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066B1 - 설비용 내진받침 및 이를 이용한 받침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설비용 내진받침 및 이를 이용한 받침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066B1
KR102587066B1 KR1020210184824A KR20210184824A KR102587066B1 KR 102587066 B1 KR102587066 B1 KR 102587066B1 KR 1020210184824 A KR1020210184824 A KR 1020210184824A KR 20210184824 A KR20210184824 A KR 20210184824A KR 102587066 B1 KR102587066 B1 KR 102587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ismic
support
earthquake
stopper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4397A (ko
Inventor
신해찬
김태완
주진영
Original Assignee
신해찬
김태완
주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해찬, 김태완, 주진영 filed Critical 신해찬
Priority to KR1020210184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066B1/ko
Publication of KR20220164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65D90/14Legs, e.g. detachable
    • B65D90/146Detachable combined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22Safety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설비용 내진받침 및 이를 이용한 받침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용 내진받침은, 대상설비의 하면에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상부 플레이트부; 지지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부 플레이트부;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내진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설비용 내진받침 및 이를 이용한 받침 설치 방법{SEISMIC SUPPORT FOR EQUIPMENT AND SUPPORT INSTALL METHOD USING THE SAME}
본원은 설비용 내진받침 및 이를 이용한 받침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용 내진받침의 내진패드부에 적용되는 고무칩에는 폐타이어칩이 포함될 수 있어, 친환경성을 갖는 설비용 내진받침이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탱크는 소방에서 사용되는 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소방수 물탱크)으로 사용되거나, 식수, 세척수를 비롯한 생활용수를 저장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물탱크는 오염(습기로 인한 녹슬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과의 거리를 이격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물탱크는 바닥으로부터 이격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패드 상에 얹고 고정되도록 하였다(여기서 콘크리트 패드는 콘크리트블록, 줄패드, 기초패드, 기초부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이때, 물탱크의 측면 하단부와 콘크리트 패드의 상면을 고정앵글을 통해 연결하고, 고정앵글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물탱크를 콘크리트 패드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고정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물탱크는 콘크리트 패드와 일체화된 구조를 가지므로, 지진으로 작용되는 수평 하중, 물탱크 내부에서 작용되는 파압으로 인한 수평 하중 등과 같은 수평 하중에 대응하는 내진 설계에 취약한 문제점을 가졌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9298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패드(기초 패드)와 같은 지지부와 물탱크와 같은 대상설비 사이의 수평 하중 전달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하고 완충함으로써, 지진하중, 대상설비의 자체적 진동으로 인한 수평 하중, 대상설비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출렁임에 따른 수평 하중(파압) 등과 같은 수평 하중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대상설비 또는 지지부의 손상을 방지 또는 저감하기 위한 설비용 내진받침 및 이를 이용한 받침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용 내진받침에 있어서, 대상설비의 하면에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상부 플레이트부; 지지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부 플레이트부;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내진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로부터 하향 돌출되되, 상기 내진패드부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상부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상향 돌출되되, 상기 내진패드부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하부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스토퍼 및 상기 하부 스토퍼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상부 스토퍼 및 상기 하부 스토퍼 중 다른 하나인 내측 스토퍼보다 외측에 이동 제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외측 스토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제한 간격은, 상기 내진패드부의 허용 수평 변위 이하로 설정되고, 수평 외력 작용시, 상기 이동 제한 간격에 대응하는 수평 변위까지는 상기 내진패드부에 의해 단독으로 저항되고, 상기 이동 제한 간격을 초과하는 수평 변위부터는 상기 외측 스토퍼와 상기 내측 스토퍼의 접촉에 의한 변형 및 상기 내진패드부에 의한 변형의 조합에 의해 저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스토퍼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외측 핀 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스토퍼에는 상기 외측 핀 홀이 형성된 방향 및 위치에 대응하여 수평 방향을 따라 내측 핀 홀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핀 홀은, 그 형성 레벨이 상기 설비용 내진받침에 대하여 수직 하중이 작용되지 않은 수직 하중 무작용 상태에서, 상기 내측 핀 홀의 형성 레벨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핀 홀과 상기 내측 핀 홀은, 상기 수직 하중 무작용 상태에서, 상기 외측 핀 홀과 상기 내측 핀 홀을 동시에 가로지르도록 선형 핀 부재가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선형 핀 부재는, 상기 설비용 내진받침이 상기 대상설비와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상기 대상설비가 상기 설비용 내진받침 상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내진패드부가 상하 방향으로 탄성 압축되는 변형 발생시 파단되는 재질 및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진패드부는, 탄성재료에 의해 제공되는 제1 탄성층;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복수의 격자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격자형 보강재와 상기 격자 공간에 충진되는 탄성재료에 의해 제공되되, 상기 제1 탄성층 상에 적층되는 복합층; 탄성재료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복합층 상에 적층되는 제2 탄성층; 상기 제2 탄성층 상에 적층되는 판형 보강재; 및 탄성재료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판형 보강재 상에 적층되는 제3 탄성층을 포함하되, 상기 격자형 보강재는, 상기 격자 공간에 충진되는 탄성재료에 대하여 심부 구속 효과를 부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재료는 고무칩 및 상기 고무칩을 연결하는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층, 상기 복합층, 상기 제2 탄성층 및 상기 제3 탄성층은 탄성재료에 대한 열 및 압력 작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설비에 대한 내진받침 설치 방법은, (a) 상기 대상설비의 하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내진받침 중 외측 둘레에 설치되는 외측 내진받침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용 