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550Y1 - 면진교량받침의 러버베어링구조 - Google Patents

면진교량받침의 러버베어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550Y1
KR200408550Y1 KR2020050033950U KR20050033950U KR200408550Y1 KR 200408550 Y1 KR200408550 Y1 KR 200408550Y1 KR 2020050033950 U KR2020050033950 U KR 2020050033950U KR 20050033950 U KR20050033950 U KR 20050033950U KR 200408550 Y1 KR200408550 Y1 KR 2004085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ridge
bearing
rubber bearing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알이엔씨
유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알이엔씨, 유문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알이엔씨
Priority to KR2020050033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5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5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5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Abstract

본 고안은 교각과 교량상판 사이에 설치되는 면진교량받침의 러버베어링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교각(P)의 상부에 설치된 로워플레이트(10)에 대응되도록 교량상판(U)의 저면으로 어퍼플레이트(20)가 설치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20)와 로워플레이트(10) 사이에 개재된 러버베어링(30)의 상·하단부에 상·하부 접합플레이트(36)(38)가 각각 매입되고, 상기 상·하부 접합플레이트(36)(38)는 어퍼플레이트(20)의 저면 및 로워플레이트(10)의 상면으로 접합되어 볼트로 고정되는 면진교량받침에 있어서, 수평지진력(HF)의 발생으로 전단변형이 작용하는 러버베어링(30)의 상·하단부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러버베어링(30)에 매입되는 상·하부 접합플레이트(36)(38)의 내측단부 외주연으로 러버베어링(30)의 외경보다 작게 이루어진 서포트플랜지(36a)(38a)를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수평지진력에 의해 작용하는 러버베어링과 어퍼플레이트 및 로워플레이트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면진교량받침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면진교량받침, 교각, 교량상판, 어퍼플레이트, 로워플레이트.

