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757A -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757A
KR20130113757A KR1020120036204A KR20120036204A KR20130113757A KR 20130113757 A KR20130113757 A KR 20130113757A KR 1020120036204 A KR1020120036204 A KR 1020120036204A KR 20120036204 A KR20120036204 A KR 20120036204A KR 20130113757 A KR20130113757 A KR 20130113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goat
ginseng
ee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5218B1 (ko
Inventor
이동섭
이충화
권수덕
최향자
김성재
김경배
Original Assignee
한국임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임업진흥원 filed Critical 한국임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20036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218B1/ko
Publication of KR20130113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양삼(wood-cultivated ginseng)을 포함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누에 있어서, 산양삼의 뿌리, 줄기, 잎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양삼이 비누 전체 중량 대비 0.1∼1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는 미백효과, 피부진정작용, 피부 보습, 피부 트러블의 개선 등의 효과를 지녀 피부에 민감한 성장기의 청소년이나 여성들에게 유용한 비누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한편 산양삼에 대한 소비처를 제공할 수 있어 산양삼을 재배하는 개인, 기업 및 지역사회의 경제적 이익 향상과 산양삼 관련 산업발전에 기여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Description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Soap comprising wood-cultivated ginse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산양삼(wood-cultivated ginseng, WCG)을 포함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누에 있어서, 산양삼의 뿌리, 줄기, 잎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양삼이 비누 전체 중량 대비 0.1∼1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누(soap)의 용어는 넓은 뜻으로는 포화 및 불포화 고급지방산, 토르유(油), 지방산, 수지산, 나프텐산(酸) 등의 금속염을 통틀어 이르는 용어이고, 좁은 뜻으로는 주로 인체의 세정에 사용되어 인체의 때를 제거하는 고급지방산의 수용성 알칼리 금속염을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일반생활에서 비누의 의미는 인체의 세정에 사용되는 좁은 의미의 비누를 나타낸다.
보통 비누라고 하면 얼굴, 손, 다리 등의 피부를 세척하는데 사용하는 세면비누와 의류, 이불 등의 직물을 세척하는데 사용하는 빨래비누 등이 있다.
최근에는 세면비누와 빨래비누 이외에도 용도, 종류, 형상 등에 따라 여러 가지 비누가 생산 및 판매되고 있으며, 또한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한 기능성을 지닌 비누가 생산 및 판매되고 있다.
기능성 비누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이러한 기능성 비누의 일예로, 연한 피부를 가지는 아기에 전용으로 쓰이는 유아용 비누; 아토피, 여드름, 주근깨, 기미 등의 피부 트러블에 민감한 피부에 사용되는 비누; 미백, 보습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누; 피부 진정 등에 유용한 비누 등이 있다.
이처럼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비누는 단순한 피부의 세척을 넘어 소비자들의 요구에 의해 다양한 기능성을 지닌 비누가 점차적으로 생산 및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우수한 영양과 기능성의 특성을 지닌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미백효과, 피부진정작용, 피부 보습, 피부 트러블의 개선 등의 효과를 지녀 피부에 민감한 성장기의 청소년이나 여성들에게 유용한 비누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비누와 관련된 선행기술들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러한 여러 가지 선행기술 중에서 한국특허 제10-0851954호에 올리브 오일, 팜 오일, 코코넛 오일, 아보카도 오일, 달맞이꽃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배합 식물성 오일을 제조하는 식물성 오일 배합 단계와, 배합 식물성 오일을 40∼60℃로 가열하는 식물성 오일 가열 단계와, 가열된 배합 식물성 오일을 교반하면서 온도를 20℃로 냉각시키는 교반 및 냉각단계와, 수산화나트륨을 증류수에 용해시킨 용액을 냉각된 배합 식물성 오일에 첨가하여 비누화를 진행시키면서 대나무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추출한 죽력을 첨가하는 비누화 및 죽력 첨가 단계와, 비누의 모양을 성형하는 비누 성형 단계와, 성형된 비누를 숙성시키는 비누 숙성 단계를 포함하는 죽력이 첨가된 비누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누에 대한 내용이 있다.
