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385A -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385A
KR20220076385A KR1020210168731A KR20210168731A KR20220076385A KR 20220076385 A KR20220076385 A KR 20220076385A KR 1020210168731 A KR1020210168731 A KR 1020210168731A KR 20210168731 A KR20210168731 A KR 20210168731A KR 20220076385 A KR20220076385 A KR 20220076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iting
clip
replacement element
replacement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일택
류하영
Original Assignee
키네마스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네마스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키네마스터 주식회사
Priority to US18/254,23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094890A1/en
Priority to PCT/KR2021/017893 priority patent/WO2022114924A1/ko
Publication of KR20220076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3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은, 편집 UI를 표시 장치에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터치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삭제 요소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삭제 요소의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삭제 요소의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대체 요소를 확인하고, 상기 대체 요소를 제어하여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 및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EDIT USER INTERFACE OF MOVING PICTURE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개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영상 편집에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 및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휴대 단말이 널리 보급되고, 이러한 휴대 단말의 성능 향상과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사용자는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고, 편집하며,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휴대 단말은 액정 화면 크기 및 하드웨어의 퍼포먼스의 제약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일반 PC 환경에서처럼 원활하게 동영상을 편집할 수 없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서 휴대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동영상 편집 방법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나아가, 휴대 단말의 사용자의 니즈가 늘어남에 따라, 휴대 단말의 카메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하드웨어의 퍼포먼스 등이 고도화되고 있으며, PC 환경에서 사용하였던 많은 기능 또는 서비스 등이 휴대 단말로 대체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은 기본적으로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카메라 장치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 편집에 대한 사용자 니즈가 증대되고 있다.
휴대 단말의 자원의 특성으로 인하여, 제한된 기능만을 사용하도록 동영상 편집 방법이 보급되었지만, PC 환경에서 준하는 수준으로 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는 수준까지 요구되고 있다.
한편, PC 환경에서 마우스 장치나 키보드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동영상 편집을 수행할 경우, 입력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행동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러한 입력 장치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입력 장치가 동작되지 않아 사용자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휴대 단말은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처리할 경우, 사용자 입력을 보다 직관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 편의성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를 고려한 것으로써, 동영상 편집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직관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편집 UI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동영상 편집을 위한 프로젝트에서 특정 클립을 효율적으로 교체하여 편집할 수 있는 편집 UI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동영상 편집시 프로젝트에 포함된 클립을 서로 다른 길이의 다른 클립으로 교체하여 편집할 수 있는 편집 UI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르면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교체 대상이 되는 대상 비디오 클립을 확인하는 과정과, 교체되어 입력된 목표 비디오 클립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대상 비디오 클립의 시간 정보와 상기 목표 비디오 클립의 시간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목표 비디오 클립의 재생 배속을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재생 배속에 제어된 상기 목표 비디오 클립을 삽입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동영상 편집을 위한 프로젝트에서 특정 클립을 효율적으로 교체하여 편집하는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동영상 편집시 프로젝트에 포함된 클립을 서로 다른 길이의 다른 클립으로 교체하여 편집할 수 있는 편집 UI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자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자 장치의 시스템 계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되는 동영상 편집 방법의 순서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에서 제공되는 편집 UI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에서 제공되는 클립 편집 UI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에 구비된 요소정보 관리부가 대체 요소를 제어하는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에 의해 클립 이동 제어 UI가 제공되는 동작의 일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에 의해 클립 이동 제어 UI가 제공되는 동작의 다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편집 장치는 동영상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전자 장치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동영상 및 자막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이미지 처리부 및 제어부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 의해서 구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자 장치는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자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인터페이스(177),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 또는 압력 센서를 기반으로, 터치 입력되는 영역의 좌표, 터치 입력되는 영역의 개수, 터치 입력되는 제스처 등을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결과를 메인 프로세서(121) 또는 보조 프로세서(123)에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자 장치의 시스템 계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200)는 전술한 도 1의 전자 장치(100)에 대응되는 하드웨어 계층(210), 하드웨어 계층(210)의 상위 계층으로서 하드웨어 계층(210)을 관리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계층(220), OS 계층(220)의 상위 계층으로서 프레임워크(frame work) 계층(230), 및 어플리케이션 계층(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OS 계층(220)은 하드웨어 계층(2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하드웨어 계층(210)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OS 계층(220)은 하드웨어 관리와 메모리, 보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OS 계층(220)은 표시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카메라 드라이버, 오디오 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오디오 드라이버 등 전자 장치에 구비된 하드웨어 장치를 운용 또는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 계층(220)은 개발자가 접근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와 런타임(runtime)이 포함될 수 있다.
OS 계층(220)보다 상위 계층으로 프레임워크(frame work) 계층(230)이 존재하는데, 프레임워크 계층(230)은 어플리케이션 계층(240)과 OS 계층(22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프레임워크 계층(230)은 로케이션 매니저(location manager), 알림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 및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버퍼(frame buffer)를 포함한다.