내진받침을 설치하여 외측 내진받침이 설치된 대상설비를 준비하고, 상기 대상설비의 하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내진받침 중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내진받침을 내측 지지부의 상면에 설치하여 내측 내진받침이 설치된 지지부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준비된 지지부 상에 상기 준비된 대상설비를 안착하고, 상기 외측 내진받침을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설비용 내진받침이 내진패드부를 포함함으로써, 지지부(예를 들면 콘크리트 패드)와 대상설비(예를 들면 물탱크) 사이의 수평 하중 전달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하고 완충함으로써, 지진하중, 대상설비의 진동으로 인한 수평 하중, 대상설비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출렁임에 따른 수평 하중(파압) 등과 같은 수평 하중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대상설비 또는 지지부의 손상을 방지 또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설비용 내진받침이 상부 스토퍼 및 하부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부 스토퍼 및 하부 스토퍼 사이에 이동 제한 간격을 두도록 설정됨으로써, 이동 제한 간격 이내로 발생되는 변위에 대응하는 수평 하중에 대해서는 내진패드부가 저항(대응)하고, 이동 제한 간격 이상으로 발생되는 변위에 대응하는 수평 하중에 대해서는 상부 스토퍼 및 하부 스토퍼의 상호 접촉 및 변형에 의한 저항이 추가될 수 있어, 작용되는 수평 하중의 크기에 따라 내진받침의 저항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내진패드부는 격자형 보강재의 격자 공간에 탄성재료가 충진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복합층을 포함함으로써, 격자 공간에 충진되는 탄성재료에 심부 구속 효과가 부여될 수 있어, 수평 하중에 대한 저항성뿐만 아니라 수직 하중에 대한 저항성 또한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내진패드부에 적용되는 탄성재료에 고무칩이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고무칩으로 폐타이어칩이 사용될 수 있어, 친환경성을 갖는 설비용 내진받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외측 스토퍼 및 내측 스토퍼에 대하여 수직 하중 무작용 상태에서 서로 선형적으로 통하는 외측 핀 홀 및 내측 핀 홀이 형성됨으로써, 형성되는 핀 홀에 대해 선형 핀 부재가 설치되어 설비용 내진받침을 설치하기 위한 이동시 대상설비의 하면에 고정된 상부 플레이트부에 대한 하부 플레이트부의 고정이 복잡한 고정 유닛 없이도 간편하게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대상설비의 자중(수직 하중) 작용으로 인해 내진패드부에 압축 변형 발생시 이러한 압축 변형과 연동하여 파단되는 재질로 구비됨으로써, 대상설비의 하면에 고정된 설비용 내진받침이 지지부 상에 안착됨에 따라 내진패드부가 상하 방향으로 압축될 때 선형 핀 부재가 파단되면서 상부 플레이트부에 대한 하부 플레이트부의 고정이 별도의 해제 작업 없이도 자동적으로 해제(해체)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용 내진받침의 개략적인 개념도(단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용 내진받침에 대상설비의 자중이 가해지기 이전의 상태(수직 하중 무작용 상태)와 대상설비의 자중이 가해진 이후의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개략적인 개념도(단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용 내진받침의 내진패드부의 개략적인 개념도(단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용 내진받침의 내진패드부의 구조 및 제작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용 내진받침의 격자형 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용 내진받침 중 대상설비 하면의 내측 영역에 설치되는 설비용 내진받침의 일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용 내진받침 중 대상설비 하면의 외측 둘레 영역에 설치되는 것과, 대상설비 하면의 내측 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설치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받침 설치 방법의 시공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용 내진받침(이하 '본 내진받침'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용 내진받침의 개략적인 개념도(단면도)이며,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용 내진받침에 대상설비의 자중이 가해지기 이전의 상태(수직 하중 무작용 상태)와 대상설비의 자중이 가해진 이후의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개략적인 개념도(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내진받침(100)은 상부 플레이트부(110) 및 하부 플레이트부(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부 플레이트부(110) 및 하부 플레이트부(120)에는 건설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받침 플레이트부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플레이트부(110)는 대상설비(300)의 하면에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111)를 포함한다. 여기서, 대상설비(300)는 내진설계가 요구되는 설비(예를 들면 수평 하중 작용에 취약한 민감한 설비), 설비 자체적으로 진동이나 수평 하중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설비와 같이 다양한 설비를 지칭하는 것으로 넓게 해석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대상설비(300)는 소방수 물탱크와 같은 물탱크(수조)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대상설비는 기름과 같은 물 이외의 유체가 저장된 유체탱크, 기계 작동에 따라 진동이 발생되는 기계설비, 건축물, 토목구조물 등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부 플레이트부(120)는 지지부(200)의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121)를 포함한다. 지지부(200)는 대상설비(300)를 지지하도록 지면이나 구조물 상에 구비되는 구조물이다. 예를 들어 지지부(200)는 매트기초콘크리트층 및 상기 매트기초콘크리트층의 상부에 배열 설치되는 콘크리트 블록(줄패드, 콘크리트 패드)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지지부(200)는 본 내진받침(100)에 대해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매트기초콘크리트층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콘크리트 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지지부(200)의 구현예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설비 지지 구조물 형태 또는 향후 개발된 다양한 설비 지지 구조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상부 플레이트(111) 및 하부 플레이트(121)는, 평면상의 형상이 사각형, 원형,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내진받침(100)은 상부 플레이트(111)와 하부 플레이트(121) 사이에 배치(개재)되는 내진패드부(140)를 포함한다. 내진패드부(140)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내진받침(100)은 하단에서부터 하부 플레이트부(120), 내진패드부(140) 및 상부 플레이트부(110) 순으로 배치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플레이트부(110)는, 상부 플레이트(111)로부터 하향 돌출되되, 내진패드부(140)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상부 스토퍼(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부(120)는 하부 플레이트(121)로부터 상향 돌출되되, 내진패드부(140)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하부 스토퍼(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스토퍼(112) 및 하부 스토퍼(122)는 수평 하중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고자 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쌍을 이루어 내진패드부(140)의 외측 둘레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부 스토퍼(112)와 하부 스토퍼(122)는 내진패드부(140)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내진패드부(140)가 원기둥 형태인 경우, 이러한 원기둥 형태의 내진패드부(140)의 둘레를 따라 상부 스토퍼(112)와 하부 스토퍼(122)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수평 