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253B1 -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 - Google Patents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253B1
KR102343253B1 KR1020210073328A KR20210073328A KR102343253B1 KR 102343253 B1 KR102343253 B1 KR 102343253B1 KR 1020210073328 A KR1020210073328 A KR 1020210073328A KR 20210073328 A KR20210073328 A KR 20210073328A KR 102343253 B1 KR102343253 B1 KR 102343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d
heat
roll
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현
문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이앤씨
이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이앤씨, 이성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이앤씨
Priority to KR1020210073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에 사용되는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부 받침판과 하부 받침판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패드가 진동 및 충격, 전단변형에 의한 들뜸 현상 즉 롤오버가 이루어지는 현상과 열에 의한 역가황 반응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각형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에 롤오버 패드 고정홈(12)이 형성되는 하부 받침판(102)과; 상기 하부 받침판(102)의 상부면에 안착 설치되는 하부 패드판(104)과; 상기 하부 패드판(104)의 상부에서 결합되고 상기 하부 받침판(102)의 롤오버 고정홈(12)에 끼움 고정되어 롤오버를 방지하기 위한 롤오버 결합돌부(24)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의 결합 안착부(22,28)가 형성되는 탄성패드(106)와; 상기 탄성패드(106)의 상부에 안착 결합되는 상부 패드판(108)과; 상기 상부 패드판(108)의 상부에 안착되되, 상기 탄성패드(106)의 외부에서 탄성패드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열차단판(110)과; 상기 열차단판(110)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고 하부면에 롤오버 고정홈(40)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열차단판(110)과 상기 상부 패드판(108)이 결합되도록 결합 안착부(42)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패드(106)를 상부에서 탄압하도록 설치되는 교량 상부 받침판(11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교량구조물은 미끄럼 현상 및 롤오버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탄성패드에 작용하는 열로 인한 역가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탄성패드의 내구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킴으로써 교량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열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탄성패드의 특성을 오랜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충격과 진동, 전단변형 등에 견딜수 있는 물성을 확보하여 내구성이 우수해짐으로써 교량구조물의 안전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Constructing a bridge having a rollover prevention elasticity supporting device}
본 발명은 교량에 사용되는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부 받침판과 하부 받침판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패드가 진동 및 충격, 전단변형에 의한 들뜸 현상 즉 롤오버가 이루어지는 현상과 열에 의한 역가황 반응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성받침이란 교량 상판 등과 같은 상부 구조물과 이를 지지하는 교각 등과 같은 하부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으로는 충분한 강성으로 지지안전성을 확보하는 가운데 수평으로는 충분한 변형능력 및 에너지 소산능력으로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일컫는다.
이같은 탄성받침을 교량에서 사용하는 경우 상판과 교각의 상대적인 변위와 하중을 끊임없이 야기하는 요인들에 대하여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차량 통행에 따른 동하중의 작용, 계절 및 온도 변화로 인한 상판 길이의 변화, 지진으로 인한 충격력 등의 요인으로 발생하는 교량 상판의 변위 및 하중을 적절히 대비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교량 전체 또는 부분의 붕괴를 막을 수 있게 된다.
종래의 탄성받침은 앵커에 의해 구조물인 교량의 교각과 상판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 교량 상판의 하중을 탄력 있게 지지하고 수평방향으로 상판의 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탄성체로 이루어졌다.