Description

면진교량받침의 러버베어링구조{BEARING FOR BRIDGE SUPPORT}
도 1a, 1b 는 종래의 면진교량받침을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
도 3 은 도 2에서 수평지진력이 발생되어 러버베어링에 전단변형이 작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내지 4c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와 작용단면도 및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로워플레이트 20 : 어퍼플레이트
30 : 러버베어링 30a : 방수실
31 : 납코어 34 : 보강플레이트
36 : 상부 접합플레이트 38 : 하부 접합플레이트
36a, 38a : 서포트플랜지 36b, 38b : 가압림
P : 교각 U : 교량상판
본 고안은 면진교량받침의 러버베어링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지진력에 의해 작용하는 러버베어링과 어퍼플레이트 및 로워플레이트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면진교량받침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면진교량받침의 러버베어링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면진교량받침은 교량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지진력의 하중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진동에너지를 흡수하여 교량상판의 진동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면진교량받침의 기술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 1a, 1b를 참조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교각(P)의 상부에 설치된 로워플레이트(1)에 대응되도록 교량상판(U)의 저면으로 어퍼플레이트(2)가 설치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2)와 로워플레이트(1) 사이에 납코어(3a) 및 보강플레이트(3b)가 내장된 러버베어링(3)이 개재되며, 상기 러버베어링(3)의 상·하단부에 상·하부 접합플레이트(3c)(3d)가 각각 매입되어 어퍼플레이트(2)의 저면 및 로워플레이트(1)의 상면에 접합되고 다수개의 볼트(B)로 고정되는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단주기성분이 강하고 장주기성분이 약한 지진파의 주특기성을 이용하도록, 러버베어링(3)에는 납코어(3a)가 내장되어 교량상판(U)의 고유주기를 임의로 길게 유도하며, 지진이 종료되면 러버베어링(3)의 탄성력으로 교량상판(U)이 원위치로 복원되고, 진동에너지를 흡수하여 가열된 납코어(3a)는 자연적으로 냉각되면서 원래의 분자구조로 되돌아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면진교량받침의 러버베어링(3)은 도 1의 (a)에 도시된 화살 표방향으로 발생되는 수평지진력(HF)에 의해 전단변형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플레이트(2)의 저면 및 로워플레이트(1)의 상면에 접합된 러버베어링(3)의 상·하단부 모서리(E)가 들뜨면서 가장자리가 벌어져 틈(G)이 형성되고, 이같이 형성된 틈(G)으로 빗물 또는 이물질이 침투되어, 상·하부 접합플레이트(3c)(3d)의 표면으로 박리현상 및 부식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박리현상 및 부식은 한번 발생으로 급격히 그 진행속도가 빨라지며, 이로 인해 상·하부 접합플레이트(3c)(3d)의 내구성이 급격히 저하되어 러버베어링(3)을 어퍼플레이트(2)와 로워플레이트(1) 사이에 견고히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틈(G)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러버베어링(3)이 찢어지거나 파손되며, 이에 따라 러버베어링(3)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수평지진력(HF)의 발생에 따른 하중감소 및 지진종료에 따라 원상태로 복귀하는 작용 등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안출한 것으로, 수평지진력에 의해 작용하는 러버베어링과 어퍼플레이트 및 로워플레이트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면진교량받침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면진교량받침의 러버베어링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교각의 상부에 설치된 로워플레이트에 대응되도록 교량상판의 저면으로 어퍼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 와 로워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러버베어링의 상·하단부에 상·하부 접합플레이가 각각 매입되고, 상기 상·하부 접합플레이트는 어퍼플레이트의 저면 및 로워플레이트의 상면으로 접합되어 볼트로 고정되는 면진교량받침에 있어서, 수평지진력의 발생으로 전단변형이 작용하는 러버베어링의 상·하단부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러버베어링에 매입되는 상·하부 접합플레이트의 내측단부 외주연으로 러버베어링의 외경보다 작게 이루어진 서포트플랜지를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하는 것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러버베어링의 상·하단부에는, 어퍼플레이트의 저면 및 로워플레이트의 상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상·하부 보강플레이트를 방수하도록, 그 가장자리를 따라 방수실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수실은 러버베어링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지름을 달리하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서포트플랜지는 어퍼플레이트의 저면 및 로워플레이트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절곡된 가압림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수평지진력이 발생되어 러버베어링에 전단변형이 작용하는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P)에 설치된 로워플레이트(10)와 교량상판(U)에 설치된 어퍼플레이트(20) 사이에 러버베어링(30)이 개재되고, 상기 로워플레이트(10) 및 어퍼플레이트(20)에 접합되는 상·하부 접합플레이트(36)(38)가 러버베어링(30)에 매립된 면진교량받침에 있어서, 상기 러버베어링(30)의 상·하단부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상·하부 접합플레이트(36)(38)의 내측단부 외주연으로 서포트플랜지(36a)(38a)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러버베어링(30)은 교량에 설치되는 사용목적에 따라 원통형 또는 육면체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둔다. 이러한 러버베어링(30)은 탄성재로 이루어져 다수개의 보강플레이트(34)가 내장되며, 그 중앙에는 원통형의 납코어(32)가 장착되도록 코어홀(31)이 천공된다.
상기 납코어(32)는 하중의 작용과 크기 및 속도에 따라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첫째로, 온도와 크리프 및 건조수축과 같이 느린속도로 작용하는 하중에는 쉽게 항복하여 교량상판의 장기변형에 의한 수평력을 교각에 작게 전달하게 된다. 둘째로, 풍하중 및 제동하중과 같이 빠른속도로 작용하며, 납코어(32)의 항복강도를 넘지 않는 하중에 대해서 초기강성으로 저항하여 변위를 억제하게 된다. 셋째로, 수평지진력의 하중에 대해서는 납코어(32)가 완전히 항복하여 장주기화 및 에너지소산에 의해 수평지진력의 크기를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상부 접합플레이트(36)는 러버베어링(30)의 상단부에 매립되어 그 노출된 상면이 어퍼플레이트(20)의 저면에 접합되며, 어퍼플레이트(20)에 다수개의 볼트(B)로 고정된다. 이러한 상부 접합플레이트(36)의 내측단부 즉, 상부 접합플레이트(36)의 하부 외주연으로 서포트플랜지(36a)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서포트플랜 지(36a)의 외경(d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버베어링(30)의 외경(D1)보다 작게 이루어져 러버베어링(30)의 내부에서 러버베어링(30)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어퍼플레이트(20) 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발생되는 수평지진력(HF, Horizontal Force)에 의해 도 3에서와 같이 러버베어링(30)에 전단변형이 작용할 때, 상부 접합플레이트(36)의 서포트플랜지(36a)가 러버베어링(30)의 내부에서 러버베어링(3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여 틈(G)이 형성되지 않으며, 큰 수평지진력(HF)에 의해 러버베어링(30)의 상단부 모서리(E)가 조금 들뜨더라도 서포트플랜지(36a)가 러버베어링(30)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견고히 지지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부 접합플레이트(36)까지 수분 또는 이물질이 침투되는 틈(G)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하부 접합플레이트(38)는 러버베어링(30)의 하단부에 매립되어 그 노출된 저면이 로워플레이트(10)의 상면에 접합되며, 로워플레이트(10)에 다수개의 볼트(B)로 고정된다. 