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686A -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686A
KR20240047686A KR1020220127011A KR20220127011A KR20240047686A KR 20240047686 A KR20240047686 A KR 20240047686A KR 1020220127011 A KR1020220127011 A KR 1020220127011A KR 20220127011 A KR20220127011 A KR 20220127011A KR 20240047686 A KR20240047686 A KR 20240047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creen
information
modes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장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7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7686A/ko
Priority to PCT/KR2023/011627 priority patent/WO2024075966A1/ko
Publication of KR20240047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6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8Scale or resolution adjus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전자 장치는, 영상 투사부, 센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영상 투사부, 센서 및 메모리와 연결되어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센서를 통해 획득된 투사면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스크린 사이즈를 식별하고, 복수의 UI 모드 중 식별된 스크린 사이즈에 대응되는 UI 모드를 식별하고, 식별된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투사하도록 영상 투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UI 모드는, UI 화면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 UI 엘리먼트의 타입의 수 또는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 Electronic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providijng method thereof }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사면으로 영상을 투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 및 광학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프로젝터들이 활용되고 있다. 프로젝터란, 투사면(또는, 투사면)으로 빛을 투사하여, 투사면 상에 영상이 맺히도록 하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 투사 거리에 따라 스크린 사이즈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투사되는 영상이 다양한 UI 요소를 포함하는 UI 화면인 경우 사이즈만 변경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영상 투사부, 센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영상 투사부, 상기 센서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된 투사면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스크린 사이즈를 식별하고, 복수의 UI 모드 중 상기 식별된 스크린 사이즈에 대응되는 UI 모드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투사하도록 상기 영상 투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UI 모드는, UI 화면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 UI 엘리먼트의 타입의 수 또는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투사면까지의 거리 및 스크린 사이즈 조정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린 사이즈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사이즈 조정 명령은, 스크린 사이즈를 확대시키거나 축소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스크린 사이즈가 제1 임계 사이즈 미만이면 상기 복수의 UI 모드 중 제1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투사하도록 상기 영상 투사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크린 사이즈가 상기 제1 임계 사이즈 이상 제2 임계 사이즈 미만이면 상기 복수의 UI 모드 중 제2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투사하도록 상기 영상 투사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크린 사이즈가 상기 제2 임계 사이즈 이상이면 상기 복수의 UI 모드 중 제3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투사하도록 상기 영상 투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는, 상기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보다 많고 상기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보다 적으며, 상기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는, 상기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보다 확장되고 상기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보다 축소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UI 모드 및 상기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은, 상기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에 포함되지 않는 컨텐츠 프로모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은, 상기 제1 UI 모드 및 상기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지 않는 라이브(live) 컨텐츠 영상 및 해당 영상 관련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UI 모드 및 상기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은, 사이드 메뉴에 대응되는 아이콘 정보 만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은, 상기 사이드 메뉴에 대응되는 아이콘 정보 및 메뉴 타이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 타입의 수는, 상기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 타입의 수보다 많고 상기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 타입의 수보다 적을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미디어 홈에 대응되는 UI 화면, 게임 홈에 대응되는 UI 화면, 앰비언트 홈에 대응되는 UI 화면 및 써드 파티 홈에 대응되는 UI 화면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며, 각 홈에 대응되는 UI 화면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 UI 엘리먼트 타입의 수 또는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UI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타입의 UI 엘리먼트의 우선 순위 및 제공되는 정보의 우선 순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UI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상이하게 렌더링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UI 모드 중 상기 식별된 스크린 사이즈에 대응되는 UI 모드가 식별되면, 스크린의 종횡비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배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투사하도록 상기 영상 투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투사면으로 영상을 투사하는 전자 장치의 UI 제공 방법은, 상기 투사면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스크린 사이즈를 식별하는 단계, 복수의 UI 모드 중 상기 식별된 스크린 사이즈에 대응되는 UI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상기 투사면으로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UI 모드는, UI 화면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 UI 엘리먼트의 타입의 수 또는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투사면으로 영상을 투사하는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투사면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스크린 사이즈를 식별하는 단계, 복수의 UI 모드 중 상기 식별된 스크린 사이즈에 대응되는 UI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상기 투사면으로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UI 모드는, UI 화면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 UI 엘리먼트의 타입의 수 또는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투사 거리에 따라 UI 모드가 결정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투사 거리 및 스크린 사이즈 조정 값에 따라 UI 모드가 결정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일 예에 따른 제1 타입 UI 