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248A - 커넥터 유지 구조 - Google Patents

커넥터 유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248A
KR20130114248A KR1020137021490A KR20137021490A KR20130114248A KR 20130114248 A KR20130114248 A KR 20130114248A KR 1020137021490 A KR1020137021490 A KR 1020137021490A KR 20137021490 A KR20137021490 A KR 20137021490A KR 20130114248 A KR20130114248 A KR 20130114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lder
lever
upper cas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1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오 마츠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4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2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베이스부(2a)와, 베이스부(2a)의 양단으로부터 연장하고, 베이스부(2a)의 근방에서의 내측 측면의 간격이 커넥터 구멍(1c)의 개구폭 보다도 좁게 된 커넥터 지지부(2f)와, 클로우 탭(5a)과의 간섭을 해소하는 노치부(2d)가 마련된 한 쌍의 암(2b)을 구비한 대략 コ자 모양으로, 커넥터 구멍(1c)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한 개씩 배치되어 면판(面板, 1)에 수용되는 한 쌍의 홀더(2)와, 커넥터 지지부(2f)가 커넥터 구멍(1c)의 주연부에서 부분적으로 노출함과 아울러, 클로우 탭(5a) 및 오목부(1a)의 정면에 베이스부(2a)가 배치된 홀더 락 상태가 되는 위치와, 커넥터 지지부(2f)가 커넥터 구멍(1c)에서 노출하지 않고, 클로우 탭(5a) 및 오목부(1a)의 정면에 노치부(2d)가 배치된 홀더 해제 상태가 되는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 홀더(2)를 면판(1)에 지지시키는 레버(3)를 가진다.

Description

커넥터 유지 구조{CONNECTOR RETAINING STRUCTURE}
본 발명은, 커넥터 유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프로그램 가능한 컨트롤러와 모듈 유니트와의 접속에 이용되는 케이블의 커넥터는, 편스프링(片spring) 접촉 구조로 되어 있으며, 기기측 커넥터에 대해서 소정 각도 이상 경사지면 전기적 접속이 손상되어 버린다. 또, 커넥터끼리가 고정된 상태인 채로 케이블측 커넥터가 경사지면, 기기측 커넥터가 실장된 기판에 부하가 걸려, 신호 패턴을 파손시켜 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기기측 커넥터에 대한 케이블측 커넥터의 경사를 가능한 한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의 주위를 별도의 부재로 둘러싸서, 경사를 억제하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가능한 컨트롤러의 기판을 수납하는 케이스에 장착하는 면판(面板)으로 케이블측 커넥터의 측면을 둘러쌓음으로써, 케이블측 커넥터의 경사를 억제하고 있다.
면판은, 프로그램 가능한 컨트롤러의 케이스의 커넥터가 배치된 측면에 마련된 클로우 탭(claw tab)을 오목부에 끼워 맞춤시키는 것에 의해서 케이스에 접속된다. 케이스 내에 수용하는 기판의 유지 보수성을 고려하면, 면판을 착탈하기 쉬운 구조인 것도 필요하다. 따라서, 면판의 장착용 클로우 탭은 어느 정도 용이하게 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판에 실장되어 있는 기기측 커넥터와 끼워 맞춤된 케이블이 횡방향으로 끌어 당겨져 케이블측 커넥터가 경사지면, 클로우 탭에 횡방향의 힘이 가해져 휜다. 이것에 의해, 클로우 탭은 파손되기 전에 면판의 오목부로부터 벗어나 버리고, 클로우 탭의 허용 하중 보다도 낮은 하중으로 케이스와 면판은 분리해 버린다.
기기측 커넥터와 케이블측 커넥터를 고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커넥터끼리를 나사로 고정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으며, 커넥터끼리를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케이블측 커넥터의 경사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커넥터를 착탈할 때마다 나사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거나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빠진다.
