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618B1 - 고무와 강판 간격 유지 및 제품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고무계열 교량받침 - Google Patents

고무와 강판 간격 유지 및 제품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고무계열 교량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618B1
KR102583618B1 KR1020230034311A KR20230034311A KR102583618B1 KR 102583618 B1 KR102583618 B1 KR 102583618B1 KR 1020230034311 A KR1020230034311 A KR 1020230034311A KR 20230034311 A KR20230034311 A KR 20230034311A KR 102583618 B1 KR102583618 B1 KR 102583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rubber
anchor bolt
plate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4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철
조영선
신상원
Original Assignee
대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경산업(주) filed Critical 대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230034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8Bearings being adjustable once installed; Bearings used in incremental launc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상판에 결합하는 상측 플레이트와, 상기 상측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탄성패드와, 상기 탄성패드의 하측에 결합하며,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에 고정 결합되는 하측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탄성패드는, 다수의 탄성 고무판과 다수의 내부보강 강판이 번갈아 가면서 적층된 후 고온, 고압의 압축기를 통해 제작되며, 상기 탄성 고무판의 내측에는 다수의 탄성수단 삽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수단 삽입홀에는 간격 유지용 탄성수단을 삽입하여 탄성 고무판의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어, 탄성패드를 구성하는 탄성 고무판에 탄성수단 삽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수단 삽입홀에 간격 유지용 탄성수단을 삽입하여 압축기를 통한 가공시 내부에 존재한 공기의 배출로 인한 탄성 고무판의 두께가 일정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접착력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앵커블트 풀림방지 장치를 통해 앵커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와 강판 간격 유지 및 제품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고무계열 교량받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무와 강판 간격 유지 및 제품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고무계열 교량받침{Rubber Bridge bearing including elastic pads with improved uniformity of product characteristics and maintaining a gap between rubber and steel plates}
본 발명은 탄성패드의 탄성 고무판과 내부보강 강판을 적층하여 제작할 때에 탄성 고무판의 두께가 일정하지 못하는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접착력 저하 현상을 해결한 고무와 강판 간격 유지 및 제품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고무계열 교량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 하천, 그리고 바다를 가로질러 양안을 연결하는 교량은 차도, 철도, 보도 등을 구성하는 교량 상판이 다수개의 교각 또는 교대 위에 놓여지고, 상기 교량 상판과 교각 또는 교대 사이에는 교량 상판에 의한 하중을 교각 또는 교대에 전달하는 교량받침이 설치된다.
교량받침은 교량 상판의 하중을 교각 또는 교대로 전달하는 것이 주 기능이나, 교량 상판의 온도 변화에 의한 변형과 하중의 변동 그리고 충격에 의한 변형 등을 흡수하여 교각 또는 교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교량 받침은 교량을 이루는 상부 구조물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이를 안전하고 원활하게 하부 구조물에 전달하는 기능 및 온도변화, 콘크리트의 크리프, 건조수축, 프리스트레스의 힘 등의 각종 요인에 의하여 상부 구조물이 신축되게 되면 상부 및 하부 구조물 사이에서 수평적 거동을 수용하는 기능 그리고, 하중에 의해 상부 구조물에서 처짐력이 생기고 그에 따라 지점부가 회전변위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를 수용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에 의하여, 상부 구조물의 거동에 대해 신축기능을 가진 받침을 가동받침이라 하고, 신축기능을 가지지 않는 받침을 고정받침이라고 부르며, 이러한 기능들 이외에도 교량 받침은 지진에 대비하는 기능 즉, 내진(耐震)과 면진(免震) 기능을 갖추게 된다.
종래 대표적인 교량 받침을 살펴보면, 탄성 받침과 납 면진 받침, 고감쇠 고무받침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그 중 상기 탄성 받침은, 구조물의 거동 즉, 구조물의 이동 및 회전을 고무의 탄성 변형에 의해 흡수시키는 것으로 고무층 사이에 금속 보강판을 삽입한 적층형 구조의 고무부재를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탄성 받침은,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고무부재의 내측에 등간격 배열된 보강판에 의해 수직하중을 고무의 좌굴 현상 없이 하중을 지지하고, 수평하중은 고무의 유연성에 의해 상부 구조물의 고유주기를 길게 하여 신축 및 회전기능을 발휘하고 이에따라 수평 지진력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시말해, 상부 구조물의 작용 하중을 하부 구조물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전단변형에 의한 이동, 탄성변형에 의한 회전 등 모든 방향으로의 신축 및 회전이 가능함은 물론 부식의 위험이 적으며 시공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한 경제적인 받침으로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탄성 받침은 현재 거의 모든 교량에 사용되고 있으며, 지진 발생시 각 지점별 지진력 분산 기능이 있어 최근에는 일반 강교에도 점차적으로 적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탄성 받침은 교량 하부 구조물에 올려져 앵커로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교량 상부 구조물의 저면을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며 고무부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위치한 상부 및 하부 고정판을 통해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에 각각 고정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경우 상부 구조물에 변위력 발생시 상부 및 하부 고정판에 대해 고무부재가 탄성 변형되게 되는데, 이때에, 고무부재가 상부 및 하부 고정판으로부터 탈리되거나 파단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를 해결하고자 종래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18764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이 제시된 바 있다.