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UI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일 예에 따른 제2 타입 UI 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UI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일 예에 따른 제3 타입 UI 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UI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일 예에 따른 제4 타입 UI 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UI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영상을 투사하는 기능 즉, 프로젝터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100)는 벽 또는 투사면으로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일 수 있으며, 프로젝터 장치는 LCD 프로젝터 또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를 사용하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프로젝터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가정용 또는 산업용 디스플레이 장치, 일상 생활에서 쓰이는 조명 장치, 음향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기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기기들의 둘 이상의 기능을 갖춘 전자 장치(100)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의 조작에 따라 프로젝터 기능은 오프되고 조명 기능 또는 스피커 기능은 온되어 디스플레이 장치, 조명 장치 또는 음향 장치로 활용될 수 있으며, 마이크 또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AI 스피커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 및 투사면 간 거리에 따라 투사면에 투사되는 스크린 사이즈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스크린 사이즈 조정 명령, 예를 들어, 스크린 확대/축소 명령(또는 스크린 줌 인/줌 아웃 명령)에 따라 스크린 사이즈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투사면에 투사되는 영상이 복수의 UI 엘리먼트(element), 컨텐츠 정보, 메뉴 아이템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UI 화면인 경우 스크린 사이즈에 따라 동일한 UI 화면을 제공하게 되면 사용성이 낮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너무 작은 UI 화면의 경우 포함된 정보를 식별하기 어렵고, 너무 큰 UI 화면의 경우 사용자의 시야 확보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투사면의 스크린 사이즈에 따라 상이한 모드의 UI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UX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영상 투사부(110), 센서(120), 메모리(130)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투사부(110)는 영상을 표현하기 위한 광을 외부로 투사하여 이미지를 투사면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투사면은 이미지가 출력되는 물리적 공간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투사면일 수 있다. 영상 투사부(110)는 램프, LED, 레이저 중 적어도 하나의광원, 프로젝션 렌즈, 반사체 등 다양한 세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투사부(110)는 다양한 투사 방식(예를 들어, CRT(cathode-ray tube) 방식,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레이저 방식 등) 중 하나로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영상 투사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투사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용도 또는 사용자의 설정 등에 따라 4:3 화면비, 5:4 화면비, 16:9 와이드 화면비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고, 화면비에 따라 WVGA(854*480), SVGA(800*600), XGA(1024*768), WXGA(1280*720), WXGA(1280*800), SXGA(1280*1024), UXGA(1600*1200), Full HD(1920*1080) 등의 다양한 해상도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투사부(11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투사 이미지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투사부(110)는 줌 인/아웃 기능, 렌즈 시프트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투사부(110)는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주변 환경 및 프로젝션 환경을 분석하여 줌/키스톤/포커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투사부(110)는 전자 장치(100)와 투사면과의 거리, 현재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공간에 대한 정보, 주변 광량에 대한 정보 등을 바탕으로 줌/키스톤/포커스 기능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센서(120)는 이미지 센서, 터치 센서, 근접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압력 센서, 위치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센서(120)는 거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리 센서는 투사면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거리 센서는 oF(Time of Flight) 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라이다 (LIDAR) 센서, 레이더 (RADAR) 센서, 포토 다이오드 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다양한 실시 예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전자 장치(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등), USB 포트에 연결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과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40)는 영상 투사부(110), 센서(120) 및 메모리(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4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40)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APU (Accelerated Processing Unit), MIC (Many Integrated Core),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NPU (Neural Processing Unit), 하드웨어 가속기 또는 머신 러닝 가속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제어할 수 있으며, 통신에 관한 동작 또는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40)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instruction)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이 복수의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동작은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 1 동작, 제 2 동작, 제 3 동작이 수행될 때, 제 1 동작, 제 2 동작, 및 제 3 동작 모두 제 1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제 1 동작 및 제 2 동작은 제 1 프로세서(예를 들어, 범용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고 제 3 동작은 제 2 프로세서(예를 들어,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40)는 하나의 코어를 포함하는 단일 코어 프로세서(single core processor)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의 코어(예를 들어, 동종 멀티 코어 또는 이종 멀티 코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멀티 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40)가 멀티 코어 프로세서로 구현되는 경우,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 각각은 캐시 메모리, 온 칩(On-chip) 메모리와 같은 프로세서 내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에 의해 공유되는 공통 캐시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 각각(또는 복수의 코어 중 일부)은 독립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판독하여 수행할 수도 있고, 복수의 코어 전체(또는 일부)가 연계되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판독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이 복수의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동작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 중 하나의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1 동작, 제2 동작, 및 제3 동작이 수행될 때, 제1 동작, 제2 동작, 및 제3 동작 모두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제1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제1 코어에 의해 수행되고 제3 동작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제2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기타 전자 부품들이 집적된 시스템 온 칩(SoC), 단일 코어 프로세서, 멀티 코어 프로세서, 또는 단일 코어 프로세서 또는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코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여기서 코어는 CPU, GPU, APU, MIC, DSP, NPU, 하드웨어 가속기 또는 기계 학습 가속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40)를 프로세서(140)로 명명하도록 한다.