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912A - 스마트 단말과 콜센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스마트 단말과 콜센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912A
KR20130109912A KR1020120094862A KR20120094862A KR20130109912A KR 20130109912 A KR20130109912 A KR 20130109912A KR 1020120094862 A KR1020120094862 A KR 1020120094862A KR 20120094862 A KR20120094862 A KR 20120094862A KR 20130109912 A KR20130109912 A KR 20130109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urchase
call center
smart terminal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오
Original Assignee
안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오 filed Critical 안종오
Publication of KR20130109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1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the purpose or context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1058Shopping and product ord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6Energy services, e.g. dispersed generation or demand or load or energy savings aggreg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쇼핑 요소와 전화주문 요소를 유기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스마트 단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컴퓨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문자 입력이 불편하고 디스플레이 크기가 협소함으로 인하여 스마트 단말(예: 스마트 단말, 스마트패드)을 통한 인터넷 쇼핑을 불편해 하거나 아예 전혀 활용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스마트 단말을 통해 편리하게 인터넷 쇼핑을 이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 단말에서 물품에 대한 검색 및 설정은 인터넷 브라우징과 동일하게 적용하되 최종적으로 구매 결정 및 결제는 콜센터 전화통화를 통해 달성하도록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구성한 기술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단말과 콜센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METHOD OF PROVIDING HYBRID-TYPE ELECTRONIC SHOPPING SERVICE USING SMART TERMINALS AND CALL-CENT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인터넷 쇼핑 요소와 전화주문 요소를 유기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스마트 단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컴퓨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문자 입력이 불편하고 디스플레이 크기가 협소함으로 인하여 스마트 단말(예: 스마트 단말, 스마트패드)을 통한 인터넷 쇼핑을 불편해 하거나 아예 전혀 활용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스마트 단말을 통해 편리하게 인터넷 쇼핑을 이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 단말에서 물품에 대한 검색 및 설정은 인터넷 브라우징과 동일하게 적용하되 최종적으로 구매 결정 및 결제는 콜센터 전화통화를 통해 달성하도록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구성한 기술을 개시한다.
인터넷 쇼핑(온라인 쇼핑)의 적용 범위는 날로 확대되고 있어, 이제는 개인용컴퓨터(PC)를 이용한 인터넷 쇼핑에 그치지 않고 스마트 단말이나 디지털 텔레비전 상에서도 인터넷 쇼핑을 구현하고 있다. 스마트 단말이나 디지털 텔레비전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을 특별히 구분하여 각각 모바일 쇼핑과 T커머스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포괄하여 인터넷 쇼핑이라 한다.
하지만 인터넷 쇼핑 과정은 개인정보 입력과 본인 인증을 위한 절차가 필요하고 특히 결제를 위해 각종 보안 어플리케이션과 공인인증서를 설치하고 카드번호를 입력하거나 계좌이체를 하는 등 상당히 복잡한 과정이 요구된다. 그에 따라 실제로는 인터넷 쇼핑을 상당히 어렵게 생각하거나 아예 전혀 활용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은 스마트 단말이나 스마트패드와 같은 스마트 단말에서는 더욱 가중된다. 이러한 스마트 단말은 개인용컴퓨터에 비해 디스플레이 크기도 작고 문자입력 수단도 가상키보드와 같이 상대적으로 열악하게 마련되어 있어 회원 가입이나 결제 등의 절차가 매우 불편하며, 나아가 인터넷 쇼핑몰에서 개별적으로 다운로드하는 결제관련 소프트웨어 모듈이 스마트 단말과 호환성을 갖추지 못하여 주문 결제가 불가능한 경우도 많다.
현재 스마트 단말과 스마트패드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들 스마트 단말을 통한 인터넷 쇼핑(모바일 쇼핑)을 다양한 형태로 시도하고 있으나, 스마트 단말에서는 상기한 불편함으로 인하여 인터넷 쇼핑이 기대와는 달리 그다지 활성화되고 있지는 못하다. 특히, 스마트 단말의 열악한 문자입력 환경과 결제 환경으로 인하여 일반 사용자들은 스마트 단말로는 제품 구경만 하고 실제 구매는 오프라인이나 개인용컴퓨터를 통해 실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제약조건이 수반되는 스마트 단말에서 인터넷 쇼핑(온라인 쇼핑, 모바일 쇼핑)을 구현하기에 최적화된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전자 결제정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특허출원 제10-2002-0081419호)
