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764B1 - 교량용 고무받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교량용 고무받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764B1
KR100818764B1 KR1020070118597A KR20070118597A KR100818764B1 KR 100818764 B1 KR100818764 B1 KR 100818764B1 KR 1020070118597 A KR1020070118597 A KR 1020070118597A KR 20070118597 A KR20070118597 A KR 20070118597A KR 100818764 B1 KR100818764 B1 KR 100818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ubber
wedge member
bridge
elastic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경
전규식
손만길
강재민
박익선
Original Assignee
협성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협성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협성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8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40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시 및 지진시 교량이동에 따른 변위를 수용하기 위하여 탄성패드가 전단변형을 일으키게 될 때 발생하는 들뜸(롤오버)과 슬라이딩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는 한편 내진 해석상의 거동과 실제 거동이 부합 되도록 고무받침의 구조 및 제조 방법의 개선을 통해 효과적으로 해소함으로써 고무받침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교량 상판 등의 교량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와; 교대나 교각 등의 교량지지용 하부구조물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와; 고무와 그 내부에 1층 이상 적층되는 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탄성 지지하면서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방향 변위를 허용하게 되는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일체형 내진 고무받침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저면과 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는 탄성패드의 단부가 강제 압입되어 정착하게 되는 정착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탄성패드는 상기 정착홈 내부를 채우면서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에 대해 가류성형(加硫成形)에 의해 일체를 이루도록 접착되는 교량용 일체형 고무받침을 제공한다.
교량, 탄성, 받침, 정착력, 정착홈, 고무, 강판, 들뜸

Description

교량용 고무받침 및 그 제조방법{rubber bearing for bridg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량용 고무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의 하중과 변형을 받아주는 고무받침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 적용되는 고무받침에는 탄성받침과, 고감쇠고무받침, 납면진받침(LRB ;Lead Rubber Bearing) 등이 있다.
상기 고무받침 중 탄성받침은 고무판과 내부에 1층 이상의 강판을 적층 보강하여 하중의 재하시 측면의 팽출(bulging) 현상을 억제하도록 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탄성받침은 상부 구조의 작용 하중(국내 최대 3000ton)을 하부구조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전단 변형에 의한 이동, 탄성변형에 의한 회전 등 모든 방향으로의 신축 및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부식의 위험이 적으며 시공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한 경제적인 받침이다. 따라서, 탄성받침은 현재 거의 모든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PSC Beam) 교량에 사용하고 있으며, 지진 발생시 각 지점별 지진력 분산 기능이 있어 최근에는 일반 강교에도 점차적으로 적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 다.
상기의 탄성받침을 포함하여 교량에 적용되는 고무받침은 구조 해석으로부터 계산한 설계 하중 및 모멘트를, 최소한의 변형을 나타내면서 상부 구조로부터 하부 구조로 올바르게 전달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당한 크기의 영구적 전단 변형을 제외한 교량 상부의 수평 변형을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고무받침의 제작에 사용되는 재료의 특성은 이러한 발생 하중에 대해 나타나는 고무받침의 거동에 의한 인자(因子)인 것이다.
고무받침의 파단점에서의 전단변형률은 고무 총두께의 250~400% 이상이지만 실제 설계 시에는 상시 70%, 지진시 150%를 적용하며, 설계 시 요구되는 고무층의 두께는 설계 이동량을 허용하는 전단변형량으로 산정할 수 있다.
한편, 기존 탄성받침은 상·하부플레이트에 탄성패드를 볼트로 고정하는 볼트 연결방식(도시는 생략함)을 사용하거나, 탄성패드를 직접 상·하부플레이트에 접착하여 고정하는 방식이 사용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도 1에 도시한 기존의 탄성받침은 탄성패드(50a)를 직접 상·하부플레이트(10a,20a)에 접착하여 제작한 탄성받침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와 같이 탄성패드(50a)를 상·하부플레이트에 접착한 탄성받침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나타내게 된다.
먼저, 기존 탄성받침은 상·하부플레이트(10a,20a)에 대한 탄성패드(50a)의 정착 상태에 약점이 있어, 상시 혹은 지진시 교량이동에 따른 변위를 수용하기 위하여 탄성패드가 전단변형을 일으키게 될 때 발생하는 들뜸(롤오버) 및 미끄럼(롤아웃)에 대해 안정성 확보가 미흡한 단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종래 일체형 탄성패드의 문제점을 도시한 것으로서, 탄성패드(50a)의 일측 상단 및 타측 하단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에 의해 상,하부플레이트(10a,20a)와 탄성패드 사이에 들뜸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즉, 기존의 탄성받침은 상·하부플레이트(10a,20a)와 탄성패드(50a)가 일체형으로 접착 제작되므로 단순 삽입구조에 비해서는 내진성능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지기는 하였으나, 탄성패드의 상·하부플레이트에 대한 정착성이 매우 높지는 못한 구조이므로 들뜸(롤오버)및 미끄럼(롤아웃)에 대한 안정성을 극대화하기에는 여전히 미흡하고, 탄성받침의 내진 성능을 극대화함에 있어서도 한계가 있다.
