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133A - 공유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공유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3133A
KR20220133133A KR1020220036465A KR20220036465A KR20220133133A KR 20220133133 A KR20220133133 A KR 20220133133A KR 1020220036465 A KR1020220036465 A KR 1020220036465A KR 20220036465 A KR20220036465 A KR 20220036465A KR 20220133133 A KR20220133133 A KR 20220133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diting
user
menu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일택
류하영
정재원
Original Assignee
키네마스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네마스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키네마스터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0413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203422A1/ko
Publication of KR20220133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공유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컨텐츠의 편집 방법은, 컨텐츠와 참조 관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 컨텐츠를 제시하는 단계; 상기 참조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참조 컨텐츠에 적용된 참조 편집 요소를 포함하는 참조 프로젝트 및 상기 참조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참조 엔터티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참조 엔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 컨텐츠를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유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EDITING CONTENT USING SHARED CONTENT}
본 개시는 공유 컨텐츠 프로젝트를 이용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다른 사용자의 컨텐츠 편집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하여 사용자의 영상을 보다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유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휴대 단말이 널리 보급되고, 이러한 휴대 단말의 성능 향상과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사용자는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고, 편집하며,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휴대 단말은 액정 화면 크기 및 하드웨어의 퍼포먼스의 제약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일반 PC 환경에서처럼 원활하게 동영상을 편집할 수 없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서 휴대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동영상 편집 방법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나아가, 휴대 단말의 사용자의 니즈가 늘어남에 따라, 휴대 단말의 카메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하드웨어의 퍼포먼스 등이 고도화되고 있으며, PC 환경에서 사용하였던 많은 기능 또는 서비스 등이 휴대 단말로 대체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은 기본적으로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카메라 장치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 편집에 대한 사용자 니즈가 증대되고 있다.
한편, 편집된 동영상은 시청가능한 동영상 플랫폼, 소셜 미디어에 업로드될 수 있다. 동영상 플랫폼 등은 사용자가 시청한 동영상을 평가할 수 있도록, 동영상에 대해 호감을 나타내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동영상 제작한 사용자를 팔로우할 수 있다.
상술한 통상적인 동영상 서비스는 시청한 사용자가 동영상에 대한 호응도를 수동적으로 표현할 수 있을 뿐이고, 사용자가 자신의 동영상을 제작 내지 편집할 때에 적극적으로 해당 동영상의 편집 기법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동영상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타인의 동영상을 시청하는데 만족하지 않고, 자신 동영상을 효과적으로 편집하여 개성있는 컨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욕구가 매우 크다. 그러나, 동영상 편집에 매우 다양한 요소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신규의 편집 효과 기법도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사용자가 실제 제작 내지 편집을 실시할 경우 효과적인 편집 요소를 착안하는데 애로가 있다. 따라서, 호응도가 높은 동영상에 포함된 편집 요소를 참고하여 동영상을 제작, 편집하는 서비스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다른 사용자의 컨텐츠 편집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하여 사용자의 영상을 보다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유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가 수행하며, 공유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은, 컨텐츠와 참조 관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 컨텐츠를 제시하는 단계; 상기 참조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참조 컨텐츠에 적용된 참조 편집 요소를 포함하는 참조 프로젝트 및 상기 참조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참조 엔터티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참조 엔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 컨텐츠를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참조 관계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처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참조된 일련의 선행 컨텐츠,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참조하는 일련의 후행 컨텐츠에 기초하여 수립되는 컨텐츠 이력 관계이며, 상기 참조 관계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 상기 일련의 선행 및 후행 컨텐츠 간의 연관 관계를 구조화함으로써 관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 프로젝트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컨텐츠의 편집을 위한 편집 요소 상에 상기 참조 프로젝트의 편집 요소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참조 편집 요소는 상기 참조 컨텐츠를 구성하는 미디어 객체 및 상기 참조 컨텐츠를 편집하는 편집 도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처리하는 편집 어플리케이션의 소정 영역에 상기 참조 컨텐츠를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참조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시청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참조 컨텐츠를 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 또는 상기 컴퓨팅 장치의 설정에 의해, 상기 컨텐츠와 참조 관계를 갖는 복수의 참조 컨텐츠의 일부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되는 참조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의 처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참조된 일련의 선행 컨텐츠들 중 적어도 최초 생성된 선행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되는 참조 컨텐츠는 상기 복수의 참조 컨텐츠의 선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되, 상기 선호 정보는 상기 참조 컨텐츠의 선호도 및 상기 참조 컨텐츠를 생성한 사용자의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된 참조 컨텐츠는 상기 편집 요소의 카테고리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는 상기 컴퓨팅 장치와 연결된 외부 서비스 장치 또는 상기 컴퓨팅 장치에서 구동하는 편집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공유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참조 관계는 참조 관계 정보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되되,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편집하는 단계 후에,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컨텐츠의 엔터티에 기초하여 상기 참조 관계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공유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편집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과 송수신하며 상기 컴퓨팅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컨텐츠와 참조 관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 컨텐츠를 제시하고, 상기 참조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참조 컨텐츠에 적용된 참조 편집 요소를 포함하는 참조 프로젝트 및 상기 참조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참조 엔터티를 제공하고, 상기 참조 엔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 컨텐츠를 편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다른 사용자의 컨텐츠 편집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하여 사용자의 영상을 보다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는, 공유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자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자 장치의 시스템 계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되는 동영상 편집 방법의 순서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에서 제공되는 편집 UI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편집 UI에서 제공되는 클립 편집 UI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컨텐츠 편집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초기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컨텐츠 영상이 참조 관계에 따라 구조화되어 관리되면서, 참조 영상이 출력되는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참조 영상 리스트에 포함되는 참조 영상의 선정 기준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a내지 도 10d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편집 방법에 의해, 사용자 컨텐츠가 편집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통신 모듈, 메모리, 디스플레이부 및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편집 장치는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전자 장치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전자 장치는 본 개시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일종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개시에서는 편집 어플리케이션이 동영상 편집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예로 들어 서술한다. 또한, 동영상 편집 장치는 동영상 및 자막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이미지 처리부 및 제어부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 의해서 구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자 장치는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사용자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 데스크탑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자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101)는 컴퓨팅 장치로 칭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1)는 동영상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내장하거나, 외부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인터페이스(177),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네트워크(198, 199)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보조 프로세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탑재되어,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구성요소들과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46)은 다양한 기능 별 복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개시에 따른 컨텐츠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편집 어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140)를 통해 실행되며, 신규 영상을 생성하거나, 기존 영상을 선택하여 편집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출력 장치(155)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 또는 압력 센서를 기반으로, 터치 입력되는 영역의 좌표, 터치 입력되는 영역의 개수, 터치 입력되는 제스처 등을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결과를 메인 프로세서(121) 또는 보조 프로세서(123)에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데이터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하거나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다른 하나 혹은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특정 기능이나 서비스를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기능, 서비스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서버(108)는 전자 장치(101)의 요청에 의해 동영상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여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때, 서버(106)는 전자 장치(101)과 데이터를 교환하여, 본 개시에 따른 컨텐츠 편집 방법을 수행하도록 전자 장치(101)를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서버(106)는 본 개시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일종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자 장치의 시스템 계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200)는 전술한 도 1의 전자 장치(100)에 대응되는 하드웨어 계층(210), 하드웨어 계층(210)의 상위 계층으로서 하드웨어 계층(210)을 관리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계층(220), OS 계층(220)의 상위 계층으로서 프레임워크(frame work) 계층(230), 및 어플리케이션 계층(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OS 계층(220)은 하드웨어 계층(2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하드웨어 계층(210)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OS 계층(220)은 하드웨어 관리와 메모리, 보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OS 계층(220)은 표시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카메라 드라이버, 오디오 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오디오 드라이버 등 전자 장치에 구비된 하드웨어 장치를 운용 또는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 계층(220)은 개발자가 접근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와 런타임(runtime)이 포함될 수 있다.