2. 인터넷상에서의 보상결제 전자상거래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특허출원 제10-2000-000912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 쇼핑 요소와 전화주문 요소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스마트 단말에서 적용하기에 적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문자 입력이 불편하고 디스플레이 크기가 협소함으로 인하여 스마트 단말(예: 스마트 단말, 스마트패드)을 통한 인터넷 쇼핑을 불편해 하거나 아예 전혀 활용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스마트 단말을 통해 편리하게 인터넷 쇼핑을 이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 단말에서 물품에 대한 검색 및 설정은 인터넷 브라우징과 동일하게 적용하되 최종적으로 구매 결정 및 결제는 콜센터 전화통화를 통해 달성하도록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구성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 구매관리서버, 콜센터 시스템이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스마트 단말의 사용자에게 인터넷 쇼핑과 전화주문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구매관리서버가 스마트 단말의 인터넷 쇼핑 조작에 대응하여 스마트 단말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제 1 단계; 구매관리서버가 스마트 단말에서 인터넷 쇼핑 페이지 상에서 이루어지는 물품구매를 위한 구매조작 정보를 제공받는 제 2 단계; 구매관리서버가 사용자 식별정보와 구매조작 정보를 매칭하여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구매관리서버가 전화주문신청 버튼 입력을 인식하는 제 4 단계; 구매관리서버가 사용자 식별정보와 구매조작 정보를 콜센터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제 5 단계; 콜센터 시스템이 구매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을 구매하기 위한 인터넷 쇼핑을 위한 주문전화를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단말로 연결하는 제 6 단계; 콜센터 시스템이 주문전화에 기초하여 인터넷 쇼핑을 위한 추가정보를 제공받는 제 7 단계; 콜센터 시스템이 구매조작 정보와 추가정보를 결합하여 인터넷 쇼핑에 대한 구매주문을 설정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인터넷 쇼핑 페이지의 전화주문신청 버튼에는 콜센터 시스템에 전화를 요구하기 위한 전화 호출정보가 링크되어 마련되고, 제 5 단계는, 구매관리서버가 인터넷쇼핑서버로부터 전화 호출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 요구사항을 식별하는 단계; 구매관리서버가 사용자 식별정보(구매희망자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콜센터 유인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구매관리서버가 콜센터 유인정보와 구매조작 정보를 콜센터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 5 단계에서 구매관리서버는 사용자 개인정보(배송지정보, 결제정보)를 콜센터 시스템으로 더 제공하되, 결제정보는 스마트 단말 사용자의 결제용 신용카드 번호의 불완전한 일부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매조작 정보는 인터넷 쇼핑 과정에서 생성된 구매대상 물품 정보와 구매대상 물품에 대한 상세옵션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추가정보는 구매조작 정보에 대한 주문확인 정보와 배송지 정보에 대한 확인 정보와 구매희망자에 대한 본인확인 정보와 물품구매에 대한 결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상과 같은 스마트 단말과 콜센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한편, 본 출원인은 제10-2012-0029607호, 제10-2012-0031627호, 제10-2012-0050685호, 제10-2012-0050686호 등을 비롯한 다수의 대한민국 특허출원을 통해 스마트 단말의 홈스크린 바탕화면에 대해 위젯 등을 통해 원격지의 유통업체서버와 직접 통제 채널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홈스크린 바탕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유통업체서버가 원격에서 직접 제어하는 유통매장 쇼핑서비스라는 인터넷 쇼핑 환경을 제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서비스는 이러한 원격 직접제어를 이용한 유통매장 쇼핑서비스 환경에서 인터넷 쇼핑 요소와 전화주문 요소를 유기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구현방식에도 해당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 쇼핑 요소와 전화주문 요소를 유기적으로 결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구현함으로써 스마트 단말의 여러가지 제약사항에도 불구하고 누구라도 편리하게 스마트 단말 상에서 인터넷 쇼핑을 즐길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구매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콜센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은 스마트 단말의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구매관리서버가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콜센터 시스템이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홈스크린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 홈스크린 바탕화면으로 구현된 유통매장의 층별 쇼핑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은 스마트 단말(10), 통신망(20), 인터넷쇼핑서버(30), 구매관리서버(40), 콜센터 시스템(50)을 포함하며, 구매관리서버(40)와 콜센터 시스템(50)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데이터베이스(43, 53)가 연동되어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10)은 예컨대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폰으로서 시스템 동작전원을 온(ON) 시키거나 홈 버튼을 눌렀을 때 [도 7]과 같은 홈스크린 바탕화면이 표시되는 특징을 가지며, 인터넷쇼핑서버(30)로 통신망(20)을 통해 액세스하여 인터넷쇼핑서버(30)에서 제공하는 물품에 대해서 인터넷 상거래로 구매하기 위한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을 어플리케이션으로 설치하거나 출고시부터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인터넷쇼핑서버(30)는 특정의 물품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통업체가 운영하는 장비로서, 매장이나 창고에 비치된 각종의 재화(물품, 서비스)를 판매하기 위한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 단말(10)로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터넷쇼핑서버(30)는 바람직하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마트 단말(10)의 홈스크린 바탕화면으로 원격 직접제어를 이용한 유통매장의 쇼핑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스마트 단말(10)로 물품구매를 위한 페이지를 전송시 각 페이지별로 할당된 복수의 위젯을 포함시켜 전송한다.