요컨대, 전단변형시 응력집중으로인한 접착부의 분리현상 방지와 지진시 내진성능 보장과 예상치 못한 과도한 전단변위로 인한 상부구조의 낙교를 방지하기 위해 탄성패드의 상·하부플레이트에 대한 정착성은 더욱 향상되어야 하나, 종래의 일체형 탄성받침의 구조로서는 이를 달성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구조물과 상부판의 수평변위에 따라 탄성패드의 일측 상단 및 타측 하단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에 의해 상,하부플레이트와 탄성패드 사이에 들뜸이나 미끄럼이 발생하는 문제를 상·하부플레이트에 대한 탄성패드의 정착력 강화를 통해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상시 및 지진시 교량이동에 따른 변위를 수용하기 위하여 탄성패드가 전단변형을 일으키게 될 때 발생하는 들뜸(롤오버)이나 미끄럼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는 한편 내진 해석상의 거동과 실제 거동이 부합 되도록 고무받침의 구조 및 제조 방법의 개선을 통해 효과적으로 해소함으로써 고무받침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내진 성능이 향상되도록 탄성패드의 정착력을 강화함과 더불어, 고무받침의 제조시 용접없이 웨지부재(wedge member)를 상·하부플레이트에 고정시킴으로써 용접으로 인한 탄성패드의 열화 등의 손상을 초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진시 파단된 웨지부재를 손쉽게 교체하여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일체형 고무받침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과 더불어 지진시 웨지부재가 일정한 힘에 의해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무받침의 동작 신뢰성을 높이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교량 상판 등의 교량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와; 교대나 교각 등의 교량지지용 하부구조물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와; 고무와 그 내부에 1층 이상 적층되는 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탄성 지지하면서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방향 변위를 허용하게 되는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일체형 내진 고무받침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저면과 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는 탄성패드의 단부가 강제 압입되어 정착하게 되는 정착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탄성패드는 상기 정착홈 내부를 채우면서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에 대해 가류성형(加硫成形)에 의해 일체를 이루도록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일체형 고무받침이 제공된다.
상기 정착홈은 입구는 좁고 그 내부는 입구폭에 비해 넓어지는 구조를 이루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정착홈은 단면상 "
Figure 112007083367547-pat00001
" 모양을 이루게 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착홈을 채우는 탄성패드의 성형후 형태는 정착홈의 형상을 따른다.
한편, 상기 정착홈은 입구에 비해 내부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서 단면상 "
Figure 112007083367547-pat00002
"모양을 이룰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정착홈을 채우게 되는 탄성패드의 단부 형상은 "
Figure 112007083367547-pat00003
"모양을 이루거나 "
Figure 112007083367547-pat00004
"모양을 이룰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무받침은, 고무받침의 일방향 변위가 자유롭도록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가동방향 좌우 양측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웨지부재와, 상기 상부웨지부재와 소정 간격을 두고 교차하도록 하부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교량 상판의 수평 변위가 허용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상부웨지부재를 파단되게 하는 한쌍의 하부웨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무받침은, 고정단에 적합하도록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형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전후방향으로도 서로 마주보면서 대칭형을 이루도록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ㄱ"자 타입의 하부웨지부재와, 상기 "ㄱ"자 타입 하부웨지부재의 내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위치하도록 상부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부 전후방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교량 상판의 좌우 및 전후방향의 수평 변위가 허용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하부웨지부재와의 간섭에 의해 자신이 파단되거나 하 부웨지부재를 파단하게 되는 상부웨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웨지부재 또는 하부웨지부재에는 지진시 웨지부재가 일정한 힘에 의해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무받침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단 파괴면을 용접하거나 노치홈 혹은 파단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교량 상판 등의 교량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와; 교대나 교각 등의 교량지지용 하부구조물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와; 고무와 그 내부에 1층 이상 적층되는 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탄성 지지하면서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방향 변위를 허용하게 되는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일체형 내진 고무받침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저면과 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는 탄성패드의 단부가 강제 압입되어 정착하게 되는 정착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탄성패드는 상기 정착홈 내부를 채우면서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에 대해 가류성형(加硫成形)에 의해 일체를 이루도록 접착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부측에 상부웨지부재 마운트용 탑플레이트가 체결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측에 하부웨지부재 마운트용 바텀플레이트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일체형 고무받침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일측면에 탄성패드 단부가 압입 가능한 정착홈이 각각 구비된 상·하부플레이트를 준비 하는 단계와; 상기 상·하부플레이트 및 탄성패드를 이루는 강판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성형용 금형 내에 상·하부플레이트와 탄성패드를 이루도록 적층된 고무판 및 강판을 로딩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용 금형을 구성하는 가열장치에 의해 고무판을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고무판이 소정 온도 도달시, 가압하여 고무판의 상하단부가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의 정착홈 내로 강제 압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와 탄성패드가 상호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일체형 고무받침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접착제 도포에 앞서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에 대한 표면 처리 단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부측에 상부웨지부재 마운트용 탑플레이트를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측에 하부웨지부재 마운트용 바텀플레이트를 체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지진시 웨지부재가 일정한 힘에 의해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웨지부재에 노치홈 혹은 파단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고무받침은 상부구조물과 상부판의 수평변위에 따라 탄성패 드의 일측 상단 및 타측 하단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에 의해 상,하부플레이트와 탄성패드 사이에 들뜸이 발생하는 문제를 상·하부플레이트에 대한 탄성패드의 정착력 강화를 통해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상시 및 지진시 교량이동에 따른 변위를 수용하기 위하여 탄성패드가 전단변형을 일으키게 될 때 발생하는 들뜸(롤오버)이나 미끄럼(롤아웃)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는 한편 내진 해석상의 거동과 실제거동이 부합 되도록 고무받침의 구조 및 제조 방법의 개선을 통해 효과적으로 해소함으로써 고무받침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내진 성능이 향상되도록 탄성패드의 정착력을 강화함과 더불어, 고무받침의 제조시 용접없이 웨지부재를 상·하부플레이트에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용접으로 인한 탄성패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지진시 파단된 웨지부재를 손쉽게 교체하여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일체형 고무받침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진시 웨지부재가 일정한 힘에 의해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무받침의 동작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상하부 강재 플레이트 일체화를 통해 고무받침의 강교 및 장대교량에의 확대 적용이 가능해진다.
