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064A - 절단기 - Google Patents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064A
KR20130113064A KR1020120035353A KR20120035353A KR20130113064A KR 20130113064 A KR20130113064 A KR 20130113064A KR 1020120035353 A KR1020120035353 A KR 1020120035353A KR 20120035353 A KR20120035353 A KR 20120035353A KR 20130113064 A KR20130113064 A KR 20130113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s
circular saws
cutting
frame
cut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2931B1 (ko
Inventor
전정수
Original Assignee
전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정수 filed Critical 전정수
Priority to KR1020120035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931B1/ko
Publication of KR2013011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nother disc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3Rack-and-pin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35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for circular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16Saw benches
    • B27B5/18Saw benches with feedable circular saw blade, e.g. arranged on a carriage
    • B27B5/20Saw benches with feedable circular saw blade, e.g. arranged on a carriage the saw blade being adjustable according to depth or angle of cut; Radial saws, i.e. sawing machines with a pivoted radial arm for guiding the movable carri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자나 가구 등과 같은 프레임 제품의 각 틀을 이루는 프레임의 모서리 부위를 45°각도로 커팅하는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각틀 모양의 프레임 제품 제작시 서로 다른 높이의 평면상에 설치되어 있는 두 쌍의 원형톱 및 스핀들을 이용하여 프레임의 모서리 부위를 시간차를 두고 45°절단 가공하는 새로운 형태의 절단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스핀들의 길이를 길게 확보할 수 있고, 프레임의 양쪽을 개별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 등 제품의 절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재료의 손실을 많이 줄일 수 있는 절단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절단기{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자나 가구 등과 같은 프레임 제품의 각 틀을 이루는 프레임의 모서리 부위를 45°각도로 커팅하는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 가구, 창틀, 문틀 등과 같은 프레임 제품은 상하측의 프레임과 양측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지며, 주로 목재나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액자, 가구, 창틀, 문틀 등과 같이 크기 및 형태가 각기 다른 다품종의 프레임 제품을 소량으로 제작하는 작업현장의 경우, 주로 회전형 톱날을 구비한 절단기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절단하고자 하는 프레임을 직접 잡고 톱날로 절단한 다음, 사각틀 모양으로 조립하여 액자 등을 완성하게 된다.
예를 들면, 액자나 가구 등은 선형 자재를 획일적 형태로 기(旣) 제작하여 놓은 다음,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긴 선형의 자재들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고, 요구되는 조립조건에 따라 재단하여 이들을 사각틀 모양으로 조립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렇게 액자나 가구 등을 사각틀의 형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서로 접하는 프레임 단부의 모서리 부위를 커팅하여 대략 45°의 각도로 성형한 후, 이때의 45°성형 부위를 맞대어 프레임 서로가 직각을 이루도록 조립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프레임 절단작업은 전반적으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작업자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고, 또 사각틀을 이루는 각 프레임의 모서리를 45°의 각도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대략 8번 정도의 커팅 공정을 거쳐야만 작업을 완료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또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하여 커팅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품질 또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프레임 제품의 양단 모서리 부위를 45°의 각도로 동시에 자동 커팅하여 프레임 제품 제작시의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자동식 절단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자동식 절단기는 중간 높이에 작업대(100)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물(110), 상기 프레임 구조물(110)상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승강판(120)에 설치되는 커팅 수단으로서 서로 90°의 각도를 이루면서 근접 배치되는 한 쌍의 원형톱(130a,130b) 및 이것을 지지하는 스핀들(140a,140b)과, 상기 각각의 스핀들(140a,140b)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150a,150b)와, 상기 승강판(120)의 상하 구동을 위한 실린더(160) 및 상하 안내를 위한 가이드축(170)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절단기는 각 원형톱에 설치된 스핀들이 동일 높이의 평면상에 배치되어 있는 구조인 관계로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이 있다.