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은 영상 투사부(110), 센서(120), 메모리(13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40), 사용자 인터페이스(150), 통신 인터페이스(160), 스피커(170), 전원부(180) 및 구동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구성 중 도 2a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버튼, 터치 패드, 마우스 및 키보드와 같은 장치로 구현되거나, 상술한 디스플레이 기능 및 조작 입력 기능도 함께 수행 가능한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전자 장치(100')의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한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블루투스(Bluetooth), AP 기반의 Wi-Fi(와이파이, Wireless LAN 네트워크), 지그비(Zigbee),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이더넷(Ethernet), IEEE 1394,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AES/EBU(Audio Engineering Society/ European Broadcasting Union), 옵티컬(Optical), 코액셜(Coaxial) 등과 같은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 외부 저장 매체(예를 들어, USB 메모리), 외부 서버(예를 들어 웹 하드)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와이 파이(Wi-Fi)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적외선 통신 등과 같은 통신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리모콘(300)과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스피커(170)는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일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에 대응되는 정보 또는 각종 알림을 오디오 형태로 출력하도록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부(18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8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180)는 커넥터, DC 전원 코드, USB 전원 코드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거나 무선 충전 방식, 내부 배터리, 외부 배터리 등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구동부(190)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구성을 구동할 수 있다. 구동부(190)는 물리적인 힘을 생성하여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구성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90)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의 이동(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이동) 또는 구성의 회전(예를 들어, 프로젝션 렌즈의 회전) 동작을 위해 구동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부(190)는 영상 투사부(110)의 투사 방향(또는 투사 각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90)는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90)는 전자 장치(100')를 모터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밖에 전자 장치(100')는 구현 예에 따라 카메라(미도시), 마이크(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미도시)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턴 온 되어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미도시)는 촬상된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는 반도체 광학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를 통해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되고, 이와 같이 변환된 영상 신호는 증폭 및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신호 처리될 수 있다.
마이크(미도시)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만,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구현 예에 따라 스피커, 튜너 및 복조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센서(120)를 통해 획득된 투사면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스크린 사이즈를 식별할 수 있다(S310).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UI 모드 중 식별된 스크린 사이즈에 대응되는 UI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S320). 여기서, 복수의 UI 모드는 UI 화면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 UI 엘리먼트의 타입의 수 또는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모드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복수의 UI 모드는 제1 UI 모드, 제2 UI 모드 및 제3 UI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mall Screen Mode, Medium Screen Mode, Big Screen Mode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이며 UI 모드의 개수는 3개보다 적거나 더 많을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투사하도록 영상 투사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S330).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센서(120)를 통해 획득된 투사면까지의 거리 및 스크린 사이즈 조정 명령에 기초하여 스크린 사이즈를 식별할 수 있다(S410). 여기서, 스크린 사이즈 조정 명령은, 스크린 사이즈를 확대시키거나 축소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사면까지의 거리에 따라 디폴트로 정해진 스크린 사이즈가 100%라고 하면, 스크린 사이즈 조정 명령에 따라 50%, 75%, 125%, 150% 등과 같이 사이즈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정되는 사이즈는 100%를 기준으로 축소되는 방향 및/또는 확대되는 방향으로 연속적인 값을 가지도록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UI 모드 중 식별된 스크린 사이즈에 대응되는 UI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S420). 여기서, 복수의 UI 모드는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 UI 엘리먼트의 타입의 수 또는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모드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복수의 UI 모드는 제1 UI 모드, 제2 UI 모드 및 제3 UI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세 가지 UI 모드, 예를 들어, Small Screen Mode, Medium Screen Mode, Big Screen Mode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투사하도록 영상 투사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S430).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UI 화면을 구성하는 상이한 타입의 UI 엘리먼트의 우선 순위 및/또는 제공되는 정보의 우선 순위를 식별하고, 식별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UI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상이하게 렌더링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타입의 UI 엘리먼트에 대한 우선 순위, 상이한 타입의 정보에 대한 우선 순위가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이한 타입의 UI 엘리먼트는 상이한 타입의 컨텐츠 및/또는 메뉴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의미할 수 있다. 상이한 타입의 정보는 정보의 뎁스가 상이함을 의미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투사면으로 투사되는 스크린 사이즈가 제1 임계 사이즈 미만이면(S510:Y), 복수의 UI 모드 중 제1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투사하도록 영상 투사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S520).
프로세서(140)는 스크린 사이즈가 제1 임계 사이즈 미만이 아니면(S510:N), 스크린 사이즈가 제1 임계 사이즈 이상 제2 임계 사이즈 미만인지 식별할 수 있다(S530).