한편, 탄성패드의 미끄럼 현상이 없어 하부구조의 편심발생이 억제되며, 부반력 방지 기능이 추가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무받침은, 웨지부재 및 앵커 혹은 솔플레 이트를 웨지부재 마운트용 플레이트에 조립하는 과정과, 상·하부플레이트와 탄성패드를 일체화하는 과정을 별도로 분리하여 진행한 상태에서 각각의 중간 제품을 조립해주기만 하면 고무받침의 제작이 완료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무받침에는 탄성받침과, 고감쇠고무받침, 납면진받침(LRB ;Lead Rubber Bearing)등이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탄성받침과 고감쇠고무받침, 납면진받침에 모두 적용가능하나, 이하에서 고무받침 중에서도 탄성받침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은 본 발명의 고무받침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볼트체결형 일방향 내진 고무받침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Ⅰ-Ⅰ선을 따른 횡단면도이고, 도 3c는 도 3a의 A부 확대도이다. 한편, 도 3e는 도 3a의 고무받침의 분해 사시도로서, 원(圓)안은 탄성패드의 성형전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고, 원 밖은 탄성패드 성형후 정착홈에 위치하는 상하단부의 형태를 도시하기 위해 탄성패드를 상하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가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고무받침 성형용 금형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무받침(1a)은, 교량 상판 등의 교량 상부구조물(30)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10)와; 교대나 교각 등의 교량지지용 하부구조물(40)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20)와; 고무(52)와 그 내부에 1층 이상 적층되는 강판(5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구조물(30)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탄성 지지하면서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방향 변위를 허용하게 되는 탄성패드(5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저면과 하부플레이트(20)의 상면에는 탄성패드(50)의 단부가 강제 압입되어 정착하게 되는 정착홈(10a,20a)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탄성패드(50)는 상기 정착홈(10a,20a) 내부를 채우면서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에 대해 가류성형(加硫成形)에 의해 일체를 이루도록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정착홈(10a,20a)은 정착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입구와 내부가 같은 폭으로서 일정한 깊이를 갖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에 형성되는 정착홈(10a,20a)은 단면상 "
Figure 112007083367547-pat00005
" 모양을 이루게 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정착홈(10a,20a)을 채우는 탄성패드(50) 단부의 성형후 형태도 동일 단면 모양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고무받침(1a)은, 고무받침의 일방향 변위가 자유롭도록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가동방향 좌우 양측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웨지부재(60a)와, 상기 상부웨지 부재(60a)와 소정 간격을 두고 교차하도록 하부플레이트(20)의 좌우 양측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교량 상판의 수평 변위가 허용 범위(G; 도 3b 참조)를 벗어날 경우 상기 상부웨지부재(60a)를 파단되게 하는 한쌍의 하부웨지부재(70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지진시 상기 상부웨지부재(60a)가 일정한 힘에 의해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웨지부재(60a)에 노치홈 혹은 파단홀(600a)이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실시예의 고무받침(1a)은 웨지부재(60a,70a)를 볼트로 체결하는 볼트체결형이면서 일방향에 대한 변위를 수용하게 되는 볼트체결형 일방향 고무받침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d 및 도 3e는 도 3a의 A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정착홈(10a,20a)은 입구는 좁고 그 내부는 입구폭에 비해 넓어지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즉,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에 형성되는 정착홈(10a,20a)은 단면상 "
Figure 112007083367547-pat00006
" 모양을 이루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착홈(10a,20a)을 채우는 탄성패드(50) 단부의 형상은 "
Figure 112007083367547-pat00007
"모양을 이루거나 "
Figure 112007083367547-pat00008
"모양을 이룰 수 있다.
