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814A - 탄성고무의 손상을 방지하는 탄성받침 - Google Patents

탄성고무의 손상을 방지하는 탄성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814A
KR20130110814A KR1020120033074A KR20120033074A KR20130110814A KR 20130110814 A KR20130110814 A KR 20130110814A KR 1020120033074 A KR1020120033074 A KR 1020120033074A KR 20120033074 A KR20120033074 A KR 20120033074A KR 20130110814 A KR20130110814 A KR 20130110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plate
elastic
contact
contact surface
elastic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6239B1 (ko
Inventor
한승출
Original Assignee
한승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출 filed Critical 한승출
Priority to KR1020120033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239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고무의 손상을 방지하는 탄성받침으로서, 탄성체의 전단변형시 그 내부에 적층된 플레이트들의 모서리 돌출로 인해 발생하던 탄성고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플랜지 플레이트와,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체의 엔드플레이트는,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제1접촉면과 그 반대면인 제2접촉면을 연결하는 외측면이 상기 제1접촉면으로부터 제2접촉면까지 이르면서 점차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의 전단변형시 상기 탄성고무 중 엔드플레이트 인근을 피복하고 있는 부위의 꺾임현상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탄성고무의 손상을 방지하는 탄성받침{ELASTIC SUPPORTING APPARATUS WITHOUT DEMAGE OF ELASTIC RUBBER}
본 발명은 탄성받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성체의 전단변형시 그 내부에 적층된 플레이트들의 모서리 돌출로 인해 발생하던 탄성고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탄성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성받침이란 다양한 형태를 갖는 토목, 건축 구조물, 예컨대, 교량 상판 등과 같은 상부 구조물과 이를 지지하는 교각 등과 같은 하부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으로는 충분한 강성으로 지지안전성을 확보하는 가운데 수평으로는 충분한 변형능력 및 에너지 소산능력으로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일컫는다.
이같은 탄성받침을 교량에서 사용하는 경우 상판과 교각의 상대적인 변위와 하중을 끊임없이 야기하는 요인들에 대하여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예건대, 차량 통행에 따른 동하중의 작용, 계절 및 온도 변화로 인한 상판 길이의 변화, 지진으로 인한 충격력 등의 요인으로 발생하는 교량 상판의 변위 및 하중을 적절히 대비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교량 전체 또는 부분 붕괴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탄성받침은 전통적으로 복수의 고무판과 강판을 교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를 기초나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한 상, 하부 플레이트를 주요구성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탄성받침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탄성받침은 교량의 상부 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인 상판과 교각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와 하부의 플랜지 플레이트(11), 교량 상판의 하중을 탄력 있게 지지하고 수평방향으로 상판의 변위를 허용하기 위하여 탄성고무(14)와 그 내부에 적층된 플레이트들(12,13)로 이루어진 탄성체(M)로 구성되었다.