OS 계층(220)보다 상위 계층으로 프레임워크(frame work) 계층(230)이 존재하는데, 프레임워크 계층(230)은 어플리케이션 계층(240)과 OS 계층(22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프레임워크 계층(230)은 로케이션 매니저(location manager), 알림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 및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버퍼(frame buffer)를 포함한다.
프레임워크 계층(230) 상부 계층에는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240)이 위치한다.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계층(240)에는 통화 어플리케이션(241), 동영상 편집 어플리케이션(242), 카메라 어플리케이션(243),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244) 및 제스처 어플리케이션(245) 등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OS 계층(220)은 어플리케이션 계층(24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는 메뉴 또는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계층(24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응용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통신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8)와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다른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8)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즉,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응용 프로그램)를 수신 및 저장하여 메모리에 수록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응용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 계층(240)에 구성되어 동작될 수 있다. 또한, OS 계층(220)에서 제공하는 메뉴 또는 UI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으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삭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계층(24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제어 명령이 전자 장치(100)에 입력되면 어플리케이션 계층(240)부터 하드웨어 계층(210)까지 전달되면서 입력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그 결과가 표시장치(16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되는 동영상 편집 방법의 순서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동영상 편집 방법은 전술한 전자 장치(또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동영상 편집 어플리케이션이 선택 및 실행됨에 따라 그 동작이 개시될 수 있다(S105).
동영상 편집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전자 장치는 동영상 편집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화면을 표시장치(예,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초기 화면에는 신규 영상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메뉴(또는 UI)와, 미리 편집중인 영상 프로젝트를 선택할 수 있는 영상 프로젝트 선택 메뉴(또는 UI)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초기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신규 영상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메뉴(또는 UI)가 선택될 경우 S115 단계를 진행하고, 영상 프로젝트 선택 메뉴(또는 UI)가 선택될 경우 S125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S110).
S115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신규 영상 프로젝트의 기본정보를 설정하는 메뉴(또는 UI)를 제공하고, 상기 메뉴(또는 UI)를 통해 입력되는 기본정보를 신규 영상 프로젝트에 설정 및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기본정보는 신규 영상 프로젝트의 화면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는 16:9, 9:16, 1:1 등의 화면 비율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또는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메뉴(또는 UI)를 통해 입력되는 화면 비율을 신규 영상 프로젝트에 설정 및 적용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S115 단계에서 설정된 기본정보를 반영하여, 신규 영상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규 영상 프로젝트를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S120).
비록,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기본정보로서 화면 비율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개시가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마스터 볼륨의 자동 조절, 마스터 볼륨의 크기, 오디오 페이드인 기본 설정, 오디오 페이드 아웃 기본 설정, 동영상 페이드인 기본 설정, 동영상 페이드 아웃 기본 설정, 이미지 클립의 기본 설정, 레이어 길이의 기본 설정, 및 이미지 클립의 팬&줌 기본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또는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메뉴(또는 UI)를 통해 입력되는 값을 신규 영상 프로젝트의 기본정보로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 장치는 화면 비율, 마스터 볼륨의 자동 조절, 마스터 볼륨의 크기, 오디오 페이드인 기본 설정, 오디오 페이드 아웃 기본 설정, 동영상 페이드인 기본 설정, 동영상 페이드 아웃 기본 설정, 이미지 클립의 기본 설정, 레이어 길이의 기본 설정, 및 이미지 클립의 팬&줌 기본 설정을 미리 정해진 값으로 자동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설정 메뉴(또는 UI)를 제공하고, 설정 메뉴(또는 UI)를 통해, 화면 비율, 마스터 볼륨의 자동 조절, 마스터 볼륨의 크기, 오디오 페이드인 기본 설정, 오디오 페이드 아웃 기본 설정, 동영상 페이드인 기본 설정, 동영상 페이드 아웃 기본 설정, 이미지 클립의 기본 길이 설정, 레이어 길이의 기본 설정, 및 이미지 클립의 팬&줌 기본 설정 등을 제어값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값에 맞춰 전술한 기본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S115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 프로젝트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리스트를 제공하고, 프로젝트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로젝트를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환경을 통해, 사용자는 프로젝트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로젝트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로젝트 로드할 수 있다(S130).
S135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편집 UI를 제공할 수 있다. 편집 UI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창(401), 미디어 설정창(402), 미디어 입력창(403), 클립 표시창(404), 클립 설정창(40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편집 UI에서, 영상 표시창, 미디어 설정창, 및 미디어 입력창은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표시될 수 있으며, 클립 표시창 및 클립 설정창은 디스플레이의 하부에 표시될 수 있다.
미디어 설정창은 내보내기 메뉴, 켑쳐 메뉴, 설정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보내기 메뉴, 켑쳐 메뉴, 설정 메뉴 등은 해당 메뉴를 인지할 수 있는 아이콘 형태 또는 텍스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미디어 입력창은 미디어 입력 메뉴(403a), 레이어 입력 메뉴(403b), 오디오 입력 메뉴(403c), 음성 입력 메뉴(403d), 촬영 메뉴(403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미디어 입력 메뉴(403a), 레이어 입력 메뉴(403b), 오디오 입력 메뉴(403c), 음성 입력 메뉴(403d), 촬영 메뉴(403e) 등은 해당 메뉴를 인지할 수 있는 아이콘 또는 텍스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메뉴는 하위 메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메뉴가 선택되에 따라, 전자장치는 그에 대응되는 하위 메뉴를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입력 메뉴(403a)는 하위 메뉴로서 미디어 선택창에 연결될 수 있으며, 미디어 선택창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선택창을 통해 선택된 미디어는 클립 표시창에 삽입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미디어 선택창을 통해 선택된 미디어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미디어의 종류를 고려하여 해당 미디어의 클립 시간을 설정하여 클립 표시창에 삽입 및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의 종류는 이미지,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의 종류가 이미지일 경우, 전자장치는 이미지 클립의 기본 길이 설정값을 확인하고, 이미지 클립의 기본 길이 설정값에 맞춰 이미지 클립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의 종류가 동영상일 경우, 전자장치는 해당 미디어의 길이에 맞춰 동영상 클립의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레이어 