도 3e에 도시된 탄성패드 단부 형태는 가장자리의 돌출부로 인해 탄성패드(50)의 상·하부플레이트(10,20)와의 접착면적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고무받침(1a)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일측면에 탄성패드(50) 단부가 압입 가능한 정착홈(10a,20a)이 각각 구비된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를 준비한다. 이때, 상기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에 대한 표면 처리가 선행되는데, 상기 표면 처리로서는 블라스트 처리 등의 기계적 처리 혹은 화성피막 처리와 같은 화학적 처리 중에서 양산에 적합한 것을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준비된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0,20)에 스틸용 접착제를 도포하는 한편, 탄성패드(50)를 이루는 강판(54)의 상면에도 스틸용 접착제를 도포한다.
그 후, 성형용 금형(200)에 상·하부플레이트(10,20)와 탄성패드(50)를 이루도록 적층된 고무(52) 및 강판(54)을 로딩(loading)한다.
상기 성형용 금형(200)에는 적층된 고무(52) 및 강판(54)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21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고무(52)는 가류 조건에 맞는 소정 온도까지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고무(52)가 소정 온도 도달에 도달하게 되면, 일정 성형 압력을 소정 시간 동안 가하여 고무(52)의 상하단부가 상기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의 정착홈(10a,20a) 내로 강제 압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0,20)와 탄성패드(50)가 상호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하부플레이트(10,20)와 탄성패드(50)가 일체를 이룬 어 셈블리의 제작이 완료되고 나면, 상기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에 각각 웨지부재를 조립하게 된다.
즉, 상부플레이트(10)에는 상부웨지부재(60a)를 볼트로 체결하고, 하부플레이트(20)에는 하부웨지부재(70a)를 볼트로 체결한다.
그 후, 고무받침의 설치 유형에 따라,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0,20)에 앵커(도시는 생략함)를 조립하거나 솔플레이트(Sole Plate)(도시는 생략함)를 체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고무받침(1a)은, 정착홈(10a,20a)에 의해 상·하부플레이트(10,20)에 대한 탄성패드(50)의 정착력 강화로 인해, 일방향에 대한 수평변위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성패드(50)의 들뜸(롤오버)및 미끄럼(롤아웃) 방지 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무받침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웨지부재(60a)에 노치홈 혹은 파단홀(600a)이 구비되어, 지진시 허용치 보다 큰 힘이 작용할 때 상부웨지부재(60a)의 정확한 위치가 파단됨으로써 고무받침의 동작 신뢰성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무받침(1b)에 대해 살펴본다.
도 4a은 본 발명의 고무받침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볼트체결형 고정단용 고무받침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Ⅱ-Ⅱ선을 따른 횡단면 도이며, 도 4c는 도 4a의 B부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무받침(1b)은, 교량 상판 등의 교량 상부구조물(30)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10)와; 교대나 교각 등의 교량지지용 하부구조물(40)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20)와; 고무(52)와 그 내부에 1층 이상 적층되는 강판(5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구조물(30)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탄성 지지하면서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방향 변위를 허용하게 되는 탄성패드(5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저면과 하부플레이트(20)의 상면에는 탄성패드(50)의 단부가 강제 압입되어 정착하게 되는 정착홈(10a,20a)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탄성패드(50)는 상기 정착홈(10a,20a) 내부를 채우면서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에 대해 가류성형(加硫成形)에 의해 일체를 이루도록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정착홈(10a,20a)은 정착강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입구와 내부가 같은 폭으로서 일정한 깊이를 갖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에 형성되는 정착홈(10a,20a)은 단면상 "
Figure 112007083367547-pat00009
" 모양을 이루게 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정착홈(10a,20a)을 채우는 탄성패드(50) 단부의 성형후 형태는 상기 정착홈의 형태를 따르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고무받침(1b)은, 상기 하부플레이트(20)의 좌우 양측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형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전후방향으로도 서로 마주보면서 대 칭형을 이루도록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ㄱ"자 타입의 하부웨지부재(70b)와, 상기 "ㄱ"자 타입 하부웨지부재(70b)의 내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위치하도록 상부플레이트(10)의 좌우 양측부 전후방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교량 상판의 좌우 및 전후방향의 수평 변위가 허용 범위(G1,G2; 도 4b참조)를 벗어날 경우 상기 하부웨지부재(70b)와의 간섭에 의해 파단되는 상부웨지부재(6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지진시 상기 상부웨지부재(60b)가 일정한 힘에 의해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웨지부재(60b)에 노치홈 혹은 파단홀(600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본 실시예의 고무받침(1b)은 웨지부재를 볼트로 체결하는 볼트체결형이면서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허용범위(G1,G2)를 벗어난 자유로운 변위를 허용하지 않는 볼트체결형 고정단용 고무받침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정착홈(10a,20a)의 형태는 단면상 "
Figure 112007083367547-pat00010
" 모양이 가능하며, 상기 정착홈을 채우는 탄성패드(50) 단부 형상은 "
Figure 112007083367547-pat00011
"모양을 이루거나 "
Figure 112007083367547-pat00012
"모양을 이룰 수 있다(도 3d 및 도 3e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무받침(1b)의 제조 과정 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원리와 방식으로 진행되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 및 제조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무받침(1b)은, 본체 일체형 고정단용 고무받침으로서 상시에는 허용범위(G1,G2)를 벗어나지 않는 작은 구간에서 수평변위를 허용하게 되며, 지진시에는 웨지부재가 파단된 다음에 정착력이 강화된 탄성패드(50)가 수평변위를 수용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진시 허용치 보다 큰 힘이 작용할 때 상부웨지부재(60b)의 노치홈 혹은 파단홀(600b) 부위가 정확히 파단됨으로써 고무받침의 동작 신뢰성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무받침에 대해 살펴본다.