종래의 탄성받침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교량 상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가운데 교량 상판의 수평방향 변위를 허용하는 한편, 지진 발생 시에는 순간적으로 전달되는 급격한 에너지를 흡수하여 교량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런데, 탄성체 이동에 의한 전단변형 시 탄성체를 형성하는 고무의 단부가 말려 올라가 상부 플레이트와 탄성체 및 탄성체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들뜸 현상, 즉 롤 오버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체의 롤 오버 현상은 제품의 완성도 저하 및 탄성체 내부의 보강판 대기 노출로 녹이 발생되어 내구성 저하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교량구조물에는 상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완충시키기 위해 상부 받침판과 하부 받침판 사이에 용접 작업시 발생하는 높은 온도로 인하여 고무재질의 탄성패드에 역가황 현상이 발생하여 고무패드의 성능특성과 물성이 변화함에 따라 품질이 저하되고 탄력패드로서의 충격완화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8764호(2008.03. 2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0620호(2007. 08. 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교량구조물에 설치되는 탄성패드가 외부의 하중에 의하여 전후좌우방향으로 전단변형함에 따라서 발생하는 롤오버를 방지할 수 있는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량 구조물의 상부 받침판과 하부 받침판의 용접 작업시 발생하는 고열이 직접적으로 작용함에 따라서 탄성패드의 물성과 특성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접열 전도차단 구조 및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 및 그 기술적 과제는 앞서 기재한 기술적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사각형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에 롤오버 패드 고정홈(12)이 형성되는 하부 받침판(102)과;
상기 하부 받침판(102)의 상부면에 안착 설치되는 하부 패드판(104)과;
상기 하부 패드판(104)의 상부에서 결합되고 상기 하부 받침판(102)의 롤오버 고정홈(12)에 끼움 고정되어 롤오버를 방지하기 위한 롤오버 결합돌부(24)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의 결합 안착부(22,28)가 형성되는 탄성패드(106)와;
상기 탄성패드(106)의 상부에 안착 결합되는 상부 패드판(108)과;
상기 상부 패드판(108)의 상부에 안착되되, 상기 탄성패드(106)의 외부에서 탄성패드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열차단판(110)과;
상기 열차단판(110)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고 하부면에 롤오버 고정홈(40)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열차단판(110)과 상기 상부 패드판(108)이 결합되도록 결합 안착부(42)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패드(106)를 상부에서 탄압하도록 설치되는 교량 상부 받침판(112)을 포함하여 롤오버 현상 및 역가황 반응을 함께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패드(106)의 결합 안착부(28)는,
상기 상부 패드판(108)과, 상기 열차단판(110)이 안착 설치되는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하되, 상기 교량 상부 받침판(112)의 롤오버 고정홈(40)에 상기 탄성패드(106)의 롤오버 결합돌부(26)가 억지끼워맞춤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패드(106)는,
그 중앙부에 다수의 중공 슬릿(21)들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21) 들에는 열전달 방지물이 삽입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교량구조물은 미끄럼 현상 및 롤오버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탄성패드에 작용하는 용접열로 인한 열전도차단 구조를 사용하여 역가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탄성패드의 내구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킴으로써 교량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열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탄성패드의 특성을 오랜 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충격과 진동, 전단변형 등에 견딜 수 있는 물성을 확보하여 내구성이 우수해짐으로써 교량구조물의 안전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의 일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확대도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두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간의 상호작용하는 권리범위 내에 있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예시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도 동일한 범주 내에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교량구조물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교량구조물(100)을 설명하여 보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오버방지 교량구조물(100)은,
먼저, 원통형상의 받침기둥(200)의 상부에 하부 받침판(102)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하부 받침판(102)의 상부에는 탄성패드(106)가 수평방향으로 상기 하부 받침판(102)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성패드(106)의 상부에는 교량 상부 받침판(112)이 수평방향으로 상기 탄성패드(106)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교량 상부 받침판(112)은 다수의 체결부재(114)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이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받침기둥(200)의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하부 받침판(102), 상기 하부 받침판(102)의 상부에 결합 안착되는 하부 패드판(104), 상기 하부 패드판(104)의 상부에 끼움 고정되어 전후좌우로 병형되지 않도록 결합 설치되는 탄성패드(106), 상기 탄성패드(106)의 상부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상부패드판(108), 상기 상부패드판(108)의 상부에 얹혀져서 탄성패드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열차단판(110), 상기 열차단판(110)의 상부에 결합 안착되어 설치되는 교량 상부 받침판(112)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하부(도면부호 도시안함)의 상부면에 상기 하부 받침판(102)이 안착 설치된다.