종래의 탄성받침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교량 상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가운데 교량 상판의 수평방향 변위를 허용하는 한편, 지진시에는 순간적으로 전달되는 급격한 에너지를 흡수하여 교량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탄성받침은 도 2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교량 상판의 변위로 인해 탄성체(M)가 전단변형될 때 그 내부에 적층된 플레이트들(12,13)의 수직면 인근, 특히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 상부 및 하부의 엔드플레이트(12) 인근을 피복하고 있는 탄성고무(14)에 급격한 꺾임이 발생한다. 이 때 상기 탄성고무(14)의 꺾임부위에 응력이 집중되면서 찢어지거나(N2, N3: 압축 부위) 열화되어(N1, N4: 인장 부위) 손상을 입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이는 상기 탄성체(M) 내부에 적층된 플레이트들(12,13)의 모서리 부위가 예리한 형태를 가지고 돌출되었기 때문에 그 인근을 적은 양으로 얇게 피복하고 있는 탄성고무(14)가 급격히 꺾이면서 야기되는 문제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엔드플레이트(12)의 경우, 플랜지 플레이트(11)와 접촉하는 제1접촉면(12a)의 반대면인 제2접촉면(12b)과 수직면(12c)이 접하면서 형성되어 직각의 예리한 형태로 돌출된 모서리(12d)가 문제의 원인이 되었으며, 스틸플레이트(13)의 경우에도 상면과 하면에 대하여 수직면이 접하면서 직각의 예리한 형태로 돌출된 상부 모서리와 하부 모서리가 문제의 원인이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체의 전단변형시 그 내부에 적층된 플레이트들의 모서리 돌출로 인해 발생하던 탄성고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탄성받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탄성받침은, 상기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의 플랜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및 하부의 플랜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탄성지지하면서 상기 상부 구조물의 수평이동은 허용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상부 및 하부의 플랜지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의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및 하부의 엔드플레이트 사이에서 복수개가 이격 설치되는 스틸플레이트와, 상기 엔드플레이트와 스틸플레이트의 외측을 피복하면서 그 내부에도 충진된 탄성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체의 엔드플레이트는,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제1접촉면과 그 반대면인 제2접촉면을 연결하는 외측면이 상기 제1접촉면으로부터 제2접촉면까지 이르면서 점차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의 전단변형시 상기 탄성고무 중 엔드플레이트 인근을 피복하고 있는 부위의 꺾임현상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의 스틸플레이트는,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외측면이 상기 상면과 접하면서 경사진 평편면과, 상기 하면과 접하면서 경사진 평편면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제2접촉면은 상기 스틸플레이트에 비해 좁은 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면은 평편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면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면은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면 중간에는 상기 탄성고무가 인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요입된 인입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면과 제1접촉면이 접하는 부위에는 상기 탄성고무가 인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요입된 인입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홈의 가장 깊숙한 안쪽 부위는 다른 부위에 비해 상기 탄성고무가 더 많이 인입될 수 있도록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면은 상기 제1접촉면과 접하는 수직면과 상기 제2접촉면과 접하는 경사진 평편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면은 상기 제1접촉면과 접하는 수직면과 상기 제2접촉면과 접하는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면은 수직면과 수평면이 접하는 계단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면은 수직면과, 수평면과, 경사진 평편면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탄성받침은, 교량의 변위로 인한 탄성체의 전단변형시 엔드플레이트 인근을 피복하고 있는 부위의 탄성고무가 부드럽고 완만한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종래와 같이 급격히 꺾이면서 손상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제2접촉면 면적을 스틸플레이트의 면적보다 좁게 형성시킨 구성에 의해 그 인근을 피복하는 탄성고무의 양이 많아지고 두꺼워지면서 급격한 꺾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구비된 인입홈에 의해 탄성고무를 붙잡을 수 있게 되어 엔드플레이트와 탄성고무 간의 결합력이 증대되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탄성받침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엔드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전단변형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변형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변형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6변형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7변형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8변형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9변형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0변형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탄성받침이란, 고감쇠 고무와 스틸플레이트가 적층된 고감쇠 탄성받침, 고무와 스틸플레이트가 적층되고 그 중심에 납이나 주석으로 이루어진 코어가 설치되는 탄성받침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토목, 건축 구조물에서 하부구조물과 이에 대해 상대변위를 일으키는 상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받침을 일컫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엔드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전단변형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은 교량에서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의 플랜지 플레이트(110)와, 상기 상부 및 하부의 플랜지 플레이트(1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탄성지지하면서 상기 상부 