그리고 한국공개특허 제2010-0029969호에 식물성 유지 100중량부와 가성소다 10∼30중량부를 정제수 30∼50중량부에 용해하여 혼합한 후 40∼80℃에서 30분∼120분간 150∼300rpm 속도로 교반하여 비누화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비누화물에 천연 토코페롤 1∼40중량부와 천연향 0.1∼3.0중량부를 첨가한 후 10분간 150∼300rpm 속도로 교반하여 비누액을 만드는 단계; 상기 바누액을 성형틀에 넣고 냉각 및 숙성시켜 비누를 만드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토코페롤 비누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천연 토코페놀 비누에 대한 내용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1-0020971호에 탄소수 12∼18범위의 고급지방산에 알칼리 수산화물을 첨가하여 1차 반응시킨 비누기재 100중량에 광천수 고농축액 30∼40중량부와 연추출 농축액 10∼15중량부를 첨가 온도 100∼110℃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2차 반응시킴과 동시에 반응물의 수분함량 15wt%에 도달할 때 40℃ 이하로 냉각시킨 반응물에 보습제, 세정제, 발향물질, pH조절제, 차단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물 0.1∼1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균질화 시키면서 수분함량 5∼6wt% 범위로 건조고화시켜 성형하는 광천수를 이용한 비누제조방법과 그 비누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과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서로 상이하여 발명의 구성이 서로 다른 발명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비누에 있어서, 산양삼의 뿌리, 줄기, 잎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양삼이 비누 전체 중량 대비 0.1∼1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누 제조방법에 있어서, 비누 베이스에 산양삼의 뿌리, 줄기, 잎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양삼을 비누 전체 중량 대비 0.1∼10중량%를 첨가하고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는 미백효과, 피부진정작용, 피부 보습, 피부 트러블의 개선 등의 효과를 지녀 피부에 민감한 성장기의 청소년이나 여성들에게 유용한 비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공정도의 일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공정도의 다른 일예이다.
본 발명은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비누에 있어서,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산양삼은 비누 전체 중량 대비 0.1∼10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은 비누 전체 중량 대비 0.5∼7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은 비누 전체 중량 대비 1∼5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은 산양삼의 뿌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은 산양삼의 줄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은 산양삼의 잎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은 산양삼의 뿌리, 줄기, 잎 중에서 선택된 2종이 혼합된 혼합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비누에 포함되는 산양삼의 총 함량을 10으로 할 경우 비누에 포함되는 산양삼은 산양삼의 뿌리, 줄기, 잎 중에서 선택된 2종이 각각 1:9∼9: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은 산양삼의 뿌리, 줄기, 잎 중에서 선택된 2종이 각각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은 산양삼의 뿌리, 줄기, 잎의 3종이 혼합된 혼합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비누에 포함되는 산양삼의 총 함량을 10으로 할 경우 비누에 포함되는 산양삼은 산양삼의 뿌리, 줄기, 잎의 3종이 각각 1:1:8∼1:8:1∼8: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은 산양삼의 뿌리, 줄기, 잎의 3종이 각각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은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입자크기가 50∼200메쉬(mesh)가 되도록 분쇄한 분말(powder)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은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하고 60∼100℃의 수증기(steam)로 30분∼3시간 동안 증숙(蒸熟) 처리한 다음 입자크기가 50∼200메쉬(mesh)가 되도록 분쇄한 분말(powder)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은 수세하고 이물질을 제거 후 5∼20mm 크기로 세절한 산양삼을 산양산 중량 대비 5∼1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2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5∼3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산양삼 열수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은 수세하고 이물질을 제거 후 5∼20mm 크기로 세절한 산양삼을 산양산 중량 대비 5∼10배량이며 50∼95% 농도의 에탄올에 첨가하고 60∼75℃에서 3∼1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에탄올을 제거한 산양삼 에탄올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는 상기에서 언급한 산양삼 이외에 택사(澤瀉) 잎, 택사 줄기, 택사 꽃, 택사 뿌리, 장어(長魚)껍질, 장어뼈, 장어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는 택사 잎, 택사 줄기, 택사 꽃, 택사 뿌리, 장어껍질, 장어뼈, 장어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비누 전체 중량 대비 0.1∼5중량%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는 택사 잎, 택사 줄기, 택사 꽃, 택사 뿌리, 장어껍질, 장어뼈, 장어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비누 전체 중량 대비 0.5∼5중량%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는 택사 잎, 택사 줄기, 택사 꽃, 택사 뿌리, 장어껍질, 장어뼈, 장어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비누 전체 중량 대비 1∼5중량%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택사 잎, 택사 줄기, 택사 꽃 및/또는 택사 뿌리는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입자크기가 50∼200메쉬가 되도록 분쇄한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택사 잎, 택사 줄기, 택사 꽃 및/또는 택사 뿌리는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하고 60∼100℃의 수증기로 30분∼3시간 동안 증숙(蒸熟) 처리한 다음 입자크기가 50∼200메쉬가 되도록 분쇄한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장어껍질, 장어뼈 및/또는 장어살은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입자크기가 50∼200메쉬가 되도록 분쇄한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장어껍질, 장어뼈 및/또는 장어살은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하고 60∼100℃의 수증기로 30분∼3시간 동안 증숙한 다음 입자크기가 50∼200메쉬가 되도록 분쇄한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는 산야삼 및/또는 택사 잎, 택사 줄기, 택사 꽃, 택사 뿌리, 장어껍질, 장어뼈, 장어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 이외에 종래 비누에 사용되는 비누 베이스(soap bas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비누 베이스는 인체에 무해하여 종래 비누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러한 비누 베이스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적의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으면 족하므로, 이하 이러한 비누 베이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에서 비누 베이스는 비누 전체 함량에서 산양삼을 제외한 함량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에서 택사 잎, 택사 줄기, 택사 꽃, 택사 뿌리, 장어껍질, 장어뼈, 장어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비누 베이스는 비누 전체 함량에서 산양삼과 추가 성분의 함량을 제외한 나머지 함량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누 제조방법에 있어서, 비누 베이스에 산양삼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상기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산양삼은 비누 전체 중량 대비 0.1∼10중량%를 비누 베이스에 첨가하고 혼합할 수 있다.