이 때문에, 케이블측 커넥터에 스프링으로 가압된 볼록부를 마련하고, 이것을 기기측 커넥터에 마련한 오목부에 끼워 맞춤시켜 커넥터끼리를 고정하는 구조가 채용되는 것도 있다. 이 구조에서는, 착탈 작업성은 양호하기는 하지만, 커넥터끼리를 고정하는 힘은 스프링 고정식 보다도 약하기 때문에, 케이블측 커넥터의 경사가 크게 되어, 상기의 문제는 보다 현저하게 되어 버린다.
특허 문헌 1에는, 기판용 커넥터로의 상대측 커넥터의 끼워 맞춤시 및 해제시에 기판용 커넥터에 부여되는 힘을 케이스에서 받도록 한 기판용 커넥터 끼워 맞춤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평 10-134885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기술은, 커넥터 끼워 맞춤시 및 해제시에 기판용 커넥터에 힘이 걸리지 않도록 하지만, 커넥터가 끼워 맞춤 중에 기판용 커넥터에 힘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기판용 커넥터에 대해서 상대방 커넥터가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케이스와 면판과의 끼워 맞춤 유지를 나사 고정에 의해서 행하면 끼워 맞춤 신뢰성은 확보되지만, 조립 작업의 공정수가 증가해 버린다. 또, 나사를 체결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품의 소형화나 외관 디자인에서의 미관의 향상이 방해된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면판의 케이스로의 착탈에 공구가 불필요하고, 기판에 부하를 부여하지 않고 케이블측 커넥터의 경사를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 유지 구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일면이 개방된 상자 모양으로 기기측 커넥터가 실장된 기판을 수납한 하부 케이스와, 일면이 개방된 상자 모양으로 기기측 커넥터에 접속되는 케이블측 커넥터를 관통시키는 커넥터 구멍이 개방면과 반대측의 면에 형성된 상부 케이스를 구비하며,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가, 상부 케이스의 측면의 커넥터 구멍의 양단 근방에 마련된 네 개의 오목부와, 하부 케이스의 개방면의 주위에 돌출 마련된 네 개의 클로우 탭과의 끼워 맞춤에 의해서, 서로의 개방면을 마주보게 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로그램 가능한 컨트롤러의 커넥터 유지 구조로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하고, 베이스부의 근방에서의 내측 측면의 간격이 커넥터 구멍의 개구폭 보다도 좁게 된 커넥터 지지부와, 클로우 탭과의 간섭을 해소하는 노치부가 마련된 한 쌍의 암을 구비한 대략 コ자 모양으로, 커넥터 구멍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한 개씩 배치되어 상부 케이스에 수용되는 한 쌍의 홀더와, 커넥터 지지부가 커넥터 구멍의 주연부(周緣部)에서 부분적으로 노출함과 아울러, 클로우 탭 및 오목부의 정면(正面)에 베이스부가 배치된 홀더 락 상태가 되는 위치와, 커넥터 지지부가 커넥터 구멍에서 노출하지 않고, 클로우 탭 및 오목부의 정면에 노치부가 배치된 홀더 해제 상태가 되는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 홀더를 상부 케이스에 지지시키는 전환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 유지 구조는, 면판의 케이스로의 착탈에 공구가 불필요하고, 기판에 부하를 부여하지 않고 케이블측 커넥터의 경사를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 유지 구조의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 유지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홀더 해제 상태에서의 커넥터 유지 구조의 상면도이다.
도 4는, 홀더 해제 상태에서의 커넥터 유지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5는, 홀더 락 상태에서의 커넥터 유지 구조의 상면도이다.
도 6은, 홀더 락 상태에서의 커넥터 유지 구조의 모식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 유지 구조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 유지 구조의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 유지 구조의 사시도이다. 커넥터 유지 구조는, 면판(面板, 상부 케이스, 1), 홀더(2), 레버(3) 및 스프링(4)을 가진다.