구조물의 수평이동은 허용하는 탄성체(T)를 포함하는 구성에서 종래의 탄성받침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은, 탄성체(T)에 포함된 엔드플레이트(120)에서 종래에 외측으로 예리하게 돌출되었던 모서리 부위를 제거함으로써 탄성체(T)의 전단변형시 상기 엔드플레이트(120) 인근을 피복하고 있는 탄성고무(140)가 급격하게 꺾이면서 손상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에서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110)와 접촉하는 제1접촉면(121)과 그 반대면인 제2접촉면(122)을 연결하는 외측면(123)이 상기 제1접촉면(121)으로부터 제2접촉면(122)까지 이르면서 점차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접촉면(121)에 비하여 제2접촉면(122)의 면적이 좁게 형성되면 상기 외측면(123)이 상기 제1접촉면(121)으로부터 제2접촉면(122)까지 도달하면서 자연스럽게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단, 여기서 주의할 점은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의 제2접촉면(122)이 상기 스틸플레이트(130)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상기 외측면(123)과 제2접촉면(122)이 접하는 모서리 부위가 종래와 비교하여 대폭 배제된 상태가 되어 그 인근을 피복하는 탄성고무(140)의 양이 많아지고 두꺼워지면서 급격한 꺾임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의 제1접촉면(121)의 경우 종래의 탄성받침에서와 같이 상기 스틸플레이트(13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면적으로 형성되지만 제2접촉면(122)의 경우에는 상기 스틸플레이트(130)보다 좁은 면적으로 형성된 것을 도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탄성체(T)의 스틸플레이트(130) 역시 종래의 예리하게 돌출되었던 모서리 부위를 없앨 수 있도록 그 상면(131)과 하면(132)을 연결하는 외측면이 단순히 하나의 수직면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면(131)과 접하면서 경사진 평편면(134)과 상기 하면(132)과 접하면서 경사진 평편면(135)과 이들 중간의 수직면(133)의 조합으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처럼 본 발명은 단지 엔드플레이트(120)와 스틸플레이트(130) 일부에 적용된 독특한 구성을 통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탄성체(T)의 전단변형시 상기 탄성고무(140) 중 엔드플레이트(120) 인근을 피복하고 있는 부위(R1,R2,R3,R4)가 부드럽고 완만한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종래와 같이 급격히 꺾이면서 그 꺾인 부위가 응력의 집중으로 찢어지거나(압축 부위) 열화되어(인장 부위) 손상되었던 문제를 완전히 해소하거나 완화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체(T)에 속한 엔드플레이트(120)의 외측면(123)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단순한 평편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염두하고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에,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다양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는,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의 외측면(123)이 상기 제1접촉면(121)으로부터 제2접촉면(122)까지 이르면서 점차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외측면(123)이 변형 전과 달리 평편면이 아닌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제1변형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변형 전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면서 상기 외측면(123)이 평편면으로 형성될 때와 비교하여 상기 탄성고무(140)가 접합될 수 있는 면적을 조금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는,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의 외측면(123)이 상기 제1접촉면(121)으로부터 제2접촉면(122)까지 이르면서 점차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외측면(123)이 변형 전과 달리 평편면이 아닌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제2변형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변형 전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면서 상기 제1변형실시예와 같이 상기 외측면(123)이 평편면으로 형성될 때와 비교하여 상기 탄성고무(140)가 접합될 수 있는 면적을 조금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는,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의 외측면(123)이 상기 제1접촉면(121)으로부터 제2접촉면(122)까지 이르면서 점차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의 외측면(123)이 평편면으로 형성되되 그 중간에 상기 탄성고무(140)가 인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요입된 형태의 인입홈(12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제3변형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변형 전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120) 외측면(123)에 형성된 인입홈(124)에 의해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와 탄성고무(140) 간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전단변형시 서로 간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변형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변형실시예는,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의 외측면(123)이 상기 제1접촉면(121)으로부터 제2접촉면(122)까지 이르면서 점차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의 외측면(123)이 평편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의 외측면(123)과 제1접촉면(121)이 접하는 부위에는 상기 탄성고무(140)가 인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요입된 인입홈(12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제4변형실시예는 제3변형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와 탄성고무(140) 간 결합력 측면에서는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인입홈(124)을 형성시키기 위해 엔드플레이트(120)를 가공하기가 훨씬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변형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변형실시예는, 상기 제4변형실시예와 유사하나 상기 인입홈(124)의 가장 깊숙한 안쪽 부위에 다른 부위에 비해 더 크게 확대 형성된 확대부(124a)가 구비되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로써, 상기 탄성고무(140)가 상기 확대부(124a)에서 더 많이 인입되어 붙잡힌 상태가 된다.