프로세서(140)는 스크린 사이즈가 제1 임계 사이즈 이상 제2 임계 사이즈 미만이면(S530:Y), 복수의 UI 모드 중 제2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투사하도록 영상 투사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S540).
프로세서(140)는 스크린 사이즈가 제1 임계 사이즈 이상 제2 임계 사이즈 미만이 아니면, 스크린 사이즈가 제2 임계 사이즈 이상인지 식별할 수 있다(S550).
프로세서(140)는 스크린 사이즈가 제2 임계 사이즈 이상이면(S550:Y), 복수의 UI 모드 중 제3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투사하도록 영상 투사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S560).
예를 들어, 제1 UI 모드는 Small Screen Mode, 제2 UI 모드는 Medium Screen Mode, 제3 UI 모드는 Big Screen Mode로 구체화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라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는,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보다 많고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여기서, UI 엘리먼트의 개수는 동일한 타입의 UI 엘리먼트의 개수 및/또는 상이한 타입의 UI 엘리먼트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UI 모드가 동일한 타입의 UI 엘리먼트를 N 개 포함하는 경우 제1 UI 모드는 N-a 개 포함하고, 제3 UI 모드는 N+b 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UI 모드가 동일/상이한 타입의 UI 엘리먼트를 M 개 포함하는 경우 제1 UI 모드는 M-c 개 포함하고, 제3 UI 모드는 M+d 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 및 M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a, b, c, d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 타입의 수는,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 타입의 수보다 많고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타입의 수보다 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UI 모드에 포함된 4 가지 상이한 타입의 UI 엘리먼트들이 포함된 경우, 제1 UI 모드에는 3 가지 상이한 타입의 UI 엘리먼트들이 포함되고 제3 UI 모드에는 5가지 상이한 타입의 엘리먼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는,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보다 확장되고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보다 축소될 수 있다. 정보의 범위가 확장된다 함은 정보의 양이 많은 경우 및/또는 정보의 뎁스가 깊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의 범위가 축소된다 함은 정보의 양이 적은 경우 및/또는 정보의 뎁스가 얕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는,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보다 많고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는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보다 확장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는,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와 동일하고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는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보다 확장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와 같이 제1 UI 모드, 제2 UI 모드 및 제3 UI 모드는 UI 엘리먼트의 개수, 엘리먼트 타입의 수 및 정보 제공 범위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어야 하며, 제1 UI 모드 < 제2 UI 모드 < 제3 UI 모드 순으로 UI 엘리먼트의 개수 또는/및 정보 제공 범위는 많아지거나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UI 모드 및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은,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에 포함되지 않는 컨텐츠 프로모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은, 제1 UI 모드 및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지 않는 라이브(live) 컨텐츠 영상 및 해당 영상 관련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은, 사이드 메뉴에 대응되는 아이콘 정보 만을 포함하고, 제3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은, 사이드 메뉴에 대응되는 아이콘 정보 및 메뉴 타이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예에 따라 제1 UI 모드, 제2 UI 모드 및 제3 UI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스크린의 제1 임계 사이즈는 55〃, 제2 임계 사이즈는 100〃일 수 있으나 수치는 일 예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투사 공간의 구조, 넓이, 주변 환경(조명, 밝기 등)에 따라 수치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UI 화면의 타입에 따라 제1 임계 사이즈 및 제2 임계 사이즈에 대응되는 수치를 달라질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투사 거리에 따라 UI 모드가 결정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일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610)까지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사면(610)까지의 거리가 5.6ft로 식별된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투사 거리, 즉 5.6ft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된 거리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 정보가 테이블(620) 형태로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이며, 식별된 투사 거리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는 수식, 알고리즘 등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테이블(620)에서는 특정 거리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 만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연속된 거리 범위에 대응되는 연속된 스크린 사이즈 범위가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어 있거나, 임의의 거리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를 식별하기 위한 수식, 알고리즘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어서,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스크린 사이즈에 대응되는 UI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사이즈에 대응되는 UI 모드 정보가 테이블(620) 형태로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테이블(620)에서는 특정 거리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 및 UI 모드 정보 만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속된 스크린 사이즈 범위에 대응되는 UI 모드에 대한 정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후, 전자 장치(100)는 UI 모드가 식별되면,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630)을 투사면으로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UI 모드가 Small Screen Mode, Medium Screen Mode, Big Screen Mode을 포함하고, 이 중 Medium Screen Mode가 식별된 경우 해당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630)을 투사면으로 투사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투사 거리 및 스크린 사이즈 조정 값에 따라 UI 모드가 결정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는 투사면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UI 모드가 결정되는 예시를 설명하였지만, 일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스크린 사이즈를 조정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된 스크린 사이즈에 대응되는 UI 모드는 Medium Screen Mode로 식별되었지만, 사용자의 스크린 조정 값에 따라 스크린 사이즈가 65%로 축소 조정된 경우(640)를 상정하도록 한다. 이 경우, UI 모드 모드는 축소 조정된 스크린 사이즈에 기초하여 Small Screen Mode로 식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Small Screen Mode에 대응되는 UI 화면(650)을 투사면으로 투사할 수 있다.