도 5a는 본 발명의 고무받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체분리형 일방향 고무받침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Ⅲ-Ⅲ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5a의 C부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무받침(1c)은, 교량 상판 등의 교량 상부구조물(30)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10)와; 교대나 교각 등의 교량지지용 하부구조물(40)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20)와; 고무(52)와 그 내부에 1층 이상 적층되는 강판(5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구조물(30)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탄성 지지하면서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방향 변위를 허용하게 되는 탄성패 드(5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저면과 하부플레이트(20)의 상면에는 탄성패드(50)의 단부가 강제 압입되어 정착하게 되는 정착홈(10a,20a)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탄성패드(50)는 상기 정착홈(10a,20a) 내부를 채우면서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에 대해 가류성형(加硫成形)에 의해 일체를 이루도록 접착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상부측에 상부웨지부재 마운트용 탑플레이트(80a)가 체결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20)의 하부측에 하부웨지부재 마운트용 바텀플레이트(90a)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정착홈(10a,20a)은 정착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입구와 내부가 같은 폭으로서 일정한 깊이를 갖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에 형성되는 정착홈(10a,20a)은 단면상 "
Figure 112007083367547-pat00013
" 모양을 이루게 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정착홈(10a,20a)을 채우는 탄성패드(50) 단부의 성형후 형태도 동일 단면 모양을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정착홈(10a,20a)의 형태는 입구는 좁고 그 내부는 입구에 비해 넓어지는 단면상 "
Figure 112007083367547-pat00014
" 모양이 가능하며, 상기 정착홈을 채우는 탄성패드(50) 단부 형상은 "
Figure 112007083367547-pat00015
"모양을 이루거나 "
Figure 112007083367547-pat00016
"모양을 이룰 수 있다(도 3d 및 도 3e 참조).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고무받침(1c)은, 고무받침의 일방향 변위가 자유롭도록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가동방향 좌우 양측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웨지부재(60a)와, 상기 상부웨지부재(60a)와 소정 간격을 두고 교차하도록 하부플레이트(20)의 좌우 양측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교량 상판의 수평 변위가 허용 범위(G;도 5b 참조)를 벗어날 경우 자신이 파단되는 한쌍의 하부웨지부재(70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웨지부재(70a)에는 지진 발생시 상기 상부웨지부재(60a)에 의해 가해지는 일정한 힘에 의해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하는 노치홈 혹은 파단홀(70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노치홈 혹은 파단홀을 형성하는 대신 하부웨지부재를 하부웨지부재 마운트용 바텀플레이트(90a)에 용접시 상기 용접면이 전단 파괴면이 되도록 용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무받침(1c)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일측면에 탄성패드(50) 단부가 압입 가능한 정착홈(10a,20a)이 각각 구비된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를 준비한다. 이때, 상기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에 대한 표면 처리가 선행된다.
그리고, 준비된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0,20)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한편, 탄성패드(50)를 이루는 강판(54)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그 후, 성형용 금형(200)에 상·하부플레이트(10,20)와 탄성패드(50)를 이루도록 적층된 고무(52) 및 강판(54)을 로딩(loading)한다.
상기 성형용 금형(200)에는 적층된 고무(52) 및 강판(54)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21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고무(52)는 가류 조건에 맞는 소정 온도까지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고무(52)가 소정 온도 도달에 도달하게 되면, 일정 성형 압력을 소정 시간 동안 가하여 고무(52)의 상하단부가 상기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의 정착홈(10a,20a) 내로 강제 압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0,20)와 탄성패드(50)가 상호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하부플레이트(10,20)와 탄성패드(50)가 일체를 이룬 어셈블리의 제작이 완료되고 난 후에는, 상기 상부웨지부재 마운트용 탑플레이트(80a) 및 하부웨지부재 마운트용 바텀플레이트(90a)에 각각 웨지부재를 조립하고, 이어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상부측에 상부웨지부재 마운트용 탑플레이트(80a)를 체결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20)의 하부측에 하부웨지부재 마운트용 바텀플레이트(90a)를 체결하게 된다.
즉, 상부웨지부재 마운트용 탑플레이트(80a)에는 상부웨지부재(60a)를 볼트(도시는 생략함)로 체결하고, 하부웨지부재 마운트용 바텀플레이트(90a)에는 하부웨지부재(70a)를 볼트로 체결한다.
