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9628A -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9628A
KR20090129628A KR1020080055647A KR20080055647A KR20090129628A KR 20090129628 A KR20090129628 A KR 20090129628A KR 1020080055647 A KR1020080055647 A KR 1020080055647A KR 20080055647 A KR20080055647 A KR 20080055647A KR 20090129628 A KR20090129628 A KR 20090129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control
applica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9520B1 (ko
Inventor
노연희
고창석
유승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5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520B1/ko
Priority to US12/393,700 priority patent/US9003324B2/en
Publication of KR20090129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520B1/ko
Priority to US14/643,622 priority patent/US976023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제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연결가능하며, 프레임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외부 디바이스 또는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추가하며, 각 프레임에 해당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연결된 디바이스의 기능 또는 콘텐츠를 쉽게 인지하여, 디바이스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 프레임, 콘텐츠, 네비게이션, 축소, 확대.

Description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Contro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 및 음성 매체가 발전함에 따라 홈 네트워크 내에 연결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의 종류가 점점 다양화되고, 각 디바이스의 기능도 복잡해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디바이스 중 하나의 디바이스를 통해 다른 연결된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를 이하, 제어 디바이스라 한다.
종래의 제어 디바이스는 다른 연결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제공되는 제어 메뉴는 연결된 디바이스들의 목록을 표시하며, 사용자는 목록에서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제어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바이스를 일일히 선택하여 제어모드 진입 후에 디바이스의 콘텐츠 및,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특정 디바이스에 검색하는 콘텐츠가 없는 경우에는 새로운 디바이스의 제어모드로 진입한 후에 재검색을 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된 디바이스 또는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마다 프레임을 생성하고, 생성된 프레임에 해당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여, 외부 디바이스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가능한 제어 디바이스는, 프레임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 또는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추가하며, 상기 각 프레임에 해당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현재 프레임을 축소하고, 축소된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외부 디바이스 또는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추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콘텐츠 및 콘텐츠 목록 중 어느 하나가 해당 프레임 내에서 재생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 및 추가되는 프레임을 일렬로 정 렬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렬된 프레임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네비게이션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렬된 프레임에 복수 개의 2차원 프레임을 중첩하여 3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중첩된 2차원 프레임은 해당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에서 액세스한 콘텐츠 순으로 정렬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렬된 프레임을 상하 또는 좌우로 네비게이션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렬된 프레임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프레임을 전체화면으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내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프레임 개수, 프레임 삭제, 프레임 추가, 프레임 크기, 프레임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된 제어 디바이스의 UI제공방법은 (a)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상기 외부 디바이스 또는 상기 디바이스들에 포함된 콘 텐츠에 따라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추가하는 단계 및, (c) 상기 프레임 각각에, 해당 디바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축소하는 단계 및, 상기 축소된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외부 디바이스 또는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들을 일렬로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렬된 프레임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네비게이션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렬된 프레임에 복수 개의 2차원 프레임을 중첩하여 3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중첩된 2차원 프레임은 해당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에서 최근 액세스한 콘텐츠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렬된 프레임을 상하 또는 좌우로 네비게이션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렬된 프레임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프레임을 전체화면으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기록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가능한 제어 디바이스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된 디바이스 또는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마다 프레임을 생성하고, 생성된 프레임에 해당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 또는 콘텐츠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각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를 특정 기능별로 분류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콘텐츠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도 쉽게 인식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편의성이 확대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100)는 제어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미도시)와 연결되어 외부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는 디지털 TV, DV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PMP, 핸드폰,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저장매체, pc 등이 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기 디바이스들 중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디바이스라면, 제어 디바이스(100)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서는 제어 디바이스(100)가 DTV인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제어부(110)는 제어 디바이스(100)의 동작, 외부 디바이스와의 네트워크 연결, 및 네트워크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 제어와 관련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홈 네트워크 내의 다른 디바이스들과 양방향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자신에 연결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고,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프레임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10)는 외부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외부 디바이스 또는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추가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이때,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프레임이 생성될 수 있다.한편, 제어부(110)는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라도 해당 컨텐츠가 없으면 프레임을 생성하지 않는다.