다만, 일 예에 따라 자동 줌 인/아웃 기능이 실행 중인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자동 줌 인/아웃 기능이란 투사면과의 거리에 따라 영상을 자동으로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기능일 수 있다. 자동 줌 인/아웃 기능은 렌즈를 이동시켜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하드웨어 방식, 이미지의 크롭(crop) 등으로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소프트웨어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 줌 인/아웃 기능이 실행되면, 이미지의 초점의 조절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초점을 조절하는 방식은 수동 포커스 방식, 전동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 줌 인/아웃 기능이 실행 중인 경우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UI 모드에 적합한 사이즈로 투사면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사 거리에 기초하여 제2 UI 모드(예를 들어, Medium Screen Mode)가 식별된 후, 제2 UI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 100%를 기준으로 130%까지 스크린 사이즈를 확대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된 경우, 프로세서(140)는 125%의 스크린 사이즈가 제2 UI 모드의 제공에 적합한 스크린 사이즈라고 식별되면, 125%로 스크린 사이즈를 자동 조정한 후 제2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투사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125%로 사이즈를 조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초점, UI 엘리먼트의 선명도, 주변 환경(투사면에 존재하는 장애물 등) 등을 고려하여 125%의 스크린 사이즈가 제2 UI 모드의 제공에 적합한 스크린 사이즈라고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양한 타입의 UI 홈에 대응되는 UI 화면이 투사면으로 제공될 수 있고, UI 홈의 타입에 따라 제공되는 UI 모드에 따른 UI 화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각 홈에 대응되는 UI 화면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 또는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UI 홈의 타입에 따라 UI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타입의 UI 엘리먼트의 우선 순위 및 제공되는 정보의 우선 순위를 식별하고, 식별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UI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렌더링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UI 홈의 타입은, 미디어 홈, 게임 홈, 앰비언트 홈, 써드파티(third party) 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을 뿐이며 제조사에 따라 다양한 타입의 UI 홈이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UI 홈의 타입이 미디어 홈, 게임 홈, 앰비언트 홈 및 써드파티 홈을 포함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일 예에 따른 제1 타입 UI 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UI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제1 타입 UI 홈, 예를 들어 미디어 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UI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는 제1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제1 UI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를 고려하여 너무 많은 타입의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최소한 타입의 정보를 제공하면서 UI 엘리먼트들의 크기가 사용자에게 너무 작게 보이지 않도록 임계 크기 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 및 컨텐츠 썸네일 중심의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미디어 홈 화면(810)은 사이드 메뉴에 대응되는 아이콘(801 내지 804), 및 미디어 홈 화면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811, 812, 8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메뉴에 대응되는 아이콘(801 내지 804)은 검색 메뉴(801), UI 홈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802, 803, 8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811, 812, 813)은 미디어 앱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811), 최근 시청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812) 및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8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b는 제2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제2 UI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가 제1 UI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보다 상대적으로 크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 및/또는 타입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미디어 홈 화면(820)은 검색 메뉴(801), UI 홈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802, 803, 804), 더보기 메뉴(805) 및 미디어 홈 화면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811, 812, 813, 814, 81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811, 812, 813, 814, 815)은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811), 최근 시청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812) 및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813),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814) 및 계속 시청을 위한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81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미디어 홈 화면(820)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미디어 홈 화면(810)에 비해 추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미디어 홈 화면(820)은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미디어 홈 화면(810)에 비해 더보기 메뉴(805),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814) 및 계속 시청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815)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제2 UI 모드에서 제1 UI 모드보다 상대적으으로 많은 개수의 앱 및 컨텐츠 썸네일 정보를 제공하면서 리치한 이미지를 통한 컨텐츠 프로모션 정보 등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8c는 제3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제3 UI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가 제2 UI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보다 상대적으로 크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 및/또는 타입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미디어 홈 화면(830)은 검색 메뉴(801), UI 홈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802, 803, 804), 셋팅 메뉴(806) 및 연결 디바이스 메뉴(807) 및 미디어 홈 화면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811, 812, 813, 815, 81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811, 812, 813, 815, 816)은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811), 최근 시청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812) 및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813), 계속 시청을 위한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815) 및 현재 선택된 채널에 대응되는 방송 컨텐츠의 세부 정보(81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미디어 홈 화면(830)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미디어 홈 화면(820)에 비해 추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미디어 홈 화면(830)은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미디어 홈 화면(820)에 비해 더보기 메뉴(805)의 세부 메뉴인 셋팅 메뉴(806) 및 연결 디바이스 메뉴(807), 각 메뉴에 대한 타이틀(또는 디스크립션)(801-1 내지 807-1), 실시간 방송 컨텐츠 중 현재 선택된 채널에 대응되는 방송 컨텐츠의 세부 정보(816)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8c에 도시된 UI 화면(830)에서는 도 8b에 도시된 UI 화면(820)에 포함된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814)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814)를 포함하면서 실시간 방송 컨텐츠 중 현재 선택된 채널에 대응되는 방송 컨텐츠의 세부 정보(81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제3 UI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가 제2 UI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보다 상대적으로 크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 및/또는 타입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3 UI 모드에서는 활성화된 상태의 사이드 메뉴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메뉴 타이틀까지 한 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간 방송 컨텐츠 및 대응되는 세부 정보를 통해 Live 시청 경험을 유지하면서 시청 영상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9a 내지 도 9c는 일 예에 따른 제2 타입 UI 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UI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제2 