하중이 작용되는 다양한 수평 방향에 대한 대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부 스토퍼(112)와 하부 스포터(122)는 내진패드부(14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쌍을 이루어 구비되되,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의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진패드부(140)가 육면체(사각기둥) 형상인 경우, 상부 스토퍼(112) 및 하부 스토퍼(122)는 육면체 형상의 내진패드부(140)의 4개 외측둘레면 각각에 대해 대응하도록 상부 스토퍼(112) 및 하부 스토퍼(122)가 각각 4개씩 배치(수평 방향 중 2개 방향 변위 발생에 대한 저항성 제공)되거나, 또는, 육면체의 내진패드부(140)의 4개의 내진패드부(140) 외측면 중 서로 반대를 향하는 2개 외측면 각각에 대해 대응하도록 상부 스토퍼(112) 및 하부 스토퍼(122)가 각각 2개씩 배치(수평 방향 중 1개 방향 변위 발생에 대한 저항성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내진패드부(140)가 원기둥 형태인 경우, 상부 스토퍼(112) 및 하부 스토퍼(122)가 내진패드부(1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부 스토퍼(112) 및 하부 스토퍼(122)는 수평 하중(외부에서 작용되는 수평 하중 또는 대상설비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한 수평 하중)에 대해서 저항하고자 하는 방향을 고려하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수평 방향 중 어느 일 방향에 대한 선택적인 저항만을 하고자 한다면, 그러한 일 방향에 대응하는 한 쌍의 상하부 스토퍼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상부 스토퍼(112)와 하부 스토퍼(122)는 소정(b) 이상의 수평 변위 발생시 서로 접촉될 수 있게, 수평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서로 일부 영역이 중첩될 수 있게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2의 (b)를 함께 참조하면, 하부 스토퍼(122)의 상향 돌출된 정도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설비(300)가 지지부(200) 상에 안착되면서 그 사이에 배치되는 본 설비용 내진받침(100)에 대상설비(300)의 최종 자중(예를 들어 대상설비가 액체탱크인 경우 그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의 최대 용량을 고려한 자중) 및 충격 하중을 포함하는 수직 하중이 가해지고, 그에 따라 본 설비용 내진받침(100)(주로 내진패드부(140))에 압축 변형이 발생하였을 때, 하부 스토퍼(122)의 상단이 상부 플레이트(111)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간격(w2)이 형성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부 스토퍼(112)의 하향 돌출된 정도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설비(300)가 지지부(200) 상에 안착되면서 그 사이에 배치되는 본 설비용 내진받침(100)에 대상설비(300)의 최종 자중(예를 들어 대상설비가 액체탱크인 경우 그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의 최대 용량을 고려한 자중) 및 충격 하중을 포함하는 수직 하중이 가해지고, 그에 따라 본 설비용 내진받침(100)(주로 내진패드부(140))에 압축 변형이 발생하였을 때, 상부 스토퍼(112)의 하단이 하부 플레이트(121)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간격(w1)이 형성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대상설비(300)가 물탱크인 경우, 본 내진받침(100)를 매개로 지지부(200) 상에 안착된 대상설비(300)에 수용 가능한 용수를 최대로 수용(저장)한 상태에서 소정의 외력이나 자체적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본 내진받침(100)의 상부 스토퍼(112)가 하부 플레이트(121)에 간섭되지 않는 간격(w1)을 형성하도록 하향 돌출되고, 하부 스토퍼(122)가 상부 플레이트(111)와 간섭되지 않는 간격(w2)을 형성하도록 상향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스토퍼(112) 및 하부 스토퍼(122) 중 어느 하나는, 상부 스토퍼(112) 및 하부 스토퍼(122) 중 다른 하나인 내측 스토퍼보다 외측에 이동 제한 간격(b)을 두고 배치되는 외측 스토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외측 스토퍼는 상부 스토퍼(112)이고, 내측 스토퍼는 하부 스토퍼(122)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반대의 예로, 외측 스토퍼는 하부 스토퍼(122)이고, 내측 스토퍼는 상부 스토퍼(112)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부 스토퍼(112)가 외측 스토퍼인 것으로 예시하여 외측 스토퍼에도 상부 스토퍼(112)와 동일한 도면부호인 112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하부 스토퍼(122)가 내측 스토퍼인 것으로 예시하여 내측 스토퍼에도 하부 스토퍼(122)와 동일한 도면부호인 122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 제한 간격(b)은, 내진패드부(140)의 허용 수평 변위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허용 수평 변위는 내진패드부(140)가 커버할 수 있는 최대 수평 하중에 대응하는 최대 수평 변위에 소정의 안전율을 고려한 수평 변위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허용 수평 변위는 최대 수평 변위일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수평 외력 작용시, 이동 제한 간격(b)에 대응하는 수평 변위까지는 내진패드부(140)에 의해 단독으로 저항(1차 저항)되고, 이동 제한 간격(b)을 초과하는 수평 변위부터는 외측 스토퍼(112)와 내측 스토퍼(122)의 접촉에 의한 변형 및 내진패드부(140)에 의한 변형의 조합에 의해 저항(2차 저항)될 수 있다.
수평 외력은, 예시적으로, 지진에 의한 수평 하중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수평 외력은 물탱크와 같은 액체탱크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출렁임(파압)에 의한 수평 하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평 외력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하중(예를 들어, 부딪힘에 의한 충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평 외력은 대상설비 자체적인 특성에 따라 발생되는 기계진동 등과 같은 자체적 진동에 따른 수평 하중까지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평 외력은 대상설비가 배치된 영역에서 고려될 수 있는 다양한 수평 하중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내진받침(100)은 수평 외력(수평 하중) 작용 시, 이동 제한 간격(b)보다 작은 변위 발생을 유발하는 수평 외력(제1 수평 외력)에 대해서는 내진패드부(140)에 의해 1차적으로 저항될 수 있다. 이러한 1차 저항은 내진패드부(140)에 포함된 탄성재료에 의한 탄성적인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내진받침(100)은 수평 외력(수평 하중) 작용 시, 이동 제한 간격(b) 이상의 변위 발생을 유발하는 수평 외력(제1 수평 외력보다 큰 제2 수평 외력)에 대해서는 이동 제한 간격(b)까지는 내진패드부(140)에 의해 1차적으로 저항되고, 외측 스토퍼(112, 상부 스토퍼)와 내측 스토퍼(122, 하부 스토퍼)가 접촉되기 시작하는 이동 제한 간격(b) 이상의 변위 발생 부분에 대해서는 외측 스토퍼(112)와 내측 스토퍼(122)의 접촉 이후 변형에 의해 2차적인 저항이 부가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내측 스토퍼(122)는 내진패드부(140)로부터 이동 제한 간격(b) 이상의 값으로 설정되는 간격(a)을 두고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동 제한 간격(b) 이상의 수평 변위가 발생할 때, 내측 스토퍼(122)와 외측 스토퍼(112)가 접촉되어 2차적인 저항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내진패드부(140)가 내측 스토퍼(122)와 먼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 a(내측 스토퍼와 내진패드부 사이의 간격)는 내진패드부(140)의 허용 수평 변위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의 (a)를 참조하면, 본 내진받침(100)이 대상설비(300)의 하면에 설치된 상태로 대상설비(300)를 운반할 때, 본 내진받침(100)에는 수직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대상설비의 하면 중 본 내진받침(100)이 설치되지 않은 위치를 지지하고 본 내진받침(100)은 미지지하는 상태(수직 하중 무작용 상태)로 대상설비가 운반될 수 있다. 이렇게 본 내진받침(100)이 미지지된 상태로 대상설비가 운반되는 경우, 본 내진받침(100)의 하부 플레이트부(120) 또는 내진패드부(140)가 그 자중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대상설비의 하면에 고정된 상부 플레이트부(110)로부터 분리(이탈 또는 낙하)될 가능성(곤란성)이 있다.