그 후, 고무받침의 설치 유형에 따라, 상기 상부웨지부재 마운트용 탑플레이트(80a) 및 하부웨지부재 마운트용 바텀플레이트(90a)에 앵커를 조립하거나 솔플레이트(Sole Plate)를 체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고무받침(1c)은, 정착홈(10a,20a) 에 의해 상·하부플레이트(10,20)에 대한 탄성패드(50)의 정착력 강화로 인해, 일방향에 대한 수평변위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성패드(50)의 들뜸(롤오버)및 미끄럼(롤아웃) 방지 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무받침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웨지부재(70a)에 노치홈 혹은 파단홀(700a)이 구비되어, 지진시 허용치 보다 큰 힘이 작용할 때 하부웨지부재(70a)의 노치홈 혹은 파단홀(700a) 부위가 정확히 파단됨으로써 고무받침의 동작 신뢰성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고무받침(1c)의 제조 과정은 전술한 제1,2실시예에서와 거의 동일한 원리와 방식으로 진행되되, 상·하부플레이트(10,20)가 좁은 면적으로 형성되므로 웨지부재 등의 체결을 위해서, 앵커 상부플레이트(10)의 상부측에 상부웨지부재 마운트용 탑플레이트(80a)를 체결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20)의 하부측에 하부웨지부재 마운트용 바텀플레이트(90a)를 체결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고무받침에 대해 살펴본다.
도 6a는 본 발명의 고무받침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체분리형 고정단용 고무받침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Ⅳ-Ⅳ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며, 도 6c는 도 6a의 D부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고무받 침(1d)은, 교량 상판 등의 교량 상부구조물(30)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10)와; 교대나 교각 등의 교량지지용 하부구조물(40)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20)와; 고무(52)와 그 내부에 1층 이상 적층되는 강판(5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구조물(30)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탄성 지지하면서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방향 변위를 허용하게 되는 탄성패드(5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저면과 하부플레이트(20)의 상면에는 탄성패드(50)의 단부가 강제 압입되어 정착하게 되는 정착홈(10a,20a)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탄성패드(50)는 상기 정착홈(10a,20a) 내부를 채우면서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에 대해 가류성형(加硫成形)에 의해 일체를 이루도록 접착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상부측에 상부웨지부재 마운트용 탑플레이트(80b)가 체결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20)의 하부측에 하부웨지부재 마운트용 바텀플레이트(90b)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정착홈(10a,20a)은 정착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입구와 내부가 같은 폭으로서 일정한 깊이를 갖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에 형성되는 정착홈(10a,20a)은 단면상 "
Figure 112007083367547-pat00017
" 모양을 이루게 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정착홈(10a,20a)을 채우는 탄성패드(50) 단부의 성형후 형태도 동일 단면 모양을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정착홈(10a,20a)의 형태는 입구는 좁고 그 내부 는 입구에 비해 넓어지는 단면상 "
Figure 112007083367547-pat00018
" 모양이 가능하며, 상기 정착홈을 채우는 탄성패드(50) 단부 형상은 "
Figure 112007083367547-pat00019
"모양을 이루거나 "
Figure 112007083367547-pat00020
"모양을 이룰 수 있다(도 3d 및 도 3e 참조).
한편, 본 실시예의 고무받침(1d)은,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좌우 양측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형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전후방향으로도 서로 마주보면서 대칭형을 이루도록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ㄱ"자 타입의 상부웨지부재(60b)와, 상기 "ㄱ"자 타입 상부웨지부재(60b)의 내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위치하도록 하부플레이트(20)의 좌우 양측부 전후방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교량 상판의 좌우 및 전후방향의 수평 변위가 허용 범위(G1,G2; 도 4b참조)를 벗어날 경우 상기 상부웨지부재와의 간섭에 의해 파단되는 하부웨지부재(7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지진시 상기 하부웨지부재(70b)가 일정한 힘에 의해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웨지부재(70b)에 노치홈 혹은 파단홀(700b)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 역시, 전술한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부웨지부재에 노치홈 혹은 파단홀을 형성하는 대신 하부웨지부재를 하부웨지부재 마운트용 바텀플레이트(90a)에 용접시 상기 용접면이 전단 파괴면이 되도록 용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본 실시예의 고무받침(1d)은 웨지부재를 용접하여 체 결하는 타입이면서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허용범위(G1,G2)를 벗어난 자유로운 변위를 허용하지 않는 고정단용 고무받침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고무받침(1d)의 제조 과정은 제3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원리와 방식으로 진행되되, 웨지부재의 구조는 제2실시예의 구조를 따르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 및 제조되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고무받침(1d)은, 웨지부재를 볼트로 체결하되, 탄성패드(50) 본체를 이루는 상·하부플레이트(10,20)와는 별도로 마련된 웨지부재 마운트용 플레이트에 볼트로 체결하는 구조이면서,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허용범위(G1,G2)를 벗어난 자유로운 변위를 허용하지 않는 본체 분리형 고정단용 고무받침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실시예의 본체분리형 고정단용 고무받침(1d)은 상시에는 허용범위(G1,G2)를 벗어나지 않는 작은 구간에서 수평변위를 허용하게 되며, 지진시에는 웨지부재가 파단된 다음에 정착력이 강화된 탄성패드(50)가 수평변위를 수용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 역시, 지진시 허용치 보다 큰 힘이 작용할 때 하부웨지부하(70b)의 노치홈 혹은 파단홀(700b) 부위가 정확히 파단됨으로써 고무받침의 동작 신뢰성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고무받침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고무받침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a은 본 발명의 교량용 고무받침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볼트체결형 일방향 고무받침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Ⅰ-Ⅰ선을 따른 횡단면도
도 3c는 도 3a의 A부 확대도
도 3d 및 도 3e는 도 3a의 A부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3f는 도 3a의 고무받침 분해 사시도
도 4a은 본 발명의 교량용 고무받침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볼트체결형 고정단용 고무받침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Ⅱ-Ⅱ선을 따른 횡단면도
도 4c는 도 4a의 B부 확대도
도 5a는 본 발명의 교량용 고무받침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체분리형 일방향 고무받침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Ⅲ-Ⅲ선을 따른 횡단면도