첫째, 스핀들이 동일 높이의 평면상에 있다 보니 스핀들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스핀들 길이를 짧게 설계해야 하고, 이로 인해 진동이 커서 제품의 절단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두 개의 원형톱이 동시에 하강하여 프레임의 양쪽을 동시에 절단하게 됨으로써, 서로 간의 절단 진동에 의한 영향으로 절단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두 개의 원형톱이 동일 평면상에 있다 보니 서로를 근접시키는데 한계가 있고, 이로 인해 서로 간의 이격 거리차이로 인한 재료 손실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각틀 모양의 프레임 제품 제작시 서로 다른 높이의 평면상에 설치되어 있는 두 쌍의 원형톱 및 스핀들을 이용하여 프레임의 모서리 부위를 시간차를 두고 45°절단 가공하는 새로운 형태의 절단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스핀들의 길이를 길게 확보할 수 있고, 프레임의 양쪽을 개별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 등 제품의 절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재료의 손실을 많이 줄일 수 있는 절단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절단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절단기는 구조물 중간 높이에 작업대상물을 거치할 수 있는 작업대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물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상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에 설치되어 작업대상물을 절단하는 수단으로서 서로 90°의 각도를 이루면서 근접 배치되는 두 쌍의 원형톱 및 스핀들과, 상기 각각의 스핀들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상기 승강판의 상하 구동을 위한 실린더 및 상하 안내를 위한 가이드축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한편, 특히 상기 한 쌍의 원형톱 및 스핀들과 다른 한 쌍의 원형톱 및 스핀들은 서로 다른 높이의 평면상에 설치되어, 작업대상물의 모서리 부위 양쪽을 시간차를 두고 45°절단 가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서로 다른 높이의 평면상에 설치되는 두 개의 스핀들은 서로 90°의 각도로 크로스 배치되는 동시에 승강판을 사이에 두고 한 개는 윗쪽에, 다른 한 개는 아래쪽에 각각 배치되는 형태로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의 경우, 프레임 구조물의 바닥쪽에 수직 설치되면서 그 로드를 통해 승강판의 저면에 연결되어, 승강판을 위에서 아래로 당겨서 내려주는 방식으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방식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절단기는 작업대의 전단부 양편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작업대상에 놓여지는 작업대상물을 받침대측으로 잡아 당겨서 고정시켜줄 수 있는 수평 클램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 작업대의 상부 양편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작업대상에 놓여지는 작업대상물을 작업대측으로 눌러서 고정시켜줄 수 있는 수직 클램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절단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스핀들이 서로 다른 높이의 평면상에 있기 때문에 스핀들 간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핀들의 길이를 길게 설계할 수 있어 진동을 줄일 수 있는 등 제품의 절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두 개의 원형톱이 시간차를 두고 하강하여 프레임의 양쪽을 개별적으로 절단함으로써, 서로 간의 절단 진동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아 깨끗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는 등 제품의 절단 품질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두 개의 원형톱 간의 이격거리를 최대한 좁힐 수 있으므로, 재료의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절단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절단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기에서 두 쌍의 원형톱 및 스핀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단기는 각 원형톱에 설치된 스핀들이 서로 다른 높이의 평면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 즉 한 개의 스핀들은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다른 한 개의 스핀들은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이에 따라 스핀들 간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어 스핀들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절단기 본체에 해당하는 프레임 구조물(11)이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 구조물(11)의 중간 높이에는 작업대상물을 거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조물 좌우 폭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작업대(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10)의 상면 앞쪽으로는 프레임 구조물(11)의 좌우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받침대(18)가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이때의 받침대(18)는 후술하는 클램프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작업대상물의 한 쪽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프레임 구조물(11)은 위치 이동은 물론, 적당한 위치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프레임 구조물(11)의 하단부에는 4개의 바퀴(25)와 고정대(26)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 구조물(11)에는 절단 가공시 절단가공물에서 떨어져 나오는 파티클 등을 차단하는 수단으로 커버(32)가 구비되며, 이때의 커버(32)는 프레임 구조물(11)에 지지되면서 전면을 차단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 구조물(11)에는 두 쌍의 원형톱(13a,13b) 및 스핀들(14a,14b), 그리고 모터(15a,15b)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대략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 승강판(12)이 수평 설치되며, 이때의 승강판(12)은 네 곳의 부시(23)를 이용하여 프레임 구조물(11)에 설치되어 있는 4개의 가이드축(17)에 각각 끼워져 슬라이드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12)의 저부에는 프레임 구조물(11)의 바닥쪽에 수직자세로 지지되는 실린더(16)가 설치되고, 이때의 실린더(16)의 로드는 승강판(12)의 저면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판(12)은 실린더(16)의 작동과 가이드축(17)의 안내에 의해 위아래로 구동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구동방식에 의해 작업대상물에 대한 절단작업은 실린더(16)가 원형톱(13a,13b)을 포함하는 승강판(12) 전체를 위에서 아래로 당겨서 내려주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실질적으로 작업대상물, 예를 들면 목재나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절단하는 수단으로 두 쌍의 원형톱(13a,13b) 및 스핀들(14a,14b)이 마련된다.