제어부(110)는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가 없는 경우 및, 제어 디바이스(100) 제어를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 디바이스(100) 내의 콘텐츠에 따라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제공하여 제어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제어부(110)는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라도 해당 컨텐츠가 없으면 프레임을 생성하지 않는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외부 디바이스 및 제어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공되 는 콘텐츠들을 사용자 목적에 맞게 분류하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동영상, 위젯, 음악파일, 사진 등으로 콘텐츠를 분류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콘텐츠 존재 여부에 따라 각 분류별로 프레임을 생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디바이스(100)가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동영상을 저장하고 있을 때, 제어부(110)는 제어디바이스(100)에 대한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방송 프로그램 또는 동영상을 재생하고 있는 현재 프레임을 축소하고,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프레임 및, 동영상에 대한 프레임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한편,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현재 프레임을 축소하고,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 각각에 대한 프레임, 및 디바이스들이 제공하는 콘텐츠를 특정기능에 의해 분류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프레임을 생성하여 현재 프레임 일측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도 1의 제어 디바이스(100) 구성에 입력부(130)를 더 포함한다. 한편, 제어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20)는 도 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명령은 제어 디바이스(100) 또는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명령, 및 프레임 설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외부 디바이스 제어에 대한 명령을 수신하면, 콘텐츠가 재생 되고 있는 현재 프레임을 축소하고, 축소된 현재 프레임의 일측으로 프레임을 추가하여 일렬로 정렬배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추가된 프레임에 해당 디바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를 재생하거나, 콘텐츠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10)로 부터 음악파일을 분류하는 애플리케이션, TV, 및 디지털 카메라에 대한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제어받은 경우, 각각의 프레임을 생성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음악파일을 분류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프레임에,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음악파일에 대한 목록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TV에 대한 프레임에는 방송신호를 출력하고, 디지털 카메라에 대한 프레임에는 사진파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 동작과 관련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a 내지 도4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의 UI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a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신호가 화면(200)을 통해 출력되고 있다. 제어 디바이스(100)의 기본 기능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외부 디바이스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도 3b같이 전체 화면 크기의 현재 프레임이 축소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현재 프레임 일측에 다른 프레임들이 추가된다.
화면(200)에 디스플레이된 프레임들은 일렬로 정렬되며, 사용자의 제어방향에 따라 네비게이션될 수 있다. 도 3c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왼쪽으로 네비게이 션되어, 일렬로 배치된 프레임들이 왼쪽으로 이동된다.
도 3d에서, 디스플레이된 프레임들 중 하나의 프레임이 선택되면, 도 3e, 도3f와 같이 선택된 프레임이 확대되어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제어부(110)는 확대되는 프레임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분류된 콘텐츠들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3f와 같이 음악파일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된 경우, 목록상의 음악파일을 재생할 수 있으며 연결된 디바이스 중 어느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것인지도 확인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제공되는 프레임들이 선택가능한 메뉴가 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제공되는 프레임에는 프레임들을 관리하기 위한 프레임 매니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g에서, 사용자에 의해 프레임 매니저가 선택되면, 프레임 매니저가 전체화면으로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고 프레임 매니저 모드로 진입된다. 도 3h에 따르면, 프레임 메니저는 외부 디바이스 제어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복수 개의 프레임들이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프레임들의 배열순서를 설정하는 버튼(a), 프레임 삭제 버튼(b), 프레임 사이즈를 조정하는 버튼(c, d) 및 화면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e)을 구비한다. 또한, 프레임 추가버튼 및, 전체 프레임 개수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h에서는 화면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레임 개수가 3개로 설정되어 3개의 프레임이 한 화면 내에 포함되도록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한편, 2개로 설정되면 프레임 매니저에는 2개의 프레임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미리보기와 같은 기능 을 수행한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h에서는 프레임들이 일렬로 배치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나, 도 4와 같이 3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의 UI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a와 같이, 일렬로 정렬된 프레임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2차원 프레임이 중첩되어 3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중첩되는 2차원 프레임들(10, 20, 30)은 대응하는 디바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최근 액세스된 콘텐츠 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영화에 대하여 분류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프레임으로, 사용자에 의해 최근 액세스된 순서로 영화 장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각 영상콘텐츠의 오디오신호가 재생될 경우,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모든 프레임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오디오는 뮤트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모든 동영상을 재생하지 않고 최상위의 콘텐츠만 재생하고 하위콘텐츠는 정지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제어대상 디바이스에 대한 콘텐츠를 프레임을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디바이스 정보를 인지하기 용이하며, 각 프레임 자체가 디바이스 진입 메뉴가 되므로 진입방법이 간단해진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제어 디바이스(100)에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콘텐츠 또는 콘텐츠 종류에 따라 분류된 콘텐츠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프레임에 대하여 실시하였으나,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가 없는 경우에는 제어 디바이스(100) 내의 콘텐츠 종류별로 프레임을 제공하여 제어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검색이 용이해 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100)의 프레임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S510). 이때, 프레임내에는 제어 디바이스(100)의 콘텐츠가 재생된다.