상기 하부 받침판(102)은 볼트,너트, 피스 등의 다수의 체결부재(116)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하부 받침판(102)의 상부에는 탄성패드(106)가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패드(106)의 상부에는 교량 상부 받침판(112)이 안착 설치된다.
상기 교량 상부 받침판(112)의 상부에는 솔플레이트(Sole plate)(114)가 용접에 의해 융착 고정된다. 즉, 상기 교량 상부 받침판(112)의 외측 상부 모서리부와 상기 솔플레이트(114)의 하면부가 용접에 의해 고정되면서 용접부(20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용접부(200)의 형성시 용접열이 발생하는바, 상기 탄성패드(106)에 열이 전달되어 고무재질의 탄성패드에 특성과 물성변형이 일어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열차단판(110)을 결합시킴으로써 탄성패드(106)로의 열전달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 하중에 의한 롤오버 현상을 동시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패드(106)는 탄성이 있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패드(106)의 하부면에는 하부 패드판(104)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탄성패드(106)의 상부면에는 상부 패드판(108)이 삽입 설치된다.
이때, 상기 탄성패드(106)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패드판(108)의 상부면에 상기 열차단판(110)이 얹혀져서 결합 설치됨으로써 열차단이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100)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사각형 판형상의 하부 받침판(102)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받침판(102)은 사각형상의 하부 받침몸체(10)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받침 몸체(10)의 상부면에는 사각 테두리를 이루면서 롤오버 패드 고정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받침몸체(10)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의 체결공(14)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4)에는 전술한 체결부재(116)가 체결된다.
상기 하부 받침판(102)의 상부면에는 하부 패드판(104)이 안착 설치되는바, 상기 하부 패드판(104)은 상기 사각형상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패드판 몸체(16)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드판 몸체(16)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의 체결공(18)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8)은 상기 전술된 체결공(16)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면서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116)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패드판 몸체(16)는 상기 탄성패드(106)의 하부면 내측에 끼워져서 결합되는바, 상기 탄성패드(106)는 사각형상의 패드몸체(20)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드몸체(20)의 하부면에는 결합 안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안착부(22)의 외측 변부에는 사각 테두리형상으로 롤오버 결합돌부(24)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다수의 슬릿(21)들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21)들에는 열전달 방지물이 채워져서 고온의 열에도 견딜 수 있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달 방지물로는 이소플랜 또는 열전달 방지 테이프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릿(21)들에는 얇은 박판의 강판들이 삽입되어 탄성패드의 강도를 향상시키과 동시에 충격, 진동 등의 내진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는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패드몸체(20)의 상부면에는 상부 롤오버 결합돌부(26)가 사각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에는 결합안착부(28)가 형성된다.
하부면에 형성된 결합 안착부(22)에는 상기 패드판 몸체(16)가 끼움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부면에 형성된 결합 안착부(28)에는 상기 상부 패드판(108)이 결합 안착된다.
상기 상부 패드판(108)은 사각형상의 패드판 몸체(30)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드판 몸체(30)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의 체결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체결공(32)에는 전술된 체결부재(116)가 체결 고정된다.
상기 결합 안착부(28)는 상기 결합 안착부(22)에 비하여 2배에서 3배 정도 더 깊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 안착부(28)에는 상기 상부 패드판(108)이 결합 안착되고 상기 상부 패드판(108)의 상부면에는 열차단판(110)이 얹혀져서 설치된다.
