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0620B1 - 일체형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대 - Google Patents

일체형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0620B1
KR100750620B1 KR1020060064611A KR20060064611A KR100750620B1 KR 100750620 B1 KR100750620 B1 KR 100750620B1 KR 1020060064611 A KR1020060064611 A KR 1020060064611A KR 20060064611 A KR20060064611 A KR 20060064611A KR 100750620 B1 KR100750620 B1 KR 100750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upport
steel layer
bridge
elastic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완
Original Assignee
태백산업(주)
박호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백산업(주), 박호완 filed Critical 태백산업(주)
Priority to KR1020060064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0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의 하중과 변형을 받아주는 역할을 하는 탄성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교각 고핑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 상에 안착되며, 보강강판을 탄성중합체로 덮어서 이루어진 탄성받침; 및 탄성받침의 이면에 안착되어 교량 상판과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일체형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및 상부 플레이트 각각은 탄성받침에 인접한 제1강재층 및 교각 고핑의 상부 또는 교량 상판과 결합되는 제2강재층의 복층 구조를 가지되, 탄성받침에 인접하는 제1강재층은 탄성받침의 인접면과 동일한 크기만큼으로 중심부에 탄성받침 접합부가 빈 공간의 형태로 형성되도록 제2강재층과 접합된 것이고, 탄성받침은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와 인접되는 각각의 면에 제1강재층과 그 두께가 동일하거나 큰 제3강재층이 고온압착된 것이며, 탄성받침이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에 형성된 탄성받침접합부에 접합되어 상부 플레이트, 탄성받침 및 하부 플레이트가 일체화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탄성받침의 미끄러짐이나 들뜸 현상을 방지하여 상시 및 지진시 수평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일반 탄성받침대에 비해 높이의 증가없이 상하부 플레이트와 탄성받침을 일체화한 것이며, 탄성받침과 상하부 플레이트의 접착력을 증가시켜 접합부의 안전율이 최소 2.0 이상으로 확보되며, 접합부가 탄성을 가져 상시 및 지진시의 진동에 의해 접합부가 부스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접착유지기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대{Structures comprising steel-laminated elastomeic bearing for bridge}
도 1은 일반적인 교량용 탄성받침대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기존 탄성받침 구조의 들뜸 및 미끄럼 현상의 사례를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3은 기존의 볼트체결식 일체형 탄성받침대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탄성받침대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탄성받침대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부분 부호의 설명>
100, 200 - 탄성받침대 110, 210 - 상부 플레이트
112, 212 - 기초볼트 114 - 제1돌출부
120, 220 - 하부 플레이트 124 - 제2돌출부
210-1, 220-1 - 제1강재층 210-2, 220-2 - 제2강재층
130, 230 - 탄성받침 131, 231 - 탄성중합체층
132, 232 - 보강강판 134 - 엔드플레이트(end plate)
233 - 제3강재층 250 - 탄성받침 접합부
140 - 볼트 160 - 고정플레이트
본 발명은 일체형 교량 탄성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의 하중과 변형을 받아주는 역할을 하는 탄성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교각 위에 상판을 올린 구조를 가지며, 교량 위에는 차량 등이 고속으로 통행하므로 시시각각 변화되는 동하중이 작용한다. 또한 대형 교량에서는 그 상판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계절 변화에 따른 온도변화에 의한 열변형으로 상판의 신축량이 커지게 되는바, 이에 상판과 교각의 접촉부위에서 상대 운동을 허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 지진 등에 의해 교량에 수평방향으로 미치는 큰 충격력에 대비하여 수평방향의 충격력을 완충해줄 수 있는 지지구조를 취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교량의 교각과 상판 사이에는 탄성받침대를 설치하여 상판의 변위에 대응하면서 상판을 지지하면서, 상판에 미치는 충격력을 감소시키도록 하고 있 다.