다음으로, 외부 디바이스 제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S520), 제어 디바이스의 프레임을 기설정된 사이즈로 축소하고(S530),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 또는 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생성하여 추가한다(S540).
이때, 추가되는 프레임들은 축소된 제어 디바이스(100)의 프레임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S550). 이때, 배치는 일렬로 정렬되거나, 3차원적으로 정렬되어 사용자의 네비게이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각 프레임에는 대응하는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콘텐츠가 재생되거나, 콘텐츠목록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분류된 콘텐츠가 재생되거나 콘텐츠목록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 프레임 내의 콘텐츠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에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프레임을 좌우 또는 상하좌우로 네비게이션하여 특정 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다(S560). 특정 프레임이 선택되면 선택된 프레임을 전체화면으로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고(S570), 해당 프레임의 디바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제어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선택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 기록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가능한 제어 디바이스(100)에서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 블럭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상의 컴퓨터 기록가능한 코드로써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시스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씨디-롬(CD-ROMs),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및 상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코드는 반송파의 컴퓨터 데이터 신호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 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h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 디바이스 110 : 제어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입력부

Claims (25)

  1.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가능한 제어 디바이스에 있어서,
    프레임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 또는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추가하며, 상기 각 프레임에 해당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프레임을 축소하고, 축소된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외부 디바이스 또는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추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콘텐츠 및 콘텐츠 목록 중 어느 하나가 해당 프레임 내에서 재생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 및 추가되는 프레임을 일렬로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렬된 프레임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네비게이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렬된 프레임에 복수 개의 2차원 프레임을 중첩하여 3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중첩된 2차원 프레임은 해당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에서 액세스한 콘텐츠 순으로 정렬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렬된 프레임을 상하 또는 좌우로 네비게이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렬된 프레임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프레임을 전체화면으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10.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내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프레임 개수, 프레임 삭제, 프레임 추가, 프레임 크기, 프레임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11.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가능한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상기 외부 디바이스 또는 상기 디바이스들에 포함된 콘텐츠에 따라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추가하는 단계; 및,
    (c) 상기 프레임 각각에, 해당 디바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축소하는 단계; 및,
    상기 축소된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외부 디바이스 또는 상기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들을 일렬로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된 프레임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네비게이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된 프레임에 복수 개의 2차원 프레임을 중첩하여 3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중첩된 2차원 프레임은 해당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에서 최근 액세스한 콘텐츠 순으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된 프레임을 상하 또는 좌우로 네비게이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된 프레임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프레임을 전체화면으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9.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가능한 제어 디바이스에서 상기 디바이 스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a)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상기 외부 디바이스 또는 상기 디바이스들에 포함된 콘텐츠 종류에 따라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추가하는 단계; 및,
    (c) 상기 프레임 각각에,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기록매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축소하는 단계; 및,
    상기 축소된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콘텐츠 종류에 따라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기록매체.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프레임들을 일렬로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기록매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정렬된 프레임에 복수 개의 2차원 프레임을 중첩하여 3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중첩된 2차원 프레임은 해당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에서 최근 액세스한 콘텐츠 순으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기록매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된 프레임을 상하 또는 좌우로 네비게이션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기록매체.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된 프레임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프레임을 전체화면으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기록매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기록매체.