이러한 곤란성 해결을 위해, 도 2를 참조하면, 외측 스토퍼(112)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외측 핀 홀(112a)이 형성되고, 내측 스토퍼(122)에는 외측 핀 홀(112a)이 형성된 방향 및 위치에 대응하여 수평 방향을 따라 내측 핀 홀(12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a)를 참조하면, 외측 핀 홀(112a)은 그 형성 레벨(높이)이 본 내진받침(100)에 대하여 수직 하중이 작용되지 않은 수직 하중 무작용 상태에서, 내측 핀 홀(122a)의 형성 레벨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하중 무작용 상태라는 것은, 수직 하중을 외부에서 작용되는 하중으로 고려한 것으로서, 본 내진받침(100)의 자체적인 자중 중 적어도 일부가 작용되는 것까지는 수직 하중 무작용 상태로 보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2의 (a)를 참조하면, 외측 핀 홀(112a) 및 내측 핀 홀(122a)은 수직 하중 무작용 상태에서, 외측 핀 홀(112a)과 내측 핀 홀(122a)을 동시에 가로지르게 선형 핀 부재(1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상설비(300)의 하면에 설치된 본 내진받침(100)이 미지지된 상태로 대상설비가 운반되는 경우를 수직 하중 무작용 상태의 일 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 하중 무작용 상태에서 외측 핀 홀의 형성 레벨(높이)이 내측핀 홀의 형성 레벨과 일치하도록 설정함(도 2의 (a) 참조)으로써,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후 대상설비(300)가 지지부(200)에 안착되면서 대상설비(300)와 지지부(200) 사이에 개재된 본 내진받침(100)에 수직 하중이 작용될 때 내진패드부(140) 등의 압축 변형에 의해 외측 핀 홀의 형성 레벨(높이)이 내측핀 홀의 형성 레벨과 불일치하게(어긋나게) 되면서, 선형 핀 부재(130)의 파단이 자연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형 핀 부재(130)에 대한 별도의 체결 해제나 해체(분리) 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핀 파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체결이 해제되므로 작업(시공)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선형 핀 부재(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호 대응하여 쌍을 이루는 외측 핀 홀(112a)과 내측 핀 홀(122a)은, 내진패드부(140)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2쌍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외측 핀 홀과 내측 핀 홀 쌍이 2쌍 이상 형성되는 쌍의 개수와 각 쌍이 형성되는 위치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내진받침(100)이 미지지된 상태(수직 하중 무작용 상태)로 본 내진받침(100)이 설치된 대상설비(300)가 운반될 때, 하부 플레이트부(120) 또는 내진패드부(140)가 그 자중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대상설비의 하면에 고정된 상부 플레이트부(110)로부터 분리(이탈 또는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하부 플레이트부(120) 또는 내진패드부(140)가 상부 플레이트부(110)에 대하여 매달림 유지될 수 있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외측 핀 홀(112a)과 내측 핀 홀(122a)의 쌍은 내진패드부(14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형태로 2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같은 핀 홀에 대한 핀 체결 방식의 경우, 하부 플레이트부(120) 또는 내진패드부(140)가 선형 핀 부재(130)를 통해 상부 플레이트부(110)에 대하여 매달림 유지되는 동안, 하부 플레이트부(120)의 자중과 내진패드부(140)의 자중 중 적어도 일부가 선형 핀 부재(130)에 작용됨으로써, 선형 핀 부재(130)가 핀 홀(112a, 122a)의 내주에 더욱 밀착되면서 선형 핀 부재(130)가 핀 홀(112a, 122a)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마찰력이 더욱 높여질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별도의 부가 구성이 생략되거나 보다 간소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형 핀 부재(130)의 외주(핀 홀의 내면과 맞닿는 바깥 둘레)에는 이탈 방지용 접착제 등이 적어도 일부 영역에 도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선형 핀 부재(130)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는 이탈 방지용 헤드부(확장부)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선형 핀 부재(130)는 내진패드부(140)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2개소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선형 핀 부재는 내진패드부(140)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3개소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선형 핀 부재(130)는 수평 방향 중 일 방향(종 방향)에 대하여 2개소, 상기 일 방향(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횡 방향)에 대하여 2개소, 이렇게 총 4개소에 대하여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선행 핀 부재(130)의 설치 위치, 다시 말해, 외측 핀 홀(112a)과 그에 대응하는 내측 핀 홀(122a)의 형성 위치는, 하부 플레이트부(120) 또는 내진패드부(140)가 상부 플레이트부(110)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매달림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개소 및 위치, 대상설비 운반 여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외측 핀 홀(112a) 및 내측 핀 홀(122a)은 선형 핀 부재(130)가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외측 핀 홀(112a) 및 내측 핀 홀(122a)은 선형 핀 부재(130)의 폭(예를 들면 직경)에 대응하는 홀 크기로 형성되거나, 그보다 제작오차 등을 고려한 소정의 여유치를 갖도록 확장된 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선형 핀 부재(130)는 본 내진받침(100)이 대상설비(300)와 지지부(200)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대상설비가 본 내진받침을 매개로 지지부에 지지되는 형태)로 대상설비(300)가 본 내진받침(100) 상에 안착됨에 따라 내진패드부(140)가 상하 방향(도 1 및 도 2 기준 12시-6시 방향)으로 탄성 압축되는 변형 발생시 파단되는 재질 및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형 핀 부재(130)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상설비(300)가 지지부(200)에 대하여 안착될 때 가해지는 전단응력에 의해 파단될 수 있는 다양한 취성 재료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본 내진받침(100)이 미지지된 수직 하중 미작용 상태로 대상설비(300)가 운반될 때, 선형 핀 부재(130)는 외측 핀 홀과 내측 핀 홀을 가로지른 상태로 배치되어, 하부 플레이트부(120) 또는 내진패드부(140)가 