프레임워크 계층(230) 상부 계층에는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240)이 위치한다.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계층(240)에는 통화 어플리케이션(241), 동영상 편집 어플리케이션(242), 카메라 어플리케이션(243),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244) 및 제스처 어플리케이션(245) 등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OS 계층(220)은 어플리케이션 계층(24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는 메뉴 또는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계층(24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응용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통신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8)와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다른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8)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즉,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응용 프로그램)를 수신 및 저장하여 메모리에 수록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응용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 계층(240)에 구성되어 동작될 수 있다. 또한, OS 계층(220)에서 제공하는 메뉴 또는 UI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으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삭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계층(24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제어 명령이 전자 장치(100)에 입력되면 어플리케이션 계층(240)부터 하드웨어 계층(210)까지 전달되면서 입력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그 결과가 표시장치(16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되는 동영상 편집 방법의 순서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동영상 편집 방법은 전술한 전자 장치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동영상 편집 어플리케이션이 선택 및 실행됨에 따라 그 동작이 개시될 수 있다(S301).
동영상 편집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전자 장치는 동영상 편집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화면을 표시장치(예,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초기 화면에는 신규 영상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메뉴(또는 UI)와, 미리 편집중인 영상 프로젝트를 선택할 수 있는 영상 프로젝트 선택 메뉴(또는 UI)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초기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신규 영상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메뉴(또는 UI)가 선택될 경우 S303 단계를 진행하고, 영상 프로젝트 선택 메뉴(또는 UI)가 선택될 경우 S305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S302).
S303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신규 영상 프로젝트의 기본정보를 설정하는 메뉴(또는 UI)를 제공하고, 상기 메뉴(또는 UI)를 통해 입력되는 기본정보를 신규 영상 프로젝트에 설정 및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기본정보는 신규 영상 프로젝트의 화면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는 16:9, 9:16, 1:1 등의 화면 비율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또는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메뉴(또는 UI)를 통해 입력되는 화면 비율을 신규 영상 프로젝트에 설정 및 적용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S303 단계에서 설정된 기본정보를 반영하여, 신규 영상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규 영상 프로젝트를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S304).
비록,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기본정보로서 화면 비율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개시가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마스터 볼륨의 자동 조절, 마스터 볼륨의 크기, 오디오 페이드인 기본 설정, 오디오 페이드 아웃 기본 설정, 동영상 페이드인 기본 설정, 동영상 페이드 아웃 기본 설정, 이미지 클립의 기본 설정, 레이어 길이의 기본 설정, 및 이미지 클립의 팬&줌 기본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또는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메뉴(또는 UI)를 통해 입력되는 값을 신규 영상 프로젝트의 기본정보로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 장치는 화면 비율, 마스터 볼륨의 자동 조절, 마스터 볼륨의 크기, 오디오 페이드인 기본 설정, 오디오 페이드 아웃 기본 설정, 동영상 페이드인 기본 설정, 동영상 페이드 아웃 기본 설정, 이미지 클립의 기본 설정, 레이어 길이의 기본 설정, 및 이미지 클립의 팬&줌 기본 설정을 미리 정해진 값으로 자동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설정 메뉴(또는 UI)를 제공하고, 설정 메뉴(또는 UI)를 통해, 화면 비율, 마스터 볼륨의 자동 조절, 마스터 볼륨의 크기, 오디오 페이드인 기본 설정, 오디오 페이드 아웃 기본 설정, 동영상 페이드인 기본 설정, 동영상 페이드 아웃 기본 설정, 이미지 클립의 기본 길이 설정, 레이어 길이의 기본 설정, 및 이미지 클립의 팬&줌 기본 설정 등을 제어값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값에 맞춰 전술한 기본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S305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 프로젝트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리스트를 제공하고, 프로젝트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로젝트를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환경을 통해, 사용자는 프로젝트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로젝트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로젝트 로드할 수 있다(S306).
S307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편집 UI를 제공할 수 있다. 편집 UI는 영상 표시창(401), 미디어 설정창(402), 미디어 입력창(403), 클립 표시창(404), 클립 설정창(40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편집 UI에서, 영상 표시창, 미디어 설정창, 및 미디어 입력창은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표시될 수 있으며, 클립 표시창 및 클립 설정창은 디스플레이의 하부에 표시될 수 있다.