KR1020080055647A 2008-06-13 2008-06-13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469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647A KR101469520B1 (ko) 2008-06-13 2008-06-13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2/393,700 US9003324B2 (en) 2008-06-13 2009-02-26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4/643,622 US9760239B2 (en) 2008-06-13 2015-03-10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647A KR101469520B1 (ko) 2008-06-13 2008-06-13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628A true KR20090129628A (ko) 2009-12-17
KR101469520B1 KR101469520B1 (ko) 2014-12-08

Family

ID=41415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647A KR101469520B1 (ko) 2008-06-13 2008-06-13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003324B2 (ko)
KR (1) KR1014695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7791A1 (en) * 2011-05-13 2012-11-22 Lg Electronics Inc. Smart television for sharing additional content with associated smart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3617A (ko) * 2008-05-13 2011-06-13 몬트레이 그룹 원 엘엘씨 다양한 타입의 컴퓨팅 장치들을 통하여 다수의 정보 형태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
US20100031149A1 (en) * 2008-07-01 2010-02-04 Yoostar Entertainment Group, Inc. Content prepa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video systems
CN101996526A (zh) * 2009-08-12 2011-03-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多功能显示设备
USD658195S1 (en) * 2010-01-27 2012-04-24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8819726B2 (en) 2010-10-14 2014-08-26 Cyandia, Inc.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presenting television programming and related information
US8539086B2 (en) 2011-03-23 2013-09-17 Color Labs, Inc. User device group formation
US8412772B1 (en) * 2011-09-21 2013-04-02 Color Labs, Inc. Content sharing via social networking
USD737848S1 (en) * 2011-10-27 2015-09-01 Htc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1524S1 (en) * 2011-10-27 2015-06-09 Htc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28578S1 (en) * 2011-11-17 2015-05-05 Jtekt Corporation Control board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91800S1 (en) * 2012-04-27 2017-07-11 Yahoo!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ing a content wheel
USD736244S1 (en) * 2012-10-05 2015-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a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7314S1 (en) * 2012-10-19 2015-08-25 Google Inc. Portion of a display panel with an animated computer icon
JP2014127879A (ja) * 2012-12-26 2014-07-07 Panasonic Corp 放送画像出力装置、放送画像出力方法、およびテレビ
USD735236S1 (en) * 2012-12-26 2015-07-28 Successfactors, Inc. Portion of a display panel with an animated computer icon
USD737297S1 (en) * 2013-02-23 2015-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7298S1 (en) * 2013-02-23 2015-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7295S1 (en) * 2013-02-23 2015-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AU349903S (en) * 2013-02-23 2013-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AU349902S (en) * 2013-02-23 2013-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AU349900S (en) * 2013-02-23 2013-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USD736809S1 (en) * 2013-02-23 2015-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51663S1 (en) * 2013-04-05 2019-06-18 Thales Avionic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40140379A (ko) * 2013-05-29 2014-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D738394S1 (en) 2013-06-09 2015-09-08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41350S1 (en) 2013-06-10 2015-10-20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2278S1 (en) 2013-12-18 2016-11-22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8908S1 (en) * 2014-01-09 2015-09-15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A156714S (en) * 2014-01-28 2019-08-02 Jvl Ventures Llc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D769892S1 (en) 2014-05-30 2016-10-25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9666S1 (en) 2014-06-23 2016-06-21 Goog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07898S1 (en) 2014-07-15 2018-01-16 Google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91143S1 (en) * 2014-09-03 2017-07-04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60071303A1 (en) 2014-09-04 2016-03-10 Home Box Office, Inc. Styleable transitions
USD772279S1 (en) * 2014-12-31 2016-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2280S1 (en) * 2014-12-31 2016-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0785S1 (en) 2015-03-27 2017-03-07 Twitter,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live video sharing