그 자중 또는 대상설비(300) 운반 중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대상설비(300)의 하면에 고정된 상부 플레이트부(110)로부터 하부 플레이트부(120) 또는 내진패드부(140)가 분리(이탈 또는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b)를 참조하면, 선행 핀 부재(130)는, 본 내진받침(100)을 매개로 대상설비(300)가 지지부(200) 상에 안착될 때(본 내진받침이 대상설비와 지지부 사이에 개재될 때), 내진패드부(140)가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면서 파단됨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부(110) 및 하부 플레이트부(120)의 고정이 해제(제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선형 핀 부재(130)는 대상설비(300)가 본 내진받침(100) 상에 안착되면서 본 내진받침(100)에 대상설비(300)의 자중을 수직 하중으로서 가하기 이전인, 본 내진받침(100)이 수직 하중 무작용 상태로 대상설비(300)의 하면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파단이 발생되지 않는 정도의 강도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선형 핀 부재(130)는 하부 플레이트부(120) 및 내진패드부(140)가 선형 핀 부재(130)를 통해 상부 플레이트부(110)에 매달림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 플레이트부(120)의 자중과 내진패드부(140)의 자중에 의해 작용되는 전단력에 의해서는 파단되지 않는 강도를 갖는 재질 또는 규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용 내진받침의 내진패드부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며,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용 내진받침의 내진패드부의 구조 및 제작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내진패드부(140)는, 제1 탄성층(141), 복합층(142), 제2 탄성층(143), 판형 보강재(144) 및 제3 탄성층(14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탄성층(141), 복합층(142), 제2 탄성층(143), 판형 보강재(144) 및 제3 탄성층(145) 각각의 평면상의 윤곽(형상)이나 규격은 상호 대응(일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진패드부(140)는 4개의 외측면을 갖는 사각형 기둥(육면체) 형태, 원 기둥 형태,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기둥 형태 등과 같이, 대상설비와 그 주변 여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제1 탄성층(141)은 탄성재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탄성층(141)이 형성될 평면상의 윤곽에 대응하는 공간을 갖는 몰드에 탄성재료를 충진한 다음 열과 압력을 가하는 형태로 제1 탄성층(141)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재료는 고무칩 및 고무칩을 연결하는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무칩은 예를 들면, 폐타이어칩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친환경적인 내진패드부(140)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고무칩은 합성 고무칩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고무칩(이를 테면 폐타이어칩)은 1 mm 내지 2 mm의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고무칩의 크기 또는 재질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무칩의 종류나 본 내진받침(100)이 적용되는 여건(조건)에 따라 보다 적합한 탄성 거동이 이루어지나 상호 보다 밀착될 수 있는 크기 또는 재질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탄성재료에 포함되는 바인더는 우레탄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무칩을 연결, 부착시키도록 하는 다양한 재질을 포함하는 바인더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복합층(142)은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복수의 격자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격자형 보강재(142a)와 격자 공간에 충진되는 탄성재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복합층(142)은 몰드 내부에 격자형 보강재(142a)와 탄성재료를 배치한 다음 열과 압력을 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합층(142)이 형성될 평면상의 윤곽에 대응하는 공간을 갖는 몰드에 격자형 보강재(142a)를 배치하고 탄성재료를 충진한 다음 열과 압력을 가하는 형태로 복합층(142)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몰드에 탄성재료를 복합층(142)에 대응하는 양 뿐만 아니라 제2 탄성층(143)에 대응하는 양까지 충진한 다음 열과 압력을 가하면 복합층(142)과 제2 탄성층(143)이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합층(142)에 포함되는 탄성재료와 제2 탄성층(143)에 포함되는 탄성재료는 동일한 탄성재료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탄성재료는 고무칩 및 고무칩을 연결하는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형 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예를 들어,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격자형 보강재(142a)는, 하단에 상향 함몰되게 홈이 형성된 부재(하단이 일부 절개된 부재)와 상단에 하향 함몰되게 홈이 형성된 부재(상단이 일부 절개된 부재)가 홈끼리 끼워지는 형태로 서로 맞물림 연결(홈 끼움 맞춤)되면서 교차되는 구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단에 상향 함몰되게 홈이 형성된 부재에는 홈이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상단에 하향 함몰되게 홈이 형성된 부재에도 홈이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다수의 홈이 형성된 부재들이 상호 교차되게 조립됨으로써, 다수의 중공형 격자 공간이 형성된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격자형 보강재(142a)는 내진패드부(140)의 평면 영역에 대응하거나 포함되는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격자형 보강재(142a)는 탄성재료와 격자형 보강재(142a)를 포함하는 복합층(142)의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몰드 내에 배치될 수 있는 규격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격자형 보강재(142a)는 금속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격자형 보강재(142a)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연도금과 같은 방식 처리를 포함하는 강재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격자형 보강재(142a)는 격자 공간에 충진되는 탄성재료에 대하여 심부 구속 효과를 부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격자형 