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1702A -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1702A
KR20130111702A KR1020120033767A KR20120033767A KR20130111702A KR 20130111702 A KR20130111702 A KR 20130111702A KR 1020120033767 A KR1020120033767 A KR 1020120033767A KR 20120033767 A KR20120033767 A KR 20120033767A KR 20130111702 A KR20130111702 A KR 20130111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ner
plate
pole
upper mold
midd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7257B1 (ko
Inventor
김헌철
Original Assignee
김헌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철 filed Critical 김헌철
Priority to KR1020120033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257B1/ko
Publication of KR20130111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22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for producing castings from a slip
    • B22F3/225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for producing castings from a slip by injection m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003Apparatus, e.g. furn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전지에 사용되는 극주를 사출방식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몰드와, 상기 상부몰드 아래에 위치하며 서로 연통하는 런너 성형공간과 극주 성형공간 그리고 오버플로성형공간이 형성된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 아래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중판 및 상기 중판을 받쳐주는 하부몰드를 포함하며, 상기 극주 성형공간으로는 사출물이 주입되어 축전지에 사용되는 극주를 사출 성형토록 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apparatus of forming battery pole}
본 발명은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전지에 사용되는 극주를 사출방식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전지(蓄電池, storage battery)는 양과 음의 전극판과 전해액으로 구성되어 있어, 화학작용에 의해 직류 기 전력을 생기게 하여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즉, 축전지는 화학 에너지와 전기 에너지가 상호 전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전해액과 전극판의 화학적 작용을 전력을 공급시킬 수 있다.
축전지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킬 수가 있는데, 이 상태를 방전(放電)이라 한다. 또 다른 전원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여 화학에너지로 변화시켜 축적할 수 있는데, 이 상태를 충전(充電)이라 한다. 이와같이 충전과 방전이 반복되면서 전력을 공급 시킬 수 있음으로써, 충전되는 용량에 따라 전력을 공급시킬 수 있다.
상술된 축전지는 케이스의 안쪽에 전해액이 수납되어 있으며, 상부로 전극판과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극주가 설치되어 있다.
축전지는 전해액의 화학적인 작용으로 발생된 전력을 극주로 방향으로 극성에 맞도록 공급하여 장착되어 있는 장치에 전력을 공급시킬 수 있다.
상기한 축전지 구성중에서 극주는 양극 및 음극 극주로 나뉘어지며, 상기 양극극주는 다수의 양극판을 주물 금형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연결하고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이며 양극판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입출력 단자의 양극이 되며 최대 출력전류의 용량에 비례하여 굵기가 굵어진다.
상기 음극극주는 다수의 음극판을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이고 음극판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입출력 단자의 음극이 되고 최대 출력전류의 용량에 비례하여 굵기가 굵어진다.
한편, 상기 축전지를 구성하는 극주는 통상 주조나 다이캐스트 또는 단조 가공방식으로 성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극주를 주조나 다이캐스트 또는 단조 방식으로 성형할 경우 극주의 연속적인 성형이 이루어지지 못해 생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제품의 불량률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완제품의 극주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2차 가공이 필수적으로 필요해 불필요한 작업 인력이 소모되며 그로 인한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축전지의 극주를 사출방식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성형코어로 주입되는 사출물이 응고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극주를 코어에서 분리함과 동시에 오버플로를 극주에서 자동 분리시키도록 한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부몰드와, 상기 상부몰드 아래에 위치하며 서로 연통하는 런너 성형공간과 극주 성형공간 그리고 오버플로성형공간이 형성된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 아래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중판 및 상기 중판을 받쳐주는 하부몰드를 포함하며, 상기 극주 성형공간으로는 사출물이 주입되어 축전지에 사용되는 극주를 사출 성형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몰드의 중앙에는 조립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조립구멍에는 노즐로케이트링이 끼워지며, 상기 노즐로케이트링의 내부에는 사출액을 주입하는 사출기노즐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 안내구를 형성하여, 상기 사출기노즐의 입구가 상기 캐비티의 런너성형공간에 근접되게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몰드 아래에는 실린더의 동력으로 상, 하 이동하는 푸싱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푸싱플레이트에는 푸싱핀이 결합되며, 상기 푸싱핀은 상기 푸싱플레이트의 동작에 따라 상기 캐비티의 오버플로성형공간에서 사출 성형된 오버플로를 밀어 극주에서 분리시키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푸싱플레이트에는 상기 중판의 중판구멍에 끼워지는 리턴핀이 설치되며, 상기 리턴핀의 외경에는 상기 푸싱플레이트의 동작으로 상기 중판구멍의 하단 주연부에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중판을 