미디어 설정창은 내보내기 메뉴, 캡쳐 메뉴, 설정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보내기 메뉴, 캡쳐 메뉴, 설정 메뉴 등은 해당 메뉴를 인지할 수 있는 아이콘 형태 또는 텍스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미디어 입력창은 미디어 입력 메뉴(403a), 레이어 입력 메뉴(403b), 오디오 입력 메뉴(403c), 음성 입력 메뉴(403d), 촬영 메뉴(403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미디어 입력 메뉴(403a), 레이어 입력 메뉴(403b), 오디오 입력 메뉴(403c), 음성 입력 메뉴(403d), 촬영 메뉴(403e) 등은 해당 메뉴를 인지할 수 있는 아이콘 또는 텍스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메뉴는 하위 메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메뉴가 선택됨에 따라, 전자장치는 그에 대응되는 하위 메뉴를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입력 메뉴(403a)는 하위 메뉴로서 미디어 선택창에 연결될 수 있으며, 미디어 선택창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선택창을 통해 선택된 미디어는 클립 표시창에 삽입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미디어 선택창을 통해 선택된 미디어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미디어의 종류를 고려하여 해당 미디어의 클립 시간을 설정하여 클립 표시창에 삽입 및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의 종류는 이미지,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의 종류가 이미지일 경우, 전자장치는 이미지 클립의 기본 길이 설정값을 확인하고, 이미지 클립의 기본 길이 설정값에 맞춰 이미지 클립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의 종류가 영상일 경우, 전자장치는 해당 미디어의 길이에 맞춰 영상 클립의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레이어 입력 메뉴(403b)의 하위 메뉴로서, 미디어 입력 메뉴, 효과 입력 메뉴, 오버레이 입력 메뉴, 텍스트 입력 메뉴, 미디어 입력 메뉴, 드로잉 입력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입력 메뉴는 전술한 미디어 입력 메뉴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효과 입력 메뉴는 블러(Blur) 효과, 모자이크 효과, 노이즈 효과, 모래폭풍 효과, 멜팅 포인트 효과, 크리스탈 효과, star filter 효과, 디스플레이 보드 효과, 아지랑이 효과, 어안 렌즈 효과, 돋보기 렌드 효과, 플라워 트위스트 효과, 야간 투시경 효과, 스케치 효과 등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효과 입력 메뉴를 통해 선택된 효과는 클립 표시창에 삽입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는 레이어 길이의 기본 설정값을 확인하고, 레이어 길이의 기본 설정값에 맞춰 효과 클립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오버레이 입력 메뉴는 다양한 형태 또는 형상의 스티커,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오버레이 입력 메뉴를 통해 선택된 스티커, 아이콘 등은 클립 표시창에 삽입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는 레이어 길이의 기본 설정값을 확인하고, 레이어 길이의 기본 설정값에 맞춰 스티커, 아이콘 등의 클립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텍스트 입력 메뉴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환경, 예, 쿼티(Qwety) 키보드를 제공할 수 있다. 텍스트 입력 메뉴를 통해 입력된 텍스트는 클립 표시창에 삽입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는 레이어 길이의 기본 설정값을 확인하고, 레이어 길이의 기본 설정값에 맞춰 텍스트 클립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드로잉 입력 메뉴는 영상 표시창에 드로잉 영역을 제공하며, 영상 표시창에 터치 입력되는 영역에 드로잉 개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손글씨 입력 메뉴는 하위 메뉴로서 드로잉 기구를 선택하는 드로잉 기구 선택 메뉴, 드로잉 색상을 선택하는 색상 선택 메뉴, 드로잉 개체의 굵기를 설정하는 굵기 설정 메뉴, 생성된 드로잉 개체를 삭제하는 부분 지우기 메뉴, 드로잉된 전체 개체를 삭제하는 전체 지우기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손글씨 입력 메뉴가 선택될 경우, 전자장치는 레이어 길이의 기본 설정값을 확인하고, 레이어 길이의 기본 설정값에 맞춰 드로잉 개체 클립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 메뉴(403c)는 하위 메뉴로서 오디오 선택창에 연결될 수 있으며, 오디오 선택창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선택창을 통해 선택된 오디오 파일은 클립 표시창에 삽입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음성 입력 메뉴(403d)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를 녹음하기 위한 메뉴일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음성 입력 메뉴가 선택될 경우, 전자 장치는 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로폰을 활성화하여 마이크에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녹음 시작 버튼을 표시할 수 있으며, 녹음 시작 버튼이 입력될 경우, 은선 신호의 녹음을 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 장치는 마이크에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음성 신호의 크기 또는 주파수 특성을 확인하고, 확인된 특성을 레벨 미터 또는 그래프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촬영 메뉴(403e)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메뉴로서, 카메라 장치를 시각화한 아이콘 등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촬영 메뉴(403e)는 그 하위 메뉴로서 이미지 촬영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촬영을 위한 캠코더 등을 선택하는 이미지/영상 촬영 선택 메뉴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촬영 메뉴(403e)가 선택될 경우, 전자 장치는 이미지/영상 촬영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이미지/영상 촬영 선택 메뉴를 통해 선택되는 바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촬영 모드 또는 영상 촬영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클립 표시창(404)은 미디어 입력창을 통해 입력되는 미디어, 효과, 오버레이, 텍스트, 드로잉, 오디오, 음성 신호 등에 대응되는 클립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립라인은 메인 클립라인(404a)과 서브 클립라인(404b)을 포함할 수 있으며, 클립 표시창의 최상단에 구비되는 클립라인을 메인 클립라인(404a)으로 지칭하며, 메인 클립라인(404a)의 하단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라인을 서브 클립라인(404b)으로 지칭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클립 표시창의 최상단에 메인 클립라인(404a)을 고정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서브 클립라인(404b)이 존재하는 영역을 기준으로 드래그 입력을 확인하고 드래그 입력의 방향에 대응하여 서브 클립라인(404b)을 상하로 스크롤하여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드래그 입력의 방향이 상부 방향으로 확인될 경우 전자 장치는 서브 클립라인(404b)을 상부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드래그 입력의 방향이 하부 방향으로 확인될 경우 전자 장치는 서브 클립라인(404b)을 하부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서브 클립라인(404b)의 이동에 대응하여 메인 클립라인(404a)의 상하 폭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서브 클립라인(404b)이 상부로 이동할 경우 메인 클립라인(404a)의 상하 폭을 줄여서 표시하고, 서브 클립라인(404b)이 하부로 이동할 경우 메인 클립라인(404a)의 상하 폭을 늘여서 표시할 수 있다.