이러한 하부 접합플레이트(38)의 내측단부 즉, 하부 접합플레이트(38)의 상부 외주연으로 서포트플랜지(38a)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서포트플랜지(38a)의 외경(d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버베어링(30)의 외경(D2)보다 작게 이루어져 러버베어링(30)의 내부에서 러버베어링(30)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로워플레이트(10) 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발생되는 수평지진력(HF)에 의해 도 3에서와 같이 러버베어링(30)에 전단변형이 작용할 때, 하부 접합플레이트(38)의 서포트플랜지(38a)가 러버베어링(30)의 내부에서 러버베어링(30)의 가장자리를 지 지하여 틈(G)이 형성되지 않으며, 큰 수평지진력(HF)에 의해 러버베어링(30)의 하단부 모서리(E)가 조금 들뜨더라도 서포트플랜지(38a)가 러버베어링(30)의 가장자리를 견고히 지지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하부 접합플레이트(38)까지 수분 또는 이물질이 침투되는 틈(G)이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첨부된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러버베어링(30)의 상·하단부 가장자리에 방수실(30a)을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방수실(30a)은 어퍼플레이트(20)의 저면 및 로워플레이트(10)의 상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수평지진력(HF) 발생으로 전단변형이 작용하는 러버베어링(30)과 어퍼플레이트(20) 및 로워플레이트(10) 사이에 수분 및 이물질이 침투하는 틈(G)의 형성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즉, 도 4a에 도시된 화살표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발생되는 수평지진력(HF)에 의해 러버베어링(30)에 전단변형이 작용하게 되는데, 상·하부 접합플레이트(36)(38)의 서포트플랜지(36a)(38a)가 어퍼플레이트(20) 및 로워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고, 또한 방수실(30a)이 어퍼플레이트(20)의 저면 및 로워플레이트(10)의 상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러버베어링(30)과 어퍼플레이트(20) 및 로워플레이트(10) 사이에 수분 및 이물질이 침투하는 틈(G)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수실(30a)은 러버베어링(30)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지름을 달리하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둔다.
또 다른 한편, 첨부된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상부 접합플레이트(36)의 서포트플랜지(36a)는 어퍼플레이트(20)의 저면을 가압하도록 상부로 절곡된 가압림(36b)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접합플레이트(38)의 서포트플랜지(38a)는 로워플레이트(10)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하부로 절곡된 가압림(38b)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수평지진력(HF)의 발생으로 러버베어링(30)에 전단변형이 작용할 때, 상·하부 접합플레이트(36)(38)의 가압림(36b)(38b)이 어퍼플레이트(20) 및 로워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러버베어링(30)과 어퍼플레이트(20) 및 로워플레이트(10) 사이에 수분 및 이물질이 침투하는 틈(G)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면진교량받침의 러버베어링구조는 수평지진력(HF)의 발생으로 전단변형이 작용하는 러버베어링(30)의 상·하단부 가장자리를 서포트플랜지(36a)(38a)가 견고히 지지하여, 수분 또는 이물질이 침투되는 틈(G)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면진교량받침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어퍼플레이트(20)의 저면 및 로워플레이트(10)의 상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방수실(30a)이 러버베어링(30)에 더 구비되어, 큰 수평지진력(HF)의 발생으로 작용하는 러버베어링(30)의 전단변형에 의해 틈(G)이 형성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어퍼플레이트(10)의 저면 및 로워플레이트(20)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서포트플랜지(36a)(38a)에 가압림(36b)(38b)이 일체로 형성되어, 러버베어링(30)의 전단변형에 의해 틈(G)이 형성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어퍼플레이트 및 로워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상하부 접합플레이트에 서포트프레임을 일체로 형성하여, 수평지진력에 의해 작용하는 러버베어링의 전단변형으로 수분 및 이물질이 침투되는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러버베어링 및 이 러버베어링을 어퍼플레이트와 로워플레이트에 접합시키는 접합플레이트의 박리 및 부식 또는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면진교량받침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은 어퍼플레이트 및 로워플레이트를 가압하도록 서포트프레임에 가압림을 일체로 형성하여, 큰 수평지진력에 의해 작용하는 러버베어링의 전단변형으로 수분 및 이물질이 침투되는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면진교량받침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본 고안은 어퍼플레이트 및 로워플레이트를 가압하도록 러버베어링에 방수실을 일체로 형성하여, 큰 수평지진력에 의해 작용하는 러버베어링의 전단변형으로 수분 및 이물질이 침투되는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면진교량받침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교각(P)의 상부에 설치된 로워플레이트(10)에 대응되도록 교량상판(U)의 저면으로 어퍼플레이트(20)가 설치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20)와 로워플레이트(10) 사이에 개재된 러버베어링(30)의 상·하단부에 상·하부 접합플레이트(36)(38)가 각각 매입되고, 상기 상·하부 접합플레이트(36)(38)는 어퍼플레이트(20)의 저면 및 로워플레이트(10)의 상면으로 접합되어 볼트로 고정되는 면진교량받침에 있어서,
    수평지진력(HF)의 발생으로 전단변형이 작용하는 러버베어링(30)의 상·하단부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러버베어링(30)에 매입되는 상·하부 접합플레이트(36)(38)의 내측단부 외주연으로 러버베어링(30)의 외경보다 작게 이루어진 서포트플랜지(36a)(38a)를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교량받침의 러버베어링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플랜지(36a)(38a)에는, 어퍼플레이트(20)의 저면 및 로워플레이트(10)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절곡된 가압림(36b)(38b)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면진교량받침의 러버베어링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베어링(30)의 상·하단부에는, 어퍼플레이트(20)의 저면 및 로워플레이트(10)의 상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상·하부 접합플레이트(36)(38)를 방수하도록, 그 가장자리를 따라 방수실(30a)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교량받침의 러버베어링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실(30a)은, 러버베어링(30)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지름을 달리하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교량받침의 러버베어링구조.
KR2020050033950U 2005-12-01 2005-12-01 면진교량받침의 러버베어링구조 KR2004085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950U KR200408550Y1 (ko) 2005-12-01 2005-12-01 면진교량받침의 러버베어링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950U KR200408550Y1 (ko) 2005-12-01 2005-12-01 면진교량받침의 러버베어링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550Y1 true KR200408550Y1 (ko) 2006-02-13