타입 UI 홈, 예를 들어 게임 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UI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는 제1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제1 UI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를 고려하여 너무 많은 타입의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최소한 타입의 정보를 제공하면서 UI 엘리먼트들의 크기가 사용자에게 너무 작게 보이지 않도록 임계 크기 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 및 컨텐츠 썸네일 중심의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게임 홈 화면(910)은 사이드 메뉴에 대응되는 아이콘(801 내지 804), 및 게임 홈 화면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911, 912, 9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911, 912, 913)은 최근 플레이된 게임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911), 게임과 관련된 액세서리 및 뮤직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912) 및 게임과 관련된 앱 및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9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b는 제2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제2 UI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가 제1 UI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보다 상대적으로 크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 및/또는 타입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게임 홈 화면(920)은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게임 홈 화면(910)에 비해 더보기 메뉴(805), 광고 컨텐츠, 예를 들어 곧 출시될 게임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914) 및 인기 게임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915)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제2 UI 모드에서 제1 UI 모드보다 상대적으으로 많은 개수의 앱 및 컨텐츠 썸네일 정보를 제공하면서 리치한 이미지를 통한 컨텐츠 프로모션 정보 등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Prepared"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914)는 "Sponsored"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로 대체 가능하다.
도 9c는 제3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제3 UI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가 제2 UI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보다 상대적으로 크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 및/또는 타입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미디어 홈 화면(930)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미디어 홈 화면(920)에 비해 더보기 메뉴(805)의 세부 메뉴인 셋팅 메뉴(806) 및 연결 디바이스 메뉴(807), 각 메뉴에 대한 타이틀(또는 디스크립션)(801-1 내지 807-1), 실시간으로 플레이되는게임 컨텐츠에 대한 정보(916)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9c에 도시된 UI 화면(930)에서는 도 9b에 도시된 UI 화면(920)에 포함된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914)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914)를 포함하면서 실시간으로 플레이되는게임 컨텐츠에 대한 정보(91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일 예에 따른 제3 타입 UI 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UI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제3 타입 UI 홈, 예를 들어 앰비언트 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UI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a는 제1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제1 UI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를 고려하여 너무 많은 타입의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최소한 타입의 정보를 제공하면서 UI 엘리먼트들의 크기가 사용자에게 너무 작게 보이지 않도록 임계 크기 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앰비언트 홈 화면(1010)은 사이드 메뉴에 대응되는 아이콘(801 내지 804), 및 앰비언트 홈 화면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1011, 1012, 10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1011, 1012, 1013)은 아트 컨텐츠와 관련된 앱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1011), 사용자가 기 구매(또는 소유)한 아트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1012) 및 사용자의 선호 아트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10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b는 제2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제2 UI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가 제1 UI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보다 상대적으로 크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 및/또는 타입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앰비언트 홈 화면(1020)은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앰비언트 홈 화면(1010)에 비해 더보기 메뉴(805), 광고 컨텐츠, 예를 들어 엠비언트 모드에 대한 프로모션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1014)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제2 UI 모드에서 제1 UI 모드보다 상대적으으로 많은 개수의 앱 및 컨텐츠 썸네일 정보를 제공하면서 리치한 이미지를 통한 컨텐츠 프로모션 정보 등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0c는 제3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제3 UI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가 제2 UI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보다 상대적으로 크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 및/또는 타입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앰비언트 홈 화면(1030)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앰비언트 홈 화면(920)에 비해 더보기 메뉴(805)의 세부 메뉴인 셋팅 메뉴(806) 및 연결 디바이스 메뉴(807), 각 메뉴에 대한 타이틀(또는 디스크립션)(801-1 내지 807-1), 앰비언트 모드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좀더 상세한 프로모션 정보(10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일 예에 따른 제4 타입 UI 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UI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제4 타입 UI 홈, 예를 들어 써드파티 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UI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a는 제1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써드 파티 홈 화면(1110)은 특정 써드 파티(예를 들어, Yutube)에서 제공하는 사이드 메뉴에 대응되는 아이콘(1101), 및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1111, 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들(1111, 1112)들은 추천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1111), 최근 업데이트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1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b는 제2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제2 UI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가 제1 UI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보다 상대적으로 크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 및/또는 타입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 (1120)은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홈 화면(1110)에 비해 프로모션 정보(1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c는 제3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제3 UI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가 제2 UI 모드에 대응되는 스크린 사이즈보다 상대적으로 크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 및/또는 타입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 (1130)은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홈 화면(1130)에 비해 많은 개수의 메뉴 아이콘(1101) 및 각 메뉴에 대한 타이틀 정보(1102), 실시간 재생 컨텐츠에 대한 정보(1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투사면까지의 거리 및/또는 스크린 사이즈 조정 명령에 기초하여 스크린 사이즈가 식별되면(S1210), 복수의 UI 모드 중 식별된 스크린 사이즈에 대응되는 UI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S1220). 여기서, 복수의 UI 모드는 UI 화면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 또는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형태일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스크린의 종횡비에 기초하여 식별된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배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S1230).