보강재(142a)가 형성하는 복수의 격자 공간에 탄성재료가 충진됨으로써 각각의 격자 공간에 충진된 탄성재료를 격자형 보강부재(142a)의 격벽이 둘러싸게 되어 격자 공간에 충진된 탄성재료에 심부 구속 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 즉, 본 내진받침(100)에 수직 방향으로의 하중이 작용될 때, 각 격자 공간에 충진된 탄성재료의 수평 변형을 구속하는 심부 구속 효과가 발휘됨으로써, 수직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보다 높여줄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의 (d)를 참조하면, 복합층(142)은 제1 탄성층(141) 상에 적층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복합층(142)은 제1 탄성층(141) 상에 적층되기 전에 별도의 몰드에서 미리 제조된 다음 제1 탄성층(141) 상에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별도의 몰드에서 복합층(142)과 제2 탄성층(143)이 함께 미리 제조된 다음 제1 탄성층(141) 상에 복합층(142)과 제2 탄성층(143)이 함께 적층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탄성재료에 의해 제공되는 제2 탄성층(143)은 복합층(142)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제2 탄성층(143)에 적용되는 탄성재료는 제1 탄성층(141)에 적용되는 탄성재료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탄성층(143)은 그 아래에 형성되는 복합층(142)과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몰드 내부에 격자형 보강재(142a)를 배치하고 복합층(142)과 제2 탄성층(143)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분량의 탄성재료를 배치한 다음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복합층(142)과 제2 탄성층(143)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 탄성층(143)의 형성 방식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합층(142)과는 별도로 제2의 탄성층(143)을 제조하여 복합층(142) 상에 적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 도 4의 (c) 및 도 4의 (d)를 참조하면, 제2 탄성층(143) 상에 판형 보강재(144)가 적층될 수 있다. 또한, 판형 보강재(144)는 격자형 보강재(142a)와 동일 내지 유사한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판형 보강재(144)는 아연도금과 같은 방식 처리를 포함하는 강재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판형 보강재(144)는 내진패드부(140)의 평면상의 윤곽 형상(크기)와 대응되는 윤곽 형상(크기)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 도 4의 (c) 및 도 4의 (d)를 참조하면, 제3 탄성층(145)은 판형 보강재(144) 상에 적층되며, 탄성재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3 탄성층(145) 또한 몰드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3 탄성층(145)은 몰드 내부에 판형 보강재(144)를 하부에 배치한 다음 그 위에 탄성재료를 배치하고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제3 탄성층(145) 및 판형 보강재(144)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다만, 판형 보강재(144)와 제3 탄성층(145)의 형성 방식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3 탄성층(145)은 판형 보강재(144)와는 별도로 제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판형 보강재(144)와 제3 탄성층(145) 사이에는 바인더가 도포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d)를 참조하면, 판형 보강재(144) 및 제3 탄성층(145)은 복합층(142)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진패드부(140)의 제1 탄성층(141), 복합층(142), 제2 탄성층(143) 및 제3 탄성층(145)은 탄성재료에 대한 열 및 압력 작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제1 탄성층(141)을 제1 몰드에서 제조하고, 복합층(142)과 제2 탄성층(143)을 제2 몰드에서 함께 제조하고, 판형 보강재(144)와 제3 탄성층(145)을 제3 몰드에서 함께 제조한 다음, 하나의 몰드에 도 4에 도시된 순서에 따라 모두 적층한 후 재차 열 및 압력을 가함으로써, 내진패드부(140)가 제조될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몰드에 모두를 적층할 때, 각각 별도로 제조된 층들 사이에는 상호 연결성을 높이기 위해 바인더가 도포 또는 주입될 수 있다. 다만, 내진패드부(140)의 제조 방식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로, 제조 여건 등을 고려하여 제1 탄성층(141), 복합층(142), 제2 탄성층(143), 판형 보강재(144) 및 제3 탄성층(14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하나의 몰드에서 함께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용 내진받침을 이용한 받침 설치 방법(이하 '본 설치 방법'이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설치 방법은 전술한 본 내진받침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을 공유하는 것으로서, 본 내진받침(100)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용 내진받침 중 대상설비 하면의 내측 영역에 설치되는 설비용 내진받침의 일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며,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용 내진받침 중 대상설비 하면의 외측 둘레 영역에 설치되는 것과, 대상설비 하면의 내측 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설치 평면도이다. 또한,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받침 설치 방법의 시공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및 도 8a를 참조하면, 본 설치 방법은, 대상설비(300)의 하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내진받침 중 외측 둘레에 설치되는 외측 내진받침(100a)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내진받침(100)을 설치하여 외측 내진받침(100a)이 설치된 대상설비(300)를 준비하고, 대상설비(300)의 하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내진받침 중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내진받침(100b)을 내측 지지부(200)의 상면에 설치하여 내측 내진받침(100b)(도 7에서 점선 표시된 영역 내부에 위치한 내진받침)이 설치된 지지부(200)를 준비하는 단계(S11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측 및 내측은, 도 7을 참조하면, 본 내진받침(100)이 설치되는 공간에 대하여 둘레를 형성하는 부분, 다시 말해 대상설비의 하면에 배열되는 복수의 받침들 중 외측 둘레에 배열되는 부분을 외측이라 하며, 상기 외측의 내부(도 7에서 점선 표시된 영역의 내측)를 내측이라 할 수 있다.