승강시키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와 상기 중판구멍 하단 사이에는 갭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몰드의 하단에는 런너판이 설치되고, 상기 런너판으로는 런너로크핀이 관통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의 런너성형공간에서 사출 성형된 런너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몰드의 승강동작에 따라 상기 런너를 상기 런너성형공간에서 분리시키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몰드의 하단에는 런너밀판이 설치되며, 상기 런너밀판은 상기 상부몰드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의 텐션력으로 상기 런너판을 하강시켜 상기 런너로크핀에 고정되어 있는 런너를 분리시키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축전지에 사용되는 극주를 사출방식으로 성형토록 하여 종래의 성형방식과 같이 2차 가공이 필요치 않아 작업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자동화를 통해 작업인력을 대폭 축소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제품의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불량률을 줄여 완제품의 정밀성을 높일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런너 및 극주 그리고 오버플로가 일체 주물 형성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주요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축전지 극주 성형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런너 및 극주 그리고 오버플로가 일체 주물 형성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런너(1) 및 극주(2) 그리고 오버플로(4)는 본 발명의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에서 사출 성형된 후, 탈형과정에서 런너(1)가 일차적으로 분리되고, 이어서 오버플로(4)가 분리된 상태에서 완제품의 극주(2)가 완성된다.
첨부된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주요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100)는 상, 하부몰드(10, 50) 사이에 극주의 형상에 대응하는 성형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성형공간으로 사출물을 주입하여 축전지에 사용되는 극주(2)를 사출 성형하는 장치이다.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100)는 크게 상부몰드(10)와 캐비티(30), 중판(40) 그리고 하부몰드(50)로 나뉘어져 구성한다.
상기 상부몰드(10)는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100)를 구성하는 몰드로서, 중앙으로는 노즐로케이트링(20)이 끼워지기 위한 조립구멍(12)이 관통 형성되고, 그 아래에는 런너판(26) 및 캐비티(30)가 순차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부몰드(10)의 조립구멍(12)에 끼워지는 노즐로케이트링(20)은 사출기노즐(22)에서 분사되는 사출물이 캐비티(30)의 런너성형코어(32), 극주성형코어(34) 그리고 오버플로성형코어(36)로 주입될 수 있도록 사출기노즐(22)을 홀딩하는 수단으로서, 원통의 형태로 상단 둘레면에는 상부몰드(10)의 조립구멍(12)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부(13)에 걸려지는 플랜지(21)가 돌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사출기노즐(22)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안내구(26)가 함몰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안내구(26)가 가지는 깊이를 통해 사출기노즐(22)의 입구는 캐비티(30)의 런너성형공간(32)에 근접되게 위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런너성형공간(32)에 주입되는 사출물을 응고됨 없이 신속하게 주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몰드(10)는 도시하지 않은 피스톤의 구동으로 승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런너판(28)은 상기 상부몰드(10) 하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부몰드(10)와 함께 승강 동작한 후, 상기 상부몰드(10)에 내설되어 있는 스프링(16)의 텐션력에 의해 상기 상부몰드(10)에서 분리 동작하게 된다.
상기 상부몰드(10)에는 런너로크핀(14)과 런너밀판(18)이 더 포함되어 설치된다.
상기 런너로크핀(14)은 상기 상부몰드(10) 및 런너판(28)을 관통한 상태에서 캐비티(30)의 런너 성형공간(32)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런너 성형공간(32)에 사출물이 주입된 후, 성형된 런너(1)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부몰드(10)의 승강 동작에 따라 런너(1)를 런너성형공간(32)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런너밀판(18)은 일단은 상기 상부몰드(1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16)에 탄력적으로 접촉하고, 타단은 런너판(28)에 일단이 걸려진 상태로 관통하도록 구성하여, 상부몰드(10)의 승강 동작과 함께 상기 스프링(16)의 텐션력으로 런너판(28)을 하강시켜 런너성형코어(34)에서 분리된 후, 런너로크핀(14)에 고정되어 있는 런너(1)를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캐비티(30)는 런너판(28)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중앙에는 사출물이 주입될 수 있는 성형공간, 바람직하게는 런너성형공간(32)과, 극주성형공간(34) 그리고 오버플로성형공간(36)이 형성되고, 이들은 서로 연통한 상태로 사출물을 공급받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캐비티(30)는 전술한 상부몰드(10)가 상승하고 난 뒤, 상기 상부몰드(10) 아래에서 런너판(28)이 분리되고 나면 실린더(미 도시 함)의 구동으로 상승하며 극주성형공간(34)과 오버플로 성형공간(36)에서 사출 성형된 극주(2) 및 오버플로(4)를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중판(40)은 상기 캐비티(30)와 상기 하부몰드(50) 사이에 위치하며 캐비티(30)의 극주성형공간(34) 및 오버플로 성형공간(36)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푸싱핀(64)의 동작으로 승강하며 완제품의 극주(2)를 취출시키게 된다. 상기 중판(40)의 일측에는 중판구멍(42)이 형성되고, 상기 중판구멍(42)으로는 리턴핀(66)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하부몰드(50)는 상기 중판(40)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중판(40)을 지지하는 몰드로서, 상기 하부몰드(50)의 일측에는 상기 중판(4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중판구멍(42)과 연통하는 하부몰드구멍(5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부몰드구멍(52)으로 리턴핀(66)이 관통한 후, 중판(40)의 중판구멍(42)으로 끼워지게 된다.