입력 메뉴(403b)의 하위 메뉴로서, 미디어 입력 메뉴, 효과 입력 메뉴, 오버레이 입력 메뉴, 텍스트 입력 메뉴, 미디어 입력 메뉴, 드로잉 입력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입력 메뉴는 전술한 미디어 입력 메뉴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효과 입력 메뉴는 블뤄 효과, 모자이크 효과, 노이즈 효과, 모래폭풍 효과, 멜팅 포인트 효과, 크리스탈 효과, star filter 효과, 디스플레이 보드 효과, 아지랑이 효과, 어안 렌즈 효과, 돋보기 렌드 효과, 플라워 트위스트 효과, 야간 투시경 효과, 스케치 효과 등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효과 입력 메뉴를 통해 선택된 효과는 클립 표시창에 삽입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는 레이어 길이의 기본 설정값을 확인하고, 레이어 길이의 기본 설정값에 맞춰 효과 클립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오버레이 입력 메뉴는 다양한 형태 또는 형상의 스티커,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오버레이 입력 메뉴를 통해 선택된 스티커, 아이콘 등은 클립 표시창에 삽입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는 레이어 길이의 기본 설정값을 확인하고, 레이어 길이의 기본 설정값에 맞춰 스티커, 아이콘 등의 클립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텍스트 입력 메뉴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환경, 예, 쿼티(Qwety) 키보드를 제공할 수 있다. 텍스트 입력 메뉴를 통해 입력된 텍스트는 클립 표시창에 삽입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는 레이어 길이의 기본 설정값을 확인하고, 레이어 길이의 기본 설정값에 맞춰 텍스트 클립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드로잉 입력 메뉴는 영상 표시창에 드로잉 영역을 제공하며, 영상 표시창에 터치 입력되는 영역에 드로잉 개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손글씨 입력 메뉴는 하위 메뉴로서 드로잉 기구를 선택하는 드로잉 기구 선택 메뉴, 드로잉 색상을 선택하는 색상 선택 메뉴, 드로잉 개체의 굵기를 설정하는 굵기 설정 메뉴, 생성된 드로잉 개체를 삭제하는 부분 지우기 메뉴, 드로잉된 전체 개체를 삭제하는 전체 지우기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손글씨 입력 메뉴가 선택될 경우, 전자장치는 레이어 길이의 기본 설정값을 확인하고, 레이어 길이의 기본 설정값에 맞춰 드로잉 개체 클립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 메뉴(403c)는 하위 메뉴로서 오디오 선택창에 연결될 수 있으며, 오디오 선택창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선택창을 통해 선택된 오디오 파일은 클립 표시창에 삽입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음성 입력 메뉴(403d)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를 녹음하기 위한 메뉴일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음성 입력 메뉴가 선택될 경우, 전자 장치는 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로폰을 활성화하여 마이크에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녹음 시작 버튼을 표시할 수 있으며, 녹음 시작 버튼이 입력될 경우, 은선 신호의 녹음을 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 장치는 마이크에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음성 신호의 크기 또는 주파수 특성을 확인하고, 확인된 특성을 레벨 미터 또는 그래프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촬영 메뉴(403e)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메뉴일 수 있다. 촬영 메뉴(403e)는 카메라 장치를 시각화한 아이콘 등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촬영 메뉴(403e)는 그 하위 메뉴로서 이미지 촬영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촬영을 위한 캠코더 등을 선택하는 이미지/영상 촬영 선택 메뉴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촬영 메뉴(403e)가 선택될 경우, 전자 장치는 이미지/영상 촬영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이미지/영상 촬영 선택 메뉴를 통해 선택되는 바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촬영 모드 또는 영상 촬영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클립 표시창(404)은 미디어 입력창을 통해 입력되는 미디어, 효과, 오버레이, 텍스트, 드로잉, 오디오, 음성 신호 등에 대응되는 클립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립라인은 메인 클릭라인(404a)과 서브 클립라인(404b)을 포함할 수 있으며, 클립 표시창의 최상단에 구비되는 클립라인을 메인 클릭라인(404a)으로 지칭하며, 메인 클릭라인(404a)의 하단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라인을 서브 클립라인(404b)으로 지칭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클립 표시창의 최상단에 메인 클릭라인(404a)을 고정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서브 클립라인(404b)이 존재하는 영역을 기준으로 드래그 입력을 확인하고 드래그 입력의 방향에 대응하여 서브 클립라인(404b)을 상하로 스크롤하여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드래그 입력의 방향이 상부 방향으로 확인될 경우 전자 장치는 서브 클립라인(404b)을 상부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드래그 입력의 방향이 하부 방향으로 확인될 경우 전자 장치는 서브 클립라인(404b)을 하부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서브 클립라인(404b)의 이동에 대응하여 메인 클립라인(404a)의 상하 폭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서브 클립라인(404b)이 상부로 이동할 경우 메인 클립라인(404a)의 상하 폭을 줄여서 표시하고, 서브 클립라인(404b)이 하부로 이동할 경우 메인 클립라인(404a)의 상하 폭을 늘여서 표시할 수 있다.
특히, 클립 표시창은 영상 프로젝트의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표시라인(404c) 및 기준선(Play Head)(404d)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간 표시라인(404c)은 전술한 메인 클립라인(404a)의 상부에 표시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단위의 눈금 또는 숫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선(404d)은 시간 표시라인(404c)에서 시작되어 클립 표시창의 하단부까지 수직으로 연결된 선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는 색상(예, 빨간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기준선(404d)은 미리 정해진 영역에 고정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클립 표시창에 구비된 메인 클립라인(404a) 및 서브 클립라인(404b)에 포함된 개체와 시간 표시라인(404c)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클립라인(404a), 서브 클립라인(404b), 시간 표시라인(404c) 등이 위치한 영역에 좌우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이 발생될 경우, 전자장치는 메인 클립라인(404a) 및 서브 클립라인(404b)에 포함된 개체와 시간 표시라인(404c)을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는 기준선(404d)에 대응되는 프레임 또는 개체를 영상 표시창에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기준선(404d)이 접하는 세부 시간(예컨대, 1/1000초 단위)을 확인하고 확인된 세부시간을 클립 표시창에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클립 표시창에서 멀티터치의 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멀티터치가 발생될 경우 멀티터치에 대응하여 시간 표시라인(404c)에 포함된 미리 정해진 단위의 눈금 또는 숫자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멀티터치의 간격이 점차 줄어드는 입력이 확인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눈금 또는 숫자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멀티터치의 간격이 점차 늘어나는 입력이 확인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눈금 또는 숫자의 간격을 늘여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클립라인에 표시되는 클립을 선택할 수 있도록 클립 표시창(404)을 구성할 수 있으며, 클립의 선택시 해당 클립이 선택되었음을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클립의 선택이 감지될 경우, 전자 장치는, 선택된 클립의 바운더리에 클립 선택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클릭 선택기는 미리 정해진 색상, 예컨대, 노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클립의 선택이 감지될 경우, 전자 장치는 선택된 클립을 편집할 수 있는 클립 편집 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미디어 입력창(403)이 존재하는 영역에, 도 5a 내지 도 5d에 예시된 바와 같이, 클립 편집 UI를 표시할 수 있다. 클립 편집 UI는 선택된 클립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립의 종류가 영상 클립인 경우, 전자 장치는 트림/분할 메뉴(501), 팬/줌 메뉴(502), 오디오 제어 메뉴(503), 클립 그래픽 메뉴(504), 속도 제어 메뉴(505), 리버스 제어 메뉴(506), 회전/미러링 제어 메뉴(507), 필터 메뉴(508), 밝기/대비 조정 메뉴(509), 음성 EQ 제어 메뉴(510), 상세 볼륨 제어 메뉴(511), 음성 변조 메뉴(512), 비네트(vignette) 제어 메뉴(513), 오디오 추출 메뉴(514) 등을 포함하여 클립 편집 UI(500)를 구성 및 제공할 수 있다.