이는, 교량 상판 등의 교량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와; 교대나 교각 등의 교량지지용 하부구조물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와; 고무와 그 내부에 1층 이상 적층되는 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탄성 지지하면서 상기 교량 상판의 수평방향 변위를 허용하게 되는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일체형 내진 고무받침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저면과 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는 탄성패드의 단부가 강제 압입되어 정착하게 되는 정착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탄성패드는 상기 정착홈 내부를 채우면서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에 대해 가류성형(加硫成形)에 의해 일체를 이루도록 접착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KR 10-0818764 B1 교량용 고무받침 및 그 제조방법
한편, 통상의 탄성패드는 탄성 고무판과 강판을 적층한 후 고온, 고압의 압축기를 이용해 찌는 형태(가황접착)로 제작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탄성 고무판과 강판의 적층시 맞닿는 면에는 공기가 존재하게 되고, 이렇게 존재하고 있는 공기는 압축기를 통한 탄성패드 제조 중 공기를 빼내는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탄성 고무판은 고온, 고압의 압축기 내에서 상태변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공기가 빠져나간 만큼의 공간으로 강판이 내려앉게 되어 강판 사이의 고무층이 일정한 두께를 형성하지 못하게 되고,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진 고무층의 부위는 얇은 고무층을 가지는 위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저하되어 전단변형시 탄성패드가 강판이 배치된 위치에서 떨어지게 되어 받침을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무와 강판 간격 유지 및 제품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고무계열 교량받침은 탄성패드를 구성하는 탄성 고무판에 탄성수단 삽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수단 삽입홀에 간격 유지용 탄성수단을 삽입하여 압축기를 통한 가공시 내부에 존재한 공기의 배출로 인한 탄성 고무판의 두께가 일정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접착력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와 강판 간격 유지 및 제품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고무계열 교량받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성패드를 구성하는 탄성패드의 두께는 탄성 고무판의 탄성수단 삽입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탄성패드의 압축기를 통한 제작시 간격 유지용 탄성수단의 회전으로 인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앵커볼트들 사이에 앵커볼트에 구성된 앵커볼트 머리에 끼움 결합홀을 형성한 연결바를 결합함으로써 앵커볼트의 잠금 해제가 되는 방향으로 회전시 이를 방지하여 앵커볼트의 풀림을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앵커볼트 풀림방지 장치가 포함된 교량받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바를 2개소로 나눈 후 각각의 연결바의 단부에는 끼움 결합홀을 형성하고 다른 단부에는 장공홀 형태의 제1 결합홀과 제2 결합홀을 형성한 상태에서 고정결합부재를 이용해 결합하여 연결바의 길이를 가변함으로써 앵커볼트 사이의 거리에 따라 끼움 결합홀의 간격을 정밀하게 가공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 앵커볼트 사이의 거리가 상이하더라도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측플레이트에 고정결합부재가 결합할 수 있는 고정홈을 더 포함하여 앵커볼트 풀림방지 장치가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해 안정적으로 앵커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앵커볼트 풀림방지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앵커볼트 사이에 배치 및 배치 후 교량받침의 교체시에도 간단히 탈부착이 가능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탄성패드를 구성하는 탄성 고무판에 탄성수단 삽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수단 삽입홀에 간격 유지용 탄성수단을 삽입하여 압축기를 통한 가공시 내부에 존재한 공기의 배출로 인한 탄성 고무판의 두께가 일정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접착력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패드를 구성하는 탄성패드의 두께는 탄성 고무판의 탄성수단 삽입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탄성패드의 압축기를 통한 제작시 간격 유지용 탄성수단의 회전으로 인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앵커볼트들 사이에 앵커볼트에 구성된 앵커볼트 머리에 끼움 결합홀을 형성한 연결바를 결합함으로써 앵커볼트의 잠금 해제가 되는 방향으로 회전시 이를 방지하여 앵커볼트의 풀림을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바를 2개소로 나눈 후 각각의 연결바의 단부에는 끼움 결합홀을 형성하고 다른 단부에는 장공홀 형태의 제1 결합홀과 제2 결합홀을 형성한 상태에서 고정결합부재를 이용해 결합하여 연결바의 길이를 가변함으로써 앵커볼트 사이의 거리에 따라 끼움 결합홀의 간격을 정밀하게 가공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 앵커볼트 사이의 거리가 상이하더라도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하측플레이트에 고정결합부재가 결합할 수 있는 고정홈을 더 포함하여 앵커볼트 풀림방지 장치가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해 안정적으로 앵커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앵커볼트 풀림방지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앵커볼트 