상기 원형톱(13a,13b) 및 스핀들(14a,14b)은 승강판(12)상에서 서로 90°의 각도를 이루면서 배치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작업대상물의 모서리 부위 양쪽을 45°절단 가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두 쌍의 원형톱(13a,13b) 및 스핀들(14a,14b)은 서로 다른 높이의 평면상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작업대상물의 모서리 부위 양쪽을 시간차를 두고 45°절단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두 쌍의 원형톱(13a,13b) 및 스핀들(14a,14b) 중에서 서로 다른 높이의 평면상에 설치되는 두 개의 스핀들(14a,14b)은 서로가 90°의 각도를 이루면서 크로스 배치됨과 더불어, 승강판(12)을 사이에 두고 한 개는 윗쪽에 위치되고, 다른 한 개는 아래쪽에 각각 배치되는 형태로 조합된다.
즉, 상기 승강판(12)의 상면에 설치되는 스핀들 블럭(24) 내에는 한 개의 스핀들(14a)이 다수의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판(11)의 저면에 설치되는 스핀들 블럭(24) 내에는 다른 한 개의 스핀들(14b)이 역시 다수의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이때의 스핀들(14b)은 승강판 상면의 스핀들(14a)에 대해 90°의 각도로 크로스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각 스핀들(14a,14b)의 선단부에 일체 결합되는 원형톱(13a,13b) 또한 서로의 한 쪽을 접하면서 상하 높이차를 두고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원형톱(13a,13b)을 포함하는 스핀들(14a,14b)이 서로 다른 높이의 평면상에 설치되므로서, 즉 하나는 승강판(12)의 상면에, 다른 하나는 승강판(12)의 저면에 각각 설치되므로서, 스핀들 간의 간섭없이 서로의 교차 배치가 가능하게 되면서 스핀들 길이를 길게 설계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충분한 스핀들의 길이 확보로 진동 등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스핀들(14a,14b)에 결합되는 원형톱(13a,13b)들도 서로가 높이차를 가질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대상물 절단시 두 개의 원형톱(13a,13b)이 시차를 두고 하강하여 작업대상물의 양쪽을 개별적으로 절단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서로 간의 절단 진동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원형톱(13a,13b) 간의 높이차로 인해 양편의 원형톱(13a,13b)을 좀더 가깝게 최대한 근접시킬 수 있게 되고, 결국 이렇게 원형톱(13a,13b) 간의 이격거리(서로가 인접하는 쪽 간의 거리)를 줄인 상태에서 절단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작업대상물의 양쪽 45°절단면이 거의 90°의 각도를 이루며 절단될 수 있게 되어 재료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핀들(14a,14b) 및 원형톱(13a,13b)의 구동을 위한 수단으로 모터(15a,15b)가 마련되고, 이때의 모터(15a,15b)와 스핀들(14a,14b)은 벨트 전동방식으로 전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모터(15a,15b)는 승강판(12)의 상면에서 서로 등을 지면서 90°각도로 배치되는 동시에 각각의 스핀들(14a,14b)에 대해 나란하게 위치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모터(15a,15b)의 축과 스핀들(14a,14b)의 단부, 즉 원형톱(13a,13b)이 결합되어 있는 쪽의 단부 바로 안쪽에는 풀리(21)가 각각 장착되며, 이때의 양쪽의 풀리 사이에는 벨트(22)가 연결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15a,15b)가 작동하게 되면 벨트 전동에 의해 스핀들(14a,14b)을 포함하는 원형톱(13a,13b) 전체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작업대상물의 모서리 부위에 대한 45°절단 가공시 작업대상물을 고정시켜주는 수단으로 작업대상물, 즉 사각의 프레임을 윗쪽과 옆쪽에서 잡아줄 수 있는 각 한 쌍씩의 수평 클램프장치(19)와 수직 클램프장치(20)를 제공한다.
상기 수평 클램프장치(19)는 작업대(10) 위에서 프레임 구조물(11)의 좌우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놓여지는 프레임을 앞쪽으로 잡아 당겨서 고정시켜주는 수단으로서, 한 쌍이 작업대(10)의 저부 양편에 나란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수평 클램프장치(19)는 작업대(10)의 전단부 위치에서 프레임 구조물(11)측에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 브라켓(27a)에 지지되면서 프레임 구조물(11)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수평 클램프 실린더(28)와, 상기 수평 클램프 실린더(28)의 로드에 일체 결합되면서 수직자세로 위치되어 프레임을 앞쪽으로 잡아 당겨주는 수평 클램프(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 클램프(29)는 작업대(10)에 형성되어 있는 슬롯(34)을 통해 작업대 아래쪽에서 작업대 윗쪽으로 연장되어 작업대(10)에 있는 작업대상물의 한 쪽 측면, 즉 받침대(18)에 밀착되는 측면의 반대쪽 측면을 걸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평 클램프(29)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이드바(30)가 마련되고, 이때의 가이드바(30)는 실린더 브라켓(27a)상에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지지되면서 그 선단을 통해 수평 클램프(29)의 한 쪽 단부와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 클램프 실린더(28)가 전진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업대(10)상에 프레임이 놓여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수평 클램프 실린더(28)가 작동하여 후진하게 되면, 수평 클램프(29)에 의해 프레임이 받침대(18)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결국 프레임은 수평 클램프(29)와 받침대(18)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절단가공이 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직 클램프장치(20)는 수평 클램프장치(19)와 더불어 프레임을 함께 잡아주는 수단으로서, 한 쌍이 작업대(10)의 상부 양편에 각각 설치된다.