특히, 클립 표시창은 영상 프로젝트의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표시라인(404c) 및 기준선(Playhead)(404d)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간 표시라인(404c)은 전술한 메인 클립라인(404a)의 상부에 표시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단위의 눈금 또는 숫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선(404d)은 시간 표시라인(404c)에서 시작되어 클립 표시창의 하단부까지 수직으로 연결된 선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는 색상(예, 빨간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기준선(404d)은 미리 정해진 영역에 고정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클립 표시창에 구비된 메인 클립라인(404a) 및 서브 클립라인(404b)에 포함된 개체와 시간 표시라인(404c)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클립라인(404a), 서브 클립라인(404b), 시간 표시라인(404c) 등이 위치한 영역에 좌우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이 발생될 경우, 전자장치는 메인 클립라인(404a) 및 서브 클립라인(404b)에 포함된 개체와 시간 표시라인(404c)을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표시하고, 이때, 기준선(404d)에 대응되는 프레임 또는 개체를 영상 표시창에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기준선(404d)이 접하는 세부 시간(예컨대, 1/1000초 단위)을 확인하고 확인된 세부시간을 클립 표시창에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클립 표시창에서 멀티터치의 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멀티터치가 발생될 경우 멀티터치에 대응하여 시간 표시라인(404c)에 포함된 미리 정해진 단위의 눈금 또는 숫자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멀티터치의 간격이 점차 줄어드는 입력이 확인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눈금 또는 숫자의 간격을 줄이고, 멀티터치의 간격이 점차 늘어나는 입력이 확인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눈금 또는 숫자의 간격을 늘여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클립라인에 표시되는 클립을 선택할 수 있도록 클립 표시창(404)을 구성할 수 있으며, 클립의 선택시 해당 클립이 선택되었음을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클립의 선택이 감지될 경우, 전자 장치는, 선택된 클립의 바운더리에 미리 정해진 색상, 예컨대, 노란색을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클립의 선택이 감지될 경우, 전자 장치는 선택된 클립을 편집할 수 있는 클립 편집 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미디어 입력창(403)이 존재하는 영역에, 클립 편집 UI를 표시할 수 있다. 클립 편집 UI는 선택된 클립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립의 종류가 영상 클립인 경우, 전자 장치는 트림/분할 메뉴(501), 팬/줌 메뉴(502), 오디오 제어 메뉴(503), 클립 그래픽 메뉴(504), 속도 제어 메뉴(505), 리버스 제어 메뉴(506), 회전/미러링 제어 메뉴(507), 필터 메뉴(508), 밝기/대비 조정 메뉴(509), 음성 EQ 제어 메뉴(510), 상세 볼륨 제어 메뉴(511), 음성 변조 메뉴(512), 비네팅 제어 메뉴(513), 오디오 추출 메뉴(514) 등을 포함하여 클립 편집 UI(500)를 구성 및 제공할 수 있다.