상기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산양삼은 비누 전체 중량 대비 0.5∼7중량%를 비누 베이스에 첨가하고 혼합할 수 있다.
상기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비누 전체 중량 대비 1∼5중량%를 비누 베이스에 첨가하고 혼합할 수 있다.
상기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삼양삼은 산양삼의 뿌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삼양삼은 산양삼의 줄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삼양삼은 산양삼의 잎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삼양삼은 산양삼의 뿌리, 줄기, 잎 중에서 선택된 2종이 혼합된 혼합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비누에 포함되는 산양삼의 총 함량을 10으로 할 경우 비누 베이스에 첨가하는 산양삼은 산양삼의 뿌리, 줄기, 잎 중에서 선택된 2종이 각각 1:9∼9: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성분을 비누 베이스에 첨가하고 혼합할 수 있다.
상기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비누에 포함되는 산양삼은 산양삼의 뿌리, 줄기, 잎 중에서 선택된 2종이 각각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성분을 비누 베이스에 첨가하고 혼합할 수 있다.
상기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산양삼은 산양삼의 뿌리, 줄기, 잎의 3종이 혼합된 혼합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비누에 포함되는 산양삼의 총 함량을 10으로 할 경우 비누에 포함되는 산양삼은 산양삼의 뿌리, 줄기, 잎의 3종이 각각 1:1:8∼1:8:1∼8: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성분을 비누 베이스에 첨가하고 혼합할 수 있다.
상기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산양삼은 산양삼의 뿌리, 줄기, 잎의 3종이 각각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성분을 비누 베이스에 첨가하고 혼합할 수 있다.
상기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산양삼은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입자크기가 50∼200메쉬(mesh)가 되도록 분쇄한 분말(powder)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산양삼은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하고 60∼100℃의 수증기(steam)로 30분∼3시간 동안 증숙(蒸熟) 처리한 다음 입자크기가 50∼200메쉬(mesh)가 되도록 분쇄한 분말(powder)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산양삼은 수세하고 이물질을 제거 후 5∼20mm 크기로 세절한 산양삼을 산양산 중량 대비 5∼1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2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5∼3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산양삼 열수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산양삼은 수세하고 이물질을 제거 후 5∼20mm 크기로 세절한 산양삼을 산양산 중량 대비 5∼10배량이며 50∼95% 농도의 에탄올에 첨가하고 60∼75℃에서 3∼1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에탄올을 제거한 산양삼 에탄올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상기에서 언급한 산양삼 이외에 택사(澤瀉) 잎, 택사 줄기, 택사 꽃, 택사 뿌리, 장어(長魚)껍질, 장어뼈, 장어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비누 베이스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비누 베이스에 산양삼 이외에 택사 잎, 택사 줄기, 택사 꽃, 택사 뿌리, 장어껍질, 장어뼈, 장어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비누 전체 중량 대비 0.1∼5중량% 추가로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비누 베이스에 산양삼 이외에 택사 잎, 택사 줄기, 택사 꽃, 택사 뿌리, 장어껍질, 장어뼈, 장어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비누 전체 중량 대비 0.5∼5중량% 추가로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비누 베이스에 산양삼 이외에 택사 잎, 택사 줄기, 택사 꽃, 택사 뿌리, 장어껍질, 장어뼈, 장어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비누 전체 중량 대비 1∼5중량% 추가로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산양삼 이외에 비누 베이스에 추가로 더 첨가되는 성분인 택사 잎, 택사 줄기, 택사 꽃 및/또는 택사 뿌리는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입자크기가 50∼200메쉬가 되도록 분쇄한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산양삼 이외에 비누 베이스에 추가로 더 첨가되는 성분인 택사 잎, 택사 줄기, 택사 꽃 및/또는 택사 뿌리는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하고 60∼100℃의 수증기로 30분∼3시간 동안 증숙(蒸熟) 처리한 다음 입자크기가 50∼200메쉬가 되도록 분쇄한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산양삼 이외에 비누 베이스에 추가로 더 첨가되는 성분인 장어껍질, 장어뼈 및/또는 장어살은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입자크기가 50∼200메쉬가 되도록 분쇄한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산양삼 이외에 비누 베이스에 추가로 더 첨가되는 성분인 장어껍질, 장어뼈 및/또는 장어살은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하고 60∼100℃의 수증기로 30분∼3시간 동안 증숙한 다음 입자크기가 50∼200메쉬가 되도록 분쇄한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산양삼 또는 산양삼과 추가 성분 이외에 사용되는 비누 베이스(soap base)는 인체에 무해하여 종래 비누 제조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사용하는 비누 베이스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적의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으면 족하므로, 이하 이러한 비누 베이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비누 베이스는 비누 전체 함량에서 산양삼을 제외한 함량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시 택사 잎, 택사 줄기, 택사 꽃, 택사 뿌리, 장어껍질, 장어뼈, 장어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비누 베이스는 비누 전체 함량에서 산양삼과 추가 성분의 함량을 제외한 나머지 함량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다양한 조건으로 실시한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산양삼 뿌리, 산양삼 줄기 및 산양삼 잎을 각각 50℃ 온도의 오븐에서 1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각각 5mm 크기로 세절하였다.