면판(1)은, 프로그램 가능한 컨트롤러의 케이스(5)에 장착되는 부재이며, 케이스(하부 케이스, 5)의 클로우 탭(5a)이 끼워 맞춤하는 오목부(1a)를 측벽부의 내면측에 구비하고 있다. 또, 측벽부의 내면측에는, 홀더(2)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1b)가 마련되어 있다. 게다가, 면판(1)은, 케이스(5)에 수납된 기판에 실장된 기기측 커넥터(5b)에 케이블측 커넥터(6, 도 1, 도 2에서는 미도시)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구멍(1c)과, 레버(3)에 의해서 홀더(2)의 위치를 변경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구멍(1d)을 상면에 구비하고 있다. 조작 구멍(1d)은, 커넥터 구멍(1c)의 길이 방향의 양쪽 모두의 단부의 근방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조작 구멍(1d)은, 중앙에 잘록한 부분을 가지는 형상이다. 또한, 케이블측 커넥터(6)의 기기측 커넥터(5b)로의 찔러 넣는 방향을「아래」, 빼내는 방향을「위」로 한다. 케이스(5)와 면판(1)은, 프로그램 가능한 컨트롤러의 케이스를 구성한다.
레버(3)는, 조작부(3a)와 고정부(3b)를 구비하고 있으며, 홀더(2)의 상측에 조작부(3a)가 돌출하도록 탄성재로서의 스프링(4)을 매개로 하여 홀더(2)에 장착되어 있다. 고정부(3b)는 두 갈래로 되어 있고, 조작부(3a)에 가해진 힘을 2점(点)에서 홀더(2)로 전달하는 것에 의해, 조작부(3a)에 힘을 가했을 때에 홀더(2)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고정부(3b)의 선단에는 후크(3c)가 마련되어 있으며, 스프링(4)의 반발력에 의해서 레버(3)가 홀더(2)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조작부(3a)는, 고정부(3b)에 가까운 측과 선단측에서 폭이 다른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고정부(3b)에 가까운 측쪽의 폭이 크다.
홀더(2)는, 상면으로부터 볼 때 대략 コ자형(U자형)이며, 베이스부(2a)의 양단 근방에 한 쌍의 암(2b)이 마련되어 있다. 암(2b)은, 클로우 탭(5a)과의 간섭을 해소하는 노치부(2d)가 마련되어 있으며, 면판(1)에 설치했을 때에, 노치부(2d)가 존재하는 부분에서는, 클로우 탭(5a)의 정면에 휨 마진(margin)이 되는 공간이 비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화살표 A로 나타내는 암(2b)은, 전체폭에 걸쳐서 노치되어 있으며, 암(2b)이 전체적으로 노치부(2d)로 되어 있다. 한편, 화살표 B로 나타내는 암(2b)은, 외측만이 노치부(2d)로 되어 있다. 암(2b)은, 외측면에 홈(2c)이 형성되어 있다. 면판(1)에 마련되어 있는 돌기(1b)가 홈(2c)에 수용되어 홀더(2)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것에 의해, 면판(1)에 장착한 홀더(2)의 낙하는 방지된다. 돌기(1b)가 홈(2c)에 수용되도록 홀더(2)를 면판(1)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암(2b)을 휘게 할 필요가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2b)의 내측면에 단차(2e)를 마련하는 등에 의해 테이퍼(taper)지게 하면, 암(2b)이 휘기 쉬워져 홀더(2)의 장착이나 떼어 냄이 용이해진다. 홀더(2)는 면판(1)에 수용되기 때문에, 프로그램 가능한 컨트롤러의 소형화가 방해되지는 않는다. 암(2b)끼리의 간격은, 베이스부(2a)의 근방에서는 커넥터 구멍(1c)의 개구폭 보다도 좁게 되어 있는 것에 의해, 암(2b)의 베이스부(2a) 근방의 부분은 커넥터 지지부(2f)를 이루고 있다.
스프링(4)으로서는, 금속제의 스프링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스프링(4)은, 수지 스프링으로 하여 홀더(2)나 레버(3)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도 좋다.