그리고, 구매관리서버(40)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 단말(10)의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콜센터 시스템(50)으로 전송한다. 또한, 콜센터 시스템(50)은 스마트 단말(10) 사용자가 인터넷쇼핑서버(30) 상의 조작을 통해 특정 재화를 선택하고 전화주문신청을 선택하면 구매관리서버(40)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재화에 대한 결제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구매관리서버(40)는 사용자가 전화주문신청을 선택하면 당해 주문내용과 해당 사용자(구매자)에 대한 정보를 콜센터 시스템(50)으로 제공함으로써 콜센터에서 전화연결이 제공되도록 보조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정보관리를 위해 2개의 데이터베이스(43, 53)가 운용되는데, 제 1 데이터베이스(43)는 구매관리서버(40)의 정보관리를 위해 제공되고, 제 2 데이터베이스(53)는 콜센터 시스템(50)의 정보관리를 위해 제공된다. 이들 데이터베이스(43, 53)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스마트 단말(10)은 사용자가 별도로 어플을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바람직하게는 스마트 단말(10)에서 출고 당시부터 홈스크린 바탕화면을 위해 설치되어 있는 배경생성 콤포넌트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경생성 콤포넌트의 일 예로 위젯(widget)을 들 수 있는데, 인터넷쇼핑서버(30)는 스마트 단말(10)에 설치된 위젯과 직접제어 채널을 형성하여 각종의 쇼핑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푸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인터넷쇼핑서버(30)가 배경생성 콤포넌트로 데이터를 푸시하는 방식은 본 발명에서 크게 두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제 1 방식은 인터넷쇼핑서버(30)가 스마트 단말(10)의 전원이 온(ON) 됨에 따라 초기의 홈스크린 바탕화면이 스마트 단말(10) 상으로의 구현이 완료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초기 구현이 완료되면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으로 데이터를 푸시하는 방식이다.
제 2 방식은 인터넷쇼핑서버(30)가 스마트 단말(10)의 전원이 온(ON) 됨에 따라 초기의 홈스크린이 터치스크린(12) 상으로 구현되고 포어그라운드 프로세싱으로 위젯을 활성화한 뒤, 쇼핑화면 데이터를 푸시하는 방식이다. 제 1 방식에서는 위젯이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데이터 푸시가 이루어지면 스마트 단말(10)의 프로세싱 로드가 너무 크고 특히 과다한 데이터 통신요금이 나올 수 있다. 그에 따라 제 2 방식에서는 쇼핑화면 데이터가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되고, 각 페이지별로 위젯(서브모듈)이 개별적으로 할당되어 사용자가 각 페이지로 화면을 진입하면 해당 위젯이 활성화되고 이전 페이지의 위젯은 비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위젯이 활성화되었을 때 데이터 푸시를 시작하므로 페이지 이동마다 약간의 지연이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구매관리서버(4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구매관리서버(40)는 제 1 송수신부(41), 구매관리모듈(42), 제 1 데이터베이스(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구매관리모듈(42)은 개인정보 관리수단(42a), 구매조작정보 관리수단(42b)을 구비한다. 구매관리서버(40)는 인터넷쇼핑서버(30)와 긴밀하게 연동하여 동작함으로써 스마트 단말(10)을 통한 사용자의 인터넷 쇼핑에 관련된 정보를 취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개인정보 관리수단(42a)은 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 단말(10)의 인터넷쇼핑서버(30)로의 액세스에 대응하여 현재 인터넷쇼핑을 수행하고 있는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획득한다. 이러한 사용자 식별정보의 일 예는 스마트 단말(10)의 단말번호가 사용될 수 있는데, 개인정보 관리수단(42a)은 사용자 식별정보를 제 1 데이터베이스(41)에 저장한다. 이를 위해 개인정보 관리수단(42a)은 인터넷쇼핑서버(30)와 스마트 단말(1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수단(42a)은 제 1 데이터베이스(41)에 스마트 단말(10)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개인정보는 사용자의 배송지정보와 결제정보 등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개인정보 관리수단(42a)은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제 1 데이터베이스(41)에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10)로의 개인정보인 배송지정보 및 결제정보 입력에 따라 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 단말(10)으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신하도록 제 1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이러한 과정으로는 스마트 단말(10)의 구매 및 서비스 개통시에 가입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고 혹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가입할 때 스마트 단말(10)이나 개인용컴퓨터(미도시)를 통해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구매관리서버(40)에서 구매자에 대한 배송지정보와 결제정보를 마련하여 후술하는 콜센터 시스템(50)으로 제공하도록 구현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콜센터 시스템(50)과의 전화 통화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배송지정보와 결제정보가 사용자로부터 제공되고, 콜센터 시스템(50)의 제 2 데이터베이스(53)에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는 콜센터 시스템(50)에서 구매자에 대한 배송지정보와 결제정보를 확보하고, 그에 따라 구매절차를 진행한다.