상기의 세절한 산양삼 뿌리를 세절한 산양삼 뿌리 중량 대비 20배량의 용매에 넣고 75℃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산양삼 뿌리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에서 용매는 70% 농도의 에탄올(Et-OH) 용액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산양삼 뿌리 추출액 얻는 방법을 이용하여 산양삼 줄기 추출액 및 산양삼 잎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산양삼 뿌리 추출액, 산양삼 줄기 추출액 및 산양삼 잎 추출액에 대한 항산화 특성으로써 총 폴리페놀(total polyphenol)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 함량, 전자 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아질산염 소거 활성(nitrite-scavenging ability) 및 SOD 유사 활성(SOD-like activity)을 각각 측정하고 이들의 결과를 아래의 표 1 및 표 2에 각각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은 AOAC(Association of Analytical Chemists. Offical methods of analysis of the AOAC. 14th ed. Washington (DC): ssociation of Analytical Chemists INC. 1984)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즉, 100배 희석한 시료용액 3mL에 Folin-Ciocalteu phenol reagent 시약 1mL를 가하고, 포화 탄산나트륨(Na2CO3)용액 1mL를 가하여 혼합한 후 1시간 실온에서 방치하고, 1N HCl 0.2mL을 가하여 6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미리 작성한 탄닌산(tannic acid) 표준곡선의 흡광도 값과 비교하여 폴리페놀 함량을 산출하였다.
상기에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Nieva Moreno 등의 방법(Nieva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109-114, 20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시료 100㎕를 80% 에탄올 990㎕에 희석한 후 100㎕를 취하여 10% 질산알루미늄(aluminum nitrate)와 1 초산칼륨(potassium acetate)를 함유하는 80% 에탄올 4.3ml에 혼합하여 실온에서 40분 동안 방치한 뒤 41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퀘르세틴(quercetin)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구하였다.
상기에서 전자 공여능 측정은 Blois의 방법(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pp.1199-1120, 1958)에 따라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즉, 각 시료용액 2mL에 0.2mM의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1mL를 넣고 교반한 후, 30분간 방치한 다음,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Electron donating ability은 하기 식(1)에 의하여 시료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저해율(%)={1-(시료 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100...식(1)
상기에서 산양삼 뿌리 추출액, 산양삼 줄기 추출액 및 산양삼 잎 추출액의 pH에 따른 아질산염(NaNO2) 소거작용은 카토 등의 방법(Kato H et al., Agric. Biol. Chen., 51, pp1333-1338, 1987)에 따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즉, 1mM의 아질산나트륨 (NaNO2) 용액 2㎖에 산양삼 뿌리 추출액, 산양삼 줄기 추출액 및 산양삼 잎 추출액을 첨가하고, 여기에 0.1N HCl(pH 1.2)과 0.2M 구연산염 완충용액(citrate buffer)을 사용하였다. 반응용액의 pH를 각각 1.2, 3.0, 4.2으로 조정한 후, 반응용액의 부피를 10 ㎖으로 하여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각각 1㎖씩 취하여 2% 아세트산(acetic acid) 5㎖을 첨가하였다. 그리고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 ; A:B=1:1, A = 1% 술파닐산(sulfanilic acid) in 30% 아세트산(acetic acid), B = 1% 나프틸아민(naphthylamine) in 30% 아세트산) 0.4㎖를 첨가하여 볼텍스(voltex)하여 섞은 후, 실온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시킨 시료를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대조구는 그리스 시약 대신 증류수 0.4㎖을 가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싸리 추출물을 첨가한 경우와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아질산염 소거율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SOD 유사 활성 측정은 마크룬드 등 (Marklund S et al., Eur. J. Biochem., 47, pp468-474, 1975) 의 방법에 따라 과산화수소로 전환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피로갈롤 (pyrogallol)의 생성량을 측정하여 SOD 유사활성으로 나타내었다. 