USD765699S1 (en) 2015-06-06 2016-09-06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88733S1 (en) 2015-08-03 2020-06-30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48458S1 (en) * 2015-08-03 2019-05-14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49027S1 (en) * 2015-08-03 2019-05-21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6907S1 (en) 2015-09-08 2017-05-16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31047S1 (en) * 2016-07-15 2018-10-16 Kazark,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3337S1 (en) * 2016-07-29 2018-07-17 Ebay Inc. Display screen or a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3889S1 (en) * 2016-07-29 2018-07-24 Ebay Inc. Display screen or a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04521S1 (en) * 2016-08-12 2017-12-05 Facebook, Inc. Display panel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programmed computer system
USD816701S1 (en) * 2016-12-14 2018-05-01 Mercury Studio LL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35651S1 (en) * 2016-12-28 2018-12-11 Google Llc Computer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36121S1 (en) 2017-01-05 2018-12-18 Google Llc Display panel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layered effect
USD868804S1 (en) * 2017-01-20 2019-12-03 Twitter, Inc. Display screen with a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42867S1 (en) * 2017-01-24 2019-03-12 Google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98050S1 (en) 2017-01-24 2020-10-06 Google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46587S1 (en) 2017-06-04 2019-04-23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61704S1 (en) 2017-09-11 2019-10-0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45324S1 (en) * 2017-12-01 2019-04-09 Nasdaq,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59446S1 (en) * 2017-12-28 2019-09-10 Facebook, Inc. Display panel of a programmed computer system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75774S1 (en) * 2018-01-04 2020-02-1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59428S1 (en) * 2018-01-04 2019-09-1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08716S1 (en) * 2018-01-05 2021-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58164S1 (en) * 2018-01-08 2022-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6862S1 (en) 2018-05-10 2021-04-20 Wells Fargo Bank, N.A.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079919B1 (en) 2018-05-10 2021-08-03 Wells Fargo Bank, N.A. Personal computing devices with improved graphical user interfaces
USD875762S1 (en) * 2018-05-21 2020-02-18 Canva Pty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79817S1 (en) * 2018-05-21 2020-03-31 Canva Pty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79818S1 (en) * 2018-05-21 2020-03-31 Canva Pty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77175S1 (en) 2018-06-04 2020-03-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85410S1 (en) * 2018-10-05 2020-05-26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83319S1 (en) 2018-10-29 2020-05-0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21659S1 (en) * 2018-11-26 2021-06-08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21660S1 (en) * 2018-11-26 2021-06-08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21661S1 (en) * 2018-11-26 2021-06-08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580344B1 (ko) * 2019-01-02 202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여러 타입의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1150782B1 (en) 2019-03-19 2021-10-19 Facebook, Inc. Channel navigation overviews
US10868788B1 (en) 2019-03-20 2020-12-15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digital channel content
USD938482S1 (en) * 2019-03-20 2021-12-14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308176B1 (en) 2019-03-20 2022-04-19 Meta Platfor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channel transitions
USD943625S1 (en) 2019-03-20 2022-02-15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37889S1 (en) 2019-03-22 2021-12-07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3616S1 (en) 2019-03-22 2022-02-15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33696S1 (en) 2019-03-22 2021-10-19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9907S1 (en) 2019-03-22 2022-04-26 Meta Platforms,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4828S1 (en) 2019-03-26 2022-03-01 Facebook, Inc. Display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34287S1 (en) 2019-03-26 2021-10-26 Facebook, Inc. Display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4848S1 (en) 2019-03-26 2022-03-01 Facebook, Inc. Display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4827S1 (en) 2019-03-26 2022-03-01 Facebook, Inc. Display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30657S1 (en) * 2019-05-30 2021-09-14 Outbrain Inc. Electronic device display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8938S1 (en) * 2019-10-04 2021-05-11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38447S1 (en) 2020-08-31 2021-12-14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38449S1 (en) 2020-08-31 2021-12-14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347388B1 (en) 2020-08-31 2022-05-31 Meta Platfor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content navigation based on directional input