홀더(2)와 레버(3)는, 사이에 스프링(4)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후크(3c)를 홀더(2)에 맞물림 시키는 것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조작 구멍(1d)의 각각에는, 레버(3)가 고정된 홀더(2)가, 암(2b)이 커넥터 구멍(1c)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면판(1), 홀더(2), 레버(3) 및 스프링(4)은, 분해 가능하게 맞물리는 구조이기 때문에, 일부의 부품이 파손한 경우에는, 파손한 부품만 교환하여 다른 부품은 재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폐기시에도 부품 단위로 재자원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홀더(2)의 락·해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홀더(2)를 해제한 상태(홀더 해제 상태)에서의 커넥터 유지 구조의 상면도이다. 도 4는, 홀더 해제 상태에서의 커넥터 유지 구조의 모식도이며, 도 4의 (a)는 윗 방향을 시점(視点)으로 하는 투과도, 도 4의 (b)는 도 4의 (a)에서의 IVb-IVb 단면도, 도 4의 (c)는 도 4의 (a)에서의 IVc-IVc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레버(3)는, 면판(1)의 길이 방향의 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해제 상태에서는, 오목부(1a) 및 클로우 탭(5a)의 정면에 노치부(2d)가 위치하고 있으며, 클로우 탭(5a)의 앞에는 휨 마진이 되는 공간이 존재하고 있다. 이 때문에, 클로우 탭(5a)을 휘게 하여 면판(1)의 오목부(1a)와 끼워 맞춤시키거나, 오목부(1a)로부터 클로우 탭(5a)을 떼어 내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해제 상태에서는, 커넥터 지지부(2f)는 커넥터 구멍(1c)의 개구 부분에는 거의 노출하고 있지 않고, 암(2b)은 케이블측 커넥터(6)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다. 따라서, 홀더(2)가 케이블측 커넥터(6)의 기기측의 기기측 커넥터(5b)으로의 착탈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는 케이블측 커넥터(6)의 경사는 규제되어 있지 않다.
도 5는, 홀더를 잠근 상태(홀더 락 상태)에서의 커넥터 유지 구조의 상면도이다. 도 6은, 홀더 락 상태에서의 커넥터 유지 구조의 모식도이며, 도 6의 (a)는 윗 방향을 시점으로 하는 투과도, 도 6의 (b)는 도 6의 (a)에서의 VIb-VIb 단면도, 도 6의 (c)는 도 6의 (a)에서의 VIc-VIc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레버(3)는, 길이 방향의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락 상태에서는, 오목부(1a) 및 클로우 탭(5a)의 정면에는 베이스부(2a)가 위치하고 있으며, 클로우 탭(5a)의 앞에는 휨 마진이 되는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클로우 탭(5a)은 휠 수 없기 때문에, 홀더 락 상태에서는 면판(1)과 케이스(5)가 분리하지는 않는다.
또,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락 상태에서는, 커넥터 지지부(2f)가 커넥터 구멍(1c)의 길이 방향 단부 근방에서 노출하고 있으며, 암(2b)은 케이블측 커넥터(6)의 측면으로 소정 거리 보다도 가까워져 있다. 이것에 의해,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측 커넥터(6)의 하우징과의 틈이 좁게 되어, 케이블측 커넥터(6)의 경사를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편스프링 구조의 케이블측 커넥터(6)의 도통(導通)을 확실히 할 수 있다. 암(2b)과 케이블측 커넥터(6)가 접하는 부분은, 긴 쪽이 케이블측 커넥터(6)의 경사를 억제하는 효과가 크고, 짧으면 케이블측 커넥터(6)의 경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작아지기 때문에, 최저라도 1.5mm, 바람직하게는 4.5mm 정도의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측 커넥터(6)의 경사를 억제하는 홀더(2)는 면판(1)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측 커넥터(6)의 경사를 억제하기 위한 힘은 기기측 커넥터(5b)가 실장된 기판이 아니라, 케이스(5)에 가해진다. 따라서, 기기측 커넥터(5b)가 실장된 기판의 배선 패턴을 파손시켜 버리지는 않고, 프로그램 가능한 컨트롤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홀더 해제 상태 및 홀더 락 상태에서는, 레버(3)는 조작부(3a)의 밑 부분까지 면판(1)으로부터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 구멍(1d)의 잘록한 부분에 의해서 레버(3)는 구속되어 있다. 스프링(4)의 반발력에 역행하여 레버(3)를 케이스(5)측으로 밀어 넣는 것에 의해, 폭이 좁은 조작부(3a)의 선단 부분이 조작 구멍(1d)의 개구 부분에 위치하도록 되기 때문에, 조작 구멍(1d)의 잘록한 부분을 넘어 레버(3)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태를 전환하는 조작을 행한 후에 레버(3)를 케이스(5)측으로 밀어 넣는 힘을 해방하면, 스프링(4)의 반발력에 의해서 레버(3)는 조작부(3a)의 밑 부분까지 면판(1)으로부터 돌출한다. 이것에 의해, 레버(3)의 이동은 다시 조작 구멍(1d)의 잘록한 부분에 의해서 규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레버(3) 및 스프링(4)은, 홀더 락 상태가 되는 위치와 홀더 해제 상태가 되는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 홀더(2)를 면판(1)에 지지시키는 전환부를 이루고 있다.