이후, 개인정보 관리수단(42a)은 스마트 단말(10)에 매칭하여 사용자의 배송지정보와 결제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개인정보 관리수단(42a)은 개인정보의 신속한 추출을 위한 개인-메타정보를 더 생성하여 제 1 데이터베이스(41)에 추가 저장한 뒤, 요청에 따라 개인-메타정보를 콜센터 시스템(50)으로 전송하도록 제 1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여기서 결제정보는 스마트 단말(10) 사용자의 카드번호정보, 카드비밀번호정보, 카드유효기간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가 될 수 있으며, 구현에 따라서는 신용카드번호의 전체 16 디지트 중에서 예컨대 12 디지트 등과 같이 일부 정보가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결제정보는 콜센터 시스템(50)의 제 2 데이터베이스(53)에서의 기존 구매내역으로부터 추출해서 제 1 데이터베이스(43)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스마트 단말(10) 사용자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제공받아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콜센터 시스템(50)의 제 2 데이터베이스(53)는 스마트 단말(10)에 의한 물품의 구매 및 결제 완료시, 사용자의 개인정보로 배송지정보, 결제정보, 구매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
구매조작정보 관리수단(42b)은 통신망(20)을 통해 인터넷쇼핑서버(30)가 제공하는 물품구매 페이지 상에서 사용자가 제공하는 구매조작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 1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10)을 이용해 인터넷쇼핑서버(30)와의 데이터 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인터넷 쇼핑을 위해 스마트 단말(10) 상에서 각종 조작을 하면, 그러한 구매조작 정보가 구매조작정보 관리수단(42b)으로 전송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인터넷쇼핑서버(30)가 제공하는 물품 리스트 중에서 특정 물품을 선택한다거나, 그 물품에 대해서 구매관련 옵션을 선택하는 등의 조작을 하면 그러한 개별 정보들에 해당하는 각 구매조작 정보가 스마트 단말(10)으로부터 구매관리 서버(40)의 구매조작정보 관리수단(42b)으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인터넷쇼핑서버(30)에서 스마트 단말(10) 사용자가 신발을 구매하는 경우, 먼저 브랜드와 제품모델을 구매대상 물품으로 결정하고 이러한 개별 구매대상 물품의 구매화면에서 구매관련 상세옵션(사이즈, 색깔, 개수 등)을 선택하게 되는데, 이와 관련하여 스마트 단말(10)의 사용자가 조작을 하면 그러한 개별 정보들이 각각 구매조작 정보로 생성되어 스마트 단말(10)에서 통신망(20)을 통해 구매조작정보 관리수단(42b)으로 전송된다.
구매조작정보 관리수단(42b)은 구매조작 정보와 스마트 단말(10)을 매칭하여 제 1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한다. 또한, 구매조작정보 관리수단(42b)은 구매조작 정보의 신속한 추출을 위한 구매조작-메타정보를 더 생성하여 제 1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한 뒤, 요청에 따라 콜센터 시스템(50)으로 구매조작-메타정보를 전송하도록 제 1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한편, 콜센터 연결수단(42c)은 [도 4]의 인터넷 쇼핑 UI에서 사용자가 구매대상 재화를 선택한 후에 '전화주문신청'을 선택하면 당해 주문내용(구매대상 재화, 옵션내용)과 해당 사용자(구매자)에 대한 정보를 콜센터 시스템(50)으로 제공함으로써 콜센터 시스템(50)으로부터 스마트 단말(10)로 전화연결이 제공되도록 보조한다. 콜센터 연결수단(42c)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콜센터 시스템(5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를 실현하기 위해 스마트 단말(10)의 터치스크린(12)에 구현된 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콜센터 시스템(50)은 제 2 송수신부(51), 간편결제모듈(52), 제 2 데이터베이스(5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간편결제모듈(52)은 통화구매수단(52a), 정보수집수단(52b), 결제수단(52c)을 구비한다. 스마트 단말(10)이 인터넷쇼핑서버(30)로 액세스하면, 스마트 단말(10)은 인터넷쇼핑서버(30)가 제공하는 물품구매를 위한 페이지를 수신하여 UI 화면으로 구현한다([도 4] 참조).
이후, 인터넷쇼핑서버(30)는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10) 상에 구현된 UI 화면에서 전화주문신청 영역, 즉시구매 영역, 장바구니 영역 중에서 전화주문신청 영역을 선택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식의 전화주문 요청으로 판단하여 콜센터 연결수단(42c)으로 이 사실을 알린다. 콜센터 연결수단(42c)은 콜센터 시스템(50)으로 재화구매를 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구매확정 및 결제를 위해 스마트 단말(10)로 호 연결을 실행하도록 한다.
한편, 즉시구매 영역은 종래 방식에 따른 통상적인 구매주문 프로세스가 진행되도록 하는데, 예컨대 카드구매나 계좌이체를 통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장바구니 영역은 현재 상품을 장바구니에 넣어 두었다가 나중에 대금 결제를 비롯한 구매 절차를 수행하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은 종래기술에서의 인터넷 쇼핑에서도 제공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화주문신청과 관련하여, 스마트 단말(10) 사용자는 [도 4]의 구매 페이지에서 제품구매에 필요한 모든 사항을 설정한 뒤 전화주문신청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이후 콜센터 시스템(50)으로부터의 전화통화를 통해 제품구매가 이루어지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인터넷쇼핑서버(30)가 제공하는 인터넷 쇼핑용 웹페이지([도 4] 참조)에는 콜센터 시스템(50)에 전화를 요구하기 위한 전화 호출정보가 전화주문신청 버튼 영역에 링크된 방식으로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가 웹페이지 상에서 전화주문신청 버튼을 클릭하면 인터넷쇼핑서버(30)는 전화 호출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구매관리서버(40)의 콜센터 연결수단(42c)은 구매희망자에 대한 식별정보(유인자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콜센터 유인정보를 생성한 후 자동으로 콜센터 시스템(50)으로 콜센터 유인정보를 제공하여 물품구매 처리를 위한 전화통화를 요청한다.
콜센터 시스템(50)의 통화구매수단(52a)은 콜센터 연결수단(42c)으로부터 콜센터 유인정보를 제공받으면 이로부터 구매희망자의 스마트 단말(10)로 호 연결을 시도한다. 이때, 통화구매수단(52a)은 콜센터 유인정보로부터 구매희망자에 대한 식별정보(유인자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당해 구매희망자에 대한 구매관련 정보를 미리 획득하여 전화연결 후의 정보획득 과정에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인자 식별정보의 일 예로는 스마트 단말(10)의 전화번호를 생각할 수 있다.