일반적인 탄성받침대 구조의 일예를 도 1로서 도시하였다. 도 1에 나타낸바와 같이, 탄성받침대(100)는 교량 상판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110); 교각 상에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120); 및 교량 상판의 하중을 탄력있게 지지하고, 또는 수평방향으로 교량 상판의 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탄성중합체층(131)과 그 사이에 삽입된 보강강판(132)으로 이루어진 탄성받침(1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 플레이트(110)는 그 상면에 부착된 기초볼트(112)를 통해 교량 상판의 저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상부 플레이트(110)의 저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아래쪽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돌출부(114)는 후술하는 하부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설치된 제2돌출부(124)와 상호작용하여 교각에 대한 교량 상판의 상대운동을 어느 정도 제한하고, 또 지진 등 수평방향으로 큰 힘이 작용할 때 파손되면서 수평방향의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10)와 마주보고 하부 플레이트(120)가 설치된다. 이 하부 플레이트(120)는 그 저면에 부착되어 있는 기초볼트(122)를 통해 교각상에 일체로 고정설치된다. 이러한 하부 플레이트(120)의 상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위쪽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12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에는 탄성받침(130)이 설치된다. 이 고무패드(130)는 교각 상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해주고, 또한 교각에 대한 상판의 수평방향 범위를 허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고무층(131) 내부 에 다수의 층으로 보강강판(132)을 게재하여 만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 외에도 다양한 구조의 탄성받침대가 개발되고 있는데, 기존의 탄성받침대는 쐐기의 구속력에 의해 고정, 가동 역할을 수행하며, 상시 교량의 이동(신축)은 가동단에 위치한 탄성받침(130)의 전단변형에 의해서만 수용되며, 지진시 모든 쐐기는 완전 탈락되고 교량의 지진 수평력은 순전히 탄성받침의 전단강성에 의해 각 받침 및 하부 구조에 골고루 분산되며, 이때 탄성받침은 미끄럼이 전혀 없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탄성받침대는 상, 하부 플레이트와 탄성받침이 완전분리형으로 기본적으로 미끄럼 현상이 자주 발생된다. 기존 탄성받침대의 들뜸 및 미끄럼 현상의 사례를 도 2로서 나타내었다.
또한 전단변형에 의해 들뜸 현상이 발생하여 상, 하부 플레이트와 탄성받침의 접착면적이 감소되어 마찰저항이 감소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탄성받침이 본 위치를 이탈하여 지진력 분산기능이 취약하게 되며, 미끄럼 현상으로 인해 설계시 의도했던 지진 거동 수행이 불가능하게 되어 교량의 내진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해진다.
도 1 중에 도시된 돌출부는 고무패드의 미끄럼 방지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나, 보다 효율적으로 고무패드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패드의 가장자리와 상, 하부 플레이트가 맞닿는 접착면에 스트립(strip) 또는 'ㄷ'자 형태의 강재 부재(철판)를 부착하여 고무패드의 이탈을 구속시키는 방법을 사용해오고 있다. 흔히 여기서의 부착되는 강재 부재를 스토퍼(stopper)라고 부른다.
그러나 스토퍼의 두께 제한으로 롤오버에 의한 겹침 현상이 발생되고 전단변형시 고무패드가 스토퍼에 마찰되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상하부 플레이트의 평면치수가 증가되며 또한 분리형으로서 미끄럼 방지효과가 거의 없다.
이에 상, 하부 플레이트와 탄성받침이 일체화된 일체형 탄성받침대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일예로 고무패드의 엔드 플레이트와 상, 하부 플레이트를 볼트로 체결하여 일체화시킨 방법으로서, 볼트체결식 일체형 탄성받침의 상세도면을 도 3으로써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살피면, 탄성받침(130)은 상, 하 양면으로 내측 보강판보다 두꺼운 엔드플레이트(34) 철판의 표면이 노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노출된 상,하 엔드플레이트(134) 표면에 철판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면에 고정플레이트(60)가 접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탄성받침의 상하부 각각의 고정플레이트(160)과 상하부 플레이트는 볼트(140)를 이용하여 결속한다. 이같이 상하부 플레이트와 탄성받침을 일체화시킴으로써 미끄럼 현상을 방지하고 내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볼트체결식 일체형 탄성받침은 체결을 위해 철판을 추가해야 하고 볼트머리 간섭방지를 위한 카운터보링제작으로 받침 높이가 크게 증가되며 보수, 보강공사에 불리하다. 그리고 볼트머리 매입 설치로 유지보수가 곤란하고, 상하부판 일체형으로 유지관리가 불가능하다. 또한 안전율이 1.0~1.3 정도로 작으며, 제품 단가가 급격히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또 다른 일체형 탄성받침대의 일예로서 접착식 일체형 탄성받침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탄성받침과 상하부 플레이트를 가황 접착 또는 상온접착으로 일체화한 것이다.