클립의 종류별 클립 편집 UI는 영상 편집 UI의 구조를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는 미디어 설정창이 존재하는 영역에, 클립 편집 확장 UI(530)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미디어 설정창의 영역에 표시되는 클립 편집 확장 UI 역시 선택된 클립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클립의 종류가 영상 클립, 이미지 클립, 오디오 클립, 또는 음성신호 클립인 경우, 전자 장치는 클립 삭제 메뉴, 클립 복제 메뉴, 클립의 레이어 복제 메뉴 등을 포함하여 클립 편집 확장 UI(530)를 구성 및 제공할 수 있으며, 클립의 종류가 영상 클립, 이미지 클립, 오디오 클립, 또는 음성신호 클립인 경우, 전자 장치는 클립 삭제 메뉴, 클립 복제 메뉴, 클립의 레이어 복제 메뉴 등을 포함하여 클립 편집 확장 UI를 구성 및 제공할 수 있으며, 효과 클립, 텍스트 클립, 오버레이 클립, 또는 드로잉 클립인 경우, 전자장치는 클립 삭제 메뉴, 클립 복제 메뉴, 맨 앞으로 가져오기 메뉴, 앞으로 가져오기 메뉴, 뒤로 보내기 메뉴, 맨 뒤로 보내기 메뉴, 수평 가운데 정렬 메뉴, 수직 가운데 정렬 메뉴 등을 포함하여 클립 편집 확장 UI를 구성 및 제공할 수 있다.
클립 설정창은 도 5e에 예시된 바와 같이, 클립 확대 표시 메뉴(550) 및 클립 이동 제어 메뉴(56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클립 확대 표시 메뉴(550)가 선택될 경우, 전자장치는 클립 표시창이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으로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클립 이동 제어 메뉴(560)가 선택될 경우, 전자장치는 클립을 기준선에 맞춰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클립 이동 제어 메뉴(560)는 시작영역 이동 메뉴 또는 끝영역 이동 메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시작영역 이동 메뉴 또는 끝영역 이동 메뉴는 클립에 접하는 기준선의 위치를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전자장치는 시작영역 이동 메뉴를 기본적으로 제공하며, 클립이 기준선의 시작위치에 접할경우, 시작영역 이동 메뉴를 끝영역 이동 메뉴로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편집 UI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되는 영상 프로젝트를 구성하고, 구성된 영상 프로젝트를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편집 UI는 미디어 설정창에 내보내기 메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데, 사용자에 의해 내보내기 메뉴가 선택될 경우(S145의 Y), 전자장치는 영상 프로젝트에 구성된 정보를 반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고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S150).
아울러, 내보내기 메뉴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저장함과 동시 또는 그 이후에,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편집된 영상 및 프로젝트를 공유 영상 서비스 관련 장치에 업로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편집 UI 제어장치에서 제공되는 편집 UI의 구조는 이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우선, 편집 UI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영상 표시창(401), 미디어 설정창(402), 미디어 입력창(403), 클립 표시창(404), 클립 설정창(40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입력창(403)을 통해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이 클립 표시창(404)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클립 표시창(404)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클립(404a, 404b)이 선택됨에 따라, 도 5a 내지 도 5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입력창(403)이 존재하는 영역에는 클립 편집 메뉴(501,502, ...514)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클립 편집 메뉴(501,502, ...514)는 클립 종류별 편집 UI의 구조에 따라 적응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영상 클립 편집 메뉴는, 트림/분할 메뉴, 팬/줌 메뉴, 오디오 제어 메뉴, 클립 그래픽 메뉴, 속도 제어 메뉴, 리버스 제어 메뉴, 회전/미러링 메뉴, 필터 메뉴, 밝기/대비/감마 제어 메뉴, 음성 EQ 제어 메뉴, 상세 볼륨 제어 메뉴, 음성 변조 제어 메뉴, 비네팅 ON/OFF 제어 메뉴, 오디오 추출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트림/분할 메뉴는 하위 메뉴로서, 플레이 해드 왼쪽 트림 메뉴, 플레이 해드 오른쪽 트림 메뉴, 플레이해드에서 분할 메뉴, 정지화면 분할 및 삽입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제어 메뉴는 하위 메뉴로서, 마스터 볼륨 제어바, 효과음 볼륨 제어바, 자동볼륨 ON/OFF 메뉴, 좌우 밸런스 조정바, 음정 조절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터 볼륨 제어바, 효과음 볼륨 제어바, 좌우 밸런스 조정바, 음정 조절바 등은 상세 조절 UI를 지원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들 마스터 볼륨 제어바, 효과음 볼륨 제어바, 좌우 밸런스 조정바, 음정 조절바 등은 메인 편집 UI로 관리될 수 있다. 메인 편집 UI로 설정된 UI는 상세 조절 UI를 함께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세 조절 UI가 지원되도록 설정된 메인 편집 UI가 존재하는 영역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예, 1초) 이상 터치 입력이 발생될 경우, 하위 메뉴로서 상세 조절 UI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립 그래픽 메뉴는 클립 내에 삽입될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속도 제어 메뉴는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속도 조절 버튼(예, 1x, 4x, 8x), 속도 조절바, 음소거 ON/OFF 메뉴, 음정유지 ON/OFF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속도 조절바는 메인 편집 UI로서 관리될 수 있다.
리버스 제어 메뉴는 해당 클립에 포함된 영상의 리버스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 EQ 제어 메뉴는 영상에 적용될 적어도 하나의 음성 EQ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터 메뉴는 영상에 적용될 적어도 하나의 영상 필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밝기/대비/감마 제어 메뉴는 영상의 밝기/대비/감마값을 제어할 수 있도록, 밝기 조절바, 대비 조절바, 감마 조절바 등을 하위메뉴로서 포함할 수 있으며, 밝기 조절바, 대비 조절바, 감마 조절바 등은 메인 편집 UI로서 관리되며, 상세 조절 UI를 지원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회전/미러링 메뉴는 하위 메뉴로서, 수평 미러링 메뉴, 수직 미러링 메뉴, 반시계방향 회전 메뉴, 시계방향 회전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시계방향 회전 메뉴, 시계방향 회전 메뉴는 메인 편집 UI로서 관리되며, 상세 조절 UI를 지원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세 볼륨 제어 메뉴는 영상에 포함된 음성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로서, 제어 포인트 추가 메뉴, 제어 포인트 삭제 메뉴, 음성 조절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음성 조절바는 메인 편집 UI로서 관리되며, 상세 조절 UI를 지원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음성 변조 제어 메뉴는 영상에 적용될 적어도 하나의 음성 변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클립 편집 메뉴는, 트림/분할 메뉴, 팬/줌 메뉴, 회전/미러링 제어 메뉴, 클립 그래픽 메뉴, 필터 메뉴, 밝기/대비/감마 제어 메뉴, 비네팅 ON/OFF 제어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뉴들은 도 6a에 예시된 제어 메뉴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효과 클립 편집 메뉴는 효과 설정 메뉴, 투명도 제어 메뉴, 트림/분할 메뉴, 회전/미러링 제어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트림/분할 메뉴, 회전/미러링 제어 메뉴 등은 영상 클립 편집 메뉴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효과 설정 메뉴 및 투명도 제어 메뉴는 하위 메뉴로서 각각 효과 설정바 및 투명도 조절바를 포함할 수 있는데, 효과 설정바 및 투명도 조절바는 메인 편집 UI로서 관리되며, 상세 조절 UI를 지원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오버레이 클립 편집 메뉴는 오버레이 색상 설정 메뉴, 투명도 제어 메뉴, 트림/분할 메뉴, 회전/미러링 제어 메뉴, 혼합 종류 설정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트림/분할 메뉴, 회전/미러링 제어 메뉴 등은 영상 클립 편집 메뉴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투명도 제어 메뉴는 하위 메뉴로서 투명도 조절바를 포함할 수 있는데, 투명도 조절바는 메인 편집 UI로서 관리되며, 상세 조절 UI를 지원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텍스트 클립 편집 메뉴는 텍스트 폰트 설정 메뉴, 텍스트 색상 설정 메뉴, 트림/분할 메뉴, 투명도 제어 메뉴, 회전/미러링 제어 메뉴, 텍스트 정렬 방식 설정 메뉴, 그림자 ON/OFF 메뉴, 글로우 ON/OFF 메뉴, 윤곽선 ON/OFF 메뉴, 배경색 ON/OFF 메뉴, 혼합 종류 설정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트림/분할 메뉴, 투명도 제어 메뉴, 