도 5c는 도 5a의 C부 확대도
도 6a는 본 발명의 고무받침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체분리형 고정단용 고무받침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Ⅳ-Ⅳ선을 따른 횡단면도
도 6c는 도 6a의 D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고무받침 성형용 금형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1b,1c,1d:고무받침
10:상부플레이트 10a:정착홈
20:하부플레이트 20a:정착홈
30:상부구조물 40:하부구조물
50:탄성패드 52:고무 54:강판
60a,60b:상부웨지부재 70a,70b:하부웨지부재
80a,80b:상부웨지부재 마운트용 탑플레이트
90a,90b:하부웨지부재 마운트용 바텀플레이트

Claims (12)

  1. 교량 상판 등의 교량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와; 교대나 교각 등의 교량지지용 하부구조물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와; 고무와 그 내부에 1층 이상 적층되는 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탄성 지지하면서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방향 변위를 허용하게 되는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일체형 내진 고무받침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저면과 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는 탄성패드의 단부가 강제 압입되어 정착하게 되는 정착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탄성패드는 상기 정착홈 내부를 채우면서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에 대해 가류성형(加硫成形)에 의해 일체를 이루도록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고무받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홈은 입구와 내부 폭이 동일한 구조를 이루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고무받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홈은 입구는 좁고 그 내부는 입구폭에 비해 넓어지는 구조를 이루 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고무받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정착홈은 단면상 "
    Figure 112007083367547-pat00021
    " 모양을 이루게 되며, 상기 정착홈을 채우는 탄성패드 단부의 성형후 형태는 단면상 "
    Figure 112007083367547-pat00022
    " 모양을 이루거나 "
    Figure 112007083367547-pat00023
    "모양을 이루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고무받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받침은,
    고무받침의 일방향 변위가 자유롭도록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가동방향 좌우 양측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웨지부재와, 상기 상부웨지부재와 소정 간격을 두고 교차하도록 하부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교량 상판의 수평 변위가 허용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상부웨지부재를 파단되게 하거나 상기 상부웨지부재에 의해 자신이 파단되는 한쌍의 하부웨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고무받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받침은, 고정단에 적합하도록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형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전후방향으로도 서로 마주보면서 대칭형을 이루도록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ㄱ"자 타입의 하부웨지부재와, 상기 "ㄱ"자 타입 하부웨지부재의 내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위치하도록 상부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부 전후방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교량 상판의 좌우 및 전후방향의 수평 변위가 허용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하부웨지부재와의 간섭에 의해 자신이 파단되거나 하부웨지부재를 파단하게 되는 상부웨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고무받침.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웨지부재 혹은 하부웨지부재에 지진시 일측 웨지부재가 일정한 힘에 의해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치홈 혹은 파단홀이 선택적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상부웨지부재 혹은 하부웨지부재의 용접면이 전단 파괴면을 이루도록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고무받침.
  8. 교량 상판 등의 교량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와; 교대나 교각 등의 교량지지용 하부구조물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와; 고무와 그 내부에 1층 이 상 적층되는 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탄성 지지하면서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방향 변위를 허용하게 되는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일체형 내진 고무받침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저면과 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는 탄성패드의 단부가 강제 압입되어 정착하게 되는 정착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탄성패드는 상기 정착홈 내부를 채우면서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에 대해 가류성형(加硫成形)에 의해 일체를 이루도록 접착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부측에 상부웨지부재 마운트용 탑플레이트가 체결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측에 하부웨지부재 마운트용 바텀플레이트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고무받침.
  9. 일측면에 탄성패드 단부가 압입 가능한 정착홈이 각각 구비된 상·하부플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상·하부플레이트 및 탄성패드를 이루는 강판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성형용 금형에 상·하부플레이트와 탄성패드를 이루도록 적층된 고무 및 강판을 로딩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용 금형을 구성하는 가열장치에 의해 고무를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고무가 소정 온도 도달시, 가압하여 고무의 상하단부가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의 정착홈 내로 강제 압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와 탄성패드가 상호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고무받침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에 대한 표면 처리 단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고무받침 제조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부측에 상부웨지부재 마운트용 탑플레이트를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측에 하부웨지부재 마운트용 바텀플레이트를 체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고무받침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지진시 웨지부재가 일정한 힘에 의해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웨지부재 혹은 하부웨지부재에 노치홈 혹은 파단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고무받침 제조방법.