이 경우 탄성받침의 미끄럼 및 들뜸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시 및 지진시 수평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일반 탄성받침대에 비해 높이 증가없이 상하부 플레이트와 고무패드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접합부의 안전율이 최소 3이상 확보되어 지진시 수평력 분산기능에 충실하고, 시공 중 미끄럼 현상이 없어 받침 복원시 필요한 잭업 등 추가 공정이 불필요하여 시공비 절감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탄성받침과 상하부 플레이트를 가황 접착 또는 상온 접착으로 일체화하였다고는 하나, 탄성받침의 접착면은 고무재이고 상하부 플레이트는 철재이며 접착제로서는 상온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한 것이어서 그 접착력이 떨어지고 접착후 1 내지 2년 정도이면 접착력을 상실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일체형 탄성받침대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하부 플레이트와 탄성받침의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된 탄성받침의 미끄럼이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던 중, 총 두께의 변화는 없이 2층의 강재층을 접합하여 얻어지며 그 중심부는 탄성받침 인접부와 같은 크기로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상하부 플레이트와, 상하부에 별도의 강재층을 고온압착하여 얻어진 탄성받침을 이용하여 상하부 플레이트의 빈 공간상에 탄성받침을 접합시켜, 하부 플레이트, 탄성받침 및 상부 플레이트를 일체화시킨 결과, 탄성받침의 미끄러짐이나 들뜸 현상이 없으면서 탄성받침과 상하부 플레이트의 접착력 이 증가되어 탄성받침의 이탈이 없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받침의 미끄러짐이나 들뜸 현상이 없는 일체형 탄성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받침의 미끄러짐이나 들뜸 현상을 방지하여 상시 및 지진시 수평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일체형 탄성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탄성받침대에 비해 높이의 증가없이 상하부 플레이트와 탄성받침을 일체화한 탄성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받침과 상하부 플레이트의 접착력을 증가시켜 접합부의 안전율이 최소 2.0 이상으로 확보된 일체형 탄성받침대를 제공하는 데도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접합부가 탄성을 가져 상시 및 지진시의 진동에 의해 접합부가 가루로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접착유지기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체형 탄성받침대를 제공하는 데도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는, 교각 고핑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 상에 안착되며, 보강 강판을 탄성중합체로 덮어서 이루어진 탄성받침; 및 탄성받침의 이면에 안착되어 교량 상판과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일체형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및 상부 플레이트 각각은 탄성받침에 인접한 제1강재층 및 교각 고핑의 상부 또는 교량 상판과 결합되는 제2강재층의 복층 구조를 가지되, 탄성받침에 인접하는 제1강재층은 탄성받침의 인접면과 동일한 크기만큼으로 중심부에 탄성받침 접합부가 빈 공간의 형태로 형성되도록 제2강재층과 접합된 것이고,
탄성받침은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와 인접되는 각각의 면에 제1강재층과 그 두께가 동일하거나 큰 제3강재층이 고온압착된 것이며,
탄성받침이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탄성받침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상부 플레이트, 탄성받침 및 하부 플레이트가 일체화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대로부터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강재층과 제2강재층 두께의 합은 35 내지 40 mm이며, 제1강재층은 전체 두께의 10 내지 30 %를 차지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3강재층은 제1강재층 두께 대비 100 내지 115 %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고상 에폭시 화합물 및 반응성 비휘발성 용제를 포함하는 주제 및 고점도 폴리아마이드와 반응성 비휘발성 용제를 포함하는 경화제로 이루어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된 것이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각각의 제1강재층과 제2강재층은 추가적인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결속되어질 수 있다. 이때의 결속수단은 소켓형 볼트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탄성받침대의 구조를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는바, 도 4는 본 발명 일체형 탄성받침대의 구조의 일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일체형 탄성받침대 구조의 일예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탄성받침대(200)에 있어서 하부 플레이트(220) 및 상부 플레이트(210) 각각은 탄성받침(230)에 인접한 각각의 제1강재층(220-1, 210-1) 및 교각 고핑의 상부 또는 교량 상판과 결합되는 제2강재층(220-2, 210-2)의 복층 구조를 갖는다. 이때 탄성받침에 인접하는 제1강재층(220-1, 210-1)은 제2강재층(220-2, 210-2)의 전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탄성받침(230)의 인접면과 동일한 크기만큼으로 중심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접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 빈 공간을 탄성받침 접합부(250)라 한다.