회전/미러링 제어 메뉴 등은 영상 클립 편집 메뉴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그림자 ON/OFF 메뉴, 글로우 ON/OFF 메뉴, 윤곽선 ON/OFF 메뉴, 배경색 ON/OFF 메뉴 등은 하위 메뉴로서 각각 색상을 설정하는 색상 조절바(예, R/G/B 조절바) 또는 투명도를 조정하는 투명도 조절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색상 조절바(예, R/G/B 조절바) 또는 투명도 조절바는 메인 편집 UI로서 관리되며, 상세 조절 UI를 지원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드로잉 클립 편집 메뉴는 투명도 제어 메뉴, 트림/분할 메뉴, 회전/미러링 제어 메뉴, 혼합 종류 설정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트림/분할 메뉴, 회전/미러링 제어 메뉴 등은 오버레이 클립 편집 메뉴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투명도 제어 메뉴는 하위 메뉴로서 투명도 조절바를 포함할 수 있는데, 투명도 조절바는 메인 편집 UI로서 관리되며, 상세 조절 UI를 지원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클립 편집 메뉴는 오디오 제어 메뉴, 음성 EQ 제어 메뉴, 상세 볼륨 제어 메뉴, 음성 변조 제어 메뉴, Ducking ON/OFF 제어 메뉴, 반복 ON/OFF 제어 메뉴, 트림/분할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제어 메뉴, 음성 EQ 제어 메뉴, 상세 볼륨 제어 메뉴, 음성 변조 제어 메뉴, 트림/분할 메뉴 등은 영상 클립 편집 메뉴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에 따른 실시예는 전자 장치(101)가 사용자 요청에 의해, 동영상 편집 어플리케이션에서 마련한 컨텐츠 공유 메뉴에 접근하여, 사용자 컨텐츠의 편집에 활용할 참조 컨텐츠와 관련된 참조 엔터티를 입수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1)가 사용자 요청에 의해, 신규 프로젝트를 생성하거나, 편집 중인 기존 프로젝트를 선택한 후, 상기 프로젝트에서 마련한 컨텐츠 공유 메뉴에 접근하여, 참조 엔터티를 입수할 수도 있다. 컨텐츠 공유 메뉴는 상기 프로젝트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편집 유저 인터페이스에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프로젝트는 편집된 영상과 함께, 영상 생성 또는 편집 과정에서 적용된 편집 요소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는 해당 영상에서의 편집 요소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젝트는 편집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편집 요소는 편집 유저 인터페이스, 예컨대, 도 4에 예시된 영상 표시창(401). 클립 표시창(404)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텐츠는 영상, 예를 들어 동영상(이하에서는 영상과 혼용하여 기재)이고,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디바이스(101)인 것을 예로 들어 서술한다.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동영상 편집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동작이 개시될 수 있다.
동영상 편집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전자 장치는 동영상 편집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화면을 표시장치(예,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초기 화면에는 신규 영상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메뉴(또는 UI)와, 미리 편집중인 영상 프로젝트를 선택할 수 있는 영상 프로젝트 선택 메뉴(또는 UI)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초기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신규 영상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메뉴(또는 UI)가 선택될 경우 S115 단계와 유사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컨텐츠의 편집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프로젝트 선택 메뉴(또는 UI)가 선택될 경우, S125 단계와 유사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컨텐츠의 편집 과정이 진행할 수 있다.
도 7은 컨텐츠 편집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초기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신규 영상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메뉴는 예컨대 "새로 만들기"(564)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편집 중인 영상 프로젝트 선택 메뉴는 예를 들어, "내 프로젝트"(562)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초기 화면은 사용자 자신 및 다른 사용자가 제작 또는 편집한 영상 및 프로젝트를 공유하도록,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영상 공유 메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영상 공유 메뉴는 서버(108) 또는 전자 장치(101)와 연결된 외부 서비스 장치, 또는, 전자 장치(101)에서 구동하는 동영상 편집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공유 영상 리스트,즉 공유 컨텐츠 리스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서비스 장치는 외부 컨텐츠 소스를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외부 컨텐츠 소스는 예컨대 유투브(Youtube), VLOG, 숏컷(shortcut) 미디어, 소셜 미디어, 클라우드 서비스, 컨텐츠 공유를 수락한 제 3자의 사용자 디바이스 및 이들로부터 서비스되는 컨텐츠 공유 커뮤니티일 수 있다. 컨텐츠 공유 커뮤니티는 영상과 함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적어도 편집 요소를 확인가능한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포함하도록, 영상을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영상을 입수(예컨대, 다운로드)하는 경우, 컨텐츠 공유 커뮤니티는 상기 편집 요소를 직접 차용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공유 영상 리스트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서버(108)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서버(108)는 영상과 함께, 편집 요소를 조회하고 차용하는 기능을 갖는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영상 편집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영상 공유 메뉴는 예컨대 "다른 영상"(566)으로 구현되고, 외부 서비스 장치와 관련된 영상 공유 메뉴는 예를 들어, "커뮤니티 영상"(568)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영상 편집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디바이스(101)의 요청에 의해, 초기 화면에 제공된 영상 공유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S205).
예를 들어, 영상 공유 기능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거나 외부 서비스 장치에서 제공하는 영상 공유 메뉴(예컨대, 참조부호 566, 568)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설명에서는 다른 영상(566)과 관련된 서버(108)의 영상 공유 메뉴를 예시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다른 영상"(566)"을 선택하여, 서버(108)로부터 공유 영상을 조회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 공유 메뉴(566)는 공유된 영상의 리스트를 사용자 디바이스(101)에 제시할 수 있다(S210).
공유된 영상 리스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을 포함하며, 각 영상은 편집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젝트와 연관되어 관리될 수 있다. 영상 리스트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서버(108)에서 관리될 수 있으며, 서버(108)는 영상과 프로젝트를 전부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외부 서비스 장치가 영상 과 프로젝트를 저장하고, 서버(108)는 영상과 프로젝트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 해당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108)는 외부 서비스 장치로부터 요약 영상, 예컨대 썸네일 영상을 수신하여 보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101)에 의해 커뮤니티 영상(568)이 선택된 경우, 서버(108)는 영상 리스트에서 요약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사용자 디바이스(101)가 커뮤니티 영상(568)에 속한 영상을 요청한 경우, 서버(108)는 요청된 영상의 식별 정보, 접근 정보를 통해, 외부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체 영상과 프로젝트를 수신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0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영상은 사용자 디바이스(101)에 설치된 동영상 편집 애플리케이션 또는 호환가능한 이종의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편집 요소가 부가된 컨텐츠일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프로젝트는 사용자로 하여금 개별 편집 요소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편집 요소의 부가, 삭제, 변경 등의 제어를 하도록 할 수 있다.