즉, 작업대(10)의 전단부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받침대(18)의 상단부에는 실린더 브라켓(27b)이 수평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실린더 브라켓(27b)에는 수직 클램프 실린더(31)가 그 로드를 아래로 하여 설치되며, 이때의 수직 클램프 실린더(31)의 로드에는 프레임을 위에서 아래로 눌러줄 수 있는 수직 클램프(미도시)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 클램프 실린더(31)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업대(10)상에 프레임이 놓여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수직 클램프 실린더(31)가 작동하여 하강하게 되면, 수직 클램프에 의해 작업대(10)상의 프레임이 눌려지게 되고, 결국 프레임은 수직 클램프와 작업대(10)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절단가공이 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절단기를 사용하여 작업대상물을 절단 가공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형톱(13a,13b) 등을 포함하는 승강판(12) 전체가 프레임 구조물(11)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업대(10)상에는 작업대상물(200), 예를 들면 사각의 알루미늄 프레임이 놓여지고, 이와 함께 수평 클램프장치와 수직 클램프장치의 클램프 작동에 의해 알루미늄 프레임은 작업대(10)상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계속해서, 모터(15a,15b)의 작동에 의해 원형톱(13a,13b)이 회전하게 되고, 이렇게 원형톱(13a,13b)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실린더(16)가 작동하게 되면, 승강판(12)이 하강하게 되며, 결국 두 개의 원형톱(13a,13b)에 의해 작업대(10)상에 고정되어 있는 알루미늄 프레임의 양쪽에 대한 45°절단 가공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두 개의 원형톱(13a,13b) 중에서 한 개가 먼저 알루미늄 프레임과 접촉하면서 한쪽에 대한 45°절단 가공을 수행하게 되고, 곧이어 다른 한 개가 마저 내려와 알루미늄 프레임과 접촉하면서 나머지 한쪽에 대한 45°절단 가공을 수행하게 된다.
즉, 시간차를 두고 두 개의 원형톱(13a,13b)이 차례로 내려와 알루미늄 프레임의 양쪽에 대한 45°절단 가공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원형톱(13a,13b)이 시간차를 두고 하강하면서 알루미늄 프레임의 양쪽을 개별적으로 절단함으로써, 각 절단 가공시 서로 간의 절단 진동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되고, 결국 절단 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절단 가공 후, 실린더(16)의 작동에 의해 원형톱(13a,13b) 등을 포함하는 승강판(12) 전체가 재차 상승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하면 45°절단 가공의 한 사이클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두 개의 스핀들의 위치를 서로 다른 높이로 설정하여 스핀들 배치와 관련한 간섭을 완전히 배제함으로써, 스핀들의 길이를 길게 설계할 수 있고, 결국 스핀들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한 만큼 진동에 의한 영향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등 제품의 절단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두 개의 원형톱이 시차를 두고 하강하면서 절단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서로가 절단 진동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아 절단 품질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10 : 작업대 11 : 프레임 구조물
12 : 승강판 13a,13b : 원형톱
14a,14b : 스핀들 15a,15b : 모터
16 : 실린더 17 : 가이드축
18 : 받침대 19 : 수평 클램프장치
20 : 수직 클램프장치 21a,21b : 풀리
22 : 벨트 23 : 부시
24 : 스핀들 블럭 25 : 바퀴
26 : 고정대 27a,27b : 실린더 브라켓
28 : 수평 클램프 실린더 29 : 수평 클램프
30 : 가이드바 31 : 수직 클램프 실린더
32 : 커버 33 : 지지판
34 : 슬롯

Claims (6)