사이에 배치 및 배치 후 교량받침의 교체시에도 간단히 탈부착이 가능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와 강판 간격 유지 및 제품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고무계열 교량받침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와 강판 간격 유지 및 제품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고무계열 교량받침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앵커볼트 풀림방지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측 플레이트(10, 30) 사이에 탄성패드(2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통상의 받침과 마찬가지로 교량을 구성하는 교량 상판(1a)과 교각 또는 교대(1b) 사이에 배치되어 상측 플레이트(10)는 교량 상판(1a)에 결합하고, 하측 플레이트(30)는 교각 또는 교대(1b)에 고정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상측 플레이트(10)의 하측면과 하측 플레이트(30)의 상측면에는 외부보강 강판(4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 플레이트(30)의 하측으로는 교각 또는 교대(1b)에 매설되는 앵커소켓부(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앵커소켓부(50)는 앵커볼트 머리(51a) 및 앵커볼트 결합부(51b)로 이루어진 앵커볼트(51)와 앵커소켓부(52)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탄성패드(20)는 다수의 탄성 고무판(21)과 내부보강 강팡(22)이 번갈아 가면서 적층되어 배치한 후 고온, 고압의 압축기를 이용해 제작되며, 특히, 상기 탄성 고무판(21)의 내측에는 다수의 탄성수단 삽입홀(21a)이 형성되어, 탄성 고무판(21)과 내부보강 강판(22)의 적층시 탄성수단 삽입홀(21a)에 간격유지용 탄성수단(S)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패드(20)를 구성하는 탄성 고무판의 두께(t)는 탄성 고무판(21)에 형성된 탄성수단 삽입홀의 직경(d)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술한 상, 하측 플레이트(10, 30) 및 그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패드(20)는 도 2에서와 같이 평면에 도시하였을 때에 사각 단면을 가지는 형태일 수도 있고, 도 3에서와 같이 평면에서 도시하였을 때에 원형 단면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앵커볼트 풀림방지 장치(60)는 앵커소켓부(50)와 앵커소켓부(50) 사이에 배치되어 앵커소켓부(50)의 앵커볼트(51)를 구성하는 앵커볼트 머리(51a)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 결할홀(H)이 형성된 연결바(61)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끼움 결합홀(H)은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앵커볼트 머리(51a)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어떠한 형상의 앵커볼트 머리(51a)에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바(61)는 제1 연결바(62)와 제2 연결바(63)로 이루어지며, 제1 연결바(62)와 제2 연결바(63)에는 각각의 단부에 끼움 결합홀(H)이 형성되어 있고, 끼움 결합홀(H)이 형성되지 않은 타단에는 제1 결합홀(h1) 및 제2 결합홀(h2)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결합부재(B1)에 의해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홀(h1)과 제2 결합홀(h2)은 장공홀형태로 이루어져 제1, 2 연결바(62, 63)의 결합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볼트 풀림방지 장치(60)를 구성하는 고정결합부재(B1)가 배치되는 위치의 하측플레이트(30)에는 고정결합부재(B1)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11)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무와 강판 간격 유지 및 제품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고무계열 교량받침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고무와 강판 간격 유지 및 제품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고무계열 교량받침(100)은 다른 고무받침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탄성패드(20)는 제작시 탄성 고무판(21)의 내측으로 탄성수단 삽입홀(21a)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수단 삽입홀(21a)에는 탄성 고무판(21)의 두께를 일정하게 형성하기 위한 간격 유지용 탄성수단(S)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패드(20)를 고온, 고압의 압축기를 이용해 제작할 때에 내부보강 강판(22)을 간격 유지용 탄성수단(S)가 항상 지지하고 있어, 탄성 고무판(21)과 내부보강 강판(22)의 접촉면에 존재하는 공기를 빼는 과정에서 공기가 존재한 만큼의 공간으로 내부보강 강판(22)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탄성 고무판(21)이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접착력을 형성해 전단 변형시 특정 위치에서 탄성 고무판(21)과 내부보강 강판(22)의 탈락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탄성 고무판(21)의 두께(t)는 탄성 고무판(21)의 탄성수단 삽입홀의 직경(d)보다 작게 형성하여 탄성 고무판(21)과 내부고강 강판(22)의 적층시 간격 유지용 탄성수단(S)이 압축기를 통한 제작시 회전으로 인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앵커소켓부(50) 사이에 앵커볼트 풀림방지 장치(60)를 설치하여 앵커소켓부(5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술한 앵커볼트 풀림방지 장치(60)는 연결바(61)에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끼움 결합홀(H)이 형성되어 있어 어느 하나의 앵커소켓부(50)를 구성하는 앵커볼트(51)의 앵커볼트 머리(51a)에 연결바(61)에 형성된 끼움 결합홀(H)을 결합하고, 다른 하나의 앵커볼트(51)의 앵커볼트 머리(51a)에 끼움 결합홀(H)을 끼움 결합한다.