KR1020070118597A 2007-11-20 2007-11-20 교량용 고무받침 및 그 제조방법 KR100818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597A KR100818764B1 (ko) 2007-11-20 2007-11-20 교량용 고무받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597A KR100818764B1 (ko) 2007-11-20 2007-11-20 교량용 고무받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8764B1 true KR100818764B1 (ko) 2008-04-02

Family

ID=3953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597A KR100818764B1 (ko) 2007-11-20 2007-11-20 교량용 고무받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876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814B1 (ko) * 2009-01-06 2011-08-3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착탈형 면진장치
KR101105642B1 (ko) * 2011-06-30 2012-01-18 (주) 케이 이엔씨 일체형 교량받침
CN108951409A (zh) * 2018-09-27 2018-12-07 云南煤化工应用技术研究院 一种桥梁用的单向滑移盆式减震支座
KR20210100342A (ko) * 2020-02-06 2021-08-17 매크로드 주식회사 롤 오버 방지용 탄성받침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343253B1 (ko) 2021-06-07 2021-12-27 주식회사 비엠이앤씨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
KR102344018B1 (ko) * 2021-06-04 2021-12-28 신해찬 설비용 내진받침 및 이를 이용한 받침 설치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0079A (ko) * 2002-12-30 2004-07-06 유니슨 주식회사 교량용 다중 마찰포트받침
KR20040104157A (ko) * 2003-06-03 2004-12-10 주식회사 협성시스템 탄성교량받침
KR20050077563A (ko) * 2004-01-28 2005-08-03 배석동 에어포켓형 교량받침
KR100750340B1 (ko) * 2007-04-10 2007-08-17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량용 탄성받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0079A (ko) * 2002-12-30 2004-07-06 유니슨 주식회사 교량용 다중 마찰포트받침
KR20040104157A (ko) * 2003-06-03 2004-12-10 주식회사 협성시스템 탄성교량받침
KR20050077563A (ko) * 2004-01-28 2005-08-03 배석동 에어포켓형 교량받침
KR100750340B1 (ko) * 2007-04-10 2007-08-17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량용 탄성받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814B1 (ko) * 2009-01-06 2011-08-3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착탈형 면진장치
KR101105642B1 (ko) * 2011-06-30 2012-01-18 (주) 케이 이엔씨 일체형 교량받침
CN108951409A (zh) * 2018-09-27 2018-12-07 云南煤化工应用技术研究院 一种桥梁用的单向滑移盆式减震支座
KR20210100342A (ko) * 2020-02-06 2021-08-17 매크로드 주식회사 롤 오버 방지용 탄성받침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411496B1 (ko) 2020-02-06 2022-06-21 매크로드 주식회사 롤 오버 방지용 탄성받침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344018B1 (ko) * 2021-06-04 2021-12-28 신해찬 설비용 내진받침 및 이를 이용한 받침 설치 방법
KR20220164397A (ko) * 2021-06-04 2022-12-13 신해찬 설비용 내진받침 및 이를 이용한 받침 설치 방법
KR102587066B1 (ko) * 2021-06-04 2023-10-10 신해찬 설비용 내진받침 및 이를 이용한 받침 설치 방법
KR102343253B1 (ko) 2021-06-07 2021-12-27 주식회사 비엠이앤씨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8764B1 (ko) 교량용 고무받침 및 그 제조방법
JP5736316B2 (ja) 積層ゴム体の取付構造及び該取付構造を備える構造体
JP4040422B2 (ja) 既設支承装置の支承交換工法および支承装置
KR10120432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 증대 및 시공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
KR100888210B1 (ko) 교량받침용 전단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US4123815A (en) Fixed point elastomeric bridge bearing and bridge assembly
JPH1053386A (ja) エスカレータのステップ及び補強付加部材
KR20040084030A (ko) 핀이 구비된 면진베어링
KR101609837B1 (ko) 상하부힌지받침구조가 거더에 결합된 개선된 라멘교량 및 이를 이용한 개선된 라멘 교량의 시공방법
KR100939183B1 (ko) 지진시 수평강성을 갖는 개선된 일체형 탄성받침
KR100731788B1 (ko) 자석 키를 가진 일체형 탄성받침
KR200420377Y1 (ko) 교량의 수평 받침 장치
JP5152689B2 (ja) 橋脚とフーチングとの接合構造及び方法
JP3741975B2 (ja) 支持杭とフーチングとの接合構造
JP5152927B2 (ja) 橋梁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KR200443277Y1 (ko) 탄성받침
JP3581691B2 (ja) 構造物の水平力緩衝装置の取付け方法および取付け構造
JPH11190391A (ja) 積層ゴム支承構造
KR100866208B1 (ko) 바닥판 일체형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및 이를 이용하여 상부구조물을 시공방법
KR100742974B1 (ko) 교량의 내진보강용 전단저항장치와 그 설치 및 분리 방법
JP3581349B2 (ja) 構造物の水平力緩衝装置の取付け構造および据え付け方法
JP7389696B2 (ja) 床版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KR20160042849A (ko) 교량용 받침장치의 시공방법
KR102583618B1 (ko) 고무와 강판 간격 유지 및 제품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고무계열 교량받침
JP6364210B2 (ja) 橋脚の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