이때 제2강재층과 제1강재층 두께의 합은 당업계에서 규정하고 있는 탄성받침대의 상하부 플레이트 두께의 규정에 따르며, 총 두께가 종전에 비해 두꺼워지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규정된 상하부 플레이트 각각의 두께가 38mm라면, 제2강재층을 28mm 두께로, 제1강재층은 10mm 두께로 하여 이를 접합하여 총 두께가 38mm 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제2강재층과 제1강재층 두께의 합은 35 내지 40 mm 정도이며, 이때 제1강재층 두께는 총 두께의 10 내지 30 %인 것이 스토퍼가 탄성 중합체를 보호하는한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탄성받침(230)은 통상의 구조와 같이 보강강판(232)을 탄성중합체가 둘러싼 형태로 이루어지는바, 다만 상부 플레이트(210) 및 하부 플레이트(220)와 인접되는 탄성받침(230)의 상하면에 별도의 강재층(제3강재층, 233)이 고온압착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탄성받침(230)에 고온압착된 제3강재층의 두께는 상하부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제1강재층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보다 두꺼워야 한다.
만일 제3강재층의 두께가 제1강재층의 두께보다 얇은 경우라면 상하부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각각의 탄성받침접합부(250)와 탄성받침을 접합시키는데 있어서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탄성중합체가 파괴될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제3강재층(233)의 두께가 각각의 제1강재층(220-1, 210-1)의 두께보다 얇을 경우라면 제1강재층의 측면과 제3강재층만이 인접하는 것이 아니고, 그 외에 탄성받침(230)을 구성하는 탄성중합체가 제3강재층과 인접하게 되며, 전혀 다른 재질의 재료가 접합되게 되므로 접착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또한 탄성 중합체가 파괴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탄성받침(230)이 상하부 플레이트의 홈부, 즉 탄성받침접합부에 안착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만으로는 요구되는 접착력을 만족시킬 수 없으며 탄성받침과 접합되는 상하부 플레이트의 재질이 같아야 하고 또한 그것이 홈을 형성한 형태로 접합될 경우 최적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였을 때 제3강재층은 제1강재층 두께 대비 100 내지 115 %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받침(230)에 제3강재층(233)을 고온압착시키는데 있어서 그 공정조건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하부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제1강재층을 재단하는 과정 중 발생된 탄성받침접합부(250)만큼의 강재를 가져다가 약 200 ~ 250℃ 정도의 온도에서 압력 100 ~ 300MP 정도로 고온압착시킬 수 있다.
탄성받침(230)과 제3강재층(233)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게 되면 서로 재질이 현저히 달라서 그 접착력이 요구하는 수준을 만족시킬 수 없다.