그런 상태에서 차량 운행 등의 이유로 진동 등이 발생하였을 때에 앵커소켓부(50)의 풀림, 즉, 잠금이 해제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지려 하면, 풀리려 하는 앵커볼트 머리(51a)에 결합된 앵커볼트 풀림방지 장치(60)의 연결바(61)가 같같이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연결바(61)는 이웃하는 다른 앵커볼트(51)의 앵커볼트 머리(51a)에 결합되어 있어 회전력이 작용하더라도 더 이상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작용하여 앵커볼트(51)의 풀림을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앵커볼트 풀림방지 장치(60)는 연결바(61)를 제1 연결바(62)와 제2 연결바(63) 2개소로 형성하고 제1, 2, 연결바(62, 63)의 단부에 각각 끼움 결합홀(H)을 형성하며, 끼움 결합홀(H)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의 단부에는 각각 제1, 2 결합홀(h1, h2)을 형성하여 제1, 2 연결바(62, 63)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이때에 상기 제1 결합홀(h1)과 제2 결합홀(h2)은 장공홀형태로 구성한 후 제1, 2 결합홀(h1, h2)에 고정결합부재(B1)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앵커볼트 풀림방지 장치(60)는 장공홀의 크기만큼 길이 가변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결바(61)의 제작시 일측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끼움 결합홀(H)을 형성시 끼움 결합홀(H) 간의 이격거리를 정밀하게 가공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 앵커볼트(51)의 거리가 상이하더라도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고정결합부재(B1)가 위치하는 하측플레이트(30)에 고정홈(31)을 더 형성할 경우 하측플레이트(30)에서 앵커볼트 풀림방지장치(60)가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앵커볼트(51)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술한 앵커볼트 풀림방지 장치(60)는 앵커볼트(51)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시공 및 시공 후 교량받침(R)의 교체시에도 간단히 탈부착이 가능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음 본 발명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 자명한 것임을 명시한다.
1 : 교량 1a : 교량 상판 1b : 교각 또는 교대
10 : 상측 플레이트
20 : 탄성패드
21 : 탄성 고무판 21a : 탄성수단 삽입홀
t : 탄성 고무판 두께 d : 탄성수단 삽입홀 직경
22 : 내부보강 강판
S : 간격 유지용 탄성수단
30 : 하측 플레이트 31 : 고정홈
40 : 외부보강 강판
50 : 앵커소켓부
51 : 앵커볼트 51a : 앵커볼트 머리 51b : 앵커볼트 결합부
52 : 앵커소켓
60 : 앵커볼트 풀림방지 장치
61 : 연결바
62 : 제1 연결바 63 : 제2 연결바
H : 끼움 결합홀 h1 : 제1 결합홀 h2 : 제2 결합홀
B1 : 고정결합부재
100 : 고무와 강판 간격 유지 및 제품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고무계열 교량받침

Claims (6)

  1. 교량 상판에 결합하는 상측 플레이트;
    상기 상측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탄성패드;
    상기 탄성패드의 하측에 결합하며,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에 고정 결합되는 하측 플레이트;
    상기 하측 플레이트의 상측에 결합하는 앵커볼트 머리 및 앵커볼트 결합부 이루어진 앵커볼트와 상기 하측 플레이트 하측면의 교각 또는 교대에 배치되며, 앵커볼트의 앵커볼트 결합부에 결합되는 앵커소켓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앵커소켓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패드는,
    다수의 탄성 고무판과 다수의 내부보강 강판이 번갈아 가면서 적층된 후 고온, 고압의 압축기를 통해 제작되며,
    상기 탄성 고무판의 내측에는 다수의 탄성수단 삽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수단 삽입홀에는 간격 유지용 탄성수단을 삽입하여 탄성 고무판의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앵커소켓부들 사이에는 앵커볼트의 2개의 앵커볼트 머리에 결합할 수 있는 끼움 결합홀이 형성된 연결바로 이루어진 앵커볼트 풀림방지 장치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패드의 탄성 고무판 두께는 탄성수단 삽입홀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앵커볼트 풀림방지 장치는 하측플레이트과 맞닿도록 배치되며, 제1 연결바와 제2 연결바로 이루어져 일측으로 1개소의 끼움 결합홀이 형성되며, 끼움 결합홀이 형성되지 않은 타단에는 제1 연결바와 제2 연결바를 연결할 수 있는 제1, 2 결합홀이 형성되어 고정결합부재에 의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앵커볼트 풀림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연결바의 제1 결합홀과 제2 연결바에 형성되는 제2 결합홀은 장공홀형태로 이루어져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고무와 강판 간격 유지 및 제품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고무계열 교량받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앵커볼트 풀림방지 장치에 형성되는 끼움 결합홀은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앵커볼트 머리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고무와 강판 간격 유지 및 제품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고무계열 교량받침.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앵커볼트 풀림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고정결합부재가 배치되는 위치의 하측플레이트에는 고정결합부재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고무와 강판 간격 유지 및 제품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고무계열 교량받침.