여기에서는, 조작 구멍이 면판의 길이 방향 단부측에 마련된 구성을 예로 하여 설명했지만, 조작 구멍을 면판의 짧은 방향 단부측에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복수의 기기를 늘어서 설치하는 경우에는, 조작 구멍을 커넥터 구멍의 짧은 방향 단부측에 마련하면, 레버가 케이블측 커넥터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버리는 조작이 행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조작 구멍은 면판의 길이 방향 단부측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외부 접속 커넥터의 도통 유지를, 기판에 하중의 영향을 주지 않고, 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한 별도의 부재로의 고정에 의하지 않고, 간단한 레버 조작으로 행할 수 있다.
1 : 면판 1a : 오목부
1b : 돌기 1c : 커넥터 구멍
2 : 홀더 2a : 베이스부
2b : 암 2c : 홈
2d : 노치부 2e : 단차
2f : 커넥터 지지부 3 : 레버
3a : 조작부 3b : 고정부
3c : 후크 4 : 스프링
5 : 케이스 5a : 클로우 탭
5b : 기기측 커넥터 6 : 케이블측 커넥터

Claims (3)

  1. 일면이 개방된 상자 모양으로 기기측 커넥터가 실장된 기판을 수납한 하부 케이스와, 일면이 개방된 상자 모양으로 상기 기기측 커넥터에 접속되는 케이블측 커넥터를 관통시키는 커넥터 구멍이 개방면과 반대측의 면에 형성된 상부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측면의 상기 커넥터 구멍의 양단 근방에 마련된 네 개의 오목부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개방면의 주위에 돌출 마련된 네 개의 클로우 탭(claw tab)과의 끼워 맞춤에 의해서, 서로의 개방면을 마주보게 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로그램 가능한 컨트롤러의 커넥터 유지 구조로서,
    베이스부와, 해당 베이스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하고, 해당 베이스부의 근방에서의 내측 측면의 간격이 상기 커넥터 구멍의 개구폭 보다도 좁게 된 커넥터 지지부와, 상기 클로우 탭과의 간섭을 해소하는 노치부가 마련된 한 쌍의 암을 구비한 대략 コ자 모양으로, 상기 커넥터 구멍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한 개씩 배치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에 수용되는 한 쌍의 홀더와,
    상기 커넥터 지지부가 상기 커넥터 구멍의 주연부(周緣部)에서 부분적으로 노출함과 아울러, 상기 클로우 탭 및 상기 오목부의 정면(正面)에 상기 베이스부가 배치된 홀더 락 상태가 되는 위치와, 상기 커넥터 지지부가 상기 커넥터 구멍에서 노출하지 않고, 상기 클로우 탭 및 상기 오목부의 정면에 상기 노치부가 배치된 홀더 해제 상태가 되는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홀더를 상기 상부 케이스에 지지시키는 전환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지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홀더에 밀어 넣을 수 있게 장착되어 해당 홀더와 일체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를 상기 홀더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재를 가지고,
    상기 상부 케이스는, 해당 상부 케이스의 길이 방향의 중앙이 폭이 좁게 되어 있어 상기 레버가 관통하는 조작 구멍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홀더 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가 상기 조작 구멍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 락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가 상기 조작 구멍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중앙측에 배치되며,
    상기 레버를 상기 홀더측으로 밀어 넣는 것에 의해, 상기 조작 구멍의 중앙부를 넘어 상기 레버를 이동시켜, 상기 홀더 해제 상태와 상기 홀더 락 상태를 천이(遷移)시키도록 상기 홀더를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지 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작 구멍이, 상기 상부 케이스의 길이 방향의 단부 근방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지 구조.