클립의 종류별 클립 편집 UI는 하기의 도 7a 내지 도 7g의 영상 편집 UI의 구조를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클립 편집 UI의 구성은 도 7a 내지 도 7g의 개시를 참조한다.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는 미디어 설정창이 존재하는 영역에, 클립 편집 확장 UI(530)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미디어 설정창의 영역에 표시되는 클립 편집 확장 UI 역시 선택된 클립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클립의 종류가 영상 클립, 이미지 클립, 오디오 클립, 또는 음성신호 클립인 경우, 전자 장치는 클립 삭제 메뉴, 클립 복제 메뉴, 클립의 레이어 복제 메뉴 등을 포함하여 클립 편집 확장 UI(530)를 구성 및 제공할 수 있으며, 클립의 종류가 영상 클립, 이미지 클립, 오디오 클립, 또는 음성신호 클립인 경우, 전자 장치는 클립 삭제 메뉴, 클립 복제 메뉴, 클립의 레이어 복제 메뉴 등을 포함하여 클립 편집 확장 UI를 구성 및 제공할 수 있으며, 효과 클립, 텍스트 클립, 오버레이 클립, 또는 드로잉 클립인 경우, 전자장치는 클립 삭제 메뉴, 클립 복제 메뉴, 맨 앞으로 가져오기 메뉴, 앞으로 가져오기 메뉴, 뒤로 보내기 메뉴, 맨 뒤로 보내기 메뉴, 수평 가운데 정렬 메뉴, 수직 가운데 정렬 메뉴 등을 포함하여 클립 편집 확장 UI를 구성 및 제공할 수 있다.
클립 설정창은 클립 확대 표시 메뉴(550) 및 클립 이동 제어 메뉴(56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클립 확대 표시 메뉴(550)가 선택될 경우, 전자장치는 클립 표시창이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으로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클립 이동 제어 메뉴(560)가 선택될 경우, 전자장치는 클립을 기준선에 맞춰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클립 이동 제어 메뉴(560)는 시작영역 이동 메뉴 또는 끝영역 이동 메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시작영역 이동 메뉴 또는 끝영역 이동 메뉴는 클립에 접하는 기준선의 위치를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전자장치는 시작영역 이동 메뉴를 기본적으로 제공하며, 클립이 기준선의 시작위치에 접할경우, 시작영역 이동 메뉴를 끝영역 이동 메뉴로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
S308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편집 UI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되는 영상 프로젝트를 구성하고, 구성된 영상 프로젝트를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편집 UI는 미디어 설정창에 내보내기 메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데, 사용자에 의해 내보내기 메뉴가 선택될 경우(S309-예), 전자장치는 영상 프로젝트에 구성된 정보를 반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고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S310).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60)는 편집 UI 표시부(61), 사용자 입력 확인부(63), 편집 UI 처리부(65), 및 프로젝트 관리부(67)를 포함할 수 있다.
편집 UI 표시부(61)는 전술한 편집 UI를 표시장치(예, 디스플레이)에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특히, 편집 UI 처리부(65)에서 출력이 요청되는 메뉴 또는 UI를 확인하여 표시장치(예,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편집 UI는 미리 정해진 형태 및 크기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메뉴 또는 UI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메뉴 또는 UI가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여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확인부(63)는 전술한 표시 장치(160, 도 1 참조)를 통해 제공되는 터치 입력되는 영역의 좌표, 터치 입력되는 영역의 개수, 터치 입력되는 제스처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 입력 발생 좌표, 사용자 입력의 종류(예컨대, 싱글 터치 입력, 멀티 터치 입력, 싱글 제스처 입력, 멀티 제스처 입력 등), 제스처(싱글 또는 멀티 제스처) 입력의 방향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편집 UI 처리부(65)에 제공할 수 있다.
편집 UI 처리부(65)는 사용자 입력 확인부(63)가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집 UI 처리부(65)는 사용자 입력 발생 좌표를 확인하고, 확인된 좌표에 대응되는 메뉴 또는 UI에 대응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편집 UI 처리부(65)는 확인된 좌표에 대응되는 메뉴 또는 UI의 하위 메뉴 또는 하위 UI를 확인하고, 확인된 하위 메뉴 또는 하위 UI를 편집 UI 표시부(61)로 출력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편집 UI 처리부(65)는 프로젝트 관리부(67)와 연계될 수 있으며, 프로젝트 관리부(67)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사용하여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편집 UI 처리부(65)는 클립 표시창(404)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클립이 선택됨을 확인하고, 선택된 클립의 종류에 맞는 편집 UI 또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편집 UI 처리부(65)는 클립 표시창(404)에 포함된 클립이 선택됨에 따라, 클립의 수정, 삭제 등을 위한 편집 UI를 제공할 수 있다.
편집 UI 처리부(65)는 클립 표시창(404)에 포함된 클립이 선택됨에 따라, 클립의 교체를 위한 편집 UI를 제공할 수 있다. 클립의 교체를 위한 편집 UI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클립의 교체를 요구하는 UI 또는 메뉴가 선택될 경우, 교체 대상이되는 클립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교체 대상이되는 클립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 리스트를 표시하는 클립 리스트 표시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클립 리스트 표시창에 표시되는 리스트는 프로젝트 관리부(67)로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편집 UI 처리부(65)는 클립 리스트 표시창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클립이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클립을 해당 구간에 삽입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동영상은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요소의 조합을 프로젝트로 관리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젝트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에 대한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요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요소는 영상에 삽입되는 클립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영상 클립, 이미지 클립, 오디오 클립, 음성신호 클립, 효과 클립, 텍스트 클립, 오버레이 클립, 드로잉 클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를 고려하여, 프로젝트 관리부(67)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에 대한 정보(이하, 요소 정보라 함)와, 적어도 하나의 요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정보(이하, 관계 정보라 함)를 조합하여 프로젝트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트 관리부(67)는 요소정보 관리부(67a), 관계정보 관리부(67b), 프로젝트 정보 관리부(67c), 및 요소정보 수정부(67d)를 포함할 수 있다.