이때, 상기 결합 안착부(28)에는 상기 상부 패드판(108)과 상기 열차단판(110)이 동시에 결합되며 상기 롤오버 결합돌부(26)의 높이를 벗어나지 않도록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거나 그보다 낮은 높이로 결합 안착되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 열차단판(110)의 상부면에는 교량 상부 받침판(112)이 설치되는바, 상기 교량 상부 받침판(112)은 사각형상의 상부받침몸체(38)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받침몸체(38)의 하부면에는 사각 테두리 형상의 롤오버 고정홈(40)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에는 결합 안착부(4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받침몸체(38)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의 체결공(4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부받침몸체(38)의 롤오버 고정홈(40)에는 전술된 탄성패드(106)의 상부 롤오버 결합돌부(26)가 끼워져서 설치된다.
이어서, 상기 교량 상부 받침판(112)의 상부에는 볼트,너트,피스 등의 다수의 체결부재(116)가 체결되어 상기 교량 상부 받침판(112)과 상기 열차단판(110)과 상부 패드판(108)을 일체가 되도록 고정하여 열변형 및 들뜸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설치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 받침판(102)의 하부에는 볼트, 너트, 피스 등의 다수의 체결부재(116)가 체결되어 상기 하부 받침판(102)과 하부 패드판(104)을 일체가 되도록 고정하여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된 하부 받침판(102)의 롤오버 패드 고정홈(12)에는 상기 탄성패드(106)의 롤오버 결합돌부(24)가 끼움 고정되고 상기 탄성패드(106)의 상부 롤오버 결합돌부(26)에는 상기 상부 받침몸체(38)의 롤오버 고정홈(40)이 끼움 고정됨으로써 상기 탄성패드(106)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롤오버가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교량 상부 받침판(112)과 상기 솔플레이트(114)의 사이에는 열융착에 의한 용접부(200)가 형성된다.
상기 용접부의 형성시 발생하는 열은 상기 열차단판(110)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탄성패드(106)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고 탄성패드의 열로 인한 물성 및 특성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열차단판(110)은 이소플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열차단판(110)은 상기 용접시 발생하는 열에 의한 고무재질의 탄성패드(106)가 역가황이 일어나서 고무패드 특성값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탄성패드(106)의 내측부에 형성된 결합 안착부(28)에 상부 패드판(108)이 결합 설치되고 상기 상부 패드판(108)의 상부에 열차단판(110)이 결합 설치되되, 상기 결합 안착부(28)에 안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패드(106)의 상부 롤오버 결합돌부(26)는 교량 상부 받침판(112)의 롤오버 고정홈(40)에 끼워져서 설치됨으로써 진동, 충격, 전단병형 등에 의한 롤오버가 방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확대도로서, 상기 탄성패드(106)의 상부 중앙에 결합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결합 안착부(28)의 상부 좌우측변부에는 단턱부(27)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 안착부(28)에는 열차단판(110)이 안착되는 열차단판 안착부(2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턱부(27)의 외측부에는 상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롤오버 패드 고정돌부(26)가 형성된다.
상기 롤오버 패드 고정돌부(26)은 후술되는 교량 상부 받침판(112)에 끼워져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 설치된다.
상기 결합 안착부(28)에는 상기 상부 패드판(108)이 안착 결합되고 상기 상부 패드판(108)의 상부에는 상기 열차단판(110)이 결합되되 상기 열차단판(110)에는 롤오버 패드 고정돌부(26)가 끼워져서 결합되고 상기 열차단판(110)의 외측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 설치되도록 롤오버 방지 결합공(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열차단판(110)의 외측면부는 라운드부(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라운드부(33)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열이 넓은 표면적과 접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열전도를 낮추고 열을 반대방향으로 반사시키도록 외측면부에 열반사 코팅층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패드에 발생하기 쉬운 역가황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라운드부(33)는 파형, 각형 등 열반사 표면적을 넓히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차단판(110)의 상부로 돌출되는 롤오버 패드 고정돌부(26)에는 상기 교량 상부 받침판(112)이 결합 고정된다.