상부 플레이트(210) 또는 하부 플레이트(220)를 구성하는 각각의 제1강재층(210-1, 220-1) 및 제2강재층(210-2, 220-2)을 접합하고, 또한 탄성받침접합부(250)에 탄성받침(230)의 제3강재층(233)을 안착시켜 접합하는 데 있어 접착제로는 통상의 철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상 에폭시 화합물 및 반응성 비휘발성 용제를 포함하는 주제 및 고점도 폴리아마이드와 반응성 비휘발성 용제를 포함하는 경화제로 이루어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성을 갖는 접착제는 고탄성이면서 접착력이 우수한 바, 상시 진동이나 지진에 의한 진동에 의해서 접합부가 부스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접합부의 탄성을 좋게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에도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여기서 고상 에폭시 화합물로는 YD011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한편, 이와 같이 접착제를 이용한 접합에 의해서만도 충분히 높은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으나, 보다 더 결속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상부 플레이트(210) 및 하부 플레이트(220)를 구성하는 각각의 제1강재층(210-1, 220-1)과 제2강재층(210-2, 220-2)을 추가적인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결속할 수 있다. 이때의 결속수 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소켓형 볼트일 수 있다. 그 체결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볼트(140)의 예와 다를바 아니며, 이에 한정되는 것도 아님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탄성받침대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조를 갖도록 다음과 같은 규격으로 탄성받침대를 제작하였다.
① 상부플레이트(210): 제1강재층(210-1) 두께 10 mm, 제2강재층(210-2) 두께 28 mm
② 하부플레이트(220): 제1강재층(220-1) 두께 10 mm, 제2강재층(220-2) 두께 28 mm
③ 탄성받침(230): 대경산업 사 제품, 총두께 133 mm , 보강강판 전체 탄성받침의 131.25 규격
④ 제3강재층(233): 두께 10 mm
⑤ 탄성받침접합부(250): 300 × 400 규격
⑥ 접착제: 고상 에폭시 화합물 및 반응성 비휘발성 용제를 포함하는 주제 및 고점도 폴리아마이드와 반응성 비휘발성 용제를 포함하는 경화제 2:1 중량비로 이루어진 접착제)
⑦ 제1강재층과 제2강재층의 고온압착조건: 온도 200 ~ 250℃, 압력 100 ~ 300MP
이와 같이 완성된 탄성받침대에 대해 피로 반복 시험, 전단 변위 시험 및 접합부의 전단접착강도를 평가하였다.
구체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피로 반복 시험
압축시험기로 1,000,000번/day×30일 피로 반복 시험하여 육안 검사 결과 제품에 이상이 없는지를 확인하였다.
(2) 전단 변위 시험
전단 변위 시험기(교자 장치 성능시험기)로 150 내지 200% 변형시켜 제자리로 돌아왔을 때 육안 검사 결과 제품에 이상이 없는지를 확인하였다.
(3) 접합부의 전단접착강도
상, 하부 플레이트에 사용된 강재와 탄성 받침에 사용된 강재 사이에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접착제를 도포하고, KSM 3734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 결과, 일반적인 탄성받침의 경우 피로 반복 시험의 결과가 3,000,000회 정도인데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받침의 경우는 5,000,000 회에서도 외관 변형이 없었으며, 전단 변위시험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150%인 것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받침의 경우는 200%이었는바, 접합부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탄성받침의 미끄럼 방지와 접착 유지 기간 등이 향상된 결과이다. 이는 접합부의 전단접착강도 측정결과 290kg/㎠으로서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낸 것으로부터도 뒷받침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탄성받침의 미끄러짐이나 들뜸 현상을 방지하여 상시 및 지진시 수평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일반 탄성받침대에 비해 높이의 증가없이 상하부 플레이트와 탄성받침을 일체화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비용의 상승이 없다. 또한 탄성받침과 상하부 플레이트의 접착력을 증가시켜 접합부의 안전율이 최소 2.0 이상으로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접합부가 탄성을 가져 상시 및 지진시의 진동에 의해 접합부가 부스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접착유지기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교각 고핑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 상에 안착되며, 보강 강판을 탄성중합체로 덮어서 이루어진 탄성받침; 및 탄성받침의 이면에 안착되어 교량 상판과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일체형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및 상부 플레이트 각각은 탄성받침에 인접한 제1강재층 및 교각 고핑의 상부 또는 교량 상판과 결합되는 제2강재층의 복층 구조를 가지되, 탄성받침에 인접하는 제1강재층은 탄성받침의 인접면과 동일한 크기만큼으로 중심부에 탄성받침 접합부가 빈 공간의 형태로 형성되도록 제2강재층과 접합된 것이고,
    탄성받침은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와 인접되는 각각의 면에 제1강재층과 그 두께가 동일하거나 큰 제3강재층이 고온압착된 것이며,
    탄성받침이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탄성받침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상부 플레이트, 탄성받침 및 하부 플레이트가 일체화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강재층과 제2강재층 두께의 합은 35 내지 40 mm이며, 제1강재층은 전체 두께의 10 내지 30 %를 차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3강재층은 제1강재층 두께 대비 100 내지 115 %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접합은 고상 에폭시 화합물 및 반응성 비휘발성 용제를 포함하는 주제 및 고점도 폴리아마이드와 반응성 비휘발성 용제를 포함하는 경화제로 이루어진 접착제를 이용하여 수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각각의 제1강재층과 제2강재층은 추가적인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결속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대.