  1. 구조물 중간 높이에 작업대상물을 거치할 수 있는 작업대(10)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물(11)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11)상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판(12)과, 상기 승강판(12)에 설치되어 작업대상물을 절단하는 수단으로서 서로 90°의 각도를 이루면서 근접 배치되는 두 쌍의 원형톱(13a,13b) 및 스핀들(14a,14b)과, 상기 각각의 스핀들(14a,14b)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15a,15b)와, 상기 승강판(12)의 상하 구동을 위한 실린더(16) 및 상하 안내를 위한 가이드축(17)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원형톱(13a) 및 스핀들(14a)과 다른 한 쌍의 원형톱(13b) 및 스핀들(14b)은 서로 다른 높이의 평면상에 설치되어, 작업대상물의 모서리 부위 양쪽을 시간차를 두고 45°절단 가공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높이의 평면상에 설치되는 두 개의 스핀들(14a,14b)은 서로 90°의 각도로 크로스 배치되는 동시에 승강판(12)를 사이에 두고 한 개는 윗쪽에, 다른 한 개는 아래쪽에 각각 배치되는 형태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6)는 프레임 구조물(11)의 바닥쪽에 수직 설치되면서 그 로드를 통해 승강판(12)의 저면에 연결되어, 승강판(12)을 위에서 아래로 당겨서 내려주는 방식으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방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의 전단부 양편에 각각 설치되며, 작업대(10)상에 놓여지는 작업대상물을 받침대(18)측으로 잡아 당겨서 고정시켜줄 수 있는 수평 클램프장치(1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의 상부 양편에 각각 설치되며, 작업대(10)상에 놓여지는 작업대상물을 작업대(10)측으로 눌러서 고정시켜줄 수 있는 수직 클램프장치(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15a,15b)와 스핀들(14a,14b)은 풀리(21)와 벨트(22)를 이용한 전동방식에 의해 전동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KR1020120035353A 2012-04-05 2012-04-05 절단기 KR101362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353A KR101362931B1 (ko) 2012-04-05 2012-04-05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353A KR101362931B1 (ko) 2012-04-05 2012-04-05 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064A true KR20130113064A (ko) 2013-10-15
KR101362931B1 KR101362931B1 (ko) 2014-02-17

Family

ID=49633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353A KR101362931B1 (ko) 2012-04-05 2012-04-05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9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727Y1 (ko) * 2017-03-15 2017-11-15 우리샤링 (주) 절단 장치
CN109397357A (zh) * 2018-12-05 2019-03-01 淮南市金德实业有限公司 一种玻璃钢纤维锚杆双斜头切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5579Y1 (ko) * 1995-05-13 1999-05-01 백광자 액자, 거울테 절단기
KR200173660Y1 (ko) 1999-09-03 2000-03-15 윤용주 커팅장치
KR100952630B1 (ko) * 2009-06-03 2010-04-13 우영산업(주) 2개의 원형 톱을 이용한 절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727Y1 (ko) * 2017-03-15 2017-11-15 우리샤링 (주) 절단 장치
CN109397357A (zh) * 2018-12-05 2019-03-01 淮南市金德实业有限公司 一种玻璃钢纤维锚杆双斜头切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931B1 (ko) 2014-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5379B1 (ko) 공작물이 자동으로 터닝 가공되는 더블 스테이션 갠트리 복합 가공 시스템
CN109333656B (zh) 一种板材自动直线开槽机及其加工方法
KR101221841B1 (ko) 판재 절단장치
CN101898326A (zh) 全自动磨切机
CN108297142A (zh) 一种自动上料的导光板切割装置
KR20120090437A (ko) 프레임 절단기
CN113070940A (zh) 一种透明塑料包装盒整体模切加工机
KR101362931B1 (ko) 절단기
KR101929576B1 (ko) 멀티 홈 가공 장치
CN113084884B (zh) 一种创意产品包装设计用切割装置
KR200478122Y1 (ko) 확장형 테이블톱
CN102615339A (zh) 一种板材双头锯角机
CN209408676U (zh) 一种板材自动直线开槽机
KR20130005515A (ko) 대나무 칩 제조 장치
CN114074357A (zh) 一种木制品生产用切割装置
CN110653880A (zh) 一种刀具悬挂式木工锯切自动加工机
KR20090010769U (ko) 형강 가공장치
CN110834357A (zh) 一种l型数控海绵切割机
CN201776689U (zh) 全自动磨切机
CN112356152B (zh) 一种板材自动化多尺寸裁锯生产线
CN210758203U (zh) 一种板材裁锯设备
CN209954016U (zh) 激光切割装置
CN210999128U (zh) 一种双端横锯装置
CN109623078B (zh) 三项端子焊接机
CN214081846U (zh) 一种裁板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