상기 하부몰드(50) 아래에는 공간(62)을 사이에 두고 푸싱플레이트(60)가 위치하며 상기 푸싱플레이트(60)는 고정다이(52)에 받쳐진 상태에서 실린더(70)의 구동에 따라 상, 하 수직 이동하며 하부몰드(50)에 올려져 있는 중판(40)을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 푸싱플레이트(60)에는 푸싱핀(64) 및 리턴핀(66)이 위치한다.
상기 푸싱핀(64)은 일단은 상기 푸싱플레이트(60)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전술한 하부몰드(50)와 중판(40)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중판(40)에 안치되어 있는 극주(2) 양옆에 형성되는 오버플로(4)에 각각 접촉된 상태에서 푸싱플레이트(60)의 동작으로 오버플로(4)를 밀어 극주(2)의 양옆에서 오버플로(4)를 떼어내 완제품의 극주(2)를 성형하는 핀이다.
상기 리턴핀(66)은 푸싱플레이트(60)의 승강 동작에 따라 수직 이동하는 핀으로서, 이때 리턴핀(66)의 외경에는 단턱부(68)를 형성하고, 상기 단턱부(68)는 중판(40)의 중판구멍(42) 하단과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갭(54)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푸싱플레이트(60)의 승강 동작에 따라 상기 갭(54)이 가진 거리만큼 수직 이동한 후, 단턱부(68)가 중판구멍(42) 하단 주연부에 걸려지고 나면 중판(40)을 들어올리게 된다.
상기 리턴핀(66)의 단턱부(68)와 중판구멍(42) 하단 사이에 갭(54)을 형성한 것은, 푸싱플레이트(60)의 승강 동작시 상기 푸싱핀(64)은 오버플로(4)를 밀어내고, 리턴핀(66)은 중판(40)을 들어올리게 되는 데, 이때 푸싱핀(64)과 리턴핀(66)은 푸싱플레이트(60)에 의해 동시에 수직 이동동작을 수행하더라도 상기 갭(54)이 가진 거리만큼 푸싱핀(64)은 먼저 오버플로(4)를 밀어내도록 하고, 이어서 리턴핀(66)의 단턱부(68)가 중판구멍(42)의 하단 주연부에 접촉되고 나면 중판(40)을 들어올리도록 함으로서 푸싱플레이트(60)에 의해 푸싱핀(64)과 리턴핀(66)이 동시 동작하더라도 오버플로(4)를 먼저 밀어내 극주(2)에서 분리한 다음, 중판(40)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서 중판(40)을 들어올릴 때, 오버플로(4)를 자동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100)는 크게 사출물 주입단계, 상부몰드 승강단계, 캐비티 승강단계 및 중판 승강단계를 거쳐 완제품의 극주를 사출 성형하게 된다.
먼저, 사출물 주입단계는 도 4에서와 같이 상부몰드(10)의 노즐로케이트링(20) 삽입안내구(26)로 사출기노즐(22)을 삽입한 상태에서 사출물을 캐비티(30)의 런너성형공간(32)으로 주입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사출기노즐(22)의 입구는 상기 노즐로케이트링(20)이 가지는 깊이를 통해 캐비티(30)의 런너성형공간(32)에 근접되게 위치할 수 있어 주입과정에서 사출물이 응고되지 않고, 런너성형공간(32)으로 신속하게 주입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런너성형공간(32)으로 주입된 사출물은 상기 런너성형공간(32)과 연통하는 극주성형공간(34) 그리고 오버플로성형공간(36)으로 연속적으로 주입되며 채워지게 된다. 사출물이 주입된 후, 일정시간이 지나고 나면 상부몰드(10)를 승강시켜 런너성형공간(32)에서 사출 성형된 런너(1)를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상부몰드 승강단계는 전단계인 사출물 주입단계를 거쳐 런너성형공간(32)에서 사출 성형된 런너(1)를 일차적으로 분리시키는 단계이다.