영상 관련 컨텐츠 및 프로젝트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는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미디어 객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오리지널 컨텐츠 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오리지널 컨텐츠로부터 편집된 변형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의 미디어 객체는 효과 입력 메뉴, 오버레이 입력 메뉴, 드로잉 입력 메뉴에 예시된 다양한 편집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관련 컨텐츠를 제작 또는 편집하는데 사용되는 프로젝트(또는 프로젝트 정보, 프로젝트 파일)는 미디어 객체와 관련된 요소 및 해당 컨텐츠에 적용된 편집 도구와 관련된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편집 요소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편집 요소는 프로젝트의 속성 데이터일 수 있으며, 속성 데이터는 예를 들어, 메타 데이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편집과 관련된 각 요소는 시간, 공간적으로 배열되어 조합됨으로써, 컨텐츠로 제작될 수 있다. 각 요소는 동일한 시간과 2차원적 공간에서 깊이 방향으로 오버랩되어 배열되어 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각 요소 간의 깊이(depth)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요소들의 배열 조합은 본 명세서에서 광고 컨텐츠의 요소들의 관계로 지칭할 수 있다.
미디어 객체와 관련된 요소는 컨텐츠에 표시된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지정하는 속성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미디어 객체 관련 요소는 도 10a에 컨텐츠(600; 또는 참조 컨텐츠)를 구성하는 음악, 음향, 이미지 프레임, 그래픽화된 아이콘, 그래픽화된 스티커, 배경 이미지, 텍스트, 오버랩된 레이어, 드로잉 개체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는 속성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오버랩된 레이어의 경우, 메인 영상에 중첩되는 오버레이 개체, 예컨대 서브 영상, 액세서리 아이콘, 스티커일 수 있다. 드로잉 개체는 영상 표시창(401)에 터치 입력되는 드로잉 영역에 생성가능한 개체일 수 있다. 오디오 및 음성의 경우, 기 저장된 오디오 파일 또는 전자 장치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된 음성일 수 있다.
편집 도구와 관련된 요소는 도 10a에 예시된 컨텐츠(600)를 구성하는 미디어에 부가 효과를 부여하는 편집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집 도구는 미디어 입력창(403) 및 클립 편집 UI(500)에서 제공되며 상기 미디어에 다양한 부가 효과를 부여하는 편집 요소들일 수 있다.
부가 효과와 관련하여, 도 5a내지 도 5d에 예시된 편집 메뉴에 의해 지정된 표현 방식이 영상, 이미지, 텍스트, 오디오과 같은 미디어에 대하여 부여되어 나타나는 것일 수 있다. 효과는 영상 표시창(401) 및 클립 표시창(404) 등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효과는 도 5a내지 도 5d의 편집 메뉴에 의해 부여된 표현 방식 외에도, 본 도면에 미도시된 동영상 편집 애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추가적인 표현 방식 메뉴를 통해서 구현될 수도 있다.
영상, 이미지의 효과에 대해 예를 들면, 블러 효과, 모자이크 효과, 노이즈 효과, 모래폭풍 효과, 멜팅 포인트 효과, 크리스탈 효과, star filter 효과, 디스플레이 보드 효과, 아지랑이 효과, 어안 렌즈 효과, 돋보기 렌드 효과, 플라워 트위스트 효과, 야간 투시경 효과, 스케치 효과 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디바이스(101)가 공유된 영상 리스트에서 영상을 선택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선택된 영상과 참조 관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 영상, 즉 참조 컨텐츠가 포함된 참조 영상 리스트를 제시할 수 있다(S215).
참조 관계는 선택된 영상의 처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참조된 일련의 선행 컨텐츠,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참조하는 일련의 후행 컨텐츠에 기초하여 수립되는 컨텐츠 이력 관계일 수 있다. 참조 관계는 선택된 컨텐츠, 일련의 선행 및 후행 컨텐츠 간의 연관 관계를 구조화함으로써 관리될 수 있다. 참조 관계는 예컨대, 서버(108)에 의해 저장되는 참조 관계 정보로 관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참조 관계는 영상 제작, 편집시에 참조된 선행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를 참조하는 후행 컨텐츠 간의 관계를 구조화한 데이터일 수 있다. 여기서, 참조는 후행 사용자가 자신의 영상을 편집하기 위해 영상 공유 메뉴(566, 568)로부터 선행 사용자의 영상과 프로젝트를 입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행 사용자는 선행 사용자가 사용한 프로젝트의 편집 요소를 직접 활용할 수도 있거나, 편집 요소를 차용하지 않더라도 입수한 프로젝트 또는 영상을 확인하여 자신의 영상 편집에 참고할 수도 있다.
편집 요소의 직접 활용을 예로 들면, 후행 사용자가 자신의 영상을 편집하기 위해, 선행 사용자의 프로젝트를 영상 표시창(401) 및 클립 표시창(404)에 직접 로딩하는 경우일 수 있다. 편집 요소의 직접 차용하지 않는 경우를 예로 들면, 후행 사용자가 신규 또는 기존 프로젝트에서 자신의 영상을 편집하면서, 선행 사용자의 프로젝트를 영상 표시창(401) 및 클립 표시창(404)에 로딩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영상 표시창(401) 및 클립 표시창(404)과 별개의 창을 소정 영역에 마련하여, 별개의 창을 통해 선행 사용자의 영상 또는 프로젝트를 시청할 수 있도록, 사용자 디바이스(101)를 제어할 수 있다. 후행 사용자가 영상 등에 포함된 편집 요소를 자신의 영상에 반영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편집 완료된 후행 사용자의 영상에 선행 사용자의 편집 요소를 포함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상기 편집 요소가 포함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선행 및 후행 영상 간의 참조 관계를 설정하고, 서버(108)에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후행 사용자가 선행 사용자의 영상과 프로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참조 엔터티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기법 등으로 입수하여, 선행 사용자의 편집 요소가 후행 사용자의 영상에 반영되는 것이 확인되면, 참조 관계가 충족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컨텐츠 영상이 참조 관계에 따라 구조화되어 관리되면서, 참조 영상이 출력되는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조 관계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영상에 대한 참조 관계를 구조화한 데이터를 보유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a및 도 8b에서와 같이, 참조 관계에 따른 데이터 구조는 참조 영상 및 참조 프로젝트 A(영상/프로젝트 A)를 직간접적으로 참조한 영상/프로젝트들 B~F가 영상/프로젝트 A를 루트 노드로 지정하고, 영상/프로젝트들 B~F는 루트 노드와 연결되는 중간 노드로 지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재의 편의를 위해, 도 8a및 도 8b에 표현된 "영상/프로젝트"는 영상 또는 참조 영상으로 약칭되어 서술된다. 직접 참조 및 간접 참조에 대해 중간 노드 중 영상 F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영상 F는 영상 B, C의 편집 요소를 직접적으로 참조함으로써, 영상 F와 영상 B, C는 직접 참조 관계이다. 아울러, 영상 B, C가 직접 참조한 영상 A와 영상 F는 간접 참조 관계라 할 수 있다.
참조 관계는 영상 A, B, C, F과 같은 직계(direct line) 참조 관계 뿐만 아니라, 영상 D, E과 같은 방계(collateral line) 참조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참조 관계를 구조화한 서버(108)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참조 영상 리스트에 속한 영상을 참조 관계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101)의 화면에 배열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참조 영상 리스트의 트리 구조와 유사하도록 썸네일을 배열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01)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참조 영상 리스트 내의 썸네일을 임의로 배열하며, 썸네일과 연관되어 참조 관계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디바이스 화면의 소정 영역에 별도로 참조 관계 구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8a의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영상 A가 최초 제작 또는 편집된 참조 영상이고, 영상 B, C는 영상 A를 참조하는 참조 영상인 점을 나타내도록, 참조 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도 8b로 예시하면, 사용자가 공유 영상 리스트에서 영상 F를 선택한 경우, 영상 F의 처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참조된 일련의 선행 영상들 A~C중 적어도 최초 생성된 선행 영상 A가 참조 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요청 또는 디바이스 설정에 따라, 선행 영상들 B 및 C 중 적어도 하나가 참조 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에 대한 참조 관계를 사용자 디바이스(101)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편집 히스토리와 함께, 참조 관계를 갖는 동영상에 접근할 수 있는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참조 관계를 갖는 참조 영상들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는 관심있는 편집 요소에 대한 다양한 표현을 참조 영상들로 확인하여 적용할 수 있다.
