩어리 형태로 양식된 굴(1)을 밀어내거나 두드려서 분리하기 위해 날개내측부(225)가 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분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200)는 수하줄(7) 주위에 덩어리 형태로 양식된 굴(1)을 밀어내거나 두드려서 분리하기 위해 날개내측부(225)가 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분리기
KR1020120040911A 2012-04-19 2012-04-19 굴 분리기 KR101352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911A KR101352711B1 (ko) 2012-04-19 2012-04-19 굴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911A KR101352711B1 (ko) 2012-04-19 2012-04-19 굴 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036A true KR20130118036A (ko) 2013-10-29
KR101352711B1 KR101352711B1 (ko) 2014-01-21

Family

ID=49636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911A KR101352711B1 (ko) 2012-04-19 2012-04-19 굴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7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7852A (zh) * 2020-07-15 2020-08-28 大连壹海科技有限公司 一种贝类养殖收货装置
CN112913735A (zh) * 2021-01-25 2021-06-08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贝类筏式养殖缆绳提升拖拽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120B1 (ko) 2016-08-02 2018-03-20 김정명 수하줄 커팅기
KR102494738B1 (ko) 2020-11-24 2023-02-06 주식회사 참코청하 양식 굴 자동 수확장치
KR102640969B1 (ko) 2021-11-08 2024-02-27 주식회사 참코청하 수하연 양식 굴 및 우렁쉥이 자동수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943Y1 (ko) * 1985-01-22 1988-06-03 이정우 양식용 굴수확장치
JP5607987B2 (ja) 2010-04-27 2014-10-15 株式会社むつ家電特機 貝類取外し装置と貝類取外し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7852A (zh) * 2020-07-15 2020-08-28 大连壹海科技有限公司 一种贝类养殖收货装置
CN112913735A (zh) * 2021-01-25 2021-06-08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贝类筏式养殖缆绳提升拖拽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2711B1 (ko) 201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711B1 (ko) 굴 분리기
KR20130067677A (ko) 굴 분리기
KR20140102411A (ko) 굴 분리기
KR101432921B1 (ko) 굴 덩이 개체 분리 장치
KR101787888B1 (ko) 굴 수확장치
CN105830636B (zh) 海藻收割设备及收割方法
CN203872793U (zh) 带有可抽底板的肉食鸡鸡笼
Jiang et al. Design and experiment of a new mode of mechanized harvesting of raft cultured kelp
KR20110137101A (ko) 굴 양식용 코팅연사 인양장치
KR20120083961A (ko) 패류 채취용 사바기
CN205794106U (zh) 海藻收割设备
CN206454922U (zh) 水果分级检测装置
KR102494738B1 (ko) 양식 굴 자동 수확장치
KR101033190B1 (ko) 목재 인양기 겸용 목재 파쇄기
CN207089735U (zh) 一种水果包装套袋执行机构
CN207505846U (zh) 鸭锁骨切割分离机
CN102893924A (zh) 一种抓鸡方法
CN205238146U (zh) 一种自动剪粉机输送装置
KR910001778Y1 (ko) 양식 수산물 자동 채취 분리장치
KR101241672B1 (ko)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
KR101855703B1 (ko) 커팅기가 구비된 세척기
CN218142632U (zh) 一种便携式手动拆包装置
CN204392901U (zh) 自取料式秸秆粉碎机
CN109122476A (zh) 一种带升降机的养殖喂料系统
CN207022926U (zh) 扇贝自动倒笼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