즉, 실린더의 구동으로 상부몰드(10)가 승강하고 나면, 상부몰드(10)에 구비된 런너로크핀(14)은 캐비티(30)의 런너성형공간(32)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몰드(10)의 승강 동작에 따라 상기 런너성형공간(32)에서 사출 성형된 런너(1)를 들어올리게 된다.
이어서 상부몰드(10)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16)의 텐션력에 의해 런너밀판(18)을 밀어내게 되고, 이 과정에서 런너판(28)은 상기 런너밀판(18)에 의해 하강하며 상부몰드(10)에서 분리되어 런너로크핀(14)에 고정된 상태로 들려진 런너(1)를 떼어내게 된다.
상기 캐비티 승강단계는 도 6에서와 같이 상부몰드(10)가 승강하고 난 뒤, 캐비티(30) 내부 극주성형공간(34) 및 오버플로성형공간(36)에서 사출 성형된 극주(2) 및 오버플로(4)를 분리시키는 단계로서, 전술한 상부몰드(10)가 상승하고 난 뒤, 상기 상부몰드(10) 아래에서 런너판(28)이 분리되고 나면 실린더(미 도시 함)의 구동으로 상승하며 극주성형공간(34)과 오버플로 성형공간(36)에서 사출 성형된 극주(2) 및 오버플로(4)를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중판 승강단계는 도 7에서와 같이 캐비티(30)가 승강 동작하고 난 후, 리턴핀(66)에 의해 승강 동작하며 승강하는 과정에서 푸싱핀(64)을 통해 극주(2)의 양옆에 붙어 있는 오버플로(4)를 밀어 극주(2)에서 분리시킨 다음, 완제품의 극주(2)를 취출하게 되는 단계이다.
즉, 캐비티(30)가 승강하고 난 뒤, 실린더(70)의 동력으로 푸싱플레이트(60)가 승강 동작하면 푸싱핀(64)은 오버플로(4)를 밀어내고, 리턴핀(66)은 중판(40)을 들어올리게 되는 데, 이때 푸싱핀(64)과 리턴핀(66)은 푸싱플레이트(60)에 의해 동시에 수직 이동 동작을 수행하더라도 리턴핀(66)의 단턱부(68)와 중판(40)의 중판구멍(42) 하단 사이에 형성된 갭(54)이 가진 거리만큼 푸싱핀(64)은 먼저 오버플로(4)를 밀어내도록 하고, 이어서 리턴핀(66)의 단턱부(68)가 중판구멍(24)의 하단 주연부에 접촉되고 나면 중판(40)을 들어올리도록 함으로서 푸싱플레이트(60)에 의해 푸싱핀(64)과 리턴핀(66)이 동시 동작하더라도 오버플로(4)를 먼저 밀어내 극주(2)에서 분리시키고 난 뒤, 중판(40)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서 중판(40)을 들어올릴 때, 오버플로(4)를 자동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단계를 거쳐 본 발명은 축전지에 사용되는 극주(2)를 사출 방식으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10: 상부몰드 14: 런너로크핀
16: 스프링 18: 런너밀판
20: 노즐로케이트링 22: 사출기노즐
26: 삽입안내구 28: 런너판
30: 캐비티 32: 런너성형공간
34: 극주성형공간 36: 오버플로성형공간
40: 중판 42: 중판구멍
50: 하부몰드 54: 갭
60: 푸싱플레이트 64: 푸싱핀
66: 리턴핀 68: 단턱부

Claims (6)

  1. 축전지에 사용되는 극주(2)를 성형하는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부몰드(10)와;
    상기 상부몰드(10) 아래에 위치하며 서로 연통하는 런너 성형공간(32)과 극주 성형공간(34) 그리고 오버플로성형공간(36)이 형성된 캐비티(30)와;
    상기 캐비티(30) 아래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중판(40) 및 ;
    상기 중판(40)을 받쳐주는 하부몰드를(50) 포함하며;
    상기 극주 성형공간(34)으로는 사출물이 주입되어 축전지에 사용되는 극주(2)를 사출 성형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몰드(10)의 중앙에는 조립구멍(1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조립구멍(12)에는 노즐로케이트링(20)이 끼워지며;
    상기 노즐로케이트링(20)의 내부에는 사출액을 주입하는 사출기노즐(22)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 안내구(26)를 형성하여, 상기 사출기노즐(22)의 입구(24)가 상기 캐비티(30)의 런너성형공간(32)에 근접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몰드(50) 아래에는 실린더(70)의 동력으로 상, 하 이동하는 푸싱플레이트(60)가 설치되며;
    상기 푸싱플레이트(60)에는 푸싱핀(64)이 결합되며, 상기 푸싱핀(64)은 상기 푸싱플레이트(6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캐비티(30)의 오버플로성형공간(38)에서 사출 성형된 오버플로(4)를 밀어 극주(2)에서 분리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플레이트(60)에는 상기 중판(40)의 중판구멍(42)에 끼워지는 리턴핀(55)이 설치되며;