  6. 제 5 항에 있어서, 결속수단은 소켓형 볼트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대.
KR1020060064611A 2006-07-10 2006-07-10 일체형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대 KR100750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611A KR100750620B1 (ko) 2006-07-10 2006-07-10 일체형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611A KR100750620B1 (ko) 2006-07-10 2006-07-10 일체형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0620B1 true KR100750620B1 (ko) 2007-08-20

Family

ID=38614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611A KR100750620B1 (ko) 2006-07-10 2006-07-10 일체형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06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897B1 (ko) * 2014-05-29 2015-02-11 (주)에스코알티에스 전단력이 강화된 교량용 탄성받침
KR102343253B1 (ko) 2021-06-07 2021-12-27 주식회사 비엠이앤씨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2217A (ja) * 1993-03-17 1994-09-27 Bridgestone Corp 橋梁用支承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2217A (ja) * 1993-03-17 1994-09-27 Bridgestone Corp 橋梁用支承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897B1 (ko) * 2014-05-29 2015-02-11 (주)에스코알티에스 전단력이 강화된 교량용 탄성받침
KR102343253B1 (ko) 2021-06-07 2021-12-27 주식회사 비엠이앤씨 롤오버방지 기능을 갖는 교량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04963B2 (en) Construction frame shear lug
US20030110723A1 (en) Expansion and seismic joint covers
US9429205B2 (en) Elastomeric isolator
JPH09310408A (ja) 免震支承装置
KR101284238B1 (ko) 교량 면진받침의 변형량조절장치
KR100750620B1 (ko) 일체형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대
JP2008014057A (ja) 水平支承装置
KR100365698B1 (ko) 판스프링형 이동제한장치가 부착된 탄성받침
JP4274557B2 (ja) 水平荷重弾性支持装置
KR20180017816A (ko)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KR101121133B1 (ko) 납-주석 합금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면진장치
Galindo et al. Design, full-scale testing and CE certification of anti-seismic devices according to the New European Norm EN 15129: elastomeric isolators
KR101386048B1 (ko) 스페리칼 받침
JP3946527B2 (ja) 既設弾性支承の機能変更補修工法
CN212317211U (zh) 一种复合摩擦阻尼器
KR20110100333A (ko) 자체복원능력을 갖는 지진격리장치
KR101140161B1 (ko) 탄성 받침
JP4858848B2 (ja) 桁間連結装置
EP2734675B1 (en) Bearing preset system
KR200254739Y1 (ko) 납보호관이 삽입된 납면진받침
JP7050553B2 (ja) 構造物用支承装置
KR200418599Y1 (ko) 시공이 편리한 일체형 내진탄성받침
JP3733500B2 (ja) 軟弱地盤上の免震建物
KR20020095271A (ko) 교량의 탄성 슬라이드 받침장치
KR200360336Y1 (ko) 고감쇠 고무를 이용한 교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