참조 영상 리스트는 S210 단게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서 제공될 수도 있으나,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에 의해, S210에 따른 리스트 제시없이 바로 제공될 수도 있다. S210 단계가 생략되는 경우, 참조 영상 리스트는 예컨대, 복수의 영상이 참조 관계 별로 그룹화되어 복수의 그룹 별로 참조 관계를 갖는 동영상들이 정렬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참조 영상 리스트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에 의해, 선택한 영상과 참조 관계를 갖는 복수의 참조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a에서와 같이, 참조 영상 리스트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F와 참조 관계를 갖는 모든 참조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참조 영상 리스트는 실선으로 표시된 직계 참조 영상 A~C 및 방계 참조 영상 D, E를 전부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추가 요청에 따라, 참조 영상 리스트는 루프 노드에 해당하는 참조 영상 A부터 소정 레벨까지의 중간 노드의 참조 영상으로 재정렬될 수 있다.
도 8b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요청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에 의해, 참조 영상 리스트는 실선으로 표시된 직계 참조 관계를 갖는 참조 영상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참조 영상 리스트는 점선으로 표시된 방계 참조 관계를 배제할 수도 있다. 도 8b에서, 선택된 영상 F의 처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참조된 일련의 선행 영상들 중 최초 생성된 참조 영상 A가 상기 리스트에 포함되고, 이에 더하여, 직계 참조 관계를 갖는 참조 영상 B. C만 상기 리스트에 배열될 수 있다.
참조 영상 리스트의 참조 영상은 복수의 참조 영상의 선호 정보에 기초하여 선정될 수 있다. 선호 정보는 서버(108)에 의해 각 영상 별로 집계되어 관리될 수 있다. 선호 정보는 참조 영상의 선호도 및 참조 컨텐츠를 생성한 사용자의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잇다.
도 9는 참조 영상 리스트에 포함되는 참조 영상의 선정 기준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로 예로 들면, 참조 영상의 선호도는 참조 영상의 다운로드 횟수, 시청 횟수, 호응도(예를 들어, '좋아요' 개수)일 수 있다. 사용자의 선호도는 참조 영상과 관련된 사용자 관심도(예를 들어 팔로워의 수)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참조 영상 리스트의 참조 영상은 선택된 영상의 편집 요소의 카테고리에 기반하여 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참조 영상 리스트는 사용자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참조 영상의 편집 요소가 속한 카테고리 별로 분류되어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서버(108)는 참조 영상 및 참조 프로젝트의 편집 요소를 분석하여, 음악의 편집 요소가 강조된 카테고리, 이미지의 편집 요소가 강조된 카테고리, 부가 스티커의 편집 요소가 부각되는 카테고리 등으로 참조 관계 리스트를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101)는 관심있는 카테고리를 검색하여 관심 카테고리에 속한 참조 관계 리스트와 해당 리스트 내의 참조 영상을 우선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01)가 참조 영상 리스트에서 참조 영상을 선택하면, 서버(108)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참조 영상 및 참조 프로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참조 엔터티를 제공할 수 있다(S220).
참조 엔터티는 일례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101)에 다운로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참조 엔터티가 참조 영상일 경우, 참조 영상은 상기 요청에 따라 다운로드되거나 스트리밍으로 재생될 수도 있다. 스트리밍 재생의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예컨대, 영상 표시창(401) 및 미디어 입력창(403) 외의 소정 영역에 별도의 창을 마련하여, 별도의 창에 참조 영상을 재생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자신 영상 편집에 참고하도록, 사용자 조작에 의해, 참조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시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참조 프로젝트는 참조 영상에 적용된 참조 편집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참조 편집 요소는 참조 프로젝트의 편집 요소인 점을 제외하고, 상술한 편집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 영상 및 참조 프로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참조 엔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 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S225).
도 10a내지 도 10d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편집 방법에 의해, 사용자 컨텐츠가 편집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a내지 도 10d는 사용자 다른 영상(566)을 통해 입수한 참조 영상의 참조 프로젝트가 영상 표시창(401) 및 미디어 입력창(403)에 직접 로딩되어, 사용자가 참조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영상, 미디어 객체, 부가 효과를 삽입하는 예이다.
도 10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된 참조 영상(600)은 영상 표시창(401)에 표시되고, 참조 프로젝트의 편집 요소는 미디어 입력창(403), 클립 편집 UI(5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참조 프로젝트의 편집 요소는 사용자 영상의 편집을 위한 편집 요소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클립 표시창(404)은 참조 영상(600)의 미디어 객체 별로 클립 라인(404a, 404b)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a에 예시된 (600)에 표시된 인물의 오리지널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관련된 클립은 메인 클립 라인(404a)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참조 영상(600)에서 인물의 왜곡 효과와 관련된 정보는 메인 클립 라인(404a)에, 부가 효과와 관련된 정보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상기 정보는 미디어 입력창(403)에 별도의 클립 라인 또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참조 영상(600)에 포함된 음악, 서브 이미지, 텍스트, 음향, 스티커, 아이콘 등과 관련된 클립은 각각 해당하는 서브 클립 라인(404b)으로 나타내질 수 있다.
클립 표시창(404)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클립(404a, 404b)이 선택되면, 미디어 입력창(403)이 존재하는 영역에, 클립 편집 메뉴(501,502, ...514)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클립 편집 메뉴(501,502, ...514)는 앞서 예시된 클립 종류별 편집 UI의 구조에 따라 적응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클립 표시창(404)에서 참조 편집 요소의 사람 얼굴에 해당하는 메인 클립 라인(404a)을 선정함으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사용자 디바이스(101)는 선택한 편집가능 요소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1)는 수신에 응답하여 클립 선택기(606)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101)는 미디어 입력창(403)에 해당 클립에 편집가능한 UI를 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디바이스(101)는 미디어 입력창(403)에 사용자의 삽입 활성화 요청을 인터페이스(516)로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삽입 활성화 요청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 디바이스(101)는 선택된 사람 얼굴을 대체하기 위한 삽입 요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b을 살펴보면, 삽입 활성화 요청의 인터페이스는 미디어 입력창(403)에 Replace(516)로 나타나며, 사용자는 Replace(516)를 선택함으로써, 참조 영상(600)의 대체 편집을 활성화할 수 있다. 활성화 요청과 관련된 소프트 키는 사용자에게 해당 미디어 객체가 편집가능한 점을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프트 키는, 대체할 삽입 요소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대체 삽입 요소와 관련된 후보 아이템을 제시하는 것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0c에서와 같이, 사용자 디바이스(101)는 삽입 활성화 요청에 의해, 편집가능 요소에 삽입가능한 복수의 후보 아이템을 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후보 아이템(608)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0c의 예에서, 편집가능 요소로 선정된 사람 얼굴을 대체할 복수의 이미지가 후보 아이템 리스트(517)으로 제시된다. 후보 아이템 리스트는 미디에 객체 종류 별로 제시되도록 객체 종류 버튼(518)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비디오 이외에, 사진을 삽입 요소로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객체 종류 버튼(518)에서 사진 인터페이스를 터치하여 사진의 후보 아이템을 확인할 수 있다. 허용가능한 카테고리로 되는 경우, 미디어 객체 별로 후보 아이템이 제시되거나, 미디어 객체가 조합된 다양한 컨셉의 카테고리가 후보 아이템으로 제시될 수도 있다.