즉, 일정 농도의 시료 0.2㎖에 pH 8.5로 보정한 Tris-HCl 완충용액(50mM Tris[hydroxymethyl] amino methane, 10mM EDTA, pH 8.5) 3㎖과 7.2mM 피로갈롤 0.2 ㎖을 첨가하여 25℃에서 10분간 반응 후, 1N HCl 1㎖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액 중 산화된 피로갈롤 양은 UV/VIS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산양삼 뿌리 추출액, 산양삼 줄기 추출액 및 산양삼 잎 추출액의 SOD 유사활성은 시료 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 사이의 흡광도의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항목 총 폴리페놀
(mg/ml)
총 플라보노이드
(mg/ml)
전자 공여능
(%)
산양삼 뿌리 추출액 12.487 3.760 26.95
산양삼 줄기 추출액 27.243 12.013 53.94
산양삼 잎 추출액 67.415 43.965 92.73
항목 아질산염 소거 활성(%) SOD 유사 활성(%)
pH 1.2 pH 3.0 pH 4.2
산양삼 뿌리 추출액 63.94 37.84 16.69 24.88
산양삼 줄기 추출액 75.25 49.43 24.77 35.15
산양삼 잎 추출액 89.28 64.14 32.36 42.43
상기 표 1 및 표 2의 결과로부터 산양삼 뿌리, 산양삼 줄기 및 산양삼 잎은 항산화 특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도 1에 기재된 내용을 이용하여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3에 기재된 비누 베이스에 산양삼 뿌리 분말을 첨가하고 70℃에서 400rpm으로 2시간 동안 용해 및 혼합(Dissloution & mix)시켰다.
상기의 혼합액을 상온(25℃)에서 50℃까지 냉각(cooling)시킨 다음 두께가 1.5cm이며, 횡단면이 사각형인 몰드에 넣고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고형화(Solidfication)하여 고형물을 얻었다.
상기의 고형물을 4cm×7cm(가로×세로) 크기로 절단(Cutting)한 다음 압착 및 거품(Pressing&Foaming)을 제거하고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건조(Drying)하여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3에 실시예 1의 상기 비누 조성(단위 : 중량%)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하기 표 3에 기재된 비누 베이스에 산양삼 줄기 분말을 첨가하고 70℃에서 400rpm으로 2시간 동안 용해 및 혼합(Dissloution & mix)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하기 표 3에 기재된 비누 베이스에 산양삼 줄기 분말을 첨가하고 70℃에서 400rpm으로 2시간 동안 용해 및 혼합(Dissloution & mix)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하기 표 3에 기재된 비누 베이스에 산양삼 잎 분말을 첨가하고 70℃에서 400rpm으로 2시간 동안 용해 및 혼합(Dissloution & mix)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하기 표 3에 기재된 비누 베이스에 산양삼 뿌리 분말 및 산양삼 줄기 분말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산양삼 혼합 분말을 첨가하고 70℃에서 400rpm으로 2시간 동안 용해 및 혼합(Dissloution & mix)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하기 표 3에 기재된 비누 베이스에 산양삼 줄기 분말 및 산양삼 잎 분말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산양삼 혼합 분말을 첨가하고 70℃에서 400rpm으로 2시간 동안 용해 및 혼합(Dissloution & mix)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3에서 S1:실시예 1, S2:실시예 2, S3:실시예 3, S4:실시예 4, S5:실시예 5를 나타낸다.
*상기 표 3의 비누베이스에서 A : 증류수(Distilled Water), B : 소디움 코코에이트(Sodium Cocoate), C : 글리세린(Glycerine), D : 소르비톨(Sorbitol), E :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F : 미리스틱산(Myristic Acid), G :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H : 히아루론산소다(Sodium Hyaluronate), I : 에치렌디아민 4초산염(Tetrasodium Ethylene Diamine Tetra Acetate, EDTA-4Na)을 나타낸다.
*상기 표 3의 비누베이스에서 어성초(魚腥草), 야국(野菊), 도라지, 당귀(當歸), 상백피(桑白皮)는 각각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하고 65℃의 수증기로 1시간 동안 증숙한 다음 입자크기가 150메쉬가 되도록 분쇄한 분말 형태를 사용하였다.