일 예에 따라 스크린의 종횡비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의 종횡비는 21:9, 16:9, 4:3 등의 다양한 종횡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스크린 사이즈에 기초하여 식별된 개수의 UI 엘리먼트 및/또는 스크린 사이즈에 기초하여 식별된 타입의 정보를, 스크린의 종횡비에 따라 상이한 위치에 배치하여 UI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UI 엘리먼트 및 제2 UI 엘리먼트가 제1 종횡비의 스크린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종횡비의 스크린에서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후,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식별된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투사하도록 영상 투사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투사면에 UI 화면을 투사하는 상황에서 스크린 사이즈에 따라 적합한 사용성을 가지는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딥 러닝 기반의 인공 신경망(또는 심층 인공 신경망) 즉,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전자 장치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개시의 일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A))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영상 투사부
120: 센서 130: 메모리
14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영상 투사부;
    센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영상 투사부, 상기 센서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된 투사면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스크린 사이즈를 식별하고,
    복수의 UI 모드 중 상기 식별된 스크린 사이즈에 대응되는 UI 모드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투사하도록 상기 영상 투사부를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UI 모드는,
    UI 화면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 UI 엘리먼트의 타입의 수 또는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투사면까지의 거리 및 스크린 사이즈 조정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린 사이즈를 식별하며,
    상기 스크린 사이즈 조정 명령은,
    스크린 사이즈를 확대시키거나 축소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인,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스크린 사이즈가 제1 임계 사이즈 미만이면 상기 복수의 UI 모드 중 제1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투사하도록 상기 영상 투사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크린 사이즈가 상기 제1 임계 사이즈 이상 제2 임계 사이즈 미만이면 상기 복수의 UI 모드 중 제2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투사하도록 상기 영상 투사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크린 사이즈가 상기 제2 임계 사이즈 이상이면 상기 복수의 UI 모드 중 제3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투사하도록 상기 영상 투사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는,
    상기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보다 많고 상기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보다 적으며,
    상기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는,
    상기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보다 확장되고 상기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보다 축소되는, 전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I 모드 및 상기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은,
    상기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에 포함되지 않는 컨텐츠 프로모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은,
    상기 제1 UI 모드 및 상기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지 않는 라이브(live) 컨텐츠 영상 및 해당 영상 관련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I 모드 및 상기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은,
    사이드 메뉴에 대응되는 아이콘 정보 만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은,
    상기 사이드 메뉴에 대응되는 아이콘 정보 및 메뉴 타이틀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 타입의 수는,
    상기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 타입의 수보다 많고 상기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 타입의 수보다 적은,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미디어 홈에 대응되는 UI 화면, 게임 홈에 대응되는 UI 화면, 앰비언트 홈에 대응되는 UI 화면 및 써드 파티 홈에 대응되는 UI 화면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며,
    각 홈에 대응되는 UI 화면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 UI 엘리먼트 타입의 수 또는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식별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UI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타입의 UI 엘리먼트의 우선 순위 및 제공되는 정보의 우선 순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UI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상이하게 렌더링하여 제공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UI 모드 중 상기 식별된 스크린 사이즈에 대응되는 UI 모드가 식별되면, 스크린의 종횡비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 또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배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투사하도록 상기 영상 투사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1. 투사면으로 영상을 투사하는 전자 장치의 UI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사면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스크린 사이즈를 식별하는 단계;
    복수의 UI 모드 중 상기 식별된 스크린 사이즈에 대응되는 UI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상기 투사면으로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UI 모드는,
    UI 화면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 UI 엘리먼트의 타입의 수 또는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UI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사이즈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투사면까지의 거리 및 스크린 사이즈 조정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린 사이즈를 식별하며,
    상기 스크린 사이즈 조정 명령은,
    스크린 사이즈를 확대시키거나 축소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인, UI 제공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I 화면을 상기 투사면으로 투사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 사이즈가 제1 임계 사이즈 미만이면 상기 복수의 UI 모드 중 제1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투사하고,
    상기 스크린 사이즈가 상기 제1 임계 사이즈 이상 제2 임계 사이즈 미만이면 상기 복수의 UI 모드 중 제2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투사하고,
    상기 스크린 사이즈가 상기 제2 임계 사이즈 이상이면 상기 복수의 UI 모드 중 제3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투사하는, UI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는,