외측 내진받침(100a)은 상부 플레이트부(110), 내진패드부(140) 및 하부 플레이트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내진받침(100a)은 상부 스토퍼(112)와 하부 스토퍼(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내진받침(100a)은 상부 핀 홀(112a)과 하부 핀 홀(122a)과 선형 핀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내측 내진받침(100b)은 상부 스토퍼(112)와 하부 스토퍼(122)를 미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내진받침(100b)은 상부 핀 홀(112a)과 하부 핀 홀(122a)과 선형 핀 부재(130)를 미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내진받침(100b)은 필요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부(110)를 미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내측 내진받침(100b)의 내진패드부(140)의 높이는 외측 내진받침(100a)의 내진패드부(140)의 높이보다 높게(예를 들면, 생략된 상부 플레이트부의 높이를 고려한 높이)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른 예로, 내측 내진받침(100b)이 도면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상부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외측 내진받침(100a)은 대상설비(300)의 하면에 설치(고정)된 상태로 준비될 수 있고, 내측 내진받침(100b)은 대상설비(300)가 아니라 지지부(200)에 설치(고정)된 상태로 준비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대상설비(300)가 본 설비용 내진받침(100a, 100b)을 매개로 지지부(200)에 안착되고 나면, 콘크리트패드, 콘크리트기둥 등과 같은 돌출부(210)의 높이(예를 들면 50 cm)에 따라 내측 내진받침(100b)으로의 작업자의 접근이 다소 어려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 내진받침(100b)은 상부 스토퍼(112)와 하부 스토퍼(122)를 미포함한 상태로 지지부(200)의 돌출부(210) 상에 고정시켜 두고, 대상설비(300)에 대해서 내측 내진받침(100b)을 고정하는 작업은 생략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8b를 참조하면, 대상설비(300)가 본 설비용 내진받침(100a, 100b)을 매개로 지지부(200)에 안착되고 난 다음에도, 외측 둘레측에 위치한 외측 내진받침(100b)에는 작업자가 접근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 내진받침(100a)은 상부 스토퍼(112)와 하부 스토퍼(122)를 포함한 상태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대상설비(300)의 하면에 고정시켜 두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설비(300)가 본 설비용 내진받침(100a, 100b)을 매개로 지지부(200) 상에 안착되고 나면 외측 내진받침(100a)을 지지부(200)의 돌출부(210)에 대하여 볼트 등의 고정 유닛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110단계는 대상설비(300)의 하면에 외측 내진받침(100a)을 설치하는 단계(S111 단계)와 지지부(200)의 상면(예를 들면 돌출부의 상면)에 내측 내진받침(100b)을 설치하는 단계(S11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데, S111 단계는 S112 단계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고, S112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S112 단계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S111 단계에서 대상설비(300)에 대한 외측 내진받침(100a)의 고정과, 상기 S112 단계에서 지지부(200)에 대한 내측 내진받침(100b)의 고정은, 도면에서는 그 구체적인 도시가 생략되었으나,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고정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설치 방법은 내측 내진받침(100b)이 설치되어 준비된 지지부(200) 상에 외측 내진받침(100a)이 설치되어 준비된 대상설비(300)를 안착하고, 외측 내진받침(100a)을 지지부(200)에 대하여 고정하는 단계(S12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S110 단계에서, 외측 내진받침(100a)이 대상설비(300)의 하면에 설치된 상태로 대상설비(300)를 운반할 때, 이를 적재하여 운반하는 운반체(이동체)는, 외측 내진받침(100a)에 수직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수직 하중 무작용 상태)로 대상설비가 운반될 수 있도록, 대상설비의 하면 중 외측 내진받침(100a)이 설치되지 않은 하면 영역만을 지지하는 상태로 대상설비(300)가 운반체에 대하여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운반체에는 외측 내진받침(100a)의 두께보다 두꺼운 H 빔과 같은 지지부재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그러한 지지부재 상에 대상설비(300)가 배치되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는 대상설비(300)의 하면 중 외측 내진받침(100a)이 설치되지 않은 하면 영역을 지지하도록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대상설비(300)의 운반 중에 외측 내진받침(100a)에 수직 하중이 가해지지 않아 외측 내진받침(100a)에 설치된 선형 핀 부재(130)가 파단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부 플레이트부(110)로부터 하부 플레이트부(120) 및 내진패드부(140)가 분리(이탈 또는 낙하)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8b를 참조하면, S120 단계에서, 외측 내진받침(100a)이 하면에 설치된 대상설비(300)가 내측 내진받침(100b)이 상면에 설치된 지지부(200)에 대해 안착되면서 대상설비(300)의 수직 하중이 외측 내진받침(100a)에 비로소 작용되며, 외측 내진받침(100a)이 수직 압축되면서 내진패드부(140) 등의 형상이 압축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 내진받침(100a)의 외측 핀 홀과 내측 핀 홀 간의 레벨(높이)이 어긋나게 되면서 선형 핀 부재(130)가 파단되어 선형 핀 부재(130)에 의한 고정이 별도의 고정 해제 작업 없이도 자동적으로 해제될 수 있어, 시공(작업) 용이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대상설비(300)가 본 설비용 내진받침(100a, 100b)을 매개로 지지부(200) 상에 안착되고 나면, 작업자가 접근 가능한 외측 둘레 영역에 위치한 외측 내진받침(100a)을 지지부(200)의 돌출부(210)에 대하여 볼트 등의 고정 유닛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설비용 내진받침
100a: 외측 내진받침
100b: 내측 내진받침
110: 상부 플레이트부
111: 상부 플레이트
112: 상부 스토퍼(예를 들면, 외측 스토퍼)
112a: 상부 핀 홀(예를 들면, 외측 핀 홀)
120: 하부 플레이트부
121: 하부 플레이트
122: 하부 스토퍼(예를 들면, 내측 스토퍼)
122a: 하부 핀 홀(예를 들면, 내측 핀 홀)
130: 선형 핀 부재
140: 내진패드부
141: 제1 탄성층
142: 복합층
142a: 격자형 보강재
143: 제2 탄성층
144: 판형 보강재
145: 제3 탄성층
200: 지지부
210: 돌출부
300: 대상설비

Claims (6)

  1. 설비용 내진받침에 있어서,
    대상설비의 하면에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상부 플레이트부;
    지지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부 플레이트부;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내진패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진패드부는,
    탄성재료에 의해 제공되는 제1 탄성층;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복수의 격자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격자형 보강재와 상기 격자 공간에 충진되는 탄성재료에 의해 제공되되, 상기 제1 탄성층 상에 적층되는 복합층;
    탄성재료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복합층 상에 적층되는 제2 탄성층;
    상기 제2 탄성층 상에 적층되고 금속 재질로 구비되는 판형 보강재; 및
    탄성재료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판형 보강재 상에 적층되는 제3 탄성층을 포함하되,
    상기 격자형 보강재는, 상기 복수의 격자 공간 각각에 충진되는 탄성재료에 대하여 수평 변형을 구속하는 심부 구속 효과를 부여하도록 금속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탄성재료는 고무칩 및 상기 고무칩을 연결하는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층, 상기 복합층, 상기 제2 탄성층 및 상기 제3 탄성층은 탄성재료에 대한 열 및 압력 작용에 의해 제공되되,
    상기 복합층과 상기 제2 탄성층은, 동일한 몰드 내부에 상기 격자형 보강재를 배치하고 상기 복합층과 상기 제2 탄성층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양의 탄성재료를 배치한 다음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복합층의 격자 공간에 충진되는 탄성재료와 상기 제2 탄성층을 형성하는 탄성재료가 동일한 탄성재료로서 상호 연결성을 가지도록 제공되는 것인, 설비용 내진받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로부터 하향 돌출되되, 상기 내진패드부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상부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상향 돌출되되, 상기 내진패드부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하부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스토퍼 및 상기 하부 스토퍼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상부 스토퍼 및 상기 하부 스토퍼 중 다른 하나인 내측 스토퍼보다 외측에 이동 제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외측 스토퍼인 것인, 설비용 내진받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한 간격은, 상기 내진패드부의 허용 수평 변위 이하로 설정되고,
    수평 외력 작용시, 상기 이동 제한 간격에 대응하는 수평 변위까지는 상기 내진패드부에 의해 단독으로 저항되고, 상기 이동 제한 간격을 초과하는 수평 변위부터는 상기 외측 스토퍼와 상기 내측 스토퍼의 접촉에 의한 변형 및 상기 내진패드부에 의한 변형의 조합에 의해 저항되는 것인, 설비용 내진받침.