*상기 표 3에서 혼합1은 산양삼 뿌리 및 산양삼 줄기가 1:1의 중량비로 한합된 혼합 성분이며, 혼합2는 산양삼 줄기 및 산양삼 잎이 1:1의 중량비로 한합된 혼합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표 3에서 산양삼 뿌리, 산양삼 줄기 및 산양삼 잎은 각각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하고 80℃의 수증기(steam)로 2시간 동안 증숙(蒸熟)한 다음 입자크기가 150메쉬(mesh)가 되도록 분쇄한 분말(powder) 형태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6>
도 2에 기재된 내용을 이용하여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4에 기재된 비누 베이스에 산양삼 뿌리 분말 및 택사(澤瀉) 뿌리 분말을 첨가하고 70℃에서 400rpm으로 2시간 동안 용해 및 혼합(Dissloution & mix)시켰다.
상기의 혼합액을 상온(25℃)에서 50℃까지 냉각(cooling)시킨 다음 두께가 1.5cm이며, 횡단면이 사각형인 몰드에 넣고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고형화(Solidfication)하여 고형물을 얻었다.
상기의 고형물을 4cm×7cm(가로×세로) 크기로 절단(Cutting)한 다음 압착 및 거품(Pressing&Foaming)을 제거하고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건조(Drying)하여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4에 실시예 6의 상기 비누 조성(단위 : 중량%)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7>
하기 표 4에 기재된 비누 베이스에 산양삼 줄기 분말 및 택사 줄기 분말을 첨가하고 70℃에서 400rpm으로 2시간 동안 용해 및 혼합(Dissloution & mix)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산양삼 및 택사를 포함하는 비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하기 표 4에 기재된 비누 베이스에 산양삼 잎 분말 및 택사 잎 분말을 첨가하고 70℃에서 400rpm으로 2시간 동안 용해 및 혼합(Dissloution & mix)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산양삼 및 택사를 포함하는 비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하기 표 4에 기재된 비누 베이스에 산양삼 뿌리 분말 및 장어(長魚) 껍질 분말을 첨가하고 70℃에서 400rpm으로 2시간 동안 용해 및 혼합(Dissloution & mix)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산양삼 및 장어를 포함하는 비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하기 표 4에 기재된 비누 베이스에 산양삼 줄기 분말 및 장어 뼈 분말을 첨가하고 70℃에서 400rpm으로 2시간 동안 용해 및 혼합(Dissloution & mix)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산양삼 및 장어를 포함하는 비누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4에서 S6:실시예 6, S7:실시예 7, S8:실시예 8, S9:실시예 9, S10:실시예 10을 나타낸다.
*상기 표 4의 비누베이스에서 A : 증류수(Distilled Water), B : 소디움 코코에이트(Sodium Cocoate), C : 글리세린(Glycerine), D : 소르비톨(Sorbitol), E :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F : 미리스틱산(Myristic Acid), G :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H : 히아루론산소다(Sodium Hyaluronate), I : 에치렌디아민 4초산염(Tetrasodium Ethylene Diamine Tetra Acetate, EDTA-4Na)을 나타낸다.
*상기 표 4의 비누베이스에서 어성초(魚腥草), 야국(野菊), 도라지, 당귀(當歸), 상백피(桑白皮)는 각각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하고 65℃의 수증기로 1시간 동안 증숙한 다음 입자크기가 150메쉬가 되도록 분쇄한 분말 형태를 사용하였다.
*상기 표 4에서 혼합1은 산양삼 뿌리 및 산양삼 줄기가 1:1의 중량비로 한합된 혼합 성분이며, 혼합2는 산양삼 줄기 및 산양삼 잎이 1:1의 중량비로 한합된 혼합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표 4에서 산양삼 뿌리, 산양삼 줄기 및 산양삼 잎은 각각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하고 80℃의 수증기(steam)로 2시간 동안 증숙(蒸熟)한 다음 입자크기가 150메쉬(mesh)가 되도록 분쇄한 분말(powder) 형태를 사용하였다.
*상기 표 4에서 택사 뿌리, 택사 줄기 및 택사 잎은 각각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하고 80℃의 수증기로 2시간 동안 증숙한 다음 입자크기가 150메쉬가 되도록 분쇄한 분말 형태를 사용하였다.
*상기 표 4에서 장어껍질 및 장어 뼈는 각각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하고 70℃의 수증기(steam)로 30분 동안 증숙한 다음 입자크기가 150메쉬가 되도록 분쇄한 분말 형태를 사용하였다.