정보수집수단(52b)은 스마트 단말(10)에 대한 구매조작-메타정보와 개인-메타정보를 구매관리서버(40)로 요청하여 제공받으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구매조작 정보와 개인정보를 획득한다. 한편, 구매조작 정보와 개인정보는 유인자 식별정보에 포함시켜 콜센터 연결수단(42c)이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매조작 정보와 개인정보는 통화구매수단(52a)을 통해 이루어지는 스마트 단말(10)과의 전화통화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구매수단(52a)이 스마트 단말(10)로 전화연결을 해주면 콜센터 시스템(50)의 상담원이 전화통화를 통해 스마트 단말(10)의 사용자(구매희망자)로부터 제품구매 및 결제와 관련된 각종 정보(구매확정 멘트, 옵션사항 확인, 배송지 확인, 신용카드번호, 결제계좌번호 등)을 교환하는데, 이 과정에서 정보수집수단(52b)이 미리 확보해준 구매조작 정보와 개인정보가 콜센터 상담원에게는 많은 도움이 되고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결제수단(52c)은 위 연결된 전화통화를 통해서 스마트 단말(10) 사용자에 대한 본인확인 과정과 배송지 확인 과정,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결제정보 제공과정을 수행한다. 이중에서 본인확인 과정을 살펴보면, 콜센터 시스템(50)은 구매관리서버(40)로부터 제공받은 구매조작 정보가 현재 전화를 통해 연결중인 사용자(구매희망자)와 합치되는 것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콜센터 시스템(50)은 그러한 확인 사항을 관리한다.
또한, 배송지정보와 결제정보는 구매관리서버(40)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고 이전의 구매주문 이력으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라도 전화통화를 통해 직접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러한 확인정보는 콜센터 시스템(50)에 의해 관리된다. 또한, 결제정보와 관련하여 구매관리서버(40)가 제공하거나 이전의 구매주문 이력에서 획득되는 결제정보는 전체 정보가 아닌 일부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안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결제수단(52c)은 본인확인과 배송지정보 확인을 완료한 후 스마트 단말(1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물품 구매를 완료하도록 제 2 송수신부(51)를 제어하며 물품구매에 대한 결제를 완료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제수단(52c)은 스마트 단말(10)의 유인자 식별정보를 이용해 구매관리서버(40)로부터 결제정보를 가져올 경우, 결제를 위한 모든 정보는 아닌 결제보조 정보로 예컨대, 스마트 단말(10) 사용자의 카드번호 전체 16 디지트 중에서 예컨대 앞의 12 디지트 정도만을 획득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인확인 과정과 배송지정보 확인은 콜센터 시스템(50)의 상담원과 스마트 단말(10) 사용자와의 전화 통화를 통해 수행되거나 자동 음성 안내시스템으로 자동화되어 수행가능하다. 이와 같이 스마트 단말(10) 사용자에 대한 대부분의 정보인 구매물품 정보, 배송관련 정보 등을 미리 구매관리서버(40)로부터 확보한 상태에서 최소한의 확인만을 실시간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에서 구매관리서버(40)가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구매관리서버(40)는 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 단말(10)이 인터넷쇼핑서버(30)를 액세스함에 따라 스마트 단말(10)의 식별번호(단말번호)를 추출하여 제 1 데이터베이스(41)에 저장한다(S110).
단계(S110) 이후, 구매관리서버(40)는 제 1 데이터베이스(41)에 스마트 단말(10)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있는지 판단한다(S120).
단계(S120)의 판단결과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구매관리서버(40)는 스마트 단말(10)으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인 배송지정보 및 결제정보를 제공받는다(S130). 반대로 단계(120)의 판단결과 개인정보가 이미 저장되어 있다면 구매관리서버(40)는 단계(S130)을 수행할 필요없이 단계(S140)으로 진행한다.
단계(S130) 이후, 구매관리서버(40)는 스마트 단말(10)에 매칭하여 사용자의 배송지정보와 결제정보를 저장하며, 개인정보의 신속한 추출을 위한 개인-메타정보를 더 생성하여 제 1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한다(S140).
단계(S140) 이후,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10)을 이용한 인터넷 쇼핑을 수행함에 대응하여 구매관리서버(40)는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10)의 UI 상에서 수행하는 구매조작 정보를 수신한다(S150).
단계(S150) 이후, 구매관리서버(40)는 스마트 단말(10)과 그 수신된 구매조작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며, 구매조작 정보의 신속한 추출을 위한 구매조작-메타정보를 더 생성하여 제 1 데이터베이스(43)에 저장한다(S160).
단계(S160) 이후, 구매관리서버(40)는 사용자가 인터넷 쇼핑 UI 상에서 전화주문신청 버튼을 선택한 것을 식별한다(S170).
단계(S170) 이후, 구매관리서버(40)는 전화주문신청 선택에 대응하여 콜센터 시스템(50)에서 스마트 단말(10)로 전화통화가 제공될 수 있도록 콜센터 시스템(50)으로 콜센터 유인정보(전화번호)를 제공하고, 바람직하게는 개인-메타정보와 구매조작-메타정보를 콜센터 시스템(50)으로 더 제공함으로써 당해 물품 구매와 관련된 정보(구매희망자 개인정보, 구매희망 재화정보)를 콜센터 시스템(50)이 미리 확보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S180).