상기 교량 상부 받침판(112)의 중앙부에는 상기 열차단판(110)이 결합되는 결합 안착부(42)가 형성되는바, 상기 결합 안착부(42)에는 롤오버 고정돌부 고정홈(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롤오버 고정돌부 고정홈(35)에는 전술된 롤오버 고정돌부(26)가 상기 열차단판(110)의 롤오버 방지 결합공(31)에 끼워져서 결합된 후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방으로 돌출된 롤오버 방지 고정돌부(26)의 상단이 연속적으로 끼워져서 고정됨으로써 탄성패드(106)의 흔들림과 미끄럼 현상과 롤오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오버 방지 고정돌부(26)에 끼워져서 고정된 열차단판(110)은 상기 라운드부(33)에 의해 열을 반사시킴으로써 고무로 이루어진 탄성패드(106)의 열변형에 의한 성질이 변하는 역가황 반응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교량구조물(100)은 탄성패드의 결합시 롤오버 현상을 방지함과동시에 탄성패드에 작용하는 고온의 열에 의한 탄성패드 특유의 특성 및 물성을 동시에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가능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10 : 하부받침몸체 12 : 롤오버 패드 고정홈
14 : 체결공 16 : 패드판 몸체
18 : 체결공 20 : 패드몸체
22 : 결합 안착부 24 : 롤오버 패드 고정돌부
26 : 롤오버 패드 고정돌부 27 : 단턱부
28 : 결합 안착부 29 : 열차단판 안착부
30 : 패드판 몸체 31 : 롤오버 방지 결합공
32 : 체결공 33 : 라운드부
34 : 차단판 몸체 35 : 롤오버 고정돌부 고정홈
38 : 상부받침몸체 40 : 롤오버 고정홈
42 : 결합 안착부 44 : 체결공
46 : 플레이트 몸체 48 : 체결공
100 : 교량구조물 102 : 하부 받침판
104 : 하부 패드판 106 : 탄성패드
108 : 상부 패드판 110 : 열차단판
112 : 교량 상부 받침판 114 : 솔플레이트
116 : 체결부재 200 : 용접부

Claims (3)

  1. 사각형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에 롤오버 패드 고정홈(12)이 형성되는 하부 받침판(102)과;
    상기 하부 받침판(102)의 상부면에 안착 설치되는 하부 패드판(104)과;
    상기 하부 패드판(104)의 상부에서 결합되고 상기 하부 받침판(102)의 롤오버 고정홈(12)에 끼움 고정되어 롤오버를 방지하기 위한 롤오버 결합돌부(24)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의 결합 안착부(22,28)가 형성되는 탄성패드(106)와;
    상기 탄성패드(106)의 상부에 안착 결합되는 상부 패드판(108)과;
    상기 상부 패드판(108)의 상부에 안착되되, 상기 탄성패드(106)의 외부에서 탄성패드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열차단판(110)과;
    상기 열차단판(110)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고 하부면에 롤오버 고정홈(40)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열차단판(110)과 상기 상부 패드판(108)이 결합되도록 결합 안착부(42)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패드(106)를 상부에서 탄압하도록 설치되는 교량 상부 받침판(112)을 포함하여 롤오버 현상 및 역가황 반응을 함께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패드(106)의 결합 안착부(28)는,
    상기 상부 패드판(108)과, 상기 열차단판(110)이 안착 설치되는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하되, 상기 교량 상부 받침판(112)의 롤오버 고정홈(40)에 상기 탄성패드(106)의 롤오버 결합돌부(26)가 억지끼워맞춤 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탄성패드(106)는,
    그 중앙부에 다수의 중공 슬릿(21)들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21) 들에는 열전달 방지물이 삽입 설치되되,
    상기 탄성패드(106)의 상부 중앙에 결합 안착부(28)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안착부(28)의 상부 좌우측변부에는 단턱부(27)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안착부(28)에는 열차단판(110)이 안착되는 열차단판 안착부(29)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27)의 외측부에는 상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롤오버 패드 고정돌부(26)가 구비되고, 상기 롤오버 패드 고정돌부(26)는 교량 상부 받침판(112)에 끼워져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 설치되며,
    상기 결합 안착부(28)에는 상기 상부 패드판(108)이 안착 결합되고 상기 상부 패드판(108)의 상부에는 상기 열차단판(110)이 결합되되 상기 열차단판(110)에는 롤오버 패드 고정돌부(26)가 끼워져서 결합되어 상기 열차단판(110)의 외측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 설치되는 롤오버 방지 결합공(31)이 형성되며,