<시험예 1> 피부 보습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에서 제조한 각각의 비누를 실험군으로 하고,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비누(알뜨랑비누, LG 생활건강, 대한민국)를 대조군으로 하여, 실험군 및 대조군에 대한 피부 보습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아래의 표 5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상기의 피부 보습 효과는 패널 33명을 3명씩 11개팀으로 나눈 후 1-10팀 3명에게는 실험군의 비누(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로 얼굴을 세안하고, 11팀 3명에게는 대조군의 비누로 얼굴을 세안한 다음 측정 시작 시점부터 30분 간격으로 3시간 후의 피부 보습력을 코니오미터(corne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프로브에는 7mm 사방에 방형전극(전극의 폭이 50㎛, 간격이 75㎛)이 배치되어 있고, 프로브를 피부에 밀어붙여 평균 1MHz의 주파수로 전기용량을 구하여 피부 표층의 수분을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 5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의 실험군 비누 및 대조군 비누에 대한 피부 보습 효과에 대한 수치는 대조군 비누의 측정시 피부 보스에 대한 수치를 100으로 하였을 때의 환산한 수치로서 수치가 높을수록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상기 표 5의 결과에서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비누와 대비시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어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피부 진정 작용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에서 제조한 각각의 비누를 실험군으로 하고,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비누(알뜨랑비누, LG 생활건강, 대한민국)를 대조군으로 하여, 실험군 및 대조군에 대한 피부 진정 작용을 측정하고 이를 아래의 표 6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알러지(allergy)에 민감한 피부를 지닌 패널 33명을 3명씩 11개팀으로 나눈 후 1팀의 3명 내지 10팀의 3명에게 각각 실시예 1의 비누 내지 실시예 10의 비누로 1개월 동안 피부(얼굴, 팔, 다리, 몸통)를 세척하고, 11팀 3명에게는 대조군의 비누로 1개월 동안 피부(얼굴, 팔, 다리, 몸통)를 세척한 후 실험군의 비누를 사용한 팀과 대조군의 비누를 사용한 팀에서의 알러지 발생 여부 정도를 5점 척도법으로 각각 측정하고 이의 결과를 아래의 표 6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피부 진정 작용
항목 알러지 발생 정도
실시예 1 2.6
실시예 2 2.6
실시예 3 2.5
실시예 4 2.6
실시예 5 2.7
실시예 6 2.5
실시예 7 2.5
실시예 8 2.4
실시예 9 2.4
실시예 10 2.3
대조군 3.6
*상기 표 6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의 실험군 비누에 대한 알러지 발생 정도에 대한 수치는 1-10팀 패널(각 팀당 3명)의 점수 총합을 패널 수로 나눈 것이고, 대조군 비누에 대한 알러지 발생 정도에 대한 수치는 11팀(패널 3명)의 점수 총합을 패널 수로 나눈 것으로서, 알러지 발생 정도에 대한 수치가 높을수록 알러지 발생 정도가 심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표 6의 결과에서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비누와 대비시 알러지 발생 정도가 낮아 피부 진정 작용에 대한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어 우수한 피부 진정 작용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미백 효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에서 제조한 각각의 비누를 실험군으로 하고,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비누(알뜨랑비누, LG 생활건강, 대한민국)를 대조군으로 하여, 실험군 및 대조군에 대한 피부 미백 효과를 이를 아래의 표 7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패널 33명을 3명씩 11개팀으로 나눈 후 1팀의 3명 내지 10팀의 3명에게 각각 실시예 1의 비누 내지 실시예 10의 비누로 각각 1개월 동안 얼굴에 세안하고, 11팀 3명에게는 대조군의 비누로 1개월 동안 얼굴에 세안한 후 실험군의 비누를 사용한 팀의 패널과 대조군의 비누를 사용한 팀의 패널에 대한 미백 효과 여부 정도를 5점 척도법으로 각각 측정하고 이의 결과를 아래의 표 7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피부 미백 효과
항목 피부 미백 효과
실시예 1 106
실시예 2 107
실시예 3 106
실시예 4 108
실시예 5 109
실시예 6 110
실시예 7 111
실시예 8 110
실시예 9 116
실시예 10 115
대조군 100
*상기 표 7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의 실험군 비누에 대한 피부 미백 효과 수치는 대조군 비누를 사용한 팀의 팀원들의 평균 미백 효과 수치를 100으로 하였을 때 환산한 수치로서 수치가 높을수록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상기 표 7의 결과에서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비누와 대비시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는 미백효과, 피부진정작용, 피부 보습, 피부 트러블의 개선 등의 효과를 지녀 피부에 민감한 성장기의 청소년이나 여성들에게 유용한 비누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한편 산양삼에 대한 소비처를 제공할 수 있어 산양삼을 재배하는 개인, 기업 및 지역사회의 경제적 이익 향상과 산양삼 관련 산업발전에 기여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6)

  1. 비누에 있어서,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2. 제1항에 있어서,
    산양삼의 뿌리, 줄기, 잎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양삼은 비누 전체 중량 대비 0.1∼1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3. 제1항에 있어서,
    산양삼의 뿌리, 줄기, 잎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양삼이 비누 전체 중량 대비 0.1∼10중량% 포함되는 것 이외에 택사(澤瀉) 잎, 택사 줄기, 택사 꽃, 택사 뿌리, 장어(長魚) 껍질, 장어뼈, 장어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이 비누 전체 중량 대비 0.1∼5중량% 추가로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4. 비누 제조방법에 있어서,
    비누 베이스에 산양삼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비누 베이스에 산양삼의 뿌리, 줄기, 잎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양삼을 비누 전체 중량 대비 0.1∼10중량%를 첨가하고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비누 베이스에 산양삼의 뿌리, 줄기, 잎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산양삼을 비누 전체 중량 대비 0.1∼10중량%를 첨가하고 혼합시 산양삼 이외에 택사(澤瀉) 잎, 택사 줄기, 택사 꽃, 택사 뿌리, 장어(長魚) 껍질, 장어뼈, 장어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더 첨가하고 혼합하되, 상기 추가로 더 첨가되는 성분은 비누 전체 중량 대비 0.1∼5중량%를 첨가하고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의 제조방법.