  4. 삭제
  5. 삭제
  6. 대상설비에 대한 내진받침 설치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대상설비의 하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내진받침 중 외측 둘레에 설치되는 외측 내진받침을 설치하여 외측 내진받침이 설치된 대상설비를 준비하고, 상기 대상설비의 하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내진받침 중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내진받침을 내측 지지부의 상면에 설치하여 내측 내진받침이 설치된 지지부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준비된 지지부 상에 상기 준비된 대상설비를 안착하고, 상기 외측 내진받침을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 내진받침은 제1항에 따른 설비용 내진받침이고,
    상기 내측 내진받침은 제1항에 따른 설비용 내진받침이거나, 또는 다른 설비용 내진받침인 것인, 대상설비에 대한 내진받침 설치 방법.
KR1020210184824A 2021-06-04 2021-12-22 설비용 내진받침 및 이를 이용한 받침 설치 방법 KR102587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824A KR102587066B1 (ko) 2021-06-04 2021-12-22 설비용 내진받침 및 이를 이용한 받침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808A KR102344018B1 (ko) 2021-06-04 2021-06-04 설비용 내진받침 및 이를 이용한 받침 설치 방법
KR1020210184824A KR102587066B1 (ko) 2021-06-04 2021-12-22 설비용 내진받침 및 이를 이용한 받침 설치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808A Division KR102344018B1 (ko) 2021-06-04 2021-06-04 설비용 내진받침 및 이를 이용한 받침 설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397A KR20220164397A (ko) 2022-12-13
KR102587066B1 true KR102587066B1 (ko) 2023-10-10

Family

ID=791779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808A KR102344018B1 (ko) 2021-06-04 2021-06-04 설비용 내진받침 및 이를 이용한 받침 설치 방법
KR1020210184824A KR102587066B1 (ko) 2021-06-04 2021-12-22 설비용 내진받침 및 이를 이용한 받침 설치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808A KR102344018B1 (ko) 2021-06-04 2021-06-04 설비용 내진받침 및 이를 이용한 받침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440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129Y1 (ko) 2005-08-30 2006-01-25 주식회사 케이.알 면진교량받침의 가이드구조
KR100818764B1 (ko) * 2007-11-20 2008-04-02 협성실업 주식회사 교량용 고무받침 및 그 제조방법
KR101521774B1 (ko) 2015-04-03 2015-05-21 주식회사 문창 내진장치를 구비한 물탱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7772B2 (ja) * 1995-12-25 2005-03-09 株式会社ジオトップ 免震基礎構造
JPH10280482A (ja) * 1997-04-08 1998-10-20 Hitachi Constr Mach Co Ltd 運転室付き作業機
KR101191307B1 (ko) * 2011-02-17 2012-10-16 주식회사 케이씨씨 폴리우레탄 바인더, 이를 포함하는 고무칩 혼합 조성물 및 탄성 바닥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129Y1 (ko) 2005-08-30 2006-01-25 주식회사 케이.알 면진교량받침의 가이드구조
KR100818764B1 (ko) * 2007-11-20 2008-04-02 협성실업 주식회사 교량용 고무받침 및 그 제조방법
KR101521774B1 (ko) 2015-04-03 2015-05-21 주식회사 문창 내진장치를 구비한 물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397A (ko) 2022-12-13
KR102344018B1 (ko) 202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7499B2 (en) Precast segment, stacking structure and energy dissipation column thereof
WO2014193328A1 (en)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elastomer-based earthquake isolator with rigid polyurethane core
JP6920049B2 (ja) 免震建物
EP0816571A1 (en) Foundation
US8696250B2 (en) Backfill system for retaining wall
EP1319759B1 (en) Modular anti-seismic protection array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rvation of buildings and the like
KR101739234B1 (ko) 내진 성능을 갖는 복합말뚝
KR102587066B1 (ko) 설비용 내진받침 및 이를 이용한 받침 설치 방법
KR101301143B1 (ko) 필로티 구조물의 내진보강구조
KR20090090469A (ko) 복층 건물의 필로티 보강 구조체
US9222276B2 (en) Seismic isolation system
KR101781544B1 (ko) 프리스트레스트 빔을 이용하는 내진 구조의 라멘 교량
US5660007A (en) Stiffness decoupler for base isolation of structures
US20100005754A1 (en) Seismic Isolation to Protect Buildings
KR102188355B1 (ko) 기둥의 하부에 장착되는 내진용 진동흡수장치
KR102400909B1 (ko) 삼축 래티스거더형 말뚝에서 적용하는 면진장치
JP2009235784A (ja) 地下貯水設備
KR101905886B1 (ko) 진동 감쇄 특성이 증대된 프리스트레스트 빔을 이용하는 내진 구조의 라멘 교량
JP5396196B2 (ja) 建物
JP5829938B2 (ja) 地下貯留槽
JP5551943B2 (ja) 地盤改良体を用いた基礎構造
JP6834206B2 (ja) 建物の補強構造
KR101385155B1 (ko) 콘크리트 전단키를 이용한 진동 제어를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6749081B2 (ja) 制振構造
KR101337125B1 (ko) 내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