    상기 열차단판(110)의 외측면부는 라운드부(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라운드부(33)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열이 넓은 표면적과 접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열전도를 낮추고 열을 반대방향으로 반사시키도록 외측면부에 열반사 코팅층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패드(106)에 발생하기 쉬운 역가황 현상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
  2. 삭제
  3. 삭제
KR1020210073328A 2021-06-07 2021-06-07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 KR102343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328A KR102343253B1 (ko) 2021-06-07 2021-06-07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328A KR102343253B1 (ko) 2021-06-07 2021-06-07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253B1 true KR102343253B1 (ko) 2021-12-27

Family

ID=7917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328A KR102343253B1 (ko) 2021-06-07 2021-06-07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2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6096A (ja) * 2000-11-10 2006-11-0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ム積層体の製造方法
KR100750620B1 (ko) 2006-07-10 2007-08-20 태백산업(주) 일체형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대
KR100818764B1 (ko) 2007-11-20 2008-04-02 협성실업 주식회사 교량용 고무받침 및 그 제조방법
KR101201957B1 (ko) * 2012-05-29 2012-11-19 김도균 슬라이딩 탄성 받침
KR101706534B1 (ko) * 2016-04-29 2017-02-16 대경산업(주) 일체형 탄성받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6096A (ja) * 2000-11-10 2006-11-0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ム積層体の製造方法
KR100750620B1 (ko) 2006-07-10 2007-08-20 태백산업(주) 일체형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대
KR100818764B1 (ko) 2007-11-20 2008-04-02 협성실업 주식회사 교량용 고무받침 및 그 제조방법
KR101201957B1 (ko) * 2012-05-29 2012-11-19 김도균 슬라이딩 탄성 받침
KR101706534B1 (ko) * 2016-04-29 2017-02-16 대경산업(주) 일체형 탄성받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0035B1 (ko) 교좌장치
JPH04221142A (ja) 免震支持装置
JP2002266933A (ja) 円錐内ボール収容型地震アイソレーションベアリング
CN109898411B (zh) 一种滚球支座
KR102343253B1 (ko)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
JP2003049408A (ja) 鋼製支承及び橋梁の支承装置
KR101331489B1 (ko) 지진격리용 교량받침
KR100283782B1 (ko) 구조물의 지진격리용 마찰감쇠형 고무받침
US3938852A (en) Elastomeric structural bearing
JP2002021927A (ja) 免振装置
KR100278366B1 (ko) 스프링을 이용한 교좌 장치
JPH0756326Y2 (ja) 緩衝型球面支承
KR101201957B1 (ko) 슬라이딩 탄성 받침
WO2000011395A1 (en) Horizontal glide damper
US20230243175A1 (en) Composite sliding block for frictional-type seismic isolators and seismic isolators with said composite sliding block
KR100501429B1 (ko) 포트베어링
KR100816890B1 (ko) 충격하중을 분산시키는 슬리브 구조를 가진 교량지지용디스크 받침
JPH0313637A (ja) 免振装置
JP3724987B2 (ja) 三次元免震装置
KR102411496B1 (ko) 롤 오버 방지용 탄성받침 및 이의 제작방법
CN217149871U (zh) 一种具有抗震功能的橡胶桥梁支座
JP2001065742A (ja) スプリングハンガー
JP7456180B2 (ja) 制震装置
KR100549373B1 (ko) 수직진동 감쇠 베어링
JP3999364B2 (ja) 橋梁の免震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