도 10d에서와 같이, 사용자 디바이스(101)는 선택된 아이템을 삽입 요소로 결정하여 참조 영상(600)에 삽입시킴으로써, 참조 영상(600)에 기반하여 사용자 영상(600a)를 편집할 수 있다.
도 10d의 예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01)는 사용자가 선택한 다른 사람 얼굴 이미지에 기초하여, 참조 영상(600)에서 클립 표시창(404)에 표시된 기존 사람 얼굴을, 선택한 이미지로 대체 편집할 수 있다. 기존 사람 얼굴에 적용된 왜곡 효과가,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608)에 적용되어, 사용자 영상(600a)이 영상 표시창(401)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이미지와 왜곡 효과가 조합된 편집 이미지(610)가 사용자 영상(600a)에 포함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에서는 사용자 영상 편집에서 Replace와 같은 대체 편집용 인터페이스(516)를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사용자 영상 편집은 미디어 입력창(403) 및 클립 편집 UI(500)에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 영상에 적합한 참조 프로젝트의 편집 요소를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디바이스(101)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편집 완료된 사용자 영상을 업로드하고, 서버(108)는 업로드된 사용자 영상의 엔터티에 기초하여 참조 관계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101)는 도 3에서 언급한 내보내기 기능 또는 프로젝트 저장을 통해 사용자 영상의 편집 완료를 인지하고, 사용자 요청에 의해 공유 영상 메뉴(566, 568)을 통해 편집된 사용자 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다. 서버(108)는 사용자 영상 편집시에 활용된 참조 프로젝트, 참조 영상, 참조 영상의 편집 요소의 반영 등을 확인하여,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참조 관계와 관련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도 6에 따른 개시는 컨텐츠 공유 메뉴에서 제공하는 참조 영상의 참조 프로젝트를 다운로드하여, 다운로드된 참조 프로젝트에서 사용자 영상을 편집한 예에 관한 것이다.
다른 예로, 사용자 요청에 의해 생성된 신규 또는 기존 프로젝트에서 사용자 영상을 편집하는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101)는 예컨대, 상기 프로젝트를 제공하는 편집 유저 인터페이스의 소정 영역에 참조 영상을 입수하는 소프트 키를 마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소프트 키에 대한 입력에 의해, 사용자는 도 6에서와 같은 참조 영상 및 참조 프로젝트를 포함하는 참조 엔터티를 사용자 디바이스(101)로 입수할 수 있다. 입수된 참조 엔터티, 특히 참조 프로젝트 관련 편집 요소는 예컨대 클립 표시창(404)에 제공되며, 사용자의 편집 요소에 인접하게 로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참조 프로젝트의 편집 요소는 편집 중인 영상의 편집 요소에 적어도 일부 중첩되어 로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프레임, 음성, 오디오, 효과, 이미지 프레임, 텍스트, 오버랩된 레이어 등과 같은 참조 프로젝트의 편집 요소가 영상 표시창(401)에 표시된 편집 중인 영상 및 클립 표시창(404)에 제공될 수 있다. 편집 중인 영상에는 사용자가 부가한 편집 요소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부가한 편집 요소와 입수된 편집 요소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Claims (12)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가 수행하며, 공유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와 참조 관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 컨텐츠를 제시하는 단계;
    상기 참조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참조 컨텐츠에 적용된 참조 편집 요소를 포함하는 참조 프로젝트 및 상기 참조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참조 엔터티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참조 엔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 컨텐츠를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관계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처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참조된 일련의 선행 컨텐츠,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참조하는 일련의 후행 컨텐츠에 기초하여 수립되는 컨텐츠 이력 관계이며, 상기 참조 관계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 상기 일련의 선행 및 후행 컨텐츠 간의 연관 관계를 구조화함으로써 관리되는, 컨텐츠 편집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 프로젝트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컨텐츠의 편집을 위한 편집 요소 상에 상기 참조 프로젝트의 편집 요소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편집 요소는 상기 참조 컨텐츠를 구성하는 미디어 객체 및 상기 참조 컨텐츠를 편집하는 편집 도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처리하는 편집 어플리케이션의 소정 영역에 상기 참조 컨텐츠를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참조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시청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컨텐츠를 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 또는 상기 컴퓨팅 장치의 설정에 의해, 상기 컨텐츠와 참조 관계를 갖는 복수의 참조 컨텐츠의 일부를 출력하는 것인, 컨텐츠 편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되는 참조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의 처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참조된 일련의 선행 컨텐츠들 중 적어도 최초 생성된 선행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되는 참조 컨텐츠는 상기 복수의 참조 컨텐츠의 선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되, 상기 선호 정보는 상기 참조 컨텐츠의 선호도 및 상기 참조 컨텐츠를 생성한 사용자의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참조 컨텐츠는 상기 편집 요소의 카테고리에 기반하여 선택되는, 컨텐츠 편집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컴퓨팅 장치와 연결된 외부 서비스 장치 또는 상기 컴퓨팅 장치에서 구동하는 편집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공유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인, 컨텐츠 편집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관계는 참조 관계 정보에 의해 저장되어 관리되되,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편집하는 단계 후에,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컨텐츠의 엔터티에 기초하여 상기 참조 관계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12. 공유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편집을 위한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과 송수신하며 상기 컴퓨팅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컨텐츠와 참조 관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 컨텐츠를 제시하고,
    상기 참조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참조 컨텐츠에 적용된 참조 편집 요소를 포함하는 참조 프로젝트 및 상기 참조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참조 엔터티를 제공하고,
    상기 참조 엔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 컨텐츠를 편집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장치.
KR1020220036465A 2021-03-24 2022-03-24 공유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및 장치 KR20220133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4135 WO2022203422A1 (ko) 2021-03-24 2022-03-24 공유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37745 2021-03-24
KR1020210037745 2021-03-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133A true KR20220133133A (ko) 2022-10-04

Family

ID=8360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465A KR20220133133A (ko) 2021-03-24 2022-03-24 공유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31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59718C (en) Real-time sharing during a phone call
US10739958B2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using icon associated with application metadata
CN109089044B (zh) 用于图像处理的便携式通信设备
KR102230905B1 (ko) 상세 조절 제어를 위한 동영상 편집 ui 제어방법 및 장치
US20110170008A1 (en) Chroma-key image animation tool
CN111597000B (zh) 一种小窗口管理方法及终端
CN104995596A (zh) 在选项卡层级管理音频以用于用户通知及控制
KR20090129628A (ko)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1902652A (zh) 图像显示系统、图像显示装置及图像显示方法
US20230143275A1 (en) Software clipboard
EP4333439A1 (en) Video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medium
JP2008117019A (ja) 会議情報管理装置、会議再生装置、設備管理装置、会議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AU20142506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synchronous media
TW201545042A (zh) 暫態使用者介面元素
CN112445395A (zh) 音乐片段的选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3061414A1 (zh) 一种文件生成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14022982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35993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20343590A1 (en) System and techniques for lighting adjustment for an immersive content production system
US1164606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dit user interface of moving picture for clip alignment control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11887251B2 (en) System and techniques for patch color correction for an immersive content production system
KR20220133133A (ko) 공유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및 장치
US20150199835A1 (en) Tools for creating digital art
US20240005364A1 (en) Method and device for editing advertisement content
CN111324255B (zh) 一种基于双屏终端的应用处理方法及通信终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