KR1020120036204A 2012-04-06 2012-04-06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95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204A KR101395218B1 (ko) 2012-04-06 2012-04-06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204A KR101395218B1 (ko) 2012-04-06 2012-04-06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757A true KR20130113757A (ko) 2013-10-16
KR101395218B1 KR101395218B1 (ko) 2014-05-15

Family

ID=49634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204A KR101395218B1 (ko) 2012-04-06 2012-04-06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2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809A (ko) * 2014-11-14 2016-05-24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KR101963046B1 (ko) * 2017-11-10 2019-03-27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 클로르제닉산 및 쿼르세틴이 증진된 가공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22757B1 (ko) * 2020-01-23 2020-06-17 협동조합 바이오융합기술 항산화 사포닌 성분을 이용한 미세 먼지 독성 제거 및 피부 수분 보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708B1 (ko) 2019-05-07 2019-08-02 양숙현 산양삼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902B1 (ko) * 2001-12-24 2005-09-0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장뇌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35796B1 (ko) * 2008-12-18 2012-04-16 김규환 산양 산삼 추출물을 첨가한 비누의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
KR101111712B1 (ko) * 2009-04-22 2012-02-10 김병구 한약재를 이용한 피부보호제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809A (ko) * 2014-11-14 2016-05-24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KR101963046B1 (ko) * 2017-11-10 2019-03-27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 클로르제닉산 및 쿼르세틴이 증진된 가공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22757B1 (ko) * 2020-01-23 2020-06-17 협동조합 바이오융합기술 항산화 사포닌 성분을 이용한 미세 먼지 독성 제거 및 피부 수분 보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5218B1 (ko)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29702B (zh) 一种纯天然植物香皂及其制备方法
KR20170036397A (ko)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의 기능성 고형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비누 제조방법
KR101565778B1 (ko)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비누
KR101395218B1 (ko)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2646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비누 조성물
KR101064419B1 (ko) 수세미 열매 속 섬유질을 함유하는 천연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26774B1 (ko) 황기, 황정 및 솔잎 추출물이 포함되는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252604B1 (ko) 코코넛 추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천연 샴푸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3085B1 (ko) 침출오일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JP5488870B2 (ja) オリーブ果実エキス、該エキスを配合してなるヒト白血球エラスターゼ阻害剤及びオリーブ果実エキスの製造方法
KR101479499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KR20190074663A (ko) 천연 비누 조성물
JP6159918B2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及びヒアルロニダーゼの活性を阻害する方法
JP4421718B2 (ja) 琥珀成分含有剤の製造方法
JP2000191513A (ja) アガリクス茸抽出液を含有する皮膚洗浄料
KR102062822B1 (ko) 탈모개선 비누 첨가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누 및 그 제조방법
JPH11269496A (ja) 植物エキス配合の石けん
KR101831523B1 (ko) 함초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2520908B1 (ko) 영여자 숙성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영여자 숙성액
JP2003119499A (ja) 柿の葉粉末を配合した固形石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22726B1 (ko) 가루녹차를 포함하는 미용 비누의 제조방법
CN103361212B (zh) 夏枯草活肤复合香皂
CN103666888B (zh) 蒲公英低刺激护肤香皂
KR101380556B1 (ko) 해삼 유래 사포닌 함유 소금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05657B1 (ko) 기능성 피부 세정제 및 기능성 피부 세정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