이같은 제5변형실시예는 제4변형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확대부(124a)를 추가적으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와 탄성고무(140) 간 결합력을 더욱 증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변형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변형실시예는,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의 외측면(123)이 상기 제1접촉면(121)으로부터 제2접촉면(122)까지 이르면서 점차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의 외측면(123)이 상기 제1접촉면(121)과 접하는 수직면(123a)과 상기 제2접촉면(122)과 접하는 경사진 평편면(123b)의 조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제6변형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변형 전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지만 경사면으로 가공해야 하는 평편면(123b)의 면적이 줄어들어 가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변형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변형실시예는,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의 외측면(123)이 상기 제1접촉면(121)으로부터 제2접촉면(122)까지 이르면서 점차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의 외측면(123)이 상기 제1접촉면(121)과 접하는 수직면(123a)과 상기 제2접촉면(122)과 접하는 볼록한 곡면(123c)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제7변형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제6변형실시예와 비교하여 경사진 평편면 대신 볼록한 곡면(123c)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탄성고무(140)가 접합될 수 있는 면적을 조금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엔드플레이트(120) 외측면(123)의 볼록한 곡면(123c)은 오목한 곡면으로 대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8변형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변형실시예는,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의 외측면(123)이 상기 제1접촉면(121)으로부터 제2접촉면(122)까지 이르면서 점차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의 외측면(123)이 수직면(123a)과 수평면(123d)이 접하는 계단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제8변형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변형 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경사진 평편면 없이 계단 형태로 이루어진 수직면(123a)과 수평면(123d)의 조합만으로도 상기 제1접촉면(121)으로부터 제2접촉면(122)까지 점차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9변형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9변형실시예는, 제8변형실시예와 같이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의 외측면(123)이 수직면(123a)과 수평면(123d)이 접하는 계단 형태로 형성되되, 그 외측면(123) 중간에 인입홈(12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제9변형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변형 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경사진 평편면 없이 계단 형태로 이루어진 수직면(123a)과 수평면(123d)의 조합만으로도 상기 제1접촉면(121)으로부터 제2접촉면(122)까지 점차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며, 이에 더해 구비된 인입홈(124)에 의해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와 탄성고무(140) 간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전단변형시 서로 간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0변형실시예에 의한 탄성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0변형실시예는,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의 외측면(123)이 상기 제1접촉면(121)으로부터 제2접촉면(122)까지 이르면서 점차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엔드플레이트(120)의 외측면(123)이 수직면(123a)과, 수평면(123d)과, 경사진 평편면(123b)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제9변형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변형 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상기 제1접촉면(121)으로부터 제2접촉면(122)까지 점차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외측면(123)이 수직면(123a)과, 수평면(123d)과, 경사진 평편면(123b)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플랜지 플레이트 120 : 엔드플레이트
121 : 제1접촉면 122 : 제2접촉면
123 : 외측면 124 : 인입홈
130 : 스틸플레이트 140 : 탄성고무

Claims (13)

  1. 하부구조물과 이에 대해 상대변위를 일으키는 상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의 플랜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및 하부의 플랜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탄성지지하면서 상기 상부 구조물의 수평이동은 허용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상부 및 하부의 플랜지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의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및 하부의 엔드플레이트 사이에서 복수개가 이격 설치되는 스틸플레이트와, 상기 엔드플레이트와 스틸플레이트의 외측을 피복하면서 그 내부에도 충진된 탄성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체의 엔드플레이트는,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제1접촉면과 그 반대면인 제2접촉면을 연결하는 외측면이 상기 제1접촉면으로부터 제2접촉면까지 이르면서 점차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의 전단변형시 상기 탄성고무 중 엔드플레이트 인근을 피복하고 있는 부위의 꺾임현상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받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스틸플레이트는,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외측면이 상기 상면과 접하면서 경사진 평편면과, 상기 하면과 접하면서 경사진 평편면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받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제2접촉면은 상기 스틸플레이트에 비해 좁은 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받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면은 평편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받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받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면 중간에는 상기 탄성고무가 인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요입된 인입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받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면과 제1접촉면이 접하는 부위에는 상기 탄성고무가 인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요입된 인입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받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홈의 가장 깊숙한 안쪽 부위는 다른 부위에 비해 상기 탄성고무가 더 많이 인입될 수 있도록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받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면은 상기 제1접촉면과 접하는 수직면과 상기 제2접촉면과 접하는 경사진 평편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받침.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면은 상기 제1접촉면과 접하는 수직면과 상기 제2접촉면과 접하는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받침.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면은 수직면과 수평면이 접하는 계단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받침.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면은 수직면과, 수평면과, 경사진 평편면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받침.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스틸플레이트는,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외측면이 상기 상면과 접하면서 경사진 평편면과, 상기 하면과 접하면서 경사진 평편면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받침.