단계(S180) 이후, 요청에 따라 구매관리서버(40)는 구매희망자의 개인정보와 구매대상 물품(재화)에 대해 사용자(구매희망자)가 입력한 각종 조작에 관련된 정보(구매조작정보)를 콜센터 시스템(50)으로 전송한다. 구매조작정보는 구매희망 물품(재화)에 관한 정보 및 당해 물품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각종 정보(예: 옵션사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는 개인-메타정보와 구매조작-메타정보를 매개로 하지 않고, 구매관리서버(40)가 전화번호뿐만 아니라 구매조작정보와 개인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콜센터 유인정보를 생성하여 콜센터 시스템(50)으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에서 콜센터 시스템(50)이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콜센터 시스템(50)은 스마트 단말(10)의 사용자가 인터넷쇼핑서버(30)가 제공하는 물품구매를 위한 페이지 상에서 전화주문신청을 선택함에 따라 구매관리서버(40)의 콜센터 연결수단(42c)으로부터 전화주문신청의 처리를 요청받는 한편, 콜센터 연결수단(42c)으로부터 전화주문신청에 관련된 유인자 식별정보, 개인-메타정보, 구매조작-메타정보를 수신한다(S220).
단계(S220) 이후, 콜센터 시스템(50)은 유인자 식별정보로부터 스마트 단말(10)의 전화번호를 추출하고(S230), 구매조작-메타정보와 개인-메타정보로부터 구매조작정보와 개인정보(배송지정보/결제정보)를 구매관리서버(40)로부터 획득한다(S240). 전술한 바와 같이 개인-메타정보와 구매조작-메타정보를 매개로 하지 않고, 콜센터 유인정보에 전화번호, 구매조작정보, 개인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어 콜센터 시스템(50)이 콜센터 유인정보를 바로 이들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S240) 이후, 콜센터 시스템(50)은 위 획득된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스마트 단말(10)로 전화통화를 연결한다. 콜센터 시스템(50)에는 다수의 유인자 식별정보가 누적되어 있을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 콜센터 시스템(50)는 나름대로의 규칙에 따라(예: 주문순서에 따라) 유인자 식별정보에 따른 인터넷 쇼핑 전화주문을 처리하도록 동작한다.
단계(S250) 이후, 콜센터 시스템(50)은 전화통화를 통하여 사용자에 대한 본인확인과 배송지정보 확인에 따른 물품 구매와(S260) 결제정보를 이용한 물품에 대한 결제를 완료한 뒤(S270), 바람직하게는 결제 내역을 제 2 데이터베이스(53)에 저장한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구매주문이 처리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 스마트 단말
20: 통신망
30: 인터넷쇼핑서버
40: 구매관리서버
41: 제 1 송수신부
42: 구매관리모듈
42a: 개인정보 관리수단
42b: 구매조작정보 관리수단
42c: 콜센터 연결수단
43: 제 1 데이터베이스
50: 콜센터 시스템
51: 제 2 송수신부
52: 간편결제모듈
52a: 통화구매수단
53b: 정보수집수단
52c: 결제수단
53: 제 2 데이터베이스

Claims (5)

  1. 스마트 단말, 구매관리서버, 콜센터 시스템이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단말의 사용자에게 인터넷 쇼핑과 전화주문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구매관리서버가 스마트 단말의 인터넷 쇼핑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제 1 단계;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스마트 단말에서 인터넷 쇼핑 페이지 상에서 이루어지는 물품구매를 위한 구매조작 정보를 제공받는 제 2 단계;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와 상기 구매조작 정보를 매칭하여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전화주문신청 버튼 입력을 인식하는 제 4 단계;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와 상기 구매조작 정보를 콜센터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제 5 단계;
    상기 콜센터 시스템이 상기 구매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을 구매하기 위한 인터넷 쇼핑을 위한 주문전화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로 연결하는 제 6 단계;
    상기 콜센터 시스템이 상기 주문전화에 기초하여 인터넷 쇼핑을 위한 추가정보를 제공받는 제 7 단계;
    상기 콜센터 시스템이 상기 구매조작 정보와 상기 추가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인터넷 쇼핑에 대한 구매주문을 설정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 단말과 콜센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쇼핑 페이지의 전화주문신청 버튼에는 상기 콜센터 시스템에 전화를 요구하기 위한 전화 호출정보가 링크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인터넷쇼핑서버로부터 상기 전화 호출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 요구사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사용자 식별정보(구매희망자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콜센터 유인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구매관리서버가 상기 콜센터 유인정보와 상기 구매조작 정보를 상기 콜센터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과 콜센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에서 상기 구매관리서버는 사용자 개인정보(배송지정보, 결제정보)를 콜센터 시스템으로 더 제공하되,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스마트 단말 사용자의 결제용 신용카드 번호의 불완전한 일부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과 콜센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매조작 정보는 상기 인터넷 쇼핑 과정에서 생성된 구매대상 물품 정보와 상기 구매대상 물품에 대한 상세옵션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추가정보는 상기 구매조작 정보에 대한 주문확인 정보와 배송지 정보에 대한 확인 정보와 상기 구매희망자에 대한 본인확인 정보와 물품구매에 대한 결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과 콜센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스마트 단말과 콜센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94862A 2012-03-28 2012-08-29 스마트 단말과 콜센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301099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31627 2012-03-28
KR1020120031627 2012-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912A true KR20130109912A (ko) 2013-10-08

Family

ID=49632033