요소정보 관리부(67a)는, 요소정보를 확인 및 관리하는 구성부일 수 있다. 요소정보는, 프로젝트 내에 포함된 요소의 식별자, 요소의 종류(또는 클립의 종류), 요소 상세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요소의 종류는, 영상 클립, 이미지 클립, 오디오 클립, 음성신호 클립, 효과 클립, 텍스트 클립, 오버레이 클립, 드로잉 클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요소의 종류가, 영상 클립, 오디오 클립, 음성신호 클립 등과 같이 시간에 따라 변화되어 재생되는 속성의 요소일 경우, 요소정보는, 요소가 재생되는 배속에 대한 정보, 즉, 재생배속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계정보 관리부(67b)는, 관계정보를 확인 및 관리하는 구성부일 수 있다. 관계정보는, 프로젝트 내에 포함된 요소의 순서, 요소의 시작지점과 종료지점, 요소의 공간적 위치, 요소의 계층적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트 정보 관리부(67c)는, 프로젝트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하는 구성부일 수 있다. 프로젝트 정보는, 프로젝트 식별자, 요소정보, 관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요소정보 수정부(67d)는, 편집 UI 처리부(65)에 의해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다른 요소로 대체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 편집 UI 처리부(65)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선택될 수 있으며, 선택된 요소를 삭제하고, 해당 구간에 다른 요소를 대체하는 동작이 확인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요소정보 수정부(67d)는, 삭제될 요소(이하, 삭제 요소라 함)의 요소정보와, 대체될 요소(이하, 대체 요소라 함)의 요소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삭제 요소 및 대체 요소의 요소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요소의 종류가, 영상 클립, 오디오 클립, 음성신호 클립 등과 같이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재생되는 요소일 경우, 요소정보 수정부(67d)는, 삭제 요소 및 대체 요소의 구간 길이 정보, 및 재생배속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요소정보 수정부(67d)는, 삭제 요소 및 대체 요소의 구간 길이 정보에 맞춰 대체 요소를 해당 구간에 할당할 수 있다.
나아가, 삭제 요소의 구간에 대체 요소를 할당함에 있어서, 삭제 요소와 대체 요소의 구간 길이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요소정보 수정부(67d)는, 삭제 요소 및 대체 요소의 구간 길이 정보에 맞춰 대체 요소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대체 요소의 구간 길이가, 삭제 요소의 구간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 경우, 대체 요소의 일부 구간을 잘라내어 구간 길이를 맞출 수 있다. 일 예로, 삭제 요소의 구간 길이에 맞춰 대체 요소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를 잘라 낼 수 있도록, 요소정보 수정부(67d)는, 잘라낼 구간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을 통해 잘라낼 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 요소정보 수정부(67d)는, 확인된 구간을 잘라내고, 대체 요소를 해당 구간에 할당할 수 있다.
한편, 대체 요소의 구간 길이가, 삭제 요소의 구간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을 경우, 대체 요소를 사용하여 채워지지 않는 구간을 채워야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대체 요소를 사용하여 채워지지 않는 구간을 채우기 위하여, 특정 색상(예, 검은 색상)의 더미(Dummy) 요소를 채워 넣거나, 대체 요소를 반복하여 채워 넣거나, 또는 특정 정보(예를 들어, 빗금 표시 클립 등)를 채워넣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더미(Dummy) 요소 삽입, 대체 요소 반복 삽입, 또는 빗금 표시 클립 등과 같은 무의미한 요소를 채워 넣을 경우, 프로젝트 내에서, 전체적인 편집의 싱크는 맞게 되지만 편집 결과는 만족할 수 없는 혹은 무의미한 요소가 처리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를 고려하여, 대체 요소의 구간 길이가, 삭제 요소의 구간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을 경우, 요소정보 수정부(67d)는, 대체 요소를 삭제 요소의 구간 길이에 맞게 수정하여 삽입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요소정보 수정부(67d)는, 대체 요소의 재생배속 정보를 제어하여 대체 요소를 구성하고, 이를 삽입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삭제 요소(예, 비디오 클립)의 구간 길이가 10초이고 이를 대체하는 대체 요소(예, 비디오 클립)의 구간 길이가 5초인 경우, 요소정보 수정부(67d)는, 대체 요소(예, 비디오 클립)의 재생배속을 1/2 배속으로 제어하여 구간 길이를 10초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삭제 요소(예, 비디오 클립)의 구간에, 대체 