KR1020230034311A 2023-03-16 2023-03-16 고무와 강판 간격 유지 및 제품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고무계열 교량받침 KR102583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4311A KR102583618B1 (ko) 2023-03-16 2023-03-16 고무와 강판 간격 유지 및 제품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고무계열 교량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4311A KR102583618B1 (ko) 2023-03-16 2023-03-16 고무와 강판 간격 유지 및 제품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고무계열 교량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618B1 true KR102583618B1 (ko) 2023-10-04

Family

ID=88290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4311A KR102583618B1 (ko) 2023-03-16 2023-03-16 고무와 강판 간격 유지 및 제품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고무계열 교량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6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6318A (ja) * 1996-03-19 1997-09-30 Tokai Rubber Ind Ltd ゴム支承装置
KR200451522Y1 (ko) * 2010-05-13 2010-12-20 주식회사 장원기술단 교량용 탄성받침 구조
KR101559064B1 (ko) * 2014-08-05 2015-10-13 이용오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179116B1 (ko) * 2020-06-16 2020-11-16 로드브로스 주식회사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탄성받침 및 교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6318A (ja) * 1996-03-19 1997-09-30 Tokai Rubber Ind Ltd ゴム支承装置
KR200451522Y1 (ko) * 2010-05-13 2010-12-20 주식회사 장원기술단 교량용 탄성받침 구조
KR101559064B1 (ko) * 2014-08-05 2015-10-13 이용오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179116B1 (ko) * 2020-06-16 2020-11-16 로드브로스 주식회사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탄성받침 및 교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9624A (en) Expansion joint system
JP4040422B2 (ja) 既設支承装置の支承交換工法および支承装置
JP4236670B2 (ja) 落橋防止構造
KR200429970Y1 (ko) 교량 받침용 다기능 앵커 소켓
KR102583618B1 (ko) 고무와 강판 간격 유지 및 제품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고무계열 교량받침
US4166344A (en) Earthquake guarding system
KR102151069B1 (ko) 볼트체결에 의한 분리형 앵커복합체를 구비한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781544B1 (ko) 프리스트레스트 빔을 이용하는 내진 구조의 라멘 교량
KR101051059B1 (ko) 면진용 디스크 받침
KR20040084030A (ko) 핀이 구비된 면진베어링
JP4680877B2 (ja) 水平支承装置
KR100939183B1 (ko) 지진시 수평강성을 갖는 개선된 일체형 탄성받침
KR101386048B1 (ko) 스페리칼 받침
KR200420377Y1 (ko) 교량의 수평 받침 장치
KR101365436B1 (ko)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100489577B1 (ko) 수평조절 교좌장치
KR100987180B1 (ko) 유동방지 탄성받침
JP7050553B2 (ja) 構造物用支承装置
KR200254739Y1 (ko) 납보호관이 삽입된 납면진받침
KR101905886B1 (ko) 진동 감쇄 특성이 증대된 프리스트레스트 빔을 이용하는 내진 구조의 라멘 교량
KR20180021534A (ko)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30750B1 (ko) 지진 격리 장치
KR20030075361A (ko) 내진보강용 합성교좌장치
JP2000178920A (ja) 橋梁用ゴム支承
KR100448486B1 (ko) 교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