    상기 리턴핀(66)의 외경에는 상기 푸싱플레이트(60)의 동작으로 상기 중판구멍(42)의 하단 주연부에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중판(40)을 승강시키는 단턱부(68)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68)와 상기 중판구멍(42) 하단 사이에는 갭(54)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몰드(10)의 하단에는 런너판(28)이 설치되고, 상기 런너판(28)으로는 런너로크핀(14)이 관통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30)의 런너성형공간(32)에서 사출 성형된 런너(1)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몰드(10)의 승강 동작에 따라 상기 런너(1)를 상기 런너성형공간(23)에서 분리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몰드(10)의 하단에는 런너밀판(18)이 설치되며, 상기 런너밀판(18)은 상기 상부몰드(1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16)의 텐션력으로 상기 런너판(28)을 하강시켜 상기 런너로크핀(14)에 고정되어 있는 런너(1)를 분리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




KR1020120033767A 2012-04-02 2012-04-02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 KR101417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767A KR101417257B1 (ko) 2012-04-02 2012-04-02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767A KR101417257B1 (ko) 2012-04-02 2012-04-02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702A true KR20130111702A (ko) 2013-10-11
KR101417257B1 KR101417257B1 (ko) 2014-07-09

Family

ID=4963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767A KR101417257B1 (ko) 2012-04-02 2012-04-02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2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802B1 (ko) 2014-11-14 2016-06-09 (주)무진서비스 축전지의 몰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4609A (ja) * 1994-02-02 1995-08-15 Shin Etsu Polymer Co Ltd 射出成形用金型装置
KR101030223B1 (ko) 2009-01-23 2011-04-22 김경탁 다이캐스팅 전극 터미널 성형 장치
KR101069300B1 (ko) * 2009-02-18 2011-10-04 이오행 금속 성형체 제조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금속 성형체의 제조방법
KR20110098262A (ko) * 2010-02-26 2011-09-01 김경탁 다이캐스팅 전극 터미널 성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257B1 (ko)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669409U (zh) 全自动蓄电池极群铸焊装置
CN102962966A (zh) 一种塑胶模具的自动切断浇口结构
KR100996453B1 (ko) Edlc용 가스킷 사출 성형기
KR101417257B1 (ko) 축전지 극주 성형장치
CN214645828U (zh) 一种用于热成形模具的顶料结构
CN207222919U (zh) 一种蓄电池铸焊机
CN205058486U (zh) 一种电池盒盒盖的注塑模具
CN204869451U (zh) 一种电瓶盖注塑模具
CN106312022B (zh) 一种铅酸蓄电池汇流排定量成型方法及定量成型模具
CN203448649U (zh) 一种比例阀低压铸造模具
CN201681993U (zh) 一种蓄电池极群铸焊装置
CN203004247U (zh) 一种新型自动切断浇口装置
CN201717289U (zh) 一种蓄电池封盖用底板
CN201998399U (zh) 一种脱模结构及一种模具
CN209478781U (zh) 一种音响套模具
CN210651763U (zh) 一种基于ProE的电池盖三维造型模具
CN216683205U (zh) 一种注塑模具内抽芯机构
CN208324036U (zh) 一种汽车配件注塑模具
CN219541667U (zh) 一种灯体的压铸模具
CN215849391U (zh) 一种工业插头生产模具
CN209832508U (zh) 一种监控设备精加工模具
CN211279561U (zh) 一种手机防尘塞的注塑模具
CN218700923U (zh) 一种电池注塑模具模芯
CN215614969U (zh) 一种蓄电池生产用的端子成型模具
KR20140140313A (ko) 폴리머 케이스 성형 프레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