US11188215B1 (en) 2020-08-31 2021-11-30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ioritizing digital user content with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38451S1 (en) 2020-08-31 2021-12-14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38450S1 (en) 2020-08-31 2021-12-14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38448S1 (en) 2020-08-31 2021-12-14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0135A (en) * 1988-09-16 1991-10-22 Wang Laboratories, Inc. Apparatus for manipulating document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tilizing reduced images of sheets of information which are movable
US6820807B1 (en) * 1996-03-01 2004-11-23 Cobblestone Software, Inc. Variable formatting of digital data into a pattern
US6745252B1 (en) * 1998-05-13 2004-06-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etwork control system, controller, and device
JP4264614B2 (ja) * 1998-11-30 2009-05-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JP4254950B2 (ja) * 2003-09-01 2009-04-1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装置における操作メニュー表示方法
KR100884144B1 (ko) * 2004-05-10 2009-02-17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및 메뉴 화면 표시방법
JP4438994B2 (ja) * 2004-09-30 2010-03-24 ソニー株式会社 動画像データの編集装置および動画像データの編集方法
KR100715847B1 (ko) * 2004-12-16 200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Pc화면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pc화면의 디스플레이방법
KR100752853B1 (ko) 2005-06-20 2007-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20070107019A1 (en) * 2005-11-07 2007-05-10 Pasquale Romano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n integrated media device
US20080163059A1 (en) * 2006-12-28 2008-07-03 Guidework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ustom video mosaic pages with local content
US7966638B2 (en) * 2007-03-30 2011-06-21 Google Inc. Interactive media display across devices
KR101397541B1 (ko) * 2007-09-05 2014-05-27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화면 구성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090288131A1 (en) * 2008-05-13 2009-11-19 Porto Technology, Llc Providing advance content alerts to a mobile device during playback of a media item
JP5356169B2 (ja) * 2008-09-26 2013-12-04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7791A1 (en) * 2011-05-13 2012-11-22 Lg Electronics Inc. Smart television for sharing additional content with associated smar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03324B2 (en) 2015-04-07
US20090313578A1 (en) 2009-12-17
US20150185970A1 (en) 2015-07-02
US9760239B2 (en) 2017-09-12
KR101469520B1 (ko) 201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520B1 (ko)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308502A1 (en) Contextual remote control user interface
US2019011010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subscreens on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therefor
JP3897774B2 (ja)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
US8806366B2 (en) Media fil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home media center
US8434007B2 (en) Multimedia reproduction apparatus, menu screen display method, menu screen display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menu screen display program
KR20160097867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WO2021031623A1 (zh) 显示设备、分享文件的方法和服务器
EP184791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list
US20090049386A1 (en) Inter-Device Operation Interface, Device Control Terminal, and Program
KR20140052697A (ko) 저장 용량을 관리하는 단말 장치 및 그 관리방법
KR201600608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9330099B2 (en) Multimedia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JP4772583B2 (ja)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メニュー画面表示プログラム及びメニュー画面表示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US20120060190A1 (en) Method for zapping contents and display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JP2004118601A (ja) 画像コンテンツ選択画面の表示装置
CN114116622A (zh) 一种显示设备及文件显示方法
KR10211053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21044601A1 (ja) アプリケーション拡張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WO2009028061A1 (ja) 表示制御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入力装置
KR102303286B1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2037213A1 (zh) 一种显示方法和显示设备
CN115914763A (zh) 显示设备及多媒体资源播放方法
CN117812347A (zh) 一种显示设备及基于频道信息栏的频道管理方法
KR102330475B1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6