Famil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688A KR101403940B1 (ko) 2012-03-28 2012-05-14 스마트단말의 홈스크린 바탕화면에 대한 원격 직접제어를 통해 전달되는 구매성향 기반의 프레스티지 서비스 제공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구매성향 기반의 프레스티지 서비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50687A KR101415772B1 (ko) 2012-03-28 2012-05-14 스마트단말의 홈스크린 바탕화면에 대한 원격 직접제어를 통해 전달되는 구매희망 아이템 기반의 공동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구매희망 아이템 기반의 공동구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50686A KR101415771B1 (ko) 2012-03-28 2012-05-14 스마트단말의 홈스크린 바탕화면을 이용한 모바일 홈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모바일 홈쇼핑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50685A KR101403939B1 (ko) 2012-03-28 2012-05-14 스마트단말의 홈스크린 바탕화면에 대한 원격 직접제어를 통해 제공되는 개인화된 쇼핑정보를 이용한 개인화된 유통매장 자동인식 쇼핑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개인화된 유통매장 자동인식 쇼핑결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51601A KR101354549B1 (ko) 2012-03-28 2012-05-15 스마트단말의 홈스크린 바탕화면에 대한 원격 직접제어를 통해 전달되는 집단적 구매성향 기반의 광고/쿠폰 서비스 제공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집단적 구매성향 기반의 광고/쿠폰 서비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62487A KR101415773B1 (ko) 2012-03-28 2012-06-12 스마트단말의 홈스크린 바탕화면에 대한 원격 직접제어를 통해 제공되는 셀 분할 방식의 개인화 쇼핑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셀 분할 방식의 개인화 쇼핑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64888A KR101416917B1 (ko) 2012-03-28 2012-06-18 스마트단말의 메인스크린에 대한 원격 직접제어를 이용한 유통매장 쇼핑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유통매장 쇼핑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64907A KR101415774B1 (ko) 2012-03-28 2012-06-18 스마트단말의 홈스크린 바탕화면에 대한 원격 직접제어를 이용한 디지털컨텐츠 쇼핑서비스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디지털컨텐츠 쇼핑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94862A KR20130109912A (ko) 2012-03-28 2012-08-29 스마트 단말과 콜센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30099808A KR101410782B1 (ko) 2012-03-28 2013-08-22 스마트단말의 홈스크린 바탕화면에 대한 원격 직접제어를 통해 전달되는 집단적 구매성향 기반의 광고/쿠폰 서비스 제공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집단적 구매성향 기반의 광고/쿠폰 서비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688A KR101403940B1 (ko) 2012-03-28 2012-05-14 스마트단말의 홈스크린 바탕화면에 대한 원격 직접제어를 통해 전달되는 구매성향 기반의 프레스티지 서비스 제공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구매성향 기반의 프레스티지 서비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50687A KR101415772B1 (ko) 2012-03-28 2012-05-14 스마트단말의 홈스크린 바탕화면에 대한 원격 직접제어를 통해 전달되는 구매희망 아이템 기반의 공동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구매희망 아이템 기반의 공동구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50686A KR101415771B1 (ko) 2012-03-28 2012-05-14 스마트단말의 홈스크린 바탕화면을 이용한 모바일 홈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모바일 홈쇼핑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50685A KR101403939B1 (ko) 2012-03-28 2012-05-14 스마트단말의 홈스크린 바탕화면에 대한 원격 직접제어를 통해 제공되는 개인화된 쇼핑정보를 이용한 개인화된 유통매장 자동인식 쇼핑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개인화된 유통매장 자동인식 쇼핑결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51601A KR101354549B1 (ko) 2012-03-28 2012-05-15 스마트단말의 홈스크린 바탕화면에 대한 원격 직접제어를 통해 전달되는 집단적 구매성향 기반의 광고/쿠폰 서비스 제공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집단적 구매성향 기반의 광고/쿠폰 서비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62487A KR101415773B1 (ko) 2012-03-28 2012-06-12 스마트단말의 홈스크린 바탕화면에 대한 원격 직접제어를 통해 제공되는 셀 분할 방식의 개인화 쇼핑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셀 분할 방식의 개인화 쇼핑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64888A KR101416917B1 (ko) 2012-03-28 2012-06-18 스마트단말의 메인스크린에 대한 원격 직접제어를 이용한 유통매장 쇼핑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유통매장 쇼핑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64907A KR101415774B1 (ko) 2012-03-28 2012-06-18 스마트단말의 홈스크린 바탕화면에 대한 원격 직접제어를 이용한 디지털컨텐츠 쇼핑서비스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디지털컨텐츠 쇼핑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808A KR101410782B1 (ko) 2012-03-28 2013-08-22 스마트단말의 홈스크린 바탕화면에 대한 원격 직접제어를 통해 전달되는 집단적 구매성향 기반의 광고/쿠폰 서비스 제공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집단적 구매성향 기반의 광고/쿠폰 서비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0) KR1014039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60793B (zh) * 2014-11-19 2018-01-19 成都中科创达软件有限公司 一种终端桌面编辑的方法及系统
CN105992029A (zh) * 2015-02-12 2016-10-0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壁纸推荐方法、服务器、移动终端及系统
CN106919301B (zh) * 2015-12-25 2020-04-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壁纸预览方法和系统以及壁纸更换方法和系统
KR102033512B1 (ko) 2018-04-27 2019-10-17 주식회사 쓰리에이치굿스 후열 리싸이클 기능을 갖는 히터