KR1020137021490A 2011-03-10 2011-03-10 커넥터 유지 구조 KR201301142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55692 WO2012120685A1 (ja) 2011-03-10 2011-03-10 コネクタ保持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248A true KR20130114248A (ko) 2013-10-16

Family

ID=4679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490A KR20130114248A (ko) 2011-03-10 2011-03-10 커넥터 유지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309890A1 (ko)
JP (1) JPWO2012120685A1 (ko)
KR (1) KR20130114248A (ko)
CN (1) CN103430392A (ko)
TW (1) TW201238169A (ko)
WO (1) WO20121206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110A (ko) * 2020-02-25 2021-09-02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커넥터 지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729A (ko) * 2020-07-29 2022-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손상 방지를 위한 보강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6987U (ko) * 1986-04-28 1987-11-10
JPS6320378U (ko) * 1986-07-24 1988-02-10
JPH06208866A (ja) * 1992-12-07 1994-07-26 Fujitsu Ltd コネクタ
JP2937074B2 (ja) * 1995-04-18 1999-08-23 住友電装株式会社 二重係止コネクタ
JP2914223B2 (ja) * 1995-04-28 1999-06-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キャップ型リテーナを備える二重係止コネクタ
JPH09320690A (ja) * 1996-05-31 1997-12-12 Ricoh Co Ltd Acアダプタ利用の装置
JP3478932B2 (ja) * 1996-10-28 2003-12-15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の嵌合構造
JPH1197095A (ja) * 1997-09-17 1999-04-09 Sumitomo Wiring Syst Ltd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JP4911712B2 (ja) * 2007-04-10 2012-04-0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110A (ko) * 2020-02-25 2021-09-02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커넥터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30392A (zh) 2013-12-04
JPWO2012120685A1 (ja) 2014-07-07
TW201238169A (en) 2012-09-16
WO2012120685A1 (ja) 2012-09-13
US20130309890A1 (en) 201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6174B2 (en) Optical connector
JP4726737B2 (ja) 光コネクタの抜け止め解除補助装置およびプリント基板装置
JPWO2008035410A1 (ja) レール連結部材、ユニット支持機構、及び電子機器
CN103918137A (zh) 连接器元件
JP5059068B2 (ja) 着脱工具
US9979129B2 (en) Connector member and connector
US10283906B2 (en) Connector member and connector
JP5482220B2 (ja) 電気接続箱における嵌合部材のロック構造
KR20130114248A (ko) 커넥터 유지 구조
US20060009067A1 (en) Connector with wire cover and wire cover therefor
JP7199205B2 (ja) 電気プラグコネクタ
JP6390019B2 (ja) 防水プラグ及びレセプタクル
US1067462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arrier and cover
JP5444401B2 (ja) 筐体の取付け構造
JP2020068115A (ja) コネクタ固定具
EP1148771A1 (en) Circuit board holder
JP2015152124A (ja) ソレノイドの固定構造
JP2004221121A (ja) フック取付構造およびこのフック取付構造を用いた筐体構造
JP4704930B2 (ja) コネクタ抜け止め装置及び数値制御装置
US20170214207A1 (en) Extracting tool for module component
JP5128716B2 (ja) 光コネクタ
JP2024038620A (ja) 基板の着脱部材および基板の着脱構造
JP7407570B2 (ja) 保護カバー及び電源装置
JP7294871B2 (ja) 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
JP5576321B2 (ja) プラグインユニット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