KR1020120033074A 2012-03-30 2012-03-30 탄성고무의 손상을 방지하는 탄성받침 KR101466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074A KR101466239B1 (ko) 2012-03-30 2012-03-30 탄성고무의 손상을 방지하는 탄성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074A KR101466239B1 (ko) 2012-03-30 2012-03-30 탄성고무의 손상을 방지하는 탄성받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814A true KR20130110814A (ko) 2013-10-10
KR101466239B1 KR101466239B1 (ko) 2014-11-28

Family

ID=49632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074A KR101466239B1 (ko) 2012-03-30 2012-03-30 탄성고무의 손상을 방지하는 탄성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2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593B1 (ko) * 2013-11-01 2014-04-04 주식회사 유신 원형 탄성받침
KR101489897B1 (ko) * 2014-05-29 2015-02-11 (주)에스코알티에스 전단력이 강화된 교량용 탄성받침
KR20210100342A (ko) * 2020-02-06 2021-08-17 매크로드 주식회사 롤 오버 방지용 탄성받침 및 이의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550Y1 (ko) * 2005-12-01 2006-02-13 주식회사 케이알이엔씨 면진교량받침의 러버베어링구조
JP2009236160A (ja) * 2008-03-26 2009-10-15 Bridgestone Corp 積層支持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593B1 (ko) * 2013-11-01 2014-04-04 주식회사 유신 원형 탄성받침
KR101489897B1 (ko) * 2014-05-29 2015-02-11 (주)에스코알티에스 전단력이 강화된 교량용 탄성받침
KR20210100342A (ko) * 2020-02-06 2021-08-17 매크로드 주식회사 롤 오버 방지용 탄성받침 및 이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239B1 (ko) 201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91906A1 (en) Seismic isolation apparatus
KR101466239B1 (ko) 탄성고무의 손상을 방지하는 탄성받침
CN105019571A (zh) 一种粘滞阻尼墙
CN112281641B (zh) 一种格栅阻尼支座
JP2008057121A (ja) 建物の防振構造
KR101127938B1 (ko) 면진 장치
KR101051058B1 (ko) 건축물용 댐핑 시스템
JP2013002192A (ja) 引張型免震支承装置
JP2016223586A (ja) 積層ゴム支承
KR101483071B1 (ko) 부반력 저항 면진 시스템
JP2012246643A (ja) 免震装置
JP2006207680A (ja) 積層ゴム支承体
JP4703971B2 (ja) エネルギー吸収ブレース制振装置およびエネルギー吸収装置
JP4904469B2 (ja) ガラススクリーン構造
JP2020041691A (ja) 免震用鋼材ダンパー
JP4971510B2 (ja) 免震装置
JP5841889B2 (ja) 柱脚用ピン構造
JP5703035B2 (ja) 免震装置
JP2011089305A (ja) 橋梁用支承装置
JP2002188687A (ja) 免震装置
KR20170023572A (ko) 내진성능을 구비한 철골기둥 연결부 시공방법
KR100964299B1 (ko) 쐐기부를 갖는 분리식 납면진받침
JP2019183429A (ja) 構造物用支承装置
KR101798007B1 (ko) 건축물용 프레임
JP6239802B1 (ja) 構造物用支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