Family

ID=4175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950U KR200408550Y1 (ko) 2005-12-01 2005-12-01 면진교량받침의 러버베어링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5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239B1 (ko) * 2012-03-30 2014-11-28 포인텍이앤씨(주) 탄성고무의 손상을 방지하는 탄성받침
KR20150138906A (ko) 2014-05-30 2015-12-11 주식회사 삼일테크 브리지 베어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239B1 (ko) * 2012-03-30 2014-11-28 포인텍이앤씨(주) 탄성고무의 손상을 방지하는 탄성받침
KR20150138906A (ko) 2014-05-30 2015-12-11 주식회사 삼일테크 브리지 베어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4365B1 (en) Seismic base isolation device
CN112281641B (zh) 一种格栅阻尼支座
KR200408550Y1 (ko) 면진교량받침의 러버베어링구조
KR100818764B1 (ko) 교량용 고무받침 및 그 제조방법
CN106320570A (zh) 一种带有易更换减震钢板阻尼器的新型组合剪力墙
JP2012246643A (ja) 免震装置
KR100401234B1 (ko) 접착강도가 향상된 일체형 지진격리장치
KR101466239B1 (ko) 탄성고무의 손상을 방지하는 탄성받침
JP2002250008A (ja) 積層ゴム支承及び該支承の構造物への固定構造
CN202577684U (zh) 摩擦式玻璃固定联接结构
KR200254739Y1 (ko) 납보호관이 삽입된 납면진받침
JPH11148534A (ja) 滑り型の免震支承装置
JPH09125410A (ja) 積層ゴム支承構造
KR100957039B1 (ko) 교량용 방수 내진 신축이음장치
KR200222499Y1 (ko) 교량용 교좌장치의 측방팽출억제 탄성받침
CN216198817U (zh) 固定结构、压缩机及空调器
KR101366137B1 (ko) 교량 받침 구조물 및 교량 받침 구조물의 보수 방법
JPH0442363Y2 (ko)
KR200149830Y1 (ko) 면진 베어링
KR100964299B1 (ko) 쐐기부를 갖는 분리식 납면진받침
CN214833672U (zh) 一种新式三维隔震滑板支座
JP5698920B2 (ja) 支承構造
CN213575075U (zh) 电池包安装结构
JP4441660B2 (ja) 機能分離型橋梁支承装置
CN213928529U (zh) 一种抗震的不锈钢隔热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1006

Effective date: 20081104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1006

Effective date: 2008110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