요소(예, 비디오 클립)의 재생배속을 제어하여 삽입할 경우, 종래의 방식과 같이 특정 색상을 더미 클립을 채우거나, 대체 요소(예, 비디오 클립)를 반복적으로 재생하는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만족도 높은 컨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면서, 배속으로 인한 어색함은 별로 없기 때문에, 삭제 요소(예, 비디오 클립)의 길이와 대체 요소(예, 비디오 클립)의 차이가 크지 않을수록 효과는 더욱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대체 요소(예, 비디오 클립)의 길이가 삭제 요소(예, 비디오 클립)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대체 요소(예, 비디오 클립)의 일부 구간을 잘라내는 대신, 요소정보 수정부(67d)는, 대체 요소(예, 비디오 클립)의 재생배속을 1배속 이상으로 제어하여, 상대적으로 빠른 배속으로 대체 요소(예, 비디오 클립)를 삽입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요소정보 수정부(67d)는, 산출된 재생배속에 대한 임계치를 설정하고, 재생배속이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재생 배속 조정을 적용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에 구비된 요소정보 관리부가 대체 요소를 제어하는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프로젝트에 포함된 삭제 요소(710)와 대체 요소(720)를 사용하여 대체 요소(720)의 재생배율을 제어하는 동작을 예시한다. 일 예로, 삭제 요소(710) 구간의 길이(Length_Ref)가 100초이고, 대체 요소(720)의 구간 길이(Length_Alt)가 70초일 경우, 요소정보 수정부(67d)는, 하기의 수학식 1의 연산을 통해, 재생 배율을 0.7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요소정보 수정부(67d)는, 재생 배율로 0.7배속을 대체 요소(720)에 적용하여, 적용 대체 요소(730)를 구성하고, 이를 해당 구간에 적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도 7b를 참조하면, 프로젝트에 포함된 삭제 요소(750)와 대체 요소(750)를 사용하여 대체 요소(760)의 재생배율을 제어하는 동작을 예시한다. 일 예로, 삭제 요소(750) 구간의 길이(Length_Ref)가 70초이고, 대체 요소(726)의 구간 길이(Length_Alt)가 100초일 경우, 요소정보 수정부(67d)는, 전술한 수학식 1의 연산을 통해, 재생 배율을 1.43으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요소정보 수정부(67d)는, 재생 배율로 1.43배속을 대체 요소(760)에 적용하여, 적용 대체 요소(770)를 구성하고, 이를 해당 구간에 적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에 의해 클립 이동 제어 UI가 제공되는 동작의 일 예시도이다.
우선,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는 영상 표시창, 미디어 설정창, 미디어 입력창, 클립 표시창, 클립 설정창 등을 포함하는 영상 편집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클립 표시창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클립이 선택될 수 있다(S801). 예컨대,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는 클립 표시창에 표시되는 복수의 클립 중, 영상 클립이 존재하는 영역에 미리 정해진 시간(예, 1초)을 초과하여 터치 입력이 발생됨에 따라, 영상 클립이 선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는 영상 클립 편집을 위한 UI, 즉, 영상 클립 편집 메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미디어 입력창이 존재하는 영역에 영상 클립 편집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S802).
이후,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는 영상 클립 편집 메뉴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여(S803), 이에 대응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S804). 특히, 영상 클립 편집 메뉴는 대체 요소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대체 요소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는 대체 요소 선택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대체 요소 선택 버튼이 선택됨에 따라 파일 탐색기 등을 활성화하고, 파일 탐색기 등을 통해서 선택된 대체 요소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삭제 요소(710, 도 7a 참조) 구간의 길이(Length_Ref)가 100초이고, 대체 요소(720)의 구간 길이(Length_Alt)가 70초일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대응하여,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는 수학식 1의 연산을 통해, 재생 배율을 산출한다(S805).
그리고,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는 산출된 재생 배율, 즉, 0.7배속을 대체 요소(720)에 적용하여, 적용 대체 요소(730)를 구성하고, 이를 해당 구간에 적용할 수 있다(S806).