    상기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보다 많고 상기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보다 적으며,
    상기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는,
    상기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보다 확장되고 상기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보다 축소되는, UI 제공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I 모드 및 상기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은,
    상기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에 포함되지 않는 컨텐츠 프로모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은,
    상기 제1 UI 모드 및 상기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지 않는 라이브(live) 컨텐츠 영상 및 해당 영상 관련 정보를 더 포함하는, UI 제공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I 모드 및 상기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은,
    사이드 메뉴에 대응되는 아이콘 정보 만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은,
    상기 사이드 메뉴에 대응되는 아이콘 정보 및 메뉴 타이틀을 포함하는, UI 제공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 타입의 수는,
    상기 제1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 타입의 수보다 많고 상기 제3 UI 모드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 타입의 수보다 적은, UI 제공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I 화면은,
    미디어 홈에 대응되는 UI 화면, 게임 홈에 대응되는 UI 화면, 앰비언트 홈에 대응되는 UI 화면 및 써드 파티 홈에 대응되는 UI 화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각 홈에 대응되는 UI 화면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 UI 엘리먼트 타입의 수 또는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게 결정되는, UI 제공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UI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타입의 UI 엘리먼트의 우선 순위 및 제공되는 정보의 우선 순위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UI 화면을 상기 투사면으로 투사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UI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상이하게 렌더링하여 제공하는, UI 제공 방법.
  20. 투사면으로 영상을 투사하는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투사면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스크린 사이즈를 식별하는 단계;
    복수의 UI 모드 중 상기 식별된 스크린 사이즈에 대응되는 UI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UI 모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상기 투사면으로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UI 모드는,
    UI 화면에서 제공되는 UI 엘리먼트의 개수, UI 엘리먼트의 타입의 수 또는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220127011A 2022-10-05 2022-10-05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KR2024004768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011A KR20240047686A (ko) 2022-10-05 2022-10-05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PCT/KR2023/011627 WO2024075966A1 (ko) 2022-10-05 2023-08-08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011A KR20240047686A (ko) 2022-10-05 2022-10-05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686A true KR20240047686A (ko) 2024-04-12

Family

ID=9060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011A KR20240047686A (ko) 2022-10-05 2022-10-05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7686A (ko)
WO (1) WO2024075966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940B1 (ko) * 2012-03-28 2014-06-11 안종오 스마트단말의 홈스크린 바탕화면에 대한 원격 직접제어를 통해 전달되는 구매성향 기반의 프레스티지 서비스 제공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구매성향 기반의 프레스티지 서비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50000656A (ko) * 2013-06-25 2015-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에서 화면 이미지 출력 방법 및 장치
KR102488461B1 (ko) * 2015-11-24 2023-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0256188A1 (ko) * 2019-06-20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의 투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
KR20210146095A (ko) * 2020-05-26 2021-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20210156983A (ko) * 2020-06-19 202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콘을 통해 정보 및/또는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5966A1 (ko) 202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9065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display apparatus
WO2017148294A1 (zh) 基于移动终端的设备控制方法、装置和移动终端
US1001922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402040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ual-processing of screen data in mobile terminal
KR102243855B1 (ko)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운영 방법 및 장치
US11107203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therefor providing shadow effect
US11431909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8007004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4284117A (zh) 图像投影装置以及图像投影装置的控制方法
WO2023024871A1 (zh) 一种界面交互方法与设备
US11232306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11874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40047686A (ko)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KR102242031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27532B1 (ko) 클립 이동 제어를 위한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 및 장치
US2017006851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487413B2 (e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device
KR2022012030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24016175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40168614A1 (en) Content editing method and device using shared content
KR202400500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4006970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076385A (ko)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 및 장치
KR20220133133A (ko) 공유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및 장치
KR20240028164A (ko)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