KR102086581B1 (ko) 2018-04-27 2020-03-09 주식회사 쓰리에이치굿스 열과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기살균 기능을 갖는 실내용 냉난방기
KR102104904B1 (ko) 2018-07-13 2020-05-29 주식회사 쓰리에이치굿스 복사 대류형 냉난방기
CN109801058B (zh) * 2019-01-24 2022-06-03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Android系统的自动缴费方法
CN112099722A (zh) * 2020-09-21 2020-12-18 北京五八信息技术有限公司 业务信息的展示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KR102464232B1 (ko) * 2022-03-22 2022-11-09 주식회사 위피엠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회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전시회 설계 및 관리 방법
KR20240047686A (ko) * 2022-10-05 2024-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6240A (ja) 2000-08-10 2002-02-20 Netway Corp 受注装置および方法
JP2002157394A (ja) * 2000-11-20 2002-05-31 Sheena Kk ネットワークマーケティングシステム
KR20010079042A (ko) * 2001-06-08 2001-08-22 노범섭 사이버 영업자를 이용한 인터넷쇼핑몰 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KR100633395B1 (ko) * 2004-04-30 2006-10-20 주식회사 인터파크지마켓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에서의 판매자 가상매장제공/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73032B1 (ko) * 2005-04-07 2007-01-22 (주) 엘지텔레콤 휴대폰을 이용한 홈쇼핑 상품 주문 시스템
KR100777427B1 (ko) * 2006-05-10 2007-11-20 (주)디엠플러스 Vip 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KR100812964B1 (ko) * 2006-08-29 2008-03-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 단말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1421A (ko) * 2007-04-10 2009-01-09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광고 위젯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광고 제공 시스템 및광고 제공 방법
KR20090044522A (ko) * 2007-10-31 2009-05-07 장재웅 위젯 컨텐츠를 통한 공동구매 형성시스템
KR20090120283A (ko) * 2008-05-19 2009-11-2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상점 관리 시스템 및 상점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WO2010053313A2 (ko) * 2008-11-06 2010-05-14 주식회사 파수닷컴 위젯을 이용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34898A (ko) * 2009-06-16 2010-12-24 최승환 개인화 쇼핑 광고 위젯
KR101085058B1 (ko) * 2009-11-03 2011-11-18 석윤찬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
KR101159786B1 (ko) * 2010-09-03 2012-07-03 주진용 스마트폰을 이용한 광고방법
KR101085880B1 (ko) * 2010-11-05 2011-11-23 주식회사 네오패드 가상 키입력수단의 배경화면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940B1 (ko) 2014-06-11
KR101403939B1 (ko) 2014-06-11
KR20130109897A (ko) 2013-10-08
KR101354549B1 (ko) 2014-02-06
KR101415774B1 (ko) 2014-07-09
KR20130109900A (ko) 2013-10-08
KR101415773B1 (ko) 2014-07-09
KR101410782B1 (ko) 2014-06-25
KR20130109894A (ko) 2013-10-08
KR20130109895A (ko) 2013-10-08
KR20130109892A (ko) 2013-10-08
KR101416917B1 (ko) 2014-07-09
KR20130109896A (ko) 2013-10-08
KR20130109893A (ko) 2013-10-08
KR101415772B1 (ko) 2014-07-09
KR20130109899A (ko) 2013-10-08
KR101415771B1 (ko) 2014-07-09
KR20130110113A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9912A (ko) 스마트 단말과 콜센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10032143B2 (en) Payment support method and system
CN102754115B (zh) 远程可变认证处理
US201301106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yment in broadcast receiver using mobile terminal having card reader function
US20200279237A1 (en) Rapid checkout after payment
US10430787B2 (en) Digital wallet broadcasting
US10460316B2 (en) Two device authentication
JP2004287593A (ja) 通信システム、決済管理装置および方法、携帯情報端末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382621B1 (ko) 혜택 기반 상품 추천을 지원하는 쇼핑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0891669B2 (en) Virtual sales assistant kiosk
JP2004287592A (ja) 決済システム、決済管理装置および方法、携帯情報端末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826960B1 (ko) 모바일 결제 방법 및 그 장치
KR101949526B1 (ko) 더치 페이 시스템
US20210065153A1 (en) System and application server for secure guest checkout
US2015007384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electronic receipt system
CN111108523A (zh) 用于移动应用、可穿戴应用、交易性消息收发、呼叫、数字多媒体捕获、支付交易和一触式服务的系统和方法
KR101407398B1 (ko)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6469886B2 (ja) 決済確認画面選択装置
US20200410478A1 (en) Methods and systems enabling external entity to provision payment credentials to a digital device
KR20110073628A (ko) 휴대폰을 이용한 홈쇼핑 결제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휴대폰 및 기록매체
JP7025135B2 (ja) 簡易決済方法および簡易決済システム
KR20140066138A (ko)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10769715B1 (en) System and process for in-app sale of physical products
JP7322129B2 (ja) サービス管理システム、取引サーバ及びサービス管理方法
JP687848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