나아가,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는 재생 배율을 대체 요소에 적용함에 있어서, 산출된 재생 배율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는, 산출된 재생 배율이 임계치 범위를 초과할 경우, 배속 조정에 의한 삽입을 적용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는 산출된 재생 배율과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비교하여, 산출된 재생 배율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901). 만약, 산출된 재생 배율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 범위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는 산출된 재생 배율을 대체 요소에 적용하여, 적용 대체 요소를 구성하고, 이를 해당 구간에 적용할 수 있다(S902). 반면, 산출된 재생 배율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 범위를 초과할 경우,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는 대체 요소의 적용이 불가함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903). 예컨대,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는 산출된 재생 배율이 0.5보다 작거나, 또는 1.5보다 클 경우, 미리 정해진 임계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Claims (15)

  1.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에 있어서,
    편집 UI를 표시 장치에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편집 UI 표시부와,
    상기 표시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터치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 입력 확인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 확인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삭제 요소를 확인하고, 상기 선택된 삭제 요소의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선택된 삭제 요소의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대체 요소를 확인하고, 상기 대체 요소를 제어하여 적용하는 편집 UI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UI 처리부는,
    상기 삭제 요소의 구간 길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대체 요소의 구간 길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삭제 요소의 구간 길이에 맞게 상기 대체 요소의 구간 길이를 설정하는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UI 처리부는,
    상기 삭제 요소의 구간 길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대체 요소의 구간 길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삭제 요소의 구간 길이에 맞게 상기 대체 요소의 재생배속을 제어하는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UI 처리부는,
    하기의 수학식 1의 연산을 통해 상기 대체 요소의 재생배속을 산출하는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
    [수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Length_Ref는, 상기 삭제 요소의 구간 길이를 나타내고
    상기 Length_Alt는, 상기 대체 요소의 구간 길이를 나타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UI 처리부는,
    상기 대체 요소의 재생배속을 미리 정해진 임계치 범위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대체 요소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UI 처리부는,
    상기 대체 요소의 재생배속을 미리 정해진 임계치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대체 요소의 재생배속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 범위 내의 값임에 대응하여, 상기 대체 요소에 상기 재생배속을 적용하는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UI 처리부는,
    상기 대체 요소의 재생배속을 미리 정해진 임계치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대체 요소의 재생배속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 범위를 초과하는 값임에 대응하여, 상기 대체 요소의 적용이 불가한 것으로 결정하는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
  8.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치에 있어서,
    편집 UI를 표시 장치에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터치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삭제 요소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삭제 요소의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삭제 요소의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대체 요소를 확인하고, 상기 대체 요소를 제어하여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요소를 제어하여 적용하는 과정은,
    상기 삭제 요소의 구간 길이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대체 요소의 구간 길이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삭제 요소의 구간 길이에 맞게 상기 대체 요소의 구간 길이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요소를 제어하여 적용하는 과정은,
    상기 삭제 요소의 구간 길이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대체 요소의 구간 길이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삭제 요소의 구간 길이에 맞게 상기 대체 요소의 재생배속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요소를 제어하여 적용하는 과정은,
    하기의 수학식 1의 연산을 통해 상기 대체 요소의 재생배속을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
    [수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Length_Ref는, 상기 삭제 요소의 구간 길이를 나타내고
    상기 Length_Alt는, 상기 대체 요소의 구간 길이를 나타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요소를 제어하여 적용하는 과정은,
    상기 대체 요소의 재생배속을 미리 정해진 임계치 범위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대체 요소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요소를 제어하여 적용하는 과정은,
    상기 대체 요소의 재생배속을 미리 정해진 임계치 범위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대체 요소의 재생배속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 범위 내의 값임에 대응하여, 상기 대체 요소에 상기 재생배속을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요소를 제어하여 적용하는 과정은,
    상기 대체 요소의 재생배속을 미리 정해진 임계치 범위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대체 요소의 재생배속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 범위를 초과하는 값임에 대응하여, 상기 대체 요소의 적용이 불가한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의 종류는,
    시간에 따라 변화되어 재생되는 속성을 구비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
KR1020210168731A 2020-11-30 2021-11-30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 및 장치 KR202200763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254,237 US20240094890A1 (en) 2020-11-30 2021-11-30 Video editing ui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PCT/KR2021/017893 WO2022114924A1 (ko) 2020-11-30 2021-11-30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922 2020-11-30
KR20200164922 2020-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385A true KR20220076385A (ko) 2022-06-08

Family

ID=8198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731A KR20220076385A (ko) 2020-11-30 2021-11-30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63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905B1 (ko) 상세 조절 제어를 위한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 및 장치
EP322653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97617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969424B1 (ko) 촬영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방법
KR102243855B1 (ko)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운영 방법 및 장치
JP2014123378A (ja) 文字拡大表示方法
KR102061867B1 (ko) 이미지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EP3525446A1 (en) Photographing method and terminal
CN112383808A (zh) 视频播放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3747199A (zh) 视频编辑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CN114546227A (zh) 虚拟镜头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US1164606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dit user interface of moving picture for clip alignment control and apparatus for the same
CN112616082A (zh) 视频预览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195003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KR20220076385A (ko)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 및 장치
US20240094890A1 (en) Video editing ui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N112037227B (zh) 视频拍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20148742A (ko) 편집이력 정보 제공을 위한 동영상 편집 ui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113766275A (zh) 视频剪辑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220148757A (ko) 더미 미디어를 이용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402111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video editing ui to provide edit history information
KR20220148121A (ko) 백업이 실행가능한 영상 편집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33133A (ko) 공유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및 장치
US20240168614A1 (en) Content editing method and device using shared content
KR20220148755A (ko